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외선 B에 의해 유도되는 DNA 상해에 대한 참갈파래 메탄올 추출물의 보호 효과

        정슬아,정유헌,박종군,Jeong, Seula,Chung, Yuheon,Park, Jong Kun 한국식품영양학회 2020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3 No.3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Ulva lactuca methanol extracts against ultraviolet B (UVB)-induced DNA damage in HaCaT cells. First, the contents of general and antioxidative nutrient contents of Ulva lactuca were measured. The moisture, carbohydrat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ash were 14.01%, 44.80%, 23.19%, 3.10% and 14.90%, respectively. Magnesium that acts as DNA repair enzyme cofactor was the most abundant mineral followed by Ca, P and Fe. The total phenolic and anthocyanoside contents of Ulva lactuca were 2.69 mg/g and 0.13 mg/g, respectively. Cells treated with Ulva lactuca methanol extracts for 24 hours post UVB exposure increased cell viabil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ompared to the non-treated control. Also, Ulva lactuca methanol extracts decreased the levels of UVB-induced DNA damage such as cyclobutane pyrimidine dimer and DNA damage response (DDR) proteins such as p-p53 and p21. These results suggest that Ulva lactuca methanol extracts comprising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such as Mg, polyphenols and anthocyanosides promote DNA repair by regulating genes related with DDR.

      • KCI등재

        최승자 시에 나타난 애도 양상과 그 의미

        정슬아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科學硏究 Vol.40 No.-

        The poems of Choi, Seung ja have been interpreted as a way of vehement resistance throughout the 1980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forming the subject of mourning through ‘death’ as an event,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in her early poems, and the meaning. For Choi, Seung ja, ‘death’ is an event that enlightens existential meaning as well as a mechanism that senses the rebellious spirit of the era. The matter of death found in the base of striking images of her early poems is related to (im)possibility of ‘mourning’ after loss. According to Derrida, the subject mourns not by internalizing or eliminating the other but by retaining the otherness through “thinking memories(Gedächtnis).” Therefore, ironically, possible mourning is impossible mourning. The aspects of mourning in Choi, Seung ja’s poem repeats the possibility and impossibility to extend the prospect until the subject is composed in a new way. Furthermore, the mourning obtains social context beyond the personal level. Butler said that the mourning of lost one and grief, which emotion is shared with others, provide a feeling for political community in a complicated level. Through the change of the subject, the mourning opens a new level of possibility, which is a possibility of solidarity. In conclusion, Choi, Seung ja’s poem is seen as a form of resistance passing through the era with a great pain. 최승자의 시는 1980년대를 관통하는 극렬한 저항의 한 방식으로 평가되어 왔다. 이 연구는 최승자 초기 시의 주요한 특성으로 파악되는 사건으로서의 ‘죽음’을 통해 애도 주체의 구성 과정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승자에게 있어 ‘죽음’이란 실존적 깨달음을 주는 사건인 동시에 시대의 불온을 감각하는 기제이다. 초기 시에 등장하는 강렬한 이미지의 저변에 놓인 죽음의 문제는 상실 이후 ‘애도(mourning)’의 (불)가능성과 연결된다. 데리다에 따르면, 애도는 주체가 타자를 내면화하거나 말살하는 것이 아니라 타자의 타자성을 유지하면서 “생각하는 기억(Gedächtnis)”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역설적이게도 가능한 애도란 결국 불가능한 애도이다. 최승자의 시에 나타난 애도 양상은 이것의 가능성과 불가능성을 반복하면서 주체가 새로운 방식으로 구성되는 데까지 그 지평을 넓힌다. 나아가 이 애도는 개인적 차원을 넘어서서 사회적인 맥락을 획득한다. 상실한 대상에 대한 애도와 함께 겪게 되는 슬픔이라는 감정은 버틀러가 말한 바, 복잡한 수준의 정치 공동체에 대한 느낌을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주체의 변환을 통해 애도는 새로운 차원의 가능성, 즉 연대의 가능성을 열어주게 된다. 결론적으로 최승자의 시는 시대를 고통스럽게 통과하며 펼쳐 보인 저항의 한 형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Protective effects of Dioscorea polystachya ethanol extracts against lead acetate-induced oxidative DNA damage in MRC-5 cells

