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모바일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기술 동향

        정수정,홍승은,나지현,S. Jung,S.-E. Hong,J. Na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3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8 No.2

        Energy efficiency is an important factor toward sustainable future mobile network systems. As the size of the 5G mobile network system increases, the consumption and costs of energy increase. Accordingly, energy-saving optimization has become a major process in network systems, and various related technologies for energy saving are being developed. We provide a brief review of the technical trends in energy saving in 3GPP 5G & 5G Advanced systems and O-RAN systems. We focus on power models and energy-saving technologies in various resource domains of 3GPP 5G & 5G Advanced systems and energy-saving use cases of O-RAN systems.

      • KCI등재후보

        스마트폰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동향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정수정,임걸,고유,심현애,김경연,Jeong, Su-Jeong,Lim, Keol,Ko, Yu-Jung,Sim, Hyun-Ae,Kim, Kyung-Yeon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0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2

        본 연구는 현재 공급되고 있는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에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온라인 또는 원격교육의 특성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총 85개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였고, 콘텐츠 유형, 상호작용 유형, 콘텐츠 유형과 상호작용 유형의 조합을 준거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콘텐츠 유형에서 반복연습형 및 도구형 등 빈도는 높은 반면, 모의실험과 문제해결형의 빈도는 낮았다. 상호작용에 있어서는 학습자와 콘텐츠 간 상호작용 유형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는데, 따라서 원활한 학습자간 의사소통의 확장이 이루어지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SNS(Social Network Service) 어플리케이션 등의 특징을 적용하여 학습의 상호작용성을 촉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될 필요성이 있음이 발견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educational applications in smartphones with some criteria seeking to apply online learning characteristics to smartphones. For the analysis, 85 educational application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classified by types of educational contents, interactions, and the combin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interactions. As a result, drill-and-practice and tool types of contents ranked high, and there found to be few simulation and problem solving types. In regard to interaction types, almost all of the applications had interactions only between contents and learners, which meant little active communications when using applications. Therefore, enhanced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s among learners us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 platform were required in order to use educational applications in a more effective way.

      •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의 특수분장 재료와 기법 연구 : Injury 분장을 중심으로

        정수정(Jung Soo Jung),이혁수(Lee Hyuk Soo) 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2019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Vol.1 No.1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에 개봉된 국내 전쟁 영화 중 관객 수가 가장 높은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의 중·상급 상처 분장의 재료와 기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에 나타난 절단이나 화상의 중·상급 분장은 팔 부위 2, 다리 부위 2, 목 부위 1, 복부 부위 1, 몸 전체 부위 1, 얼굴 부위 1개로 총 8개의 캐릭터였다. 둘째, 형태는 캐릭터별로 제작된 더미(Dummy) 분장 기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셋째, 질감은 젤라틴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컬러 표현은 점도 및 색깔별로 인공 피를 사용하였다. 넷째, 형태, 질감, 컬러에 따른 특수분장 기법으로는 더미 분장, 분사 분장, 몰딩 제작 분장, 캐릭터 분장이다. 다섯째, 튜브를 사용하여 인공 피를 분사시키는 기법을 사용하여 순간 분사 장면을 완벽하게 재현해 내었다. 여섯째, 머리를 불태우는 장면과 같이 실제 사람이 재현해 낼 수 없는 캐릭터는 몰딩(Molding) 기법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동일한 메이크업이라 할지라도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같은 재료라 하더라도 응용 방법에 따라 다양한 효과를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영화 속에서 무언의 시각적인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서 특수분장의 재료와 기법은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intermediate/advanced-level wound makeup materials and techniques used in ‘The Brotherhood of War,’ the most successful wartime film among those released in the Republic of Korea during the 2000s.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intermediate/advanced-level wound makeup was classified into 8 body parts–2: arms, 2: legs, 1: neck, 1: belly, 1: body, 1: face. Second, in terms of makeup technique, dummy makeup techniques were most frequent. Third, regarding texture, gelatin was commonly used. In color, fake blood was created by viscosity and thickness. Fourth, regarding special makeup techniques by shape, texture and color, dummy makeup, spraying, molding and character makeup were applied. Fifth, fake blood was sprayed using a floater to create perfect blood scenes. Sixth, for scenes in which human actors could not be used, such as head burning, a molding technique was applied. Even with the same makeup, the effects can vary depending on the materials used. Further, even with the same materials, diverse makeup effects can be created depending on how they are used. Therefore, special makeup materials and techniques are crucial elements for visual communication in films.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해부학 실습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정수정(Soo-Jung Jung),박광락(Kwangrak Park),이재호(Jae-Ho Lee) 대한체질인류학회 202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4 No.2

