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Carbapenem내성 Acinetobacter baumannii로 인한 인공호흡기연관 폐렴 환아에서 고용량 Ampicillin-Sulbactam 과 Colistin 항균제 병합요법의 치료적 예후: 예비 연구

        정성희,김영아,최고은,박수은,Jeong, Seong Hee,Kim, Young A,Choi, Go-eun,Park, Su Eun 대한소아감염학회 2020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27 No.1

        Purpose: This pilo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high dose ampicillin-sulbactam and colistin combination therapy for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 caused by carba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CRAB)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7 pediatric patients with VAP caused by CRAB from June 2017 to August 2018. Ten (58.8%) patients were treated with high dose ampicillin-sulbactam and colistin combination therapy (combination therapy group), whereas 7 were treated with colistin only or with various combinations with or without colistin (other antibiotics group). Clinical and bacteriological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Results: The mean duration of fever after antibiotic use was 1.30±1.70 days in the combination therapy group and 1.71±1.49 days in the other antibiotics group. The mean duration of days for negative conversion of endotracheal aspirate bacterial culture after antibiotic therapy was 3.40±1.71 days in the combination therapy group and 11.80±8.86 days in the other antibiotics group. The mortality rate within 30 days of antibiotic therapy was 1/10 (10%) in the combination therapy group and 3/7 (42.9%) in the other antibiotics group. Conclusions: High dose ampicillin-sulbactam and colistin combination therapy as early antibiotic treatment in VAP caused by CRAB in children could improve clinical outcomes.

      • KCI등재

        민족주의적 한국유학사 서술의 재조명 - 현상윤의 『조선유학사』를 중심으로 -

        정성희 ( Jeong Seong-he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7 No.-

        현상윤은 유학자의 집안에 나서 어린 시절에 유학을 습득하였지만 10대 후반기부터 식민지 근대교육을 받고, 일본으로 유학하여 대학교육까지 마치면서 유교망국론적 식민사관의 영향을 그대로 받은 인물이다. 그러나 40대 이후에는 유학에 대한 시각에 변화가 오면서 유학의 긍정적 측면을 조명하는 글을 발표하기 시작한다. 이후 해방을 맞이하고 또 다른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현상윤은 『조선유학사』를 편찬하였다. 이러한 시기에 나온 현상윤의 『조선유학사』는 조선 말기부터 있어온 민족주의적 유학사 서술의 마무리이자 이후 현대 유학계의 유학사 서술의 새 장을 여는 서막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유학사』의 바탕을 흐르는 유학사관이 민족주의라면 그것을 서술하는 방편은 모화사상 비판과 춘추필법적 서술방식이었다. 모화사상은 현상윤이 조선유학의 `죄`로 들고 있는 여덟 가지 중에 가장 먼저 들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현상윤은 모화사상을 비판하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척사위정운동을 평가하고 있다. 즉 모화사상 비판이 중국에 대한 민족주의를 천명하는 것이라면 척사위정운동을 국권 옹호와 인륜도덕을 지켜내는 방파제로서의 역할을 했다고 보는 것은 일본과 서양 세력에 대한 민족주의라고 할 수 있다. 현상윤은 또 인물이나 사상에 대한 분명한 기준을 정하고 거기에 따라 포폄을 가하고 있다. 그 기준은 `절의`와 `실천`이다. 이것을 기준으로 정도전이나 권근 등 고려말에서 조선 초기에 걸쳐 활동한 인물들에 평가를 내리고 있으며, 조선초기의 유학에서 절의문제를 정식으로 제기하여 사육신과 생육신, 공신의 문제를 언급한다. 조선 말기의 척사위정운동에 대해서도 춘추대의의 입장에서 서술하고 있다. 현상윤은 `실천`을 또 다른 기준으로 제시하는데, 조선 초기의 지치주의를 유학사상의 정치적 실천으로 보고 있다. 실천성에 대한 중시는 조선 후기의 경제학파에 대한 서술에서도 두드러진다. 『조선유학사』의 이러한 민족주의적 서술은 현상윤이 조선 유학의 독자성을 인정하였기 때문에 나올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현상윤의 민족주의적 유학사 서술은 격변하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정신적·문화적 주체성을 잃지 않고자 하는 지식인의 시대적 요구에 대한 부응이라고 할 수 있겠다.