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PU / PMMA Hybrids 물성에 대한 이온성기와 MMA 함량의 영향

        정창남,조항규,노시태 ( Chang Nam Jeong,Hang Kyu Cho,Si Tae Noh ) 한국공업화학회 1997 공업화학 Vol.8 No.4

        두 종류의 폴리올(PTMG, PBEAG), 이온성 쇄연장제(DMPA), H_12-MDI 및 EDA를 이용하여 폴리우레탄 수분산체(PUD)를 합성하였다. PU/PMMA hybrid는 PUD를 MMA 단량체로 팽윤 시킨 후 라디칼중합으로 제조하였다. 이온기에 따른 PUD의 입자 크기 및 필름 물성을 검토하였으며, MMA 함량에 따른 hybrid의 기계적, 열적 성질을 검토하였다. PUD내 dimethylol propionic acid(DMPA)의 함량을 2, 4, 6, 8, 10wt%까지 증가시켰을 때 유화 입경이 감소하였으며, 또한 에테르형 폴리올보다 에스터형 폴리올을 사용한 PUD의 유화 입경이 작았다. 필름 물성에 있어 이온기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분리도가 증가하는 것을 열적, 기계적 분석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PU/PMMA hybrids에서 MMA의 함량이 증가함에도 PUD의 팽윤에 의한 유화 입경의 증가는 크지 않았다. PU의 에스터형은 DMPA의 함량이 6wt%까지, 에테르형 폴리올을 썼을 경우 DMPA 함량이 4wt%까지 기계적 강도가 MMA 단량체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고, DSC분석에서 T_g는 상승하고 완만해지는 것을 확인하여 hybrid가 분자 수준의 혼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UDs were synthesized from two different polyols(PTMG, PBEAG), ionic chain extender(DMPA), EDA with H_12-MDI. PU/ PMMA hybrids were prepared with free radical polymerization of MMA monomer in MMA-swelled PUD. PUD particle size and film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with ionic content and polyol typ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PU/PMMA hybrid film were studied in terms of PU`s ionic content and the variation of PU/PMMA compositions. As DMPA content increased from 2wt% to l0wt% in PUD, particle size of PUD decreased. PUD`s particle size with ester type polyol was found to be smaller than ether type polyol used. Phase separation between hard segment(HS) and soft segment(SS) with ionic contents in PU was shown by the thermal, mechanical property measurement. Although the composition of MMA was changed from 0 to 40 wt% in PU/PMMA hybrid, the particle size of the hybrid did not increase. Using the ester type polyol, tensile strength of hybrid was found to increase by 2wt% - 6wt% DMPA content, but at higher content the strength of hybrid decreased. Moreover with the ether type polyol, tensile strength of hybrid was observed to increase by 2wt% - 4wt% DMPA content, while decreasing at higher content. PU and PMMA polymer molecule being mixed in molecular level was confirmed from the pattern of T_g in DSC thermogram.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혼합계면활성제를 이용한 Silicone 에멀젼의 제조와 그 안정성에 관한 연구

        이동렬,정창남,서경도,최형기,박영훈 ( Dong Yoel Lee,Chang Nam Jung,Kyung Do Suh,Hyeong Ki Choi,Young Hun Park ) 한국공업화학회 1995 공업화학 Vol.6 No.6

        실리콘을 유화하기 위하여 유화제의 계면화학적 성질을 이용한 반전유화법을 사용하였으며, 유화제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화장품용 계면활성제를 보조유화제와 함께 사용하였다. SPAN, TWEEN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을 경우, HLB 13, 14 영역에서 가장 안정한 실리콘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으며, SLS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보조유화제로 long-chain alcohol를 함께 사용하였을 경우, SLS와 long-chain alcohol의 조성비가 1:3 인 경우에 가장 안정한 실리콘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피부에 독성과 자극이 거의 없는 화장품용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ARLACEL-60과 BRIJ-58을 사용하였을 경우, HLB 14에서 가장 안정한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 결과를 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거의 유사한 안정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각각의 가장 안정한 계면활성제의 조성에서 입자크기와 그 분포를 측정한 결과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더욱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함을 확인하였다. Silicone was emulsified using nonionic surfactants, anionic surfactant, and cosmetic surfactants with co-surfactants(long chain alcohols) through the phase inversion emulsification. In case of nonionic surfactants, SPAN and TWEEN series, were used as emulsifiers, silicone emulsion which has a centrifugal stability of 85.2∼91.2% could be prepared between HLB 13 and HLB 14. When anionic surfactant, SLS, and cosurfactants were used for emulsifier fo silicone, relatively stable emulsion in this research could be prepared and show the stability of 94%. In addition to these surfactants, cosmetic nonionic surfactants, ARLACEL-60 and BRIJ-58 were employed because the above-mention nonionic and anionic surfactants have known to be toxic. Silicone emulsions prepared using ARLACEL-60 and BRIJ-58 showed a stability of 90.7% which are similar to those of nonionic and anionic surfactants. It was also identified that particle size and distribution in the most stable emulsion composition showed that stable emulsion has the smallest particle size.

