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미지 검색 실패에 나타난 이미지 요구와 맥락에 관한 분석

        정은경,Chung, EunKyung 한국비블리아학회 2015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6 No.1

        이용자의 이미지요구 규명은 이미지 정보 서비스와 시스템 효율성 증진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최근에는 이미지요구 분석에 있어서 다양한 맥락 요소를 접목하여 다층적인 관점에서 이미지요구를 규명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최근 연구의 흐름과 맥을 같이 하며, 이용자의 이미지요구를 규명하기 위해서 총 70건의 이미지 검색 실패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미지 검색 실패 사례에 나타난 이미지요구는 구체적, 일반적/지칭 가능한 요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선행 연구와 유사한 것으로써 검색 실패한 이미지요구의 특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이미지요구에 배태된 맥락요소에 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업무/과제의 목표와 이용목적에 관련된 맥락요소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목적의 맥락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일러스트레이션 이용목적이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검색 질의 특성은 고유어와 정련어의 쌍으로 분석할 때 고유어/정련어, 비고유어/정련어, 고유어/비정련어, 고유어/정련어 쌍 순서로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색 실패 이미지요구의 특성으로써 구체적이거나 일반적/지칭 가능한 요구이며 이는 비고유어/비정련어 쌍을 특징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맥락의 관점에서는 목표 중심이며 일러스트레이션 이용목적이 주된 맥락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이미지 검색 시스템이나 서비스 개선을 위한 시사점이 될 수 있다. As a way of identifying users' image needs for improved effectiveness of image search, there have been recent research approaches to examine contextual factors in image needs with multiple perspectives. In this line of research, this study examined a total of 70 unsuccessful image searches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users' image nee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image needs, contextual factors on image needs, and image queries were investiga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information needs from the failed image searches are categorized primarily into specific and general/nameable categories. More importantly, these information needs are embedded with multiple contextual factors, primarily, task purpose and use purpose. With an analysis of detailed use purposes for image, illustration use was found most in this data set. For query analysis, the type of unique/refined image query was revealed primarily.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und similar to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it is possible to characterize the image needs from the failed image searches. In addi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to the design and service of image retrieval.

      • KCI등재

        체계적 분석 기법을 이용한 의미기반 이미지검색 분야 고찰에 관한 연구

        정은경,Chung, EunKyung 한국비블리아학회 2014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5 No.4

        디지털 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이미지 생산, 유통, 이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미지 검색에 관한 연구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미지검색 분야는 내용기반과 의미기반으로 나뉘어 연구가 수행되어왔으며, 문헌정보학 관점에서는 특히 의미기반의 색인과 검색에 주목해왔다. 본 연구는 체계적인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의미기반 이미지검색 분야 연구 집적의 분석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는 Web of Science 수록된 문헌정보학(Information Science/Library Science)분야의 이미지검색 논문 및 학술회의 논문 총 282건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국내 연구와 비교를 위해서는 DBpia에 수록된 문헌정보학 분야의 이미지검색 논문 35건을 수집하였다. 데이터 분석 과정은 우선 개괄적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서지사항을 분석하였고, 이와 함께 내용분석을 통한 체계적 분석 고찰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이미지 검색은 기존 연구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의미기반 이미지 검색이 주된 흐름이며, 그 중에서도 이미지 색인과 기술 분야, 이미지 요구와 검색행태 분야의 연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연구 경향으로 주목할 만한 분야는 집합적 색인, 다언어/다문화 환경에서의 색인과 이미지 요구, 감정색인과 접근 등이다. 이용자 중심의 이미지 검색 연구 측면에서는 특정 이용자 그룹 중에서 대학생이나 대학원생이 주된 연구 대상 이용자 그룹이며 이 외에도 이미지를 업무에 사용하는 이용자 그룹에 대한 연구가 주된 경향이다. 최근에는 일반 이용자를 대상으로 일상생활 환경에서 이미지검색에 관한 연구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국내 연구와 비교하면, 논문의 수적인 차이를 제외하면 세부 연구 주제에 있어서 상당히 유사한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금까지의 이미지 검색 분야의 연구 집적을 조명하며, 향후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With the increased creation, distribution, and use of image in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and internet, research endeavors have accumulated drastically. As two dominant aspects of image retrieval have been considered content-based and concept-based image retrieval, concept-based image retrieval has been focused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accumulated research of image retrieval from the perspective of LIS fiel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data sets were prepared: a total of 282 image retrieval research papers from Web of Science, and a total of 35 image retrieval research from DBpia in Kore for comparison. For data analysis, systematic review methodology was utilized with bibliographic analysis of individual research papers in the data se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wo sub-areas, image indexing and description and image needs and image behavior, were dominant. Among these sub-area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emerging areas such as collective indexing, image retrieval in terms of multi-language and multi-culture environments, and affective indexing and use. For the user-centered image retrieval research,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were found prominent user groups for research while specific user groups such as medical/health related users, artists, and museum users were found considerably. With the comparison with the distribution of sub-areas of image retrieval research in Korea, considerable similarities were fou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expect to guide research directions and agenda for future.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 연구 동향 분석 - Digital Humanities 학술대회 논문을 중심으로 -

