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당뇨병 전단계에서 제2형 당뇨병으로의 전이에 고혈압 및 인슐린 저항성의 영향 분석

        정주원(Joo Won Jung), 조윤(Yoon Cho), 이한길(Hankil Lee), 한은아(Euna Han) 한국보건사회약료경영학회 2023 한국보건사회약료경영학회지 Vol.11 No.1

        BACKGROUNDS There are many people with prediabetes. As prediabetes is a strong risk factor for Type 2 Diabetes and an opportunity to prevent Type 2 Diabete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prediabetes with high risk of developing Type 2 Diabet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hypertension or insulin resistance are valid transition factors to Type 2 Diabetes from prediabetes. METHODS 2265 middle-aged South Korean examinees with prediabetes in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ies (KoGES) during the follow-up period of 10 years. RESULTS During 8.24 person- years, we identified 469 incident Type 2 Diabetes cases (21%). Th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increased with hypertension or insulin resistance with the adjusted hazard ratios (HRs) of 1.595 (CI: 1.209-2.105) and 2.286 (1.761-2.968)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with hypertension (Adjusted HR, 1.342 [CI: 1.045-1.723]), those with hypertension and insulin resistance showed a larger HR (Adjusted HR, 2.593 [CI: 1.802-3.733]). CONCLUSION Middle-aged South Koreans with prediabetes who had hypertension or insulin resistance were especially high at risk of developing Type 2 Diabetes. Hypertension had an association with Type 2 Diabetes, whereas insulin resistance had a causal impact on East Asian populations to have Type 2 Diabetes.

      • KCI등재

        녹색생활관련 인지정도가 녹색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주원 ( Joo Won Jung ),조소연 ( So Yeon Cho ) 한국환경과학회 2014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3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green consumer behavior (green product purchasing behavior and green consumption life) affected by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cognition degree of green life (cognition of a green indicator, a green life catalyst system, and environmental problems). It`s also to promote strategy and suggest effective activation plans for the vitalization of green consumer behavior. To carry out the task, verification of credibil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wo-step cluster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that effect green product purchasing behavior were gender, age, cognitive of a green indicator, carbon points system, electricity peak hour system, and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damage due to lifestyle. Second, the factors that effect green lifestyle were gender, age, carbon grade indicator system, cognition of a green system, and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damage due to lifestyle. Third, the comparative group characteristic analysis showed low rates for careless green consumer behavior groups compared to the passive green consumer behavior groups in cognition of a green indicator, green system, and environmental problems. For active green consumer behavior groups, the analysis showed high rates in cognition of carbon grades, eco-labeling, electricity peak hour system, and environmental damage due to lifestyle. In order to encourage green consumer behavior, it`s evident that cognition of a green indicator, a green life catalyst system, and environmental problems need to be improved through strategic education and continuous encouragement.

      • KCI등재

        유아의 마음이론과 도덕적 판단의 관계

        정주원 ( Joo Won Jung ),강민주 ( Min Ju Ka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만 4세 유아의 마음이론과 도덕적 판단의 발달 수준에 대해 살펴보고 마음이론과 도덕적 판단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4세 유아 117명을 대상으로 내용교체과제와 위치이동 과제를 실시하였고, 과실, 거짓말, 훔치기 항목에 대한 도덕적 판단을 근거로 한 의 도성 판단 지수를 사용하여 유아의 도덕적 판단 능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반수의 만 4세 유아들이 마음이론 두 과제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4세 유아는 자신의 틀린 믿음에 대한 표상을 타인의 틀린 믿음에 대한 표상보다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인의 틀린 믿음에 대한 표상을 타인의 후속행동에 대한 예측보다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만 4세 유아들은 도덕적 판단을 할 때 의도와 결과를 같은 비중으로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마음이론과 도덕적 판단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즉, 틀린 믿음 표상능력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도덕적 판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덕성 발달에 관련된 변인을 밝힘으로써 도덕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of Mind and the moral judgment among Korean preschooler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17 children(59boys, 59girls). Theory of Mind was assessed by the unexpected content task and the unexpected location task. Children`s moral judgment was measured by story pairs of clumsiness, lying, and stealing, then the Intention Judgment Quotient was calcu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of 4-year-olds were observed to have the concept of the Theory of Mind. In general, the 4-year-olds understood their own false-belief better than the other`s false-belief, and understood the other`s false-belief better than predicting the main character`s action in the story. Second, when the 4-year-olds were in the situation of judging the main character`s morality, they considered the main character`s intention and the results with almost identical weight. Third, children`s Theory of Mind and moral judge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us, children who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ory of Mind tended to have more mature level of judgment regarding the moral issues. This study provided the factor related to the moral development that would have an implication in developing the moral development program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 KCI등재