      • SCOPUSKCI등재

        오존을 이용한 불포화 색소물질의 탈색반응

        최형기,정창남,김점식 ( Hyeong Ki Choi,Chang Nam Chung,Jum Sik Kim ) 한국공업화학회 1991 공업화학 Vol.2 No.3

        β-Carotene의 오존산화반응을 통하여 불포화 색소물질에 대한 오존의 탈색효과와 반응성분의 변화를 정량 적으로 비교하였으며, 카로티노이드계 색소가 주요 발색원인물질인 beeswax에 대한 오존의 산화반응을 물, 0.5%와 1.0%수산화나트륨수용액, 20%와 95%초산수용액에서 실시하여 각 반응계에 따른 탈색효과를 비교검토하였고 과산화수소의 첨가효과도 검토하였다. β-Carotene의 불포화이중결합의 감소와 탈색효과는 정량적으로 비례하였으며 beeswax의 탈색효과도 잘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Beeswax의 탈색효과는 1.0% 수산화나트륨수용액에서 반응한 것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과산화수소의 첨가(왁스의 2%)시 390nm에서의 흡광도가 0.045로 좋은 탈색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Beeswax의 탈색에 있어 오존산화반응이 물리흡착보다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Bleaching effect of ozone on unsaturated coloring material was compared quantitatively with the change of composition of reactants through the ozone oxidation of β-carotene. Beeswax colorized by carotenoids was reacted with ozone in water, 0.5% and 1.0% sodium hydroxide solution, and 20% and 95% acetic acid solution and bleaching effect of each reaction condition was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then the additive effect of hydrogen peroxide was investigated. Decrease of unsaturated double bond of β-carotene was proportioned quantitatively to the bleaching effect of ozone on β-carotene and was in accordance with the bleaching effect on beeswax. The bleaching effect of ozone on coloring material in 1.0% sodium hydroxide solution was better than any other condition and the absorbance of beeswax at 390 nm was improved to 0.045 with the addition of hydrogen peroxide(2% of wax). For the bleaching of beeswax, it was concluded that the ozone oxid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physical adsorption.

      • KCI등재

        기내배양에 의한 쪽파의 체세포 염색체 배가

        임순희,안장순,정창남,한태호,Yim, Sun-Hee,Ahn, Chang-Soon,Jeong, Chang-Nam,Han, Tae-Ho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2 식물생명공학회지 Vol.29 No.4

        쪽파의 배발생 캘러스 유도에는 2,4-D의 단독첨가가 보다 효과적이었으나, 2,4-D의 농도가 높을수록 기형배의 배발생율이 높았다. BA를 혼합첨가하였을 때는 기형배가 보다 많이 발생하였다. 배형성을 위한 외식편으로는 경정이 가장 좋았으며 그 다음 인편, 엽조직 순이었다. 또한 0.09 M의 sucrose를 첨가한 배지에서 배발생 callus 유기가 가장 좋았다. 2,4-D와 BA의 농도가 상이한 배지에서 유기된 배발생 callus로부터 재분화된 식물체의 염색체 변이율은 8∼33.3%였으며, 4배체와 2배체+4배체의 혼수체가 나타났다. 염색체 변이율은 인편 유래의 식물체에서 18.7%로 가장 높았다. 경정 부위에서 유기된 배발생 callus는 33.5%로 식물체 재분화율이 높았지만, 염색체 변이율은 7.0% 정도로 낮았다. 또한 0.26 M sucrose배지에서 배양한 식물체에서 염색체 변이율이 높았으며. 0.09∼0.20 M sucrose배지에서 분화된 식물체에서 염색체 변이율은 15.2∼16.6%로 거의 안정적이었다. Induction of embryogenic callus from Allium wakegi Araki explants was promoted on medium containing 2,4-D, and production of abnormal embryos from the embryogenic callus increased as 2,4-D concentration was raised. Shoot tip was found to be the best explant source for embryogenic callus formation followed in the order by bulb scale and leaf section. Medium containing 0.09 M sucrose was effective for embryogenic callus production. The regenerants from embryogenic callus on medium containing 2,4-D and BA at different concentrations was consisted of diploids, tetraploids and a few mixaploids of 2n+4n, and their chromosomal aberration rate ranged from 8.0 to 33.3%. Frequency of chromosomal aberrants was the highest (18.7%) in the regenerants obtained from bulb scale-derived embryogenic callus among others. Plant regeneration rate was high (33.5%) from the shoot tip-derived embryogenic callus and the frequency of chromosomal aberrants was very low (7.0%). The plantlets regenerated on medium containing 0.26 M sucrose resulted in high chromosomal aberrants. The regenerants on medium containing sucrose at 0.09∼0.20 M produced chromosomal aberrants at around 15.2∼16.6%.