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朝鮮儒學史』) of Hyeon Sang Yoon is the the most authentic version which describes Korean contemporary Confucianism based on national view of history. He was a historian rather than a Confucian schola even though he was born in the family of Confucian schola and studied Confucianism since childhood, He studied history in the university and was an intellectual who learned modern scie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days. Hyeon Sang Yoon revealed his view of history clearly in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 I thought that his view of Confucianism was based on nationalism, and as the method for this he criticized china worship(慕華思想), and he emphasized the style of `chunchupilbeob`(春秋筆法- the method of describing Chunchu of Kong zi), the originality of Confucianism of Chosun. As Jang Ji Yeon accepted the theory of origin of Kija(箕子) in The origin of Confucianism of Chosun (『朝鮮儒敎淵源』) Korean scholars considered the Confucianism of Chosun was originated from Kija(箕子). But Hyeon Sang Yoon denied the theory of origin of Kija(箕子), he criticized that china worship(慕華思想) put our independent spirit to death. In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 he made a related chapter about china worship(慕華思想) and described it′s origin, representative persons, ideological influences. Such statements were based on national consciousness against China. In the same vein he described `wijong-cheoksa`(衛正斥邪) movement seriously, but he did not referred any scholars who insisted enlightenment movement at that times. Adopting the style of `chunchupilbeob`(春秋筆法) in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 he evaluated scholars and their thoughts. Standard of the evaluation was the guiding principle of Confucius and utility. It was an unexpected style of description in comparison with being influenced by historical positivism during his university years. His method of description was different from that of History of Confucianism of Korea of Lee Byeong Do who studied together in Waseda university at the same period. Lee Byeong Do was influenced by Ranke who asserted historical fact. In this aspect he obviously stood in contrast with the historical view of Hyeon Sang Yoon. Hyeon Sang Yoon described that Jeong Do Jeon(鄭道傳), Kweon Kun(權近) and the other Confucian scholars of Koryeo dynasty did not keep fidelity to their principle as the Confucian scholars of Koryeo dynasty. Moreover he described `sayuksin`(死六臣), `saengyuksin`(生六臣), `kongsin`(功臣) from the viewpoint of retainer`s fidelity. He emphasized utility of Confucianism of Chosun as the originality of Confucianism of Chosun. He mentioned `ultimate governing ideology(至治主義)` of Cho Kwang Cho(趙光祖) and practical science of Chosun which represent the utility of Confucianism of Chosun.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 of Hyeon Sang Yoon was a result of history of national Confucianism which continued to Paidongyeonwanrok(『浿東淵源錄』) of Song Byeong Seon, Joseonyukyoyeonwon(『朝鮮儒敎淵源』) of Jang Ji Yeon, Dongyuhakan(『東儒學案』) of Ha Kyeom Jin, and besides, it is a foundation describing the history of Confucianism for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특집 1 : 반계 유형원과 동아시아 초기 실학 : 磻溪 經世學의 계승과 과거제 개혁론"