        지난 2020년 갑작스러운 코로나19 전파로 인해 의과대학의 강의를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많은 의과대학들이 지역의 현황과 방역수칙에 맞추어 실습을 진행하거나 실습대체인 강의를 통해 해부학 실습을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실습 방법에 따른 감염에 대한 불안감과 만족도를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하였다. 총 314명의 의과대학 학생들이 설문에 참여하였는데, 222명의 학생들이 실습을 하였고, 반을 나누거나 (56%), 실습시간을 줄여서 진행된 경우가 (54%) 많았다. 실습을 진행하지 않은 경우, 연기 (50%) 또는 폐지 (28%)되었고, 이는 온라인 강의로 대부분 대체되었다. 이 경우, 교수 강의 (43%) 혹은 대한해부학회에서 제작한 E-Anatomy (35%)를 통해 실습강의가 이루어졌다. 5점 Likert 척도를 이용하여 조사한 코로나 상황에서 실습시행에 대한 불안감은 2.20±1.11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분반 여부나 학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실습에 대한 만족도는 3.93±1.06으로 의예과 학생보다 의학과 학생에서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온라인 강의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해부학 실습의 진행 방식에 대한 개선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Due to the sudden spread of COVID-19 in 2020, it was difficult to conduct lectures at medical schools. Accordingly, many medical colleges conducted anatomy practice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and quarantine regulations in the region or conducted lectures instead of practice. Therefore, in this study, students’ responses were investigated for anxiety for infection and lect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various practice methods. A total of 314 medical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and 222 students performed anatomy practice, with the division (56%) or shortened class time (54%). In the cases that the practice was not conducted, it was postponed (50%) or skipped (28%), which was replaced by online lectures. In this case, lectures were provided through faculty lectures (43%) or E-Anatomy (35%) produc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Anatomists. With 5-point Likert scale, the anxiety for infection during practice was low as 2.20±1.11, and did not differ depending on the division or grade. Satisfaction with the practice was 3.93±1.06, which was higher in medical students than in premedical students. This study shows that online lectures, which were mainly conduct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ra, must be properly conducted in anatomy practice in order to have an anatomy learning effect.

      • KCI등재

        독거노인의 개인적 활동과 사회적 참여의 기능적 장애

        정수정(Jung, Su-Jung)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1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3 No.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독거노인의 개인적 활동의 기능적 장애와 더불어 사회적 참여의 기능적 장애를 살펴보기 위해 ICF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모델 기반으로 가설적 모형을 검정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7년 노인실태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중 독거노인 2,552명의 2차 자료로 기능적 장애 모형 검정을 실시한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독거노인의 개인적 활동의 기능적 장애는 일상생활 수행 능력의 장애정도로 판단하고, 사회적 참여의 기능적 장애는 4가지 사회활동의 참여빈도 제한으로 측정하였다. 자료는 SPSS IBM Statistics Program 23 소프트웨어와 MPlus 7.0 프로그램으로 주성분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독거노인의 개인적 활동의 기능적 장애를 확인한 결과, 연구자의 모형이 자료에 잘 부합하고 각 지표변수가 상응하는 요인과 충분한 관계가 있어 하나의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주성분분석을 통해 독거노인의 사회적 참여의 기능적 장애를 확인한 결과, 연구자가 설정한 4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사회적 참여의 기능적 장애가 하나의 주성분으로 추출됨을 확인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기능적 장애를 ICF 모델 기반으로 개인적 활동뿐만 아니라 사회적 참여 측면에서 모형을 설정하여 독거노인의 자료에 의도했던 각 요인이 단일 차원으로 존재함을 구조적으로 확인하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unctional disability of personal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in older Korean adults living alone based on ICF model. Methods :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re utilized to assess the factor structure an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functional disability of personal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Results : Us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functional disability of personal activities, one factor structure was validated (χ2=1303.437, p<.001, CFI=.975, TLI=.971, RMSEA=.063, 90% CI=.060-.066). Cronbach’s alpha was .86. Functional disability of social participation was validated by using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scores=0.498-0.672). Conclusion : The functional disability of personal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showed satisfactory reliability and validity as one fa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