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DPC 부호를 위한 행 분할 알고리즘

        정만호,이종훈,김수영,송상섭,Jung, Man-Ho,Lee, Jong-Hoon,Kim, Soo-Young,Song, Sang-Seob 대한전자공학회 2008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5 No.2

        실용적은 통신 시스템은 고정된 한 부호화율이 아닌 다양한 부호화율에서 동작을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다양한 부호화율을 위한 LDPC(Low-Density Parity-Check) 부호를 분석했다. 한 특정한 모부호에서 행을 분할하여 LDPC 부호가 서로 다른 부호화율에서도 동작하도록 하는데 이 기술의 장점은 부호화율이 변하더라도 LDPC 부호의 블록 길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천공(Puncturing) 이나 쇼트닝(Shortening) 기법처럼 블록 길이가 줄어드는 단점을 보완한다는 것이다. 행 분할(Row-splitting) 기법이라 명명한 이 기술은 말 그대로 H 행렬의 행을 분할하여 부호화율을 낮추기 때문에 비슷한 행 합산(Row-combining) 기법의 단점 또한 보완할 수 있다. Practical communication systems need to operate at various different rates. This paper describes and analyzes low-density parity check codes for various different rates. From a specific mother code, it allows LDPC codes for different rate. The advantage of this technique is that each different rate LDPC codes have a same block length as mother code though the rate changes so it can make up for the weak points of puncturing and shortening which reduce their block length as the rate changes. Row-splitting method is to split the row, so that the rate changes from a higher rate to lower rate and cause of its own property, it can overcome the defect of row-combining method.