        의복의 윤리적 소비 실천행동에 관한 심층연구

        정주원(Jung, Joo Wo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1 소비문화연구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윤리적 의복 소비를 실천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소비행동과 그 영향요인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아름다운 가게 활동가와 리폼을 행하는 11인의 연구대상자를 대상으로 Ethnography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적 의복 소비행동으로의 주요 변화모습으로는 옷에 대한 소유욕이 낮아져 물질적 간소화를 추구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백화점에서 쇼핑을 하며 많은 시간을 소요하던 소비에서 재활용매장에서 헌옷을 구매하며 보다 의미로운 활동으로 시간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의복 선택에 있어서는 실용과 본질을 추구하고자 하며,의복사용은 가능한 장기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의 처분은 단순폐기에서 환경을 고려하는 리폼이나 기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윤리적 의복 소비행동에 영향을 끼친 요인으로는 내적 영향요인과 외적 영향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내적 영향요인은 가정교육으로 축적된 가치관에 의한 요인으로 볼 수 있으며, 외적 영향요인은 해외 거주 경험과 같은 윤리적 시스템에 대한 경험과 봉사활동 경험, 공동체 모임의 영향 그리고 교육과 현장답사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비자들의 윤리적 의복 소비행동으로의 변화 과정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소비자들을 계몽하고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 제안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behavior chang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ethical consumption related to cloth. Data were collected by ethnographic interviews of 11 informants who have performed the activities at the beautiful store and reform for more than 3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main change to ethical cloth consumption, they showed reduced desire to possess cloth and thus pursued the material simplification. Further, they quit the consumption in which they spent much time in shopping in the department store and they utilized time in more meaningful time to purchase used cloth in the shop of reused goods. They pursued practice and essence in selecting cloth, which was worn as long as possible. The disposition of cloth changed from simple discard to reform or donation.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the ethical cloth consumption behavior were grasped to internal factor and external factor. Internal factor appeared as factor by sense of value accumulated in the family life education. External factor appeared as factor by experience in serving, experience in ethical system like living overseas, influence of community and education. Thes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significant guidance for increasing ethical cloth consumption.

      • KCI등재

        몸의 소비문화적 의미와 현상에 대한 고찰

        정주원(Jung Joo Won) 한국소비문화학회 2006 소비문화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몸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현대 소비사회에서 현대인의 몸의 의미가 어떻게 소비의 관계 속에서 위치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들과 2차 자료들을 중심으로 소비대상이 되고 있는 몸의 소비문화적 의미와 대표적인 몸 소비현상을 소비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현대 소비사회에서 몸은 내면이 아닌 외형에 치우쳐 끊임없이 관리되어져야 하는 소비대상으로 간주되고 있었으며, 각종 소비재로 둘러싸인 몸은 자신의 욕구를 드러내는 역할을 함으로써 구별짓기와 차별화를 위한 기제로 작용하고 있었다. 또한 외형적인 몸이 소비자의 정체성을 나타나는 상징이자 기호로 작용함으로써 소비자는 계속적으로 몸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소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각종 미용 산업의 성장과 이미지를 생산해내는 대중매체의 영향력에 의해 촉진되고 있었다. 이러한 측면은 특징적인 몸에 대한 소비현상들 즉 얼짱ㆍ몸짱에 대한 지나친 관심과 다이어트 열풍, 각종 미용관련 용품과 확대되어지는 성형수술에서 잘 반증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소비사회는 소비자에게 몸과 관련된 상품의 선택 폭을 다양하게 해 주었지만, 정형화된 획일적 아름다움을 사회적으로 확대 재생산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몸은 상품의 소비에 길들어지며 심각한 병폐를 낳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몸에 대한 근본적인 자아를 상실해가는 것으로 이상적인 이미지를 추종하고자 상품을 소비하고 이를 통해 타인에게 인정받고 타인과 구별되고자 하는 현대 소비문화의 특징이자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사회 전반적으로 외형적인 몸 소비문화에 빠져 있는 현상에 대한 자성이 요구되어지며 건강한 몸 소비문화의 정착을 위해 소비자 자신 뿐 아니라 기업, 미디어, 정부와 학계의 개선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몸은 단순히 보여 지는 것이 아니라 나의 정신과 주체를 담고 있는 것이라는 몸에 대한 본질적이고 온전한 이해와 함께 건강하고 바람직한 소비 가치관의 지침과 대안적 규범들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how the bodies of modern consumers have become related with consumption in the modern society. Based on existing studies and additional materials, we taken a look at the consumer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body together with main body consumption phenomena from a cultural perspective. As a result, we could see that the body in the modern day consumer society was considered as an outer asset and a subject of consumption that needed to be continuously taken care of. The body decorated from head to toe in a variety of consumer goods shows the wants of that individual as a means of social distinction and differentiation. In addition, the outer appearance of one’s body acts as a symbol or sign of the consumer’s identity, which is why consumers persistently pay attention to their bodies when buying goods, and this phenomenon is being accelerated by the growth of various beauty industries and the outer images portrayed by the influential mass media. This tendency is shown in many areas of body consumption, especially in the current trends of ‘perfect face, perfect body complex’, slimming diets, various beauty and cosmetic supplies, and the expansion of plastic surgery. Our consumer society has provided a wide and varying range of body products, but at the same time has portrayed and reproduced a certain criteria of beauty, making the consumers’ bodies adapt to product consumption. An introspective look is required of the social trends of pursuing outer body consumption cultures, and efforts on the part of not only the individual consumers but also companies, the media, the government, and the academic field are need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healthy body consumption culture. Healthy and appropriate consumer value regulations and alternative methods as well as a fundamental and wholesome recognition of the body are needed for the body to be properly seen as a vessel of one’s soul and identity.