        정성희 ( Jeong Seong Hee ) 한국실학학회 2017 한국실학연구 Vol.0 No.34

        조선 후기 실학자들은 덕행보다 문예를 기준으로 선발하는 현행 과거제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실학자들의 과거개혁론은 科擧制 廢止論과 科薦竝行 혹은 科薦合一論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유형원은 武科와 雜科의 일부를 제외한 文·武科의 대부분을 철폐하고 천거제와 學制와 연관시킨 貢擧制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해 이익은 과거를 전폐하고 공거제를 시행하는 것은 오히려 과거제를 시행하는 것만 못하다고 보아 과거제와 천거제를 결합한 과천합일론을 주장하였다. 반계와 성호의 개혁론을 계승한 정약용은 추천제와 과거제의 장점을 종합하여 현행 과거제를 완전히 개혁하는 표준안을 만들었다. 그러나 영·정조대에 국왕 주도로 추진된 과거제 개혁 노력은 사실상 성과가 크지 않았고, 반계-성호-다산으로 이어지는 과거제 개혁론은 正과 均을 기본원칙으로 하는 王道政治를 실현하는 것으로서 질적으로 저하되어 국가적 폐단이 된 예비관료군들에 대한 체질개선책의 성격이 컸고, 신분차별의 철폐와 새로운 계층의 흡수라는 측면은 크지 않았다고 본다. 특히 정약용의 과거제 개혁론은 유형원과 이익의 개혁론을 계승한 것으로 개혁의 방안은 다르나, 문제의식에서는 큰 차이점이 없었다. 따라서 정약용의 과거제 개혁론은 근기 남인계 실학자의 과거제 개혁론을 계승한 科弊에 대한 종합적 개혁안이자 표준안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과거는 국가 차원에서 보면 관료를 뽑기 위한 인재의 선발의 관문이지만, 사족 입장에서는 양반 신분을 유지하는 기득권의 문제였고 常賤에게는 신분 상승의 통로였다. 서로의 利害관계가 극명하게 갈릴 수 있는 것이었고, 다른 경세 문제들 보다 자신들의 정치적 입장이 더욱 반영되었다고 생각한다. 조선시대 과거제는 유일한 관료등용제로서 능력 본위의 공정한 시험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한정된 관직수와 양반 신분을 유지하는 유일한 길이었던 관계로 그에 따른 폐단도 많았다. 이에 따라 천거제가 대안으로 제시된 적은 있었지만, 과거제를 대신할만한 제도로 인식되거나 본격적으로 채택된 적은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론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유형원과 이익, 정약용은 궁극적으로 과거제를 폐지하려는 입장이었다. 이는 아마도 고대 경전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실의 제도 개선을 하고자 한 이들의 경세론적 입장과 더불어 몇몇 문벌 위주로 독점되는 불공정한 경쟁에서 소외된 자신들의 입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Jeong Yak-Yong's past reformism inherited the reforms of tangible sources and profits, and the reform measures differ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Jeong Yak - Yong 's past reformism was a comprehensive reform proposal and a standard proposal for the family that inherited the past reformist theory of the near - term humanist scholar. The past is the gateway to the selection of talent to select bureaucrats from the national level, but it was a matter of vested interest in maintaining a dual status in the quadruple position. I think that the interests of each other can be separated clearly, and their political position is more reflected than other governing issues. In past Joseon Dynasty, it can be called as the only bureaucratic solvent, a fair trial of ability. However, there were many cases of abduction due to the relationship that was the only way to maintain the limited office number and manhood status. As a result, there has been no alternative, but the past system has not been recognized as a substitute system or adopted in earnest. Nevertheless, of course,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level, but the type and the profit, and Jeong Yak-Yong was ultimately trying to abolish the past system. This seems to reflect the self-centered position of those who sought to improve the system of reality on the basis of the study of ancient scriptures, and their own position in alienation from unfair competition dominated by several civilized groups.

      • KCI등재

        미성취 영재를 위한 초등 과학 개별화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사례 연구

        정성희 ( Seong Hee Jeong ),천옥명 ( Ok Myung Cheon ),강성주 ( Seong Joo Kang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5 초등과학교육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 differentiated instruction-learning reflecting various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the gifted underachievers, and thereby help to develop the study attitude and study achievement of the gifted underachievers. To achieve the purpose, a case study on five gifted underachievers who are in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as conduct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a variety of data including standardized tests, interviews with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nd observation journals,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the gifted underachiever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differentiated strategies were designed according to students`` interest and concern, their multiple-intelligence, and their learning styles.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m, a program with a total of 20 sections was finally developed. The result of the application for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learning program revealed improvements in their academic achieveme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ir learning motives were improved. The program was also found to affect their self-concept and their attitude toward learning. The study showed that developing an education program for the gifted underachievers should begin from the analysis of each student``s characteristics.Also, it was found that a differentiation strategy could become an alternative to apply various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the gifted underachievers to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he gifted underachievers`` intellectual and definitive characteristics were changed even by the short-term mediation. Therefore, the new issue about educating the gifted is to provide a differentiated instruction-learning program fitt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demands and help them exert their potential as best as they coul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이재난고(頤齋亂藁)』 디지털 역주본 간행의 필요성과 가치 제고