      • KCI등재

        拙修齋 趙泰徵의 師門 辨誣 考察

        정만호(Man-ho Jung) 대동한문학회 2023 大東漢文學 Vol.74 No.-

        졸수재 조태징은 진실한 학문과 독실한 실천을 추구한 인물로 명재 윤증의 문하에서 존경받았다. 그가 남긴 詩文, 그리고 그의 死後에 지인들이 애도의 뜻을 담아 지은 挽詩 및 祭文이 6권 3책의 『졸수재유고』로 간행되었다. 후인들은 졸수재를 文辭보다는 德行에 힘쓴 인물로 평가하였다. 평가가 대변하듯 그의 詩文은 화려한 수사나 독특한 발상의 문예적 특징보다는 투박하지만 교훈적이며 진솔함이 두드러진다. 문학적으로는 작품의 양과 질의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성취를 이루었다고 보기 어려운데, 권3에 수록된 <伸卞明齋先生被誣疏>는 조태징 본인의 師門을 위한 헌신, 『노서유고』 毁板의 顚末, 懷尼是非의 대응 논리 등의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글이다. 조태징은 그동안 학계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인물이기에 본고는 그의 생애와 학문을 먼저 소개하고, 그의 소장을 중심으로 師門 辨誣의 顚末을 고찰한 다음 졸수재의 소장이 가지는 의의를 살펴보았다. 회니시비는 1716년 숙종의 이른바 丙申處分을 통해 공식적으로는 일단락되었다. 尹宣擧 부자의 행적과 『노서유고』의 문제점을 지적하여 申球가 상소하였는데 이 일이 병신처분의 발단이 되었다. 신구의 문제 제기에 대해 吳命峻, 嚴慶遂, 李弘濟 등이 옹호하자 숙종은 오명준 등의 주장이 옳다는 입장이었다. 이후 金昌集이 다시 반론을 제기하자 숙종은 입장을 바꾸어 『노서유고』의 훼판을 지시하였다. 이에 조태징이 同門들과 함께 소장을 지어 辨誣에 나섰으나 소장은 숙종에게 전달되지 않았고 조태징은 의금부에 투옥되었다. 변무에 실패한 조태징은 이듬해 운명하였으며 실패의 한은 그의 시문뿐 아니라 지인들의 글에도 담겼다. 조태징의 변무 논리는 윤선거 부자를 옹호했던 사람들의 논리와 유사하다. 그러나 그는 보다 풍부한 근거 자료를 확보하여 정밀한 논리를 만들었다. 그의 논리는 앞 사람들의 주장에서 영향을 받은 동시에 후인들의 師門 옹호에 영향을 끼쳤다. 尹光紹의 소장에서 조태징이 사용한 표현이 그대로 원용된 점이 하나의 증거이다. 무엇보다 회니시비의 전말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Jolsujae (拙修齋) Cho Tae-jing was a respected figure who studied under Myungjae Yoon Jeung pursuing sincere learning and devout practice. Both his poems and Mansi (挽詩) and ritual texts written by his acquaintances to express condolences after his death were published as 『Jolsujaejip』 consisting of six volumes and three books. Later generations evaluated Jolsujae as a person who strived for virtuous deeds rather than writing. like the evaluation, the poems he left are plain, instructive, and sincere instead of being literature full of splendid rhetoric or unique ideas.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tur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he made noteworthy achievements in his works in terms of the quantity and quality, but <Shinbyeon Myeongjae Seonsaeng Pimuso (伸卞明齋先生被誣疏)> contained in Volume 3 seems remarkable in the aspects of Cho Tae-jing’s own devotion to the master (師門; Samun), the full account of destructing 『Rhoseoyugo』, and the logic of responding to Hoenisibi (懷尼是非). Since Cho Tae-jing has not been noted in the academic world, this paper first introduces his life and studies, considers the full story of Samun Byeonmu (師門 辨誣 ), and then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Jolsujae’s petition. Hoenisibi ended officially in 1716 through King Sukjong’s Disposition of Byeongsin (丙申處分). Pointing out the deeds of Yun Seon-geo including the father and son’s and the problems of 『Rhoseoyugo』, Shin Gu filed a petition, which led to the Disposition of Byeongsin after all. When Oh Myeong-jun (吳命峻), Eom Gyeong-su (嚴慶遂), and Lee Hong-je (李弘濟) supported Shin-gu’s raising of the issue, King Sukjong defined his position to agree with Oh Myung-jun and so on. Later, when Kim Chang-jip (金昌集) raised an objection again, King Sukjong changed his position and ordered them to destroy 『Rhoseoyugo』. Accordingly, Cho Tae-jing wrote a petition with his Samun to defend them; however, it was not delivered to King Sukjong, and Cho Tae-jing was imprisoned in Uigeumbu instead. Cho Tae-jing who failed to make a defense passed away the following year, and the resentment of his failure was included not only in his poems but in the writings of his acquaintances, too. Cho Tae-jing’s logic of defense is similar to that of those who defended Yoon Seon-geo and the father and son. However, he made more precise logic by securing richer evidence. His logic was not only influenced by the arguments of the predecessors but had influence over the advocacy of the latter generations for Samun. One evidence is that Yun Gwang-so (尹光紹) quoted Cho Tae-jing’s phrases just as they were in his petition. Meanwhile, Cho Tae-jing argued that those who attacked Yoon Seon-geo and the father and son ignored the overall context of the article and drew up the report by selecting only the sentences they needed. However, he showed that limitation, too, as he used the same means.