        정은경,Chung, EunKyung 한국문헌정보학회 202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5 No.1

        디지털 정보기술과 인문학적 연구 문제의 결합을 통해 새롭고 혁신적인 지식을 창출하는 디지털인문학은 대표적인 다학제적 융합 학문 분야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인문학 분야의 지적구조를 규명하기 Digital Humanities 학술대회 최근 2년간(2019, 2020)의 논문 441건을 대상으로 저자사항과 키워드 동시출현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저자와 키워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유럽, 북미 지역, 동아시권의 일본 중국의 저자의 활발한 활동을 찾아볼 수 있다. 공저자 네트워크를 통해서는 11개의 분절된 네트워크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폐쇄적인 공저활동의 결과로 볼 수 있다. 키워드 분석을 통해서는 16개의 세부 주제 영역을 규명할 수 있으며, 이는 기계학습, 교육학, 메타데이터, 토픽모델링, 문체, 문화유산, 네트워크, 디지털아카이브, 자연언어처리, 디지털도서관, 트위터, 드라마, 빅데이터, 신경망 네트워크, 가상현실, 윤리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군집 구성은 디지털 정보기술이 주된 세부 주제 영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출현빈도가 높은 키워드들은 인문학 기반 키워드, 디지털 정보기술 기반 키워드, 융합 키워드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디지털인문학의 성장과 발전 과정의 역동성을 찾아볼 수 있다. Digital humanities, which creates new and innovative knowledge through the combination of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y and humanities research problems, can be seen as a representative multidisciplinary field of study. To investigate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digital humanities field, a network analysis of authors and keywords co-word was performed on a total of 441 papers in the last two years (2019, 2020) at the Digital Humanities Conference. As the results of the author and keyword analysis show, we can find out the active activities of Europe, North America, and Japanese and Chinese authors in East Asia. Through the co-author network, 11 dis-connected sub-networks are identified, which can be seen as a result of closed co-authoring activities. Through keyword analysis, 16 sub-subject areas are identified, which are machine learning, pedagogy, metadata, topic modeling, stylometry, cultural heritage, network, digital archiv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digital library, twitter, drama, big data, neural network, virtual reality, and ethics. This results imply that a diver variety of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playing a major role in the digital humanities. In addition,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can be classified into humanities-based keywords,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y-based keywords, and convergence keywords. The dynamics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digital humanities can represented in these combinations of keywords.