        정성희 ( Jeong Seong Hee ) 청계사학회 2019 청계사학 Vol.21 No.-

        『頤齋亂藁』는 전북 고창 출신의 실학자 頤齋 黃胤錫(1729~1791)이 쓴 일기자료이다. 18세기 연구 자료로서 『이재난고』는 다양한 분야에 걸쳐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지만, 특히 과학사 연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자료이다. 조선후기 과학사상사의 차원에서 볼 때 『이재난고』의 내용 가운데 천문역산학과 수학 관련 자료는 일차적인 관심거리다. 왜냐하면 당시 많은 지식인들이 서양과학의 우수성을 數學과 實測의 차원에서 거론하고 있었고 이러한 영향 관계가 『이재난고』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재난고』는 초서로 쓰여져 있어서 많은 연구자들이 활용을 하지 못하다가 2003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정서본으로 완간되면서 조선후기 연구자료로 본격적으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방대한 양의 『이재난고』는 개인의 일상부터 다양한 자료가 혼재되어 있다. 연구자 한사람이 이를 전부 읽고 해석하면서 연구를 진행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때문에 전문 주석이 달려있는 번역서가 간행될 필요가 있다. 『이재난고』는 과학 관련 자료를 비롯하여 정치·경제·사회·문화·역사 등 다양한 분야의 내용들이 방대하기는 하나 순서나 체계없이 일기 속에 전사되거나 초록되어 있어서 어디까지가 원전을 필사한 것인지, 혹은 황윤석의 견해인지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필사 자료의 대조를 통하여 원전과 저자의 견해가 구분되는 작업이 필요하다. 아울러 『이재난고』를 탈초하고 활자화하는 과정에서 오탈자 및 띄워쓰기가 잘못된 것이 있으므로 인용하는 과정에서 자칫 오류를 가져올 수도 있다. 따라서 『이재난고』의 분류별 역주본 사업의 시급한 과제는 먼저 오탈자를 바로 잡는 교정과 함께 주제별 혹은 문집 체재에 따른 새로운 ‘디지털 역주본 이재난고’을 발간해 보는 것도 좋을 듯싶다. 향후 문집과 일기자료의 비교 검토를 통해 『이재난고』의 오자 교정과 번역, 주석 작업이 이루어진다면, 조선시대 문화콘텐츠 자료로서 『이재난고』의 활용도는 더욱 높아질 것이다. 『頤齋亂藁』 is a diary that was written by Hwang Yun-seok(黃胤錫, 1729~1791), a scholar of practical learing from Gochang, North Jeolla Province. As an 18th-century study, 『頤齋亂藁』 is recognized for its importance across a wide range of fields, but it is especially indispensable in scientific history research. Among the contents of 『頤齋亂藁』 in terms of scientific histo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data on astronomy, epidemiology and mathematics are of primary interest. This is because at that time many intellectuals were referring to the excellence of Western science in terms of mathematics and actual measurement, and this influence relationship was recorded in detail in 『頤齋亂藁』. 『頤齋亂藁』 is such a vast amount of diary that it contains a wide range of data from the daily life of the individual.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each researcher to read and interpret all of them. Thus, in addition to translation, the note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fields from the records of 『頤齋亂藁』 and the resulting notes and translations are deemed necessary. 『頤齋亂藁』 containsvarious fields, including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materials, without order or structure. It is not easy to determine how far it is from the original data or the author's vie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e views of the original text and the author through the contrast of the manuscript data. There are some misprints and omissions in the process of making cursive into correct script and typesetting 『頤齋亂藁』 which may lead to errors in the cited process. Therefore, the urgent task of the 『頤齋亂藁』 project is to correct the misalignment first and to publish a new "Digital Translation and Annotation Publication of 『頤齋亂藁』" according to the topic or collection system. Henceforth, translations and annotations of 『頤齋亂藁』are carried out through a compar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diary materials in the future, the utilization of 『頤齋亂藁』 as a cultural content material of the Joseon Dynasty will be further enhanced.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양반가문 소장 曆書類의 현황과 가치