      • KCI등재

        雙樹亭 관련 의문과 후대의 기억

        정만호(Jung, Man-Ho)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5

        최근 공주 지역의 한문학 자료를 수집하던 중 「쌍수정사적비」의 비문 저자에 대해 의문을 갖게 되었다. 이 의문을 풀기 위해 자료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쌍수정의 건립과 명칭 등에 대한 의문이 추가로 발생하였다. 본고는 자료 고증을 통해 이러한 의문을 해결하고, 아울러 후대 사람들의 쌍수정에 대한 기억을 살펴 쌍수정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쌍수정은 1734년 이수항에 의해 건립되었다. 1624년부터 쌍수정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으나 이것은 亭閣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된 명칭이며, 이러한 사례는 習俗이라 일컬어질 정도로 빈번하였다. 三架亭을 고유명사처럼 사용한 기록들이 있는데, 이는 잘못이다. 架는 건물의 기둥과 기둥 사이를 의미하는 말로 ‘칸’에 해당한다. 따라서 三架亭은 쌍수정의 규모를 지칭하는 말이지 정각을 가리키는 고유명사가 아니다. 「쌍수정사적비」에는 비문의 저자가 申欽으로 새겨져 있으나 실제 글은 그의 아들 申翊聖의 樂全堂集에 「雙樹亭記」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었다. 신익성이 아버지를 대신해서 지었을 것이 확실시된다. 그러나 낙전당집이 간행되고 오랜 시간이 흐른 뒤에도 여전히 신흠의 글로 언급된 것은 최초 비문을 부탁받은 사람이 신흠이고, 빗돌에 그의 이름이 새겨졌기 때문일 것이다. 쌍수정은 李适의 난 당시 인조의 행적과 밀접한 관계를 지닌다. ‘인조의 駐蹕處’에 중점을 두는 입장에서는 쌍수정을 성지로 여겨 신성시하였다. 그러나 내란 발생으로 인한 ‘播遷’에 중점을 두는 사람들은 국난 재발의 경계 소재로 쌍수정을 작품 안으로 끌어들였다. 어떤 경우이든 쌍수정과 인조의 행적은 뗄 수 없는 관계로 후대 사람들의 기억에 남았다. After my recent interactions with Classical Chinese resources in Gongju area, I grew curious about the writer of Ssangsoojeong Sajeok-bi (cenotaph at Ssangsoo pavilion). Attempts to solve this questions in my mind led to more of them regarding the Ssangsoojeong’s establishment, naming and more. This essay seeks for deeper understanding of Ssangsoojeong and solve these questions by historical research of existing records and interviews to see how the contemporary remember the place. Ssangsoojeong was built by Lee Soo Hang in 1734. The name Ssangsoojeong had been used down from 1624, but this was when there was no pavilion at the site; this custom –naming a site as a ‘jeong (pavilion)’ without actual pavilion- was widespread at the time. There has been some case the word ‘三架亭 Samgajeong’ is used to refer to the place as a proper noun, but this is clearly an error. The character 架ga refers to a space between pillars and is equivalent to a ‘room’ or ‘space’. Therefore, the word Samgajeong refers to its grand scale, not the pavilion itself as a proper name. Ssangsoojeong Sajeok-bi records its writer to be Shin Heum申欽, but the actual text is found in Nakjeon-dang-jip樂全堂集 by his son, Shin Ikseong申翊聖; it seems almost certain that Shin Ikseong wrote the text in honour of his father. However, the reason it is mentioned as Shin Heum’s writing long after Najeon-dang-jip had been published could be that Shin Heum himself was originally asked to write on it, and thus his name was left on the cenotaph. Ssangsoojeong is closely related to what the King Injo did in face of Lee Kwal李适’s rebellion. For those who saw Injo’s Joopilcheo駐蹕處 as important took Ssangsoojeong as a sacred place and regarded it highly. Meanwhile, those who saw Injo’s Pacheon播遷 during the rebellion as more important took Ssangsoojeong in their writings as a keen alert for any further national instabilities. In any case, Ssangsoojeong and Injo’s stories are inseparably intertwined in the later generation’s memories.

      • KCI등재

        교수본(校隧本) 『지재집(止齋集)』의 서지적(書誌的) 고찰(考察)

        정만호 ( Man Ho Jung ) 근역한문학회 2015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0 No.-