      • KCI등재

        베이비 부머의 고용불안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통제감의 조절·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은경 ( Chung Eunkyung ),하정화 ( Ha Jung-hwa ),한경혜 ( Han Gyoungha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 부머가 경험하는 고용불안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러한 영향이 통제감에 의해 조절 및 매개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베이비부머 패널의 1차년도 및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1차시의 고용불 안정 정도 및 2년 사이 고용불안정 정도의 변화가 조사 참여자들의 건강상태(신체증 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러한 관계를 통제감이 조절하는지, 그리고 2년 사이 통제감 수준의 변화가 고용불안정과 건강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고용불안정 정도가 높을수록, 또한 2년간 고용불안감이 증가할수록 신체증 상을 경험하는 빈도가 높아졌다. 통제감은 고용불안정 정도가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지는 못했지만 고용불안정 변화가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 하였다. 한편 고용불안정 정도 및 그 변화가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은 2년간의 통제감 변화에 의해 부분적으로 매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베이비 부머에게 있어 고용불안 정이 건강상의 문제를 초래하는 주요한 스트레스원이며, 개인의 심리적 자원으로서 통제감을 증진하는 것뿐만 아니라 고용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거시적 차원의 접근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job insecurity on baby boomers` health and the extent to which these effects are moderated and mediated by a sense of mastery. Analyses are based on data from the 2010 (Time 1; T1) and 2012 (Time 2; T2) waves of the Korean Baby Boomers Panel Study. The results show that higher levels of job insecurity at T1 and changes in the level of job insecurity from T1 to T2 are both associated with more physical symptoms at T2. A sense of master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change in the level of job insecurity and physical symptoms, but it does not moderate the effect of job insecurity at T1. Also, higher levels of job insecurity at T1 and changes in the level of job insecurity lead to a decrease in mastery, which in turn increases physical symptoms. The findings suggest that job insecurity is a major stressor which leads to adverse health outcomes. Moreover, th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to develop social policies which ensure employment stability as well as interventions to increase psychological resources.

      • KCI등재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기록물 관리를 위한 수집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수진,정은경,Kim, Su Jin,Chung, Eunkyung 한국비블리아학회 201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pproach to acquire research records effectively in context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via case studies and a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case studies, a report from Joint Information Systems Committee JISC in UK, the University of Melbourne policy on the management of research data and records, a report from Canadian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CARL) are analyzed. In addition, a survey questionnaire is conducted for forty nin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and forty three responses out of 49 institutes a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analyses on case studies and responses of the survey, an approach for research records management with four aspects is proposed: regulatory policy, best practices and manuals, professionals for research records, and outreach programs of individual reseach institutes for acquiring appropriate research records. 본 연구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기록물 관리의 첫 단계인 수집에서부터 효율적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사례분석과 연구관리기관의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사례로서는 영국 정보시스템 합동위원회(JISC), 호주의 멜버른 대학교의 연구기록물 관리지침 그리고 캐나다 연구도서관협회(CARL)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과학기술연구회 연구기관, 기초기술연구회 소속 13개 기관, 산업기술연구회 소속 13개 기관,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소속 23개 기관으로 총 49개 정부출연연구기관 사서가 응답한 설문지 43부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사례분석과 설문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기록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수집 개선 방안을 수집과 관리 부문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연구기관의 효율적인 연구기록물 수집을 위해서 우선 제도개선과 정책수립이 근본적으로 필요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 매뉴얼 작성과 이용이 현실적으로 요구된다. 이와 함께 전문인력으로써 연구기록물 담당자 배치가 시급하며, 담당자를 통한 연구기록물 수집의 적극적인 홍보와 노력이 중요하다.

      • KCI등재

        심장혈관학 분야의 지적구조 규명에 관한 연구 - 국내와 미국을 중심으로 -

        임지영,정은경,Lim, Ji Young,Chung, EunKyung 한국비블리아학회 2016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7 No.1

