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헌법상 전통문화 규정과 국가의 문화유산 보호 = Constitutional Provisions for Traditional Culture and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06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헌법은 문화국가원리를 천명하면서 전통문화와 민족문화에 대해서는 특별한 보호를 명시하고 있다. 문화 일반에 대한 중립성 원칙과 달리 전통문화에 대한 보호 의무를 규정함에 따라...

      우리 헌법은 문화국가원리를 천명하면서 전통문화와 민족문화에 대해서는 특별한 보호를 명시하고 있다. 문화 일반에 대한 중립성 원칙과 달리 전통문화에 대한 보호 의무를 규정함에 따라 보호해야 할 전통문화의 범위를 보다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우선 헌법상 전통문화의 의미를 탐색하면서 전통문화와 문화유산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문화유산이 문화공동체의 기반이면서 공동체 구성원이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가의 보호 의무 이외에 국민이 향유하고 접근할 수 있는 권리 측면에서도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그리고 국가가 보호해야 할 문화유산의 범위에 대한 양적 접근(보호범위)과 질적 접근(보호수준)을 나누어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소수의 문화유산을 우선 보호하는 중점보호주의보다는 대장주의가 바람직하고, 원형유지에 한정하지 않고 지속가능하면서도 주변 경관과 함께 보호하는 원칙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문화유산에 대한 국가의 보호범위 확대 경향을 살펴보면서 이를 체계화할 수 있는 입법 체계로서 기본법 제정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비교헌법적으로 보아도 전통문화보다는 문화유산의 보호를 헌법에 규정한 경우가 다수라고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헌법개정시 문화유산 용어의 사용 필요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Constitution explicitly emphasizes the special protec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ethnic culture, unlike the principle of neutrality in culture. Accordingly the scope of traditional culture that should be protected needs to be further em...

      The Korean Constitution explicitly emphasizes the special protec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ethnic culture, unlike the principle of neutrality in culture. Accordingly the scope of traditional culture that should be protected needs to be further embodied. In this article, we explored the meaning of traditional culture in the Constitutional law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culture and heritage. In relation to the scope of traditional culture or cultural heritage that the state should protect, standards were presented regard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anges.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propose the necessity of enacting a basic law as a legislative system that can systematically expand the scope of protection for traditional culture and cultural heritage. Furthermore, we proposed the need to use heritage terms when revising the Constitution. Even in comparative constitution, the term cultural heritage is more commonly used than traditional cul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헌법상 전통문화 보호와 문화유산 Ⅲ. 국가의 문화유산 보호범위 Ⅳ. 문화유산 보호의 법적 과제 Ⅴ. 결론
      • Ⅰ. 서론 Ⅱ. 헌법상 전통문화 보호와 문화유산 Ⅲ. 국가의 문화유산 보호범위 Ⅳ. 문화유산 보호의 법적 과제 Ⅴ.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상겸, "헌법주석서" 법제처 2010

      2 최대권, "헌법의 연속성과 변화에 관한 담론: 전통과 사회적 폐습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44 (44): 2003

      3 허완중, "헌법의 기본원리로서 민족국가원리" 법학연구소 39 (39): 1-39, 2019

      4 허완중, "헌법상 민족의 의미" 법과정책연구원 23 (23): 329-363, 2017

      5 박종현, "헌법상 문화국가원리의 구체화와 헌법재판에서의 적용 - 헌재 2014.4.24. 2011헌마659등 결정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 한국헌법학회 21 (21): 527-568, 2015

      6 성낙인, "헌법상 문화국가원리와 문화적 기본권" 유럽헌법학회 (30) : 1-53, 2019

      7 이세주, "헌법상 문화국가원리에 대한 고찰"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1 (21): 27-63, 2015

      8 정상우, "헌법상 문화국가원리 실현을 위한 ‘국가유산’ 법제 체계화" 한국공법학회 48 (48): 135-165, 2020

      9 차동욱, "헌법 제9조와 다문화 시대" 아시아여성연구원 10 (10): 35-63, 2017

      10 김수갑, "한국헌법에서의 '문화국가' 조항의 법적 성격과 의의" 한국공법학회 32 (32): 179-198, 2004

      1 김상겸, "헌법주석서" 법제처 2010

      2 최대권, "헌법의 연속성과 변화에 관한 담론: 전통과 사회적 폐습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44 (44): 2003