        본고는 송철헌(1870~1924)의 『止齋集』 교수본을 서지적으로 고찰하였다. 송철헌 의 본관은 恩津, 자는 原明, 호는 止齋이다. 서인의 영수 우암 송시열의 후손이며, 先 考는 淵齋 宋秉璿(1836~1905)이다. 『지재집』은 송철헌의 문집으로 13卷 3冊의 石 板本이다. 교수본 『지재집』은 9冊의 假綴本으로, 『지재집』 간행 과정에서 수록 내용을 교수한 일종의 교정 원고이다. 본고의 고찰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의 성격 파악을 위해 저자의 생애와 『지재집』및 교수본 『지재집』의 서 지사항을 검토하였다. 둘째, 교수본 『지재집』에 사용된 교수 기호를 고찰하였다. 『지재집』교수에는 문 자기호와 비문자 기호가 사용되었는데, 비문자 기호는 고문서에서 일반적으로 발견 되는 것들이었다. 본고에서는 간행본과의 비교를 통해 교수본에 사용된 각 기호의 실 제적 지시 의미를 확인하였다. 셋째, 교수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단순한 오탈자의 수정 및 형식 통일에서부터 내용의 세부적 수정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교수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교수본 『지재집』의 자료적 가치를 ①교수 기호의 실상 파악이 가능, ②문집 간행 과정의 확인, ③저자의 본래 글과 문집에 수록된 글의 내용이 상이할 수 있음을 보여줌, ④간행본 『지재집』보다 많은 글을 수록하고 있어서 저자 이해를 위한 정보를제공함 등으로 정리하였다. 본고의 논의가 교수본 『지재집』에서 산삭 또는 수정된 작품의 작품성을 분석하지 못하고, 기존 연구 성과를 재차 확인하는 수준에 그쳤으나 이 자료가 1960년을 전후 해서 생성되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전통시대의 문집 교수 방법이 당시까지도 전승되 었음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집 교수 자료의 보강이라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This paper bibliographically investigated a revised edition of 『Jijaijip-止齋集』 written by Song Cheolheon(1870~1924). Song Cheolheon’s Bon-gwan is Eunyul, Ja, Wonmyeong(原明), and Ho, Jijae(止齋). He is a descendent of Wooam, Song Siyeol-the leader of Seoin-and his father is Yeonjai, Song Byeongseon(1836~1905). 『止齋集』is a collection of his works composed of 13 volumes, 3 pieces and is made of lithographic printing. The revised edition of 『止齋集』that is made up of 9 pieces is a temporarily bound book and a sort of revised copy modified in the process of publication. The summary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bibliographic data on his life, 『止齋集』, and the revised edition 『止齋集』 was examined to apprehend materials`` characteristics. Second, proofreading marks used in the revised edition were also studied. There were literal and non-literal symbols, yet the latter were generally found in ancient documents. In this paper, the practical meaning of each symbol employed in the revised edition was checked through comparing with the original one. Third, revised contents were analyzed through which extensive corrections such as the correction of simple misspellings.missing words, unified format,and detailed revision were identified. Four, the value of the revised edition was organized like this; ① understanding the fact of proofreading marks; ②identification of the publication process; ③the differences in contents between his original writing and published one; ④providing much more information to understand him than the published edition. The arguments in the paper didn’t well analyzed literary value of the revised 『止齋集』and stoped only checking existing research again. However, given that this material was made around 1960, not only can the fact that the way of correction in traditional period was passed down to those days be identified but it is significant in that the revised one is a correction material supplementary.

