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창작자 정보가 미술품의 창의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과 인간 창작자의 비교

        정태현(Taehyun Jung),신형덕(Hyung-Deok Shin)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6 No.4

        미술작품의 평가에 있어서 작가의 정보는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된다. 그런데 최근 인공지능이 창작한 미술품이 등장하면서 인공지능이라는 작가요인이 미술작품의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동일한 미술작품에 대해 (1) 인간이 창작했다는 정보가 제시되는 경우와 (2) 인공지능이 창작했다는 정보가 제시되는 경우에 해당 작품의 창의성 평가에 차이가 존재하는가에 대해 조사했다. 또한 이러한 차이가 미술작품의 장르라는 객관적 요인과 창의성에 대한 평가자의 주관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에 대해 조사했다. 이를 위해 162명의 설문 대상자를 두 개의 그룹(구상화와 추상화를 제시)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을 다시 두 개의 그룹(인간이 창작했다는 정보가 제시된 그룹과 인공지능이 창작했다는 정보가 제시된 그룹)으로 나누었다, 창의성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성별, 연령, 미술관 방문 횟수, 예술 관심도 등을 통제하고 분석한 결과, 본 연구는 동일한 작품에 대해 인간에 의해 창작되었다는 정보가 제공된 경우 더 창의적이라고 평가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추상화라는 미술작품의 장르와 창의성을 중시하는 평가자 성향은 이러한 인간 창작자 프리미엄을 더욱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시대라고 명명되는 시대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AI보다 더 창의적이라고 평가되고, 특히 모호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는 영역에 있어서 더욱 그러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Creator information is considered important for artwork evaluation. As the number of artworks cre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been increased recently, research on the impact of AI creator on evaluation of these artworks has been actively performed. This study investigated if there is any differences in creativity evaluation on the same artwork between the cases that (1) the artwork is informed as being created by human and (2) the artwork in informed as being created by AI. In addition, this study tested if genre of the artwork, which is an objective characteristic, and an evaluator’s personal creativity evaluation criteria, which is a subjective characteristic, have any differential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work creator’s informed identity and creativity evaluation. To do this, 162 surve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artwork genre (abstraction and figuration groups), and again into two groups by information of creator’ identity (human and AI creator). After controlling the elements that may affect creativity evaluation, such as gender, age, museum visit frequency and level of interest in arts, this study found that an artwork informed as human-created is evaluated higher than the case of AI-create in terms of creativity. In addition, abstract genre and creativity-focus evaluation criteria were found to positively moderate this relationship. This study suggests that human is thought to be more creative than AI even in so-called AI era, especially in the area that can be characterized that ambiguity exists.

      • KCI등재후보

        사도행전의 ‘우리’ 대목에 관한 새로운 고찰

        정태현(Jung, Tae Hyu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1 神學展望 Vol.- No.175