      • SCOPUSKCI등재

        음이온성 폴리우레탄 분산체의 제조와 우레탄 물성에 대한 폴리올의 혼합 효과

        안재범,조항규,정창남,노시태 ( Jae Beom Ahn,Hang Kyu Cho,Chang Nam Jeong,Si Tae Noh ) 한국공업화학회 1997 공업화학 Vol.8 No.2

        Isophorone diisocyante(IPDl), 각각 에스터와 에테르 타입의 폴리올인 poly[butyl/ethylese adipate] glycol(PBEAG), poly[oxytetramethylene] glycol(PTMG)과 잠재적 음이온기인 dimethylol propionic acid(DMPA)로 부터 음이온성 폴리우레탄 분산체(PUD)를 제조하였다. 폴리올의 종류 및 조성이 PUD의 유화 입경과 건조 필름의 기계적, 열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등을 검토하였다. 혼합된 폴리올의 조성 변화 시, PTMG 함량이 증가할수록 PUD의 유화 입경은 점근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인장 강도는 완만한 감소를 나타내다가 증가하였다. 이는 두 폴리올간의 상용성이 적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로 해석되며, 이러한 비상용성은 DSC분석을 통하여 유리전이온도(T_g) 측정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Polyurethane dispersions(PUD) were prepared from IPDI, PBEAG and PTMG as respectively ester type and ether type polyols and DMPA as anionic site. The effect of composition and type of polyols on the particle size of PUD and mechanical, thermal properties of PUD cast film were investigated. As the PTMG contents in mixed polyols increased, the particle size asymptotically increased and tensile strength showed a mild drop followed by a mild increase. This results from the incompatibility of two polyols, which was possibly identified by DSC analysis.

      • SCOPUSKCI등재

        폴리이미드의 합성과 필름의 물성에 미치는 디아민과 용매의 효과

        최형기,이호식,정창남,김점식 ( Hyeong Ki Choi,Ho Sik Lee,Chang Nam Chung,Jum Sik Kim ) 한국공업화학회 1991 공업화학 Vol.2 No.3

        폴리이미드의 전구체인 폴리아믹산을 benzophenone tetracarboxylic dianhydride (BTDA)와 4, 4`-diamino diphenyl methane (MDA) 혹은 MDA와 3, 3`-dimethyl benzidine (OTB)의 혼합디아민과 용액축중합반응에 의하여 합성하였다. 반응용매로는 m-cresol과 m-cresol/xylene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였다. TGA 분석 결과 폴리이미드 필름은 초기분해 온도가 540 ℃-590 ℃의 범위로서 내열성이 우수하였다. DSC 분석으로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340 ℃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폴리이미드 필름은 양호한 기계적, 전기적 물성 값을 갖는 시료에서 인장강도가 16Kg/㎟ 이상이었고, 절연파괴전압이 200KV/mm 정도였다. 대체로 MDA 만을 디아민으로 사용한 단일중합체보다 MDA/OTB 공중합체의 물성이 우수하였고, m-cresol에서 합성한 중합체보다 m-cresol/xylone 흔합용매계에서 합성한 중합체의 물성값이 우수하였다. Polyamic acids, precursor polymers of polyimides have been obtained by the solution polycondensation of benzophenone tetracarboxylic dianhydride (BTDA) with 4,4`-diamino diphenyl methane (MDA) and/or 3, 3`-dimethyl benzidine (OTB). The reaction was carried in two solvent systems such as m-cresol and m-cresol/xylene mixture. The results of TGA analysis showed that the polyimide films had good thermal stability with the initial decomposition temperature ranging from 540 ℃ to 590 ℃. According to DSC analysis of polymer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was over 340 ℃. Polyimide film samples, showed good mechanical and eletrical properties, had over 16 Kg/㎟ of tensile strength and about 200 KV/mm of dielectric breakdown voltage. The properties of the copolymer from MDA/OTB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homopolymer from MDA. And the polymer synthesized in m-cresol had lower properties than that obtained in m-cresol/xylene.