      • KCI등재

        扶餘八景詩 考察

        정만호(Jung, Man-Ho)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70

        본고의 목적은 扶餘八景詩를 발굴, 고찰하여 학계에 보고하는 것이다. 부여팔경에 대해 그동안 여러 연구자의 관심이 있었으나 부여팔경 연작시는 보고되지 않았다. 부여문화원에서 간행한 도록에서 부여팔경을 그린 그림을 확인한 후 그림이 있다면 시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자료 조사를 시작하였다. 근현대 대전 · 충남 지역에서 간행된 문집에서 부여팔경시를 조사한 결과 1910년 즈음부터 1972년까지 10수의 작품을 발견하였다. 이 가운데 8수는 개인 작가의 연작시이고, 2수는 1명이 1경씩을 나누어 읊어 모은 형태이다. 자료 검토 결과 그동안 정설로 인식되었던 1920년 부여 군수 김창수의 부여 신팔경 선정이라는 『扶餘誌』의 기록은 재고가 필요하다. 자료가 발견된 문집의 수록 순서를 감안할 때 김창수가 선정했다는 부여팔경과 같은 명칭의 부여팔경이 1920년 이전에 이미 사용되었다. 따라서 김창수 선정설은 이전에 유행하던 부여팔경을 공식화한 것으로 봄이 타당하다. 팔경의 명칭은 九龍坪落雁, 窺岩津歸帆, 水北亭晴嵐, 平濟塔夕照, 白馬江沈月, 扶蘇山暮雨, 皐蘭寺曉磬, 落花巖宿鵑인데, 이는 瀟湘八景의 모방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낙화 암숙견을 제외한 7곳의 景物이 소상팔경과 일치 또는 유사하기 때문이다. 부여팔경시는 모두 七言絶句의 형식이다. 일반적으로 팔경시는 차운하는 경우가 많은데 부여팔경시 가운데 차운 작품은 없다. 자료 조사의 범위를 확대하면 달라질 수도 있겠으나 작자층이 엷고 전해지는 작품이 적은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다만 조준하와 윤민영의 <白馬江沈月>은 ‘江 · 雙 · 窓’을 운자로 사용하였다. 부여팔경시의 내용은 망국 백제에 대한 기억, 승경의 묘사, 당시 사회상의 반영 등이 중심을 이룬다. 부여는 백제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지만 부여팔경시에서 백제에 대한 언급은 <낙화암숙견>에서 주로 발견될 뿐이다. 그보다는 전통적인 팔경시처럼 승경의 묘사가 중심을 이루고 당시의 사회의 모습을 형상화하기도 하였다. 부여팔경이 회자되고 연구자들의 관심이 있었음에도 부여팔경 연작시는 본고에서 처음으로 검토하였다. 대전 · 충남 지역에서 발간된 문집에서 자료를 수집했기 때문에 많은 작품을 확인하지는 못했지만 범위를 확대하면 더 많은 작품과 다양한 양상이 나타날 것이다. 이는 향후의 과제로 남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and examine poems about the eight scenic views of Buyeo and publicize them to the academic community. The eight scenic views of Buyeo have attracted the interest of several researchers, but serial poems about the eight scenic views of Buyeo have not been reported yet. After checking the paintings of the eight scenic views of Buyeo in the catalog published by the Buyeo Cultural Center, I began to investigate the data, thinking that there would be poems if there were paintings. A survey of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published in Daejeon and Chungnam region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found 10 works on the eight scenic views of Buyeo written from 1910 to 1972. Among them, eight works are serial poems written by one artist, and two works are poems written by different artists on one of the eight scenic views each. According to the review of data, the record of Buyeoji saying that Buyeo County Governor, Kim Chang-soo, selected new eight scenic views of Buyeo in 1920, which was recognized as an established theory, is open for reconsideration. Given the order in the collection in which the data were found, the phrase “eight scenic views of Buyeo,” which was claimed to have been selected by Kim Chang-soo, was already used before 1920. Therefore, the theory that Kim Chang-soo selected the eight scenic views should be regarded as him formalizing the already popular eight scenic views of Buyeo. The eight scenic views are as follows: a flock of wild geese on the Kooryong plain(九龍坪落雁); a lonely sailboat entering Gyuam dock(窺岩津歸帆); the haze of the Baekma River from the Subukjeong Pavilion(水北亭晴嵐); the sunset behind the Baekje pagoda from Jeongnimsa Temple Site(平濟塔夕照); the moon reflected still in the Baengmagang River(白馬江沈月); the occasional drizzle on the sunset of Buso Mountain(扶蘇山暮雨); the gentle sound of a wind chime in Goransa Temple around evening(皐蘭寺曉磬); and the sound of a little cuckoo crying pathetically on the Nakhwaam Rock(落花巖宿鵑). It is not unreasonable to say that this is an imitation of the eight scenic views of Sosang(瀟湘八景) because the seven scenic views except for the sound of a little cuckoo crying pathetically on the Nakhwaam Rock are identical with or similar to the eight scenic views of Sosang. The poems about the eight scenic views of Buyeo were all composed with seven-word lines. In general, eight-scenic-view poems often used rhyme; however, no poem about the eight scenic views of Buyeo used rhyme. It may change if the scope of the data survey is expanded, but the reason seems to be that the author base is thin, and there are few works that have been handed down. However, “白馬江沈月” by Jo Jun-ha and Yoon Min-young used “river(江), two(雙) and window(窓)” as their rhyme. The contents of the poems about the eight scenic views of Buyeo centered on memories of Baekje, the description of beautiful sceneries, and social reflections of the time. Buyeo is inextricably related to Baekje, but the reference to Baekje in the poems about the eight scenic views of Buyeo is only found in “落花巖宿鵑.” Rather, like traditional eight-scenic-view poems, the description of beautiful sceneries was predominant, and it portrayed the society of the time. Although the eight scenic views of Buyeo were talked about and researchers were interested, serial poems about the eight scenic views of Buyeo were review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article. Not many works were identified because data were only collected from literary collections in Daejeon and South Chungcheong Province, and more works and various aspects are expected to appear if the scope is expanded. This remains a challenge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LDPC 부호를 위한 행 분할 알고리즘