        20세기 초 커드버리(HJ. Cadbury)는 사도행전 후반부의 ‘우리’대목을 “루카의 두 작품에서 풀 수 없는 수수께끼”라고 말하였다. ‘우리’ 대목과 사도행전 전체와의 관계, ‘우리’ 대목과 고대 역사 문헌과의 관계, ‘우리’ 대목의 저자와 사도행전 저자와의 관계, 이 두 저자와 바오로 사도와의 관계 등을 밝히는 작업은 사도행전 연구가들에게 난제 중의 난제다. 본고는 먼저 ‘우리’ 대목에 관한 이전의 견해들을 시대별로 소개하면서 각 견해의 한계와 문제점을 지적한다. 그 견해들은 크게 네 가지다. ① 목격 증인으로서의 저자(역사비평 이전의 전통적 견해), ② 허구적 목격 증인(경향비평), ③ 목격 증인으로서의 사료(사료비평과 양식비평), ④ 형식적 목격 증인(편집비평과 문학비평). 이상 네 가지 견해를 일별하면서 캠프벨(W.S. Campbell)은 화자(話萄의 역할을 강조하는 설화비평을 이용하여 ‘우리’ 대목을 분석하면 ‘우리’ 대목의 역사성을 증명하는 데 불필요한 에너지를 쏟을 필요가 없이 이 대목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우리’ 대목의 역사성을 규명하지 않고서는 이 대목과 관련된 제반 문제를 풀어나갈 수 없다. 소고의 본론은 ‘우리’ 대목 본문의 철저한 분석이다. 필자는 ‘우리’ 대목의 본문을 넷으로 나누었다: 16,10-17; 20,5-15; 21,1-18; 27,1-28,16. 이 네 본문을 분석한 결과 다섯 가지 사실이 드러났다. ① ‘우리’는 바오로의 선교 여행의 동반자인 동시에 그의 선교 활동의 목격 증인 역할을 한다. ② ‘우리’ 대목은 사도행전의 보다 큰 문맥 안에 자리잡혀 있고 다른 대목들에 걸쳐 있다. ③ ‘우리’는 아무런 예고 없이 나타나지만 사라지는 경우에는 예외 없이 바오로 사도의 행동과 역할을 강조할 필요가 있을 때다. ④ ‘우리’ 대목의 본문들에서 출발지와 도착지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다. ⑤ 각 본문들은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바다 여행 기록을 포함한다. 이상의 사실들은 ‘우리’ 대목의 사료 요소와 편집 요소를 드러낸다. 본 논문의 마지막 고찰은 ‘우리’ 대목의 사료와 편집 요소를 분별하는 작업이다. ① ‘우리’가 바오로의 전도 여행의 동반자요 목격 증인으로 나타나는 것은 사료 자체의 내용이지만, 바르나바의 역할을 ‘우리’의 역할이 대신하는 것처럼 내세우는 것은 사도행전 저자의 편집이다. ② ‘우리’ 대목을 큰 문맥 안에 끼워 넣은 것은 사도행전 저자의 편집이다. ③ ‘우리’의 돌연한 출현은 저자가 사료를 이용했다는 증거다. ④ ‘우리’가 바오로에게서 분리되었다가 사라지는 것은 바오로의 행동과 역할을 강조하기 위한 저자의 편집이다? ⑤ ‘우리’ 대목들에 나오는 항해의 도착지와 출발지의 연계는 사료 자체에 속한다. ⑥ ‘우리’ 대목들이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바다 여행 기록을 포함한다는 사실은 이 대목이 사료에 바탕을 둔 것임을 증명한다. 끝으로 남은 문제는 ‘우리’ 대목의 사료를 작성한 인물이 누구며 그와 사도행전 저지는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규명하는 일이다. 웨더번(AJ.M. Wedderbum)의 표현을 빌리자면, 사도행전의 저자는 “증인(바오로)에 대한 증인(‘우리’)의 증인”이라 할 수 있다. At the beginning of the 20c,, HJ. Cadbury lamented, “The 4 we’-passages are the insoluble riddle in Luke’s two volume writings.” The work of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passages and the Acts as a whole, between the "we"-passages and the ancient historiography, between the author and the author of the Acts, between these two authors and Paul the Apostle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problems. This article, introduces chronologically the previous proposals concerning the ‘we’-passages, and points out their limitations and problems. They are ① author-as-eyewitness (the traditional view before the Historical Criticism), ② fictional eyewitness (Tendency Criticism), ③ source as eyewitness (Source Criticism and Form Criticism), ④ conventional eyewitness (Redaction Criticism and Literary Criticism). After surveying these four different views, W.S. Campbell claims that if we adopt Narrative Criticism in analysing ‘we’-passages we could understand their vital messages, namely “divine_human collaboration in shaping the emergence and expansion of the early church.” But without clarifying the historicity of the ‘we’-passages, various related issues cannot be solved. Next, the main part of this article is devoted to the analysis of the texts of the ‘we’-passages. We divided the texts into four sections: 16,10-17; 20,5-15; 21,1-18; 27,1-28,16. After analysing these four sections, five important results came out: ① "We" accompanied Paul sometime while in his missionary journey and at the same time became a faithful eyewitness to his missionary activity. ③ the ‘We’-passages are located within the large context and units. ③ ‘We’ suddenly appears without notice, but disappears whenever Paul’s activity and role are to be stressed. ④ In each section of the ‘we’-passages a departure is closely connected with a destination. ⑤ Each section contains at the least a sea journey. These results show us elements of the source and of the redaction in the ‘we’-passages. The final focus is concerned on distinguishing each of these elements: ① The fact that ‘we’ appears as the companion and eyewitness for Paul’s missionary journey belongs to the content of the source itself, the other fact, however, that the role of Barnabas is substituted by ‘we’ is a redaction of the author of the Acts. ② It is a redaction of the author of the Acts to insert ‘we’-passages into the large context. ③ The abrupt appearance of "we" proves the author used a source. ④ It is a redaction of the author to emphasize the activity and role of Paul that (we’ is separated from Paul and disappears. ⑤ The direct connection between destination and departure of each section belongs to the source itself. ⑥ The fact that each of the ‘we’-passages contain sea journey records, one at least or more, proves the ‘we’-passages are based on the source. The final remaining issue is who composed the source of the (we’-passages and how it is related with the author of the Acts. In Wedderbum’s word, the author of the Acts is (tthe witness to a witness to the witness.”