        정슬아,Chung Yuheon,Moon Jonghyun,Kim Youngun,Kim Seulhye,Baek Gain,Park Jong Kun 대한독성 유전단백체 학회 2022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Vol.18 No.4

        Background Lead (Pb), a heavy metal, is contained in large amounts of particulate matter (PM). The greater production of PM through agricultural operations, industrial processes, and combustion of fossil fuels concomitantly increases human exposure to lead through the respiratory system. Lead is highly toxic even when exposed in small amounts to the body and induces respiratory diseases, increased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DNA damage. Dioscorea polystachya (DP) possesse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is used as a traditional herbal remedy to treat respiratory diseases. However, the effects of DP on oxidative DNA damage remain unclear. Objective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protective effects of DP ethanol extracts (DEE) against the lead acetate-induced oxidative DNA damage in MRC-5 cells—a human lung fibroblast cell line. Result MRC-5 cells were co-treated with 200 μM of lead acetate and various concentrations of DEE for 48 h. Cell viability, which decreased by approximately 40% after treatment with lead acetate alone, showed an approximately 34% increase upon treatment with 500 μg/mL DEE. The increased levels of 8-OHdG, DNA fragmentation and cellular ROS observed upon treatment with lead acetate, decreased in a DEE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Furthermore, the levels of DNA damage response (DDR)-related proteins, such as p53, p-p53, and p21 increased, and the levels of apoptosis-related proteins, such as Bax and Bim decreased in a DEE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onclusion Our results demonstr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DEE on lead acetate-induced oxidative DNA damage, mediated through a reduction in the levels of cellular ROS and an increase in those of DDR-related proteins at early time points.

      • KCI등재

        식민지 남성성과 욕망의 구조 ― 채만식의 『염마』(1934)를 중심으로 ―

        정슬아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人文科學硏究 Vol.42 No.-

        This study is scrutinize the matter of emotion and desire, examining the ambivalent view exposed through female characters presented in Chae, Man sik’s <Yeomma>. It also identifies the components of Korean style detective novels: in particular, it would reconsider the negative review of <Yeomma>, criticized to have the latter part of action drama which is not acknowledged as an appropriate form of mystery novel. Meanwhile, the analysis of female characters of <Yeomma> is an attempt to restructure the mentality and desire of male intellectuals in the colonial era in connection with the discourses on new women in that times. The discourses on new women are defined and constituted by the men of the age, and <Yeomma>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novel. Rather than understanding the ‘victim (Lee, Hak hee)’ and ‘perpetrator (Seo, Gwang ok)’ as a contrast of old woman vs. new woman, the attributes of that two female characters are more likely to reflect the ambivalent attitudes of the male with respect to the ‘new women’ of that times. Furthermore, this study discloses that the desiring detective’s solving mystery is a practice of misunderstanding, and the ‘encoded document’, which is unsolved to the end, is not a critical point of the novel but an inevitable ending. The curiosity of the lead character in regard to the two female characters is a desire to reveal an unknown thing, making the story similar to the process of inference unraveling mysteries. In this respect, <Yeomma> manifests man’s desire for unknown object, utilizing the techniques of mystery novels. 이 논문은 채만식의 『염마』가 형상화한 여성 인물에서 도출되는 양가적 시선을 통해 감정과 욕망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이는 곧 한국적 탐정소설이 지닌 특징의 한 면모를 밝히는 일이며, 특히 『염마』의 한계로 지적되어 온 후반부의 활극적 구성이 추리소설의 형태로서는 미흡하다는 평가를 재고할 수 있으리라 판단한다. 한편, 『염마』의 여성 인물 분석은 당대 신여성 담론과 결부되어 식민지 조선의 남성 지식인의 심리와 욕망을 재구성하는 일이기도 하다. 신여성 담론은 당대 남성들이 여성을 호명하고 구성한 방식이었으며, 『염마』는 이를 대표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다. ‘피해자(이학희)’와 ‘가해자(서광옥)’라는 구도 안에서 이를 구여성과 신여성의 대비라고 파악하는 것보다는, 이 두 여성 인물이 지니는 속성을 당시 ‘신여성’을 대하는 남성이 지니고 있던 이중적 태도의 반영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나아가 욕망하는 탐정이 사건의 미스터리를 풀어가는 과정은 오인의 구조이며, 끝내 풀리지 않는 ‘암호문서’는 소설의 한계가 아니라 필연적인 결말임을 밝힌다. 두 여성 인물을 향한 주인공의 호기심은 미지의 것을 알아내고자 하는 욕망이며 이것은 수수께끼를 풀고자 하는 추리의 과정과 흡사하다. 이 점에서 『염마』는 추리소설적 기법을 활용한, 미지의 대상을 향한 남성의 욕망을 담은 추적물이다.