        정만호(Manho Jung),이종훈(Jonghoon Lee),김수영(Sooyoung Kim),송상섭(Sangseob Song) 대한전자공학회 2008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5 No.-

        실용적은 통신 시스템은 고정된 한 부호화율이 아닌 다양한 부호화율에서 동작을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다양한 부호화율을 위한 LDPC(Low-Density Parity-Check) 부호를 분석했다. 한 특정한 모부호에서 행을 분할하여 LDPC 부호가 서로 다른 부호화율에서도 동작하도록 하는데 이 기술의 장점은 부호화율이 변하더라도 LDPC 부호의 블록 길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천공(Puncturing) 이나 쇼트닝(Shortening) 기법처럼 블록 길이가 줄어드는 단점을 보완한다는 것이다. 행 분할(Row-splitting) 기법이라 명명한 이 기술은 말 그대로 H 행렬의 행을 분할하여 부호화율을 낮추기 때문에 비슷한 행 합산(Row-combining) 기법의 단점 또한 보완할 수 있다. Practical communication systems need to operate at various different rates. This paper describes and analyzes low-density parity check codes for various different rates. From a specific mother code, it allows LDPC codes for different rate. The advantage of this technique is that each different rate LDPC codes have a same block length as mother code though the rate changes so it can make up for the weak points of puncturing and shortening which reduce their block length as the rate changes. Row-splitting method is to split the row, so that the rate changes from a higher rate to lower rate and cause of its own property, it can overcome the defect of row-combining method.

      • KCI등재

        漢文의 休止 硏究

        정만호(Jung Man-ho) 어문연구학회 2005 어문연구 Vol.48 No.-

        Pauses and sense groups are important elements in reading Hanmun however, despite the existence and importance of pauses, there has been no systemic study. Thus, this paper compiled studies regarding pauses and its roles in Hanmun. Pauses in Hanmun are not overt phenomena but change sentence meanings like sense groups depending on their positions. Because the positions of pauses depend mainly on sentence meaning, they are determined basically by sentence constituents. However, the number of syllables in constituents also affects the positions of pauses. In particular, the number of syllables in objects and complements which are supplementary constituents of connectives combined with connective objects are the criteria to determine pauses. Pauses play four roles: controlling breathingin reading Hanmun, determining sentence meaning, preventing the localization of added postpositional words (APWs), and contributing to rhythmic reading. The roles of pauses as a part of APWscontribute to perfection of sophisticated APWs and maintain the attraction of the original text written in Hanmun. At present, some argue that APWs are useless. Discussion on pauses which are more subtle than APWs can be anachronism. However, APWs are magnificent cultural heritage which Korean people have. The purpose of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correct Hanmun reading and offer a chance to appreciate the cultural heritage m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