      • KCI등재

        Bayh-Dole 체제와 대학에서의 기술이전 ― 한국의 국가연구개발 지원 성과를 중심으로

        정태현 ( Jung Taehyun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21 지식재산연구 Vol.16 No.1

        국가연구개발 자금의 지원을 받은 연구성과의 결과로 도출된 특허권을 국가가 아니라 연구자가 속한 비영리기관이 소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바이-돌(Bayh-Dole)법이 미국에서 시행된 지 40년이 되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 걸쳐 한국, 일본, 독일을 비롯한 세계 주요국들은 미국의 바이-돌법과 유사한 정책을 도입하였다. 즉, 국가연구개발 자금의 결과로 도출된 특허권을 국가에서 대학으로, 교수에서 대학으로 전환하였다. 본 연구는 바이-돌 체제의 유효성을 평가하고 대안을 모색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를 위해 바이-돌법의 실증적 효과에 관한 국내외 문헌을 분석하고, 기술이전 프로세스상 대학의 특징을 살펴본다. 또한 한국의 대학을 중심으로 국가연구개발 사업을 통한 기술이전 성과와 대학 산학협력단의 기술이전 역량과의 관계를 실증분석한다. 분석의 결과, 대학이 연구자에 우선해 주도권을 갖는 기술이전 모델의 한계에 관한 이론적, 실증적 근거를 제시한다. 대학에서 창출된 국가연구개발성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산업체에 이전하기 위해서는 연구자에게 보다 많은 권한을 부여하는 성과 소유와 활용체제가 필요하다는 점을 본 연구는 시사한다. It has been 40 years since the Bayh-Dole Act was in effects. From the late 1990s to the early 2000s, major countries including Korea, Japan, Germany and other major countries in the world adopted a policy similar to the Bayh-Dole Act of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calls for attention to the ne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d search for an alternative to the Bayh-Dole regime. To this end, I analyze the literature on the empirical effect of the Bayh-Dole system,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in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cess. In addition, I analyze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through national R&D projects and the university’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As a result, a theoretical and empirical basis is present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odel, in which the university takes precedence over researchers, is not effectiv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cess at the university. This study suggests that stronger involvement of researchers in university technology transfer process may enhance their performance.

      • KCI등재

        KVN과 동아시아 VLBI 관측시설을 이용한 SiO 메이저 모델이미지 모의실험

        이지윤,정태현,Yi, Ji-Yun,Jung, Tae-Hyun 한국천문학회 2010 天文學論叢 Vol.25 No.1

        We report results of image simulations of the KVN and VLBI experiments of the KVN with several other East Asia VLBI facilities. To investigate their imaging capability a model-generated image of 7 mm SiO maser emission in Mira variables is used. The resulting simulations show that the joint VLBI experiments of the KVN with East Asia VLBI facilities can produce reasonably good images at 7 mm spectral line experiments. However, there are no apparent differences in peak flux densities and images themselves in the simulations among different combinations of these facilities. In addition, the simulated images of observations which include bigger antennas do not show any expected improvement to the image sensitivity. The small variations in the peak flux density and similar image sensitivity, irrespective of different antenna sizes or numbers of baselines used in the simulations, turn out due to a specific characteristic of the adopted model image. Test simulations using another SiO maser image from R Cas observations prove that the participation of bigger antennas in the VLBI experiments does improve image sensitivity. We confirm the need of additional longer baselines in the experiments of the East Asia VLBI facilities to study very compact maser clumps on sub-milliarcsecond sca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