        본 연구는 저자동시인용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국내와 미국의 심장혈관학(Cardiovascular Research) 분야의 지적구조 규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2008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의 "대한심장학회지"와 미국의 Circulation, Circulation Research를 선정하여 인용빈도 기준으로 각각 45명과 53명의 저자를 추출하였다. 저자동시인용 행렬을 기반으로 다차원척도분석, 군집분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심장혈관학 분야에서 국내와 미국 연구자들은 공통적으로 여러 분야에 걸쳐 다양한 세부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하는 경향을 보였다. 국내와 미국의 심장혈관학 분야는 핵심연구 영역으로 '심혈관질환 치료', '심혈관질환 진단', '심혈관질환 기초과학', '심혈관질환 예방'으로 나타났다. 국내와 미국의 가장 큰 차이로 볼 수 있는 것은 국내 연구는 임상 중심이며, 미국 연구는 기초 의학 중심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의 경우는 '리듬장애' 분야가 나타났으며, 이에 반해 미국은 '심혈관계 작용약물' 분야를 찾아볼 수 있다. 또한 미국의 분석결과에서는 기초의학 분야의 세부분야인 '역학', '생물학', '생화학', '생리학' 분야가 뚜렷하게 구분되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cardiovascular research area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data set was collected; one journal Korean Circulation Journal is in Korea and two journals Circulation, and Circulation Research are in the United States. Based on the frequency of citation counts, 45 authors and 53 authors were selected for author co-citation analysis. By multidimensional scaling, clustering, and factor analyse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researchers in both countries commonly tend to work on several, rather than focus on certain sub-areas. In both countries, the core areas are revealed as 'cardiovascular disease treatment', 'cardiovascular disease diagnose', 'cardiovascular disease fundamentals', and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ves'. One of distinctive differences between two is that research in Korea is likely to focus on clinical medicines while research in the United States tends to be on fundamental medicines. While the area of 'Disorders of Rhythm' is revealed in Korea, 'Pharmacology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area is found in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the sub-areas of fundamental medicines such as 'Epidemiology of Cardiovascular Disease', 'Biology', 'Biochemistry', 'Physiology' are revealed distinctively in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동시출현단어 분석 기반 오픈 액세스 분야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서선경,정은경,Seo, SunKyung,Chung, EunKyung 한국비블리아학회 2013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4 No.1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변화로 인해 오픈 액세스 분야는 상대적으로 최근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사용하여 오픈 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를 규명하여 연구동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데이터 수집은 Web of Science 기반으로 수행하였다. 검색 대상 기간은 1998년 1월 1일부터 2012년 7월 31일까지이며, Topic검색을 통하여 총 479건의 저널 논문을 수집하였다. 총 479건의 저널 논문 제목과 초록에서 명사구 형태의 키워드는 총 8,643개(문헌 당 18.04개)를 추출하였다. 오픈 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 규명을 위해 첫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18개의 세부 주제 영역을 밝혔으며, 오픈 액세스 분야 키워드들의 지적 관계를 시각화하여, 키워드 관계, 중심성 분석을 통한 전역 중심 키워드와 지역 중심이 높은 키워드를 제시하였다. 둘째,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형성된 4개의 군집을 MDS지도에 표시하였으며, 각 키워드들 간의 상관관계에 따른 지적구조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오픈 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를 밝히며, 향후 연구 방향성 모색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ue to the advance of scholarly communication, the field of open access has been studied over the last dec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demonstrate the field of open access via co-word analysis. The data set was collected from Web of Science citation database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998 to July 2012 using the Topic category. A total of 479 journal articles were retrieved and 8,643 noun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the titles and abstrac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network analysis, clustering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mapping were used to examine the domain and the sub-domains of open access field. 18 clusters in the network analysis are recognized and 4 clusters are shown in the map of multidimensional scaling. In addition, the centrality analysis in the weighted networks was used to explore the significant keywords in this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demonstrate and guide the intellectual structure and new approaches of open access field.

      • KCI등재

        사회학 분야의 연구데이터 특성과 지적구조 규명에 관한 연구

        최형욱,정은경,Choi, Hyung Wook,Chung, EunKyung 한국정보관리학회 2017 정보관리학회지 Vol.34 No.3

        여러 학문 분야에서 데이터의 공유와 재이용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다른 연구자의 데이터를 다시 연구에 사용하고 인용을 부여하는 관행이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톰슨로이터는 Data Citation Index(DCI)라는 데이터인용 색인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2012년부터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DCI는 모든 학문의 전 영역에서 데이터의 인용 현황을 저널의 논문과 유사하게 집계한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인용이 활발한 사회학 분야의 인용된 연구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분야의 특성과 지적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논문인용을 기반으로 한 사회학 분야의 지적구조와 비교하였으며, 사회학 분야의 연구데이터의 특성과 고유한 지적구조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두 종류로 수집하였다. 첫째는 DCI에서 'Sociology'로 주제 검색을 수행하여 총 8,365건의 인용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둘째로, 논문 인용 분석과의 비교를 위해서 Web of Science에서 'Sociology'로 주제 검색을 수행하여 총 12,132건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 두 데이터를 활용하여 저자키워드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수행한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사회학 분야는 2영역 15군집으로 구성된 반면, 논문을 기반으로 한 사회학 분야는 3영역 17군집으로 나타났다. 내용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전통적으로 사회학의 지적구조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는 논문 기반 사회학과 달리 사회학 분야의 연구데이터는 의학 분야와의 활발한 접목을 찾아볼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공중보건과 심리학이 중심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Through a wide variety of disciplines, practices on data access and re-use have been increased recently. In fact, there has been an emerging phenomenon that researchers tend to use the data sets produced by other researchers and give scholarly credit as citation. With respect to this practice, in 2012, Thomson Reuters launched Data Citation Index (DCI). With the DCI, citation to research data published by researchers are collected and analyzed in a similar way for citation to journal artic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intellectual structure of sociology field based on research data, which is one of actively data-citing field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wo data se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irst, from DCI, a total of 8,365 data were collected in the field of sociology. Second, a total of 12,132 data were collected from Web of Science with a topic search with 'Sociology'. As a result of the co-word analysis of author provided-keywords for both data sets,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research data-based sociology was composed of two areas and 15 clusters and that of article-based sociology was composed with three areas and 17 clusters. More importantly, medical science area was found to be actively studied in research data-based sociology and public health and psychology are identified to be central areas from data citation.