      3 허완중, "헌법의 기본원리로서 민족국가원리" 법학연구소 39 (39): 1-39, 2019

      4 허완중, "헌법상 민족의 의미" 법과정책연구원 23 (23): 329-363, 2017

      5 박종현, "헌법상 문화국가원리의 구체화와 헌법재판에서의 적용 - 헌재 2014.4.24. 2011헌마659등 결정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 한국헌법학회 21 (21): 527-568, 2015

      6 성낙인, "헌법상 문화국가원리와 문화적 기본권" 유럽헌법학회 (30) : 1-53, 2019

      7 이세주, "헌법상 문화국가원리에 대한 고찰"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1 (21): 27-63, 2015

      8 정상우, "헌법상 문화국가원리 실현을 위한 ‘국가유산’ 법제 체계화" 한국공법학회 48 (48): 135-165, 2020

      9 차동욱, "헌법 제9조와 다문화 시대" 아시아여성연구원 10 (10): 35-63, 2017

      10 김수갑, "한국헌법에서의 '문화국가' 조항의 법적 성격과 의의" 한국공법학회 32 (32): 179-198, 2004

      11 이수정, "한국의 문화재 보존·관리에 있어서 원형개념의유입과 원형유지원칙의 성립, 그리고 발달과정" 국립문화재연구소 49 (49): 100-119, 2016

      12 박찬승, "한국에서의 '민족' 개념의 형성" 한림과학원 (1) : 79-120, 2008

      13 김수진, "통일헌법의 지향점으로서 평화헌법과 문화국가원리" 법학연구소 56 (56): 3-33, 2021

      14 정상우, "통일과 문화국가원리의 실현" 한국비교공법학회 19 (19): 223-248, 2018

      15 김민섭, "우리나라 문화재관리와 입법과제" 유럽헌법학회 (30) : 173-205, 2019

      16 서재권, "세계의 문화유산 등재 전쟁과 우리의 문화재 정책 방향 검토- WIPO 지식재산 제도와 UNESCO 문화유산 제도의 이념과 운영에 기초하여 -" 법학연구소 22 (22): 133-162, 2019

      17 함재학, "법과 유교적 문화전통과 헌법재판" 법과사회이론학회 (49) : 203-240, 2015

      18 고문현, "문화헌법에 관한 비교헌법적 연구와 헌법개정안" 법학연구소 43 : 1-19, 2019

      19 전훈, "문화재의 의의와 범주" 한국비교공법학회 21 (21): 513-536, 2020

      20 김지민, "문화재 보호와 문화재향유권의 법리" 법학연구소 30 (30): 117-151, 2018

      21 권채리, "문화유산의 입법과제 : 프랑스의 접근방식" 유럽헌법학회 (30) : 271-307, 2019

      22 정광렬, "문화국가를 위한 헌법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7

      23 김수갑, "문화국가론" 충북대학교출판부 2012

      24 김연식, "문화 헌법의 관점에서 본 영국 문화재보호 법제" 유럽헌법학회 (30) : 55-105, 2019

      25 계인국, "독일 문화재 보호법제의 체계와 발전양상" 유럽헌법학회 (30) : 207-236, 2019

      26 김상겸, "국가의 전통․민족문화 계승의무와 전통사찰 보존에 관한 헌법적 연구" 한국토지공법학회 43 (43): 461-482, 2009

      27 김형섭, "국가유산법체계의 재정립 방안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30 (30): 195-246, 2018

      28 명재진, "국가목표규정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7 (17): 29-54, 2011

      29 전종익, "국가공동체와 문화유산" 한국공법학회 43 (43): 1-20, 2015

      30 류시조, "韓國 憲法上의 文化國家原理에 관한 硏究" 한국헌법학회 14 (14): 247-272, 2008

      31 최대권, "文化財保護와 憲法" 법학연구소 44 (44): 1-27, 2003

      32 정종섭, "國家의 文化遺産保護義務와 古都의 保存" 법학연구소 44 (44): 28-66, 2003

      33 Edward Burnett Tylor, "Primitive Culture: Researches into the Development of Mythology, Philosophy, Religion, Art, and Cust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9 0.87 0.967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