      • KCI등재

        면세점내 상황적,감정적 요인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주원 ( Joo Won Jung ),조소연 ( So Yeon Cho ),박명희 ( Myung Hee Park ) 대한가정학회 2010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48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which influence impulsive buying at duty-free shops. This involved an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types of purchased items, and the situational and emotional factors affecting impulsive purchasing behaviour in consumers, who had bought items from duty free shops in the past three yea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while beverage and cosmetic items were found to encourage impulse buying, in general demographic variables and type of product had only a slight influence. Secondly, the situational factors of price benefits, overseas luxury branding, and ease of access in the duty free shopping area all had a definite positive influence. Thirdly, with regard to emotional factors, positive emotion was found to have strong augmenting effect on impulsive purchasing. The findings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to prevent impulsive purchasing and promote sensible consumer behaviour.

      • KCI등재

        주관적 노후인식이 60대 중고령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주원 ( Jung Joo Won ),조소연 ( Cho So Yeo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保健社會硏究 Vol.33 No.4

        본 연구는 스스로 노후 또는 비노후라고 인식하는 주관적 노후 인식 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노년기 우울을 주관적 노후 인식의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함에 그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 4차년도 자료에서 주관적 노후 인식 여부의 이질성이 잘 나타나는 60대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주관적 비노후 인식 집단 과 노후 인식 집단에서의 우울차이와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개인상황적, 건강상태, 경제적 변인을 선정하고 주관적 노후 인식 여부와 함께 우울에 대한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2way-ANOVA) 을 실행하였으며, 주관적 노후 인식 여부에 따른 우울의 차이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t-test와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주관적으로 노후라고 여기는 집단 이 스스로 노후라고 여기지 않는 집단보다 우울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개인상황적, 건강상태 그리고 경제적 변인에 따라 우울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그 중 신체적·정신적 건강상태, 취업여부, 경제적 독립여부, 총 가구소득에서는 주관적 노후 인식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주관적 노후 인식 집단별 우울의 영향요인으로는 비노후 집단에서 연령과 배우자유무, 손자녀유무가 노후 집단에서 경제적 독립여부와 총 가구소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의 우울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신적 건강상태와 취업여부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주관적 노후 인식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임이 나타났으며, 우울 극복을 위해 집단별로 접근하여 정서적인 유대와 경제력의 확보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t factors and levels of depression caused by the elderly`s subjective perception of aging. The main goal is to understand the causes and effects of the elderly having depression and seek adequate solutions. The data from the 4th edition of “Korea Retirement and Income Study” were used to conduct the t-test, Two-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It wa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those who perceive themselves as “old” versus “not old” among the middle old aged people in their 60s. As a result, people who perceived themselves as “old” had a higher level of depression compared to those who perceived themselves as “not old”. Personal background, health conditions, and financial variables all had an impact on different levels of depression. Out of those variables,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aging showed a mutual interaction with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financial independence, gross income, and whether or not they were employed. The factors that had an influence on depression for people who perceived themselves as “not old” were the age, whether or not they had a spouse or grandchildren. However, for the group that perceived themselves as “old” were influenced by their gross income or financial independence. It turned out that the factors that influenced depression on both groups were the mental health and employment status. In conclusion,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aging is proved to be the main factor that has an influence on the depression in the old ag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groups are given emotional and financial support according to which group they belong to in order to overcome depression.

      • KCI등재

        60대 중고령자들의 주관적 노후인식과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정주원(Joo Won Jung),송현주(Hyun Ju Song) 한국노인복지학회 2012 노인복지연구 Vol.0 No.57

        본 연구는 노년기의 노후시기 도래를 예측하고 이해함에 도움을 주고, 보다 체계적인 노후보장 설계를 통해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자 함에 그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 3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60대 중고령자들의 주관적 노후 인식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주관적 노후 인식에 따른 비노후 집단과 노후 집단의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와 그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60대 중고령자들의 주관적 노후 인식 여부는 개인환경적 특성과 경제상황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으로써, 노후에 대한 인식이 특정 연령이나 사회적으로 합의된 기준에 의해 비롯된다기보다 개인이 처한 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이 나타났다. 그리고 주관적 노후 인식 여부에 따른 주관적 삶의 만족도의 결과에서는 개인환경적 특성과 경제상황적 특성 모두에서 주관적으로 노후라고 여기지 않는 집단이 노후라고 생각하는 집단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각 집단별 삶의 만족도의 영향요인으로는 비노후 집단에서 연령과 가구지출이, 노후 집단에서 교육수준과 공적 연금 수급 여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노년기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보다 실질적인 설계를 위해서 주관적 노후인식의 중요성이 제기되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