      • KCI등재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지원 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전문가 인식 연구: 수어통역 및 문자통역을 중심으로

        박정현 ( Park Junghyun ),정은경 ( Chung Eunkyung ),강기영 ( Kang Ki Young ),박원진 ( Park Wonji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1 No.4

        [목적]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 내부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수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농인과 음성언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난청인을 포괄하여 국내의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지원 서비스와 관련된 전반적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파악하였다. [방법] 청각장애 관련 실천현장 및 학계에 종사하는 전문가 8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접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귀납적 주제분석의 접근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Lincoln과 Guba(1985)가 제시한 네 가지 기준인 신뢰성, 전이가능성, 의존가능성, 확증성에 따라 연구의 엄격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결과] 심층면접을 통해 국내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지원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분석한 결과, 2개의 영역, 8개의 상위범주, 그리고 28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현재 의사소통 지원 서비스의 문제점으로 크게 현행 수어통역센터의 한계, 의사소통 지원 서비스 제공 관련 구조적 장벽, 청각장애 당사자의 권리 옹호 부족이 언급되었고, 의사소통 지원 서비스의 개선방안으로 현행 수어통역 서비스 지원 개선, 청각장애 및 의사소통 지원 관련 기초자료 확보, 의사소통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정치적 활동 전개, 청각장애에 대한 인식 개선 교육 필요, 그리고 의사소통 지원 서비스의 확대 및 다양화가 제안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전문분야의 수어 연구, 현행 수어통역사 제도의 개선과 현행 수어통역 서비스의 질적 개선 및 양적 확대, 둘째, 난청인 협회의 조직과 문자통역 지원의 제도화, 셋째, 청각장애 관련 용어들의 재정립과 농인과 난청인의 욕구를 모두 반영한 통계자료 구축, 넷째,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의 온전한 참여를 위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방안 마련, 다섯째, 청각장애인의 생애주기별 의사소통 지원의 출발점으로서 초등·중등·고등교육을 받는 청각장애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의사소통 지원 서비스와 제도 마련을 제언하였다. [Purpose] Deaf and Hard of Hearing (D/HH) people have diverse communication needs depending on the first language they use (e.g., sign language, spoken language). This study aims to explore communication access services for D/HH people in South Korea, focusing on professionals’ perceptions on the problems of the services and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Method]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professionals working in various fields related to D/HH population.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inductive thematic analysis approach. Lincoln and Guba’s (1985) four criteria were used to maintain the rigor in this study. [Results]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eight higher-level categories and 28 lower-level categories in two domains. Problems with current communication access services include problems in current sign language interpreting centers, structural barriers related to providing communication access services, and lack of self-advocacy by D/HH people.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s include improving current sign language interpreting services, collecting preliminary data on the D/HH population and communication access services, engagement of D/HH people in political activities for accessing communication, improving D/HH awareness, and expanding and diversifying communication access service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improvements to current sign language interpreting services; institutionalizing communication access realtime translation services; redefinition of terminologies related to D/HH; creating D/HH friendly communication environments; and institutionalization of communication access services for D/HH students in elementary,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both in special and inclusiv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