      • KCI우수등재

        표면처리 알루미늄 플레이크 충전 PP의 역학적 성질 및 EMI 차폐 효과

        임승순,김두천,정창남,Im, Seung-Sun,Kim, Du-Cheon,Jeong, Chang-Nam 한국섬유공학회 1990 한국섬유공학회지 Vol.27 No.12

        In order to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l flake/pp composite used EMI shielding materials, Al flake is microencapsulated with LONPLY by phase separation method using organic solvent to improve the adhesion of Al flake/pp interface and the dispersion of Al flake in PP matrix. We assumed that the decrease of tensile strength can be minimized by microencapsulated method for Al flacke/pp composite. Shielding effectness(SE) was found to be 30dB when 15-18 v % of Al flake was added to PP matrix, and the volume resistively was measured as 100-10-1cm in both PP filled microencapsulated and non - capsulated AA flakes. Especially, when the attenuation was measured in 8$^{\circ}$ 120Hz frequency range, for the sample with different thickness(1mm, 3mm) , we can be certainly observed reflection and transmittance.

      • SCOPUSKCI등재

        3차 아민계 쇄연장제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수지의 합성과 기계적 , 염색 특성

        노시태,김평준,정창남 ( Si Tae Noh,Pyung Jun Kim,Chang Nam Jung ) 한국공업화학회 1996 공업화학 Vol.7 No.2

        폴리우레탄 수지의 염색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염착좌석을 갖는 저분자량의 디올류를 쇄연장제로 활용하였다. 쇄연장제와 폴리올의 종류를 변화시키고, 또한 하드세그멘트 (HS)/소프트세그멘트 (SS) 비율을 변화시키면서 폴리우레탄 수지를 합성하였다. HS/SS가 1.4이고, dimethylolpropionic acid(DMPA), N-butyldiethanolamine(BDEA)를 염착좌석용 쇄연장제(DCE)로 활용한 경우 반응의 불균일성으로 인하여 기계적 물성이 좋지 못하였으며, 특히 에스테르계 폴리올인 poly[butylene/ethylene adipate] glycol(PBEAG)로 합성한 경우 내가수분해성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그러나 DCE로 N-methyldiethanol amino(MDEA)를 사용하고 HS/SS를 1.3으로 조절한 경우 기계적 물성과 염색성이 향상되었으며, MDEA를 선형 쇄연장제(CE)인 1,4-butanediol(1,4-BD)과 에테르형 폴리올인 poly[oxyteramethylene] glycol(PTMG)과 반응시킨 경우 기계적 물성과 내가수분해성이 현저하게 향상되었다. 특히 분자설계적 측면에서 DCE를 HS와 SS내의 배분과 1,6-hexanediol(1,6-HD) 및 neopentylglycol(NPG)과의 공쇄연장으로 초기탄성률, 인장강도, 신장률을 제어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o improve the dyeability of polyurethane (PU) resin, low molecular weight diols containing dye site in the molecular structure was added as a chain-extender. PU resin were synthesized with the variations in the chain extender, polyol type, and hard segment/soft segment (HS/SS) ratio. When HS/SS ratio is 1.4 and dimethylolpropionic acid (DMPA) or N-butyldiethanolamine (BDEA) was used as a chain extender, because of heterogeneity of reaction mechanical properties were diminished. But when N-methyldiethanolamine (MDEA) was used as a DCE, and HS/SS ratio lowed to 1.3, mechanical properties and dyeability improved. In particular, when linear type 1,4-BD was formulated with MDEA, hydrolysis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TMG type PU was improved. And initial elasticity,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could be controlled by the variation of HS/SS ratio, DCE mixing ratio of 1,6-HD or NP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