        정성희(Jeong Seong-Hee) 한국사학회 2007 史學硏究 Vol.- No.86

        이 글은 조선시대 양반가문의 역서 소장 현황 및 가치를 살펴보는 것으로서 조선시대는 중앙집권적 관료국가가 발달해온 만큼 시간의 통일, 즉 曆(calendar)의 통일을 위해 힘써온 시대로 이는 현존하는 많은 역서(曆書)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역서의 발전은 여러 가지 배경 요인이 있지만, 이는 동아시아의 천문관이라 할 수 있는 觀象授時의 영향을 받아 역서의 편찬을 제왕의 중요한 임무로 여긴 탓이 크다. 한국사에서 조선시대는 I년 日辰의 계산, 24절기의 入氣 시각과 달의 위상 등을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정확한 역서를 만들고자 끊임없이 노력했던 시기였다. 조선시대 역서는 오늘날 대량으로 발행되어 I년이 지나면 버려지는 달력과는 다르며 우수한 과학기술과 문화적 역량의 산물이었다. 조선초기 불과 4천건 정도만 발행되어 특권층의 향유물이었던 역서는 18세기 말 이후 1만 5천축 이상 발행되어 지방 양반과 서민들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의 조선시대 역서나 한국학 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된 역서는 조선시대 달력 발행이 국가적 사업이었음을 보여준다. 본 글에서 조사 대상으로 삼은 안동 순흥안씨 종택 소장의 역서를 비롯한 약 170여건에 달하는 양반가문 소장의 역서는 조선시대 천문학의 발달과 함께 이를 바탕으로 한 우수한 달력 문화의 소산이다. 조선시대 역서들은 이미 규장각이나 장서각에 상당량이 소장되어 있으나, 수량으로 보면, 전국의 양반 가문 문중에서 소장한 역서가 가장 많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서 오랜 기간 수집한 양반 가문 역서 가운데 가장 분량을 많이 차지하고 있는 것은 대전 은진송씨와 안동 순홍안씨 종택 소장의 역서이다. 이 가문 외에는 전체적으로 책수가 많다고 볼 수 없지만, 발행 연도의 중복이 비교적 적고 풍산유씨 종택 소장의 大統曆 같은 경우는 귀중본으로서 자료적 가치가 뛰어난 것도 있다. 현재 전통시대 역서는 1594년 대통력부터 1950년대의 양력까지 다양하지만, 역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는 역서는 조선후기 역서인 시헌서이다. 시헌서는 조선후기 일반적으로 사용된 상용력으로 가장 많이 발행된 역서이다. 기존의 규장각이나 장서각 소장 역서들은 대개 원 사용자를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필적이 없는 깨끗한 것들이 많은 반면, 조선시대 양반 가문에서 소장하고 있는 역서들은 대체로 원소장자를 알 수 있고, 필사 혹은 일기 등을 적어 놓은 것이 많아 일기류로서도 가치가 있다. 일기를 적어놓은 대표적인 역서를 소개해보면, 우복종택 소장의 1607년 대통력을 들 수 있다. 이 역서를 사용한 인물은 조선중기의 문신이었던 鄭經世(1563-1633)이다. 우복종택 소장의 1607년 역서를 보면, 정경세가 역서를 일기 혹은 오늘날의 수첩처럼 사용했음이 드러난다. 1607년에 정경세는 대구부사로 재직하고 있었는데 정경세가 사용한 역서를 보면 그날그날의 일기나 날씨, 대구부사로 가는 길에 숙박했던 곳, 지인 등의 왕래 등이 적혀 있어 역서로서의 가치 외에도 당시의 생활상 혹은 날씨 등을 살펴 볼 수 있는 생활사 자료로도 의미가 있다. 현재 전국에 흩어져 있는 양반가문 소장의 역서는 완전히 조사된 것은 아니다. 이 글에서 소개한 역서 자료 외에도 모두 조사하여 자료 목록화 한다면 그 양은 더욱 많아질 것이며 조선시대 역서의 전모가 드러날 것이다. 물론 이러한 작업은 연구자 혼자서 단기간 할 수 있는 작업은 아니다. 향후 연구자들이 조선시대 역서의 자료적 가치에 관심을 갖고 자료가 유실되고 파산되는 것을 막아야 할 것이라 본다. From the old dynasties of Korea as well of China the unification of almanac system had been pursued as the way of the centric governance. Even the duty of the predic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movement of stars and the changes of weather was laid on the shoulders of sovereign power. The development of books of calender means the advancement of the scientific observation, facilities and system of the contemporary. In this sense Joseon period is the time of the marvelous advancement of the calender system including the calculation of one year, proper arrangement of the twenty-four seasonal divisions into the lunar calender in the history of Korea. Compared with the mass production and temporary consumption of calenders in these days, calender books or related documents in the Joseon period were the essential product of cultural and scientific advancement of the time. While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produced about four thousands copies of calenders and they were occupied only by the noble families, when it comes to the late 18th century, the product of books of calender increased over fifteen thousands copies, being used by noble families as well as partly by common people. The collection of books of calender contained by the Royal Library, Gyujanggak, present located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e library of the royal family, Jangseogak, present located in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proves that to print the books of calender was a national project in the Joseon dynasty. But the research of the collection of books of calender in the Joseon period has rarely been done despite the most collectors was from noble families.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collection of book of calender collected by the descendant of noble families and raise a question to catalog and arrange the materials systematically for the initial step of related studies. The collection of Sunheung An Family in Andong, ranged one hundred and seventy copies, are micro-filmed in the purpose of conservation and easy access to the materials for related students. But the process of categorizing and arranging of the materials still are waiting to be done. Furthermore, there are a lot of books of calender scattered in the national-wide. Those materials should be collected under public project and arranged according to a certain standard category system. The conservation of the precious materials depends on the public interest and systematic endeavor to collect, catalog and make it to easy of access to resear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