      • KCI등재

        여성시와 여성혐오(misogyny) - 최승자와 이연주를 중심으로 -

        정슬아 돈암어문학회 2022 돈암어문학 Vol.42 No.-

        This paper aims to review and understand Choi Seung-ja and Lee Yeon-ju’s poems, which reveal an aspect of women’s poetry in the 1980s and 1990s, in terms of misogyny. Eve Kosofsky Sedgwick distinguishes the notion of homosocial from homosexual, regarding it as social bond between men. According to the theory, the bond between men is maintained through homophobia in pursuit of disallowing sexual relationship to disrupt men’s hierarchy and misogyny sustaining men’s dominance. Misogyny, objectification and otherization of women, is asymmetrically applied to women as ‘self-hatred’ and men as ‘misogyny’. Women’s poetry has diverse aspects like as different conditions of women. Focusing on the aspect of subject while reconstructing the various achievement of women’s poetry,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inclusive ways of Choi Seung-ja in the 1980s and Lee Yeon-ju in the 1990s are the strategy to become an abject and clarifies what it means. The manner of overcoming the prescriptivity of subject with filthy images implies agentivity of many kinds of women. Therefore,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the poems are interpreted to understand how women’s poetry recognizes and embodies the structure of misogyny. Moreover, this paper connects the women’s poetry in the 1980s and 1990s in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gender binary approaches. 이 논문은 1980년대와 1990년대 여성시의 한 면모를 드러내는 최승자와 이연주의 시를 함께 살펴보면서 이들의 특징을 여성혐오(misogyny)라는 측면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이브 세지윅은 동성사회성(homosocial)을 남성 간의 사회적 유대로 설명하면서 동성애(homosexual)와 구분한다. 그에 따르면, 남성들의 유대는 성적인 관계가 남성 내부의 위계를 교란하지 않도록 동성애를 혐오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남성의 지배적 위치를 지속하고 재생산하기 위해 여성을 혐오하는 방식으로 유지된다. 여성을 객체화·타자화하는 여성혐오는 여성과 남성에게 비대칭적으로 작동하는데, 남성에게는 ‘여성멸시’로, 여성에게는 ‘자기혐오’의 형태로 나타난다. 여성의 조건이 단일하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로, 여성시 또한 매우 다기한 양상을 띤다. 여성시의 다양한 시적 성과를 복원하면서 주체의 양상에 주목하기 위해 이 논문은 1980년대의 최승자와 1990년대의 이연주 시가 전면화한 방식이 비체(abject) 되기의 전략임을 밝히고, 나아가 그 의미를 해명하고자 한다. 오물의 이미지를 거느리면서 주체의 규정성을 넘어서는 방식은 다양한 여성의 행위자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함의한다. 따라서 이들 시에서 나타나는 의미망의 유사성과 차이를 해석하는 일은 이 시기의 여성시가 여성혐오의 구조를 어떻게 감각하고 형상화했는지를 이해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또한 이 논문은 1980년대와 1990년대의 여성시를 연결하면서도 젠더 이분법을 넘어서는 가능성을 탐색하려는 시도임을 밝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