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쓰기에 대한 관점과 역사 학습에서의 쓰기 활동 분석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전제응 한국역사교육학회 2013 역사교육연구 Vol.- No.17
이 글에서는 초등학교 역사 학습에서의 쓰기 활동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초등학교 『사회과 탐구 5-1』과 『사회과 탐구 5-2』이다. 이를 위해 쓰기에 대한 관점과 쓰기 과정을 고찰하고쓰기 교과서에서의 쓰기 활동을 분석하였다. 역사 학습에서의 쓰기 활동에 나타난 주요 특징은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 학습에서의 쓰기 활동은 주요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는 방식이 많았다. 특히 두 대상을 비교할 때 표, 생각 그물, 간단한 문장 등으로 정리하는 활동이 주를 이루었다. 둘째, 역사학습에서의 쓰기 활동에 상호 작용 활동이 일부 나타났다. 자신과 견해가 같거나 다른 점을 찾는활동, 완성된 자료를 돌려 읽는 활동, 찬성과 반대 입장 중 하나를 골라 의견을 쓰는 활동 등이 있었다. 셋째, 역사 학습에서의 쓰기 활동에는 추론 과정이 생략되는 경우가 많았다. 추론적 이해활동보다는 주로 사실적 이해 활동이 강조되고 있었다. 추론 과정이 생략되면 비판적 이해나 창조적 이해로까지 나아가기 어렵다는 점에서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역사 학습에서의 쓰기 활동 시각으로 국어과에서의 쓰기 활동을 분석하여 고찰하는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 더 나아가 융합적 관점에서 역사 학습에서의 글쓰기와 쓰기 학습에서의 글쓰기 토대를 새롭게 마련하는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writing activities in history learning based on the perspective of writing.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Social studies exploring textbook 5-1』and 『Social studies exploring textbook 5-2』. The result as follows. First, there are so many writing activities that to summarize after reading a text in history learning. Above all, when comparing with two things, a table and a mind map were used. Second, it included in history textbook that one student interacted with the other student. Third, it is difficult to find activities in history writing that student write to read between the lines to infer the hidden meanings. It is necessary to study writing activities in korean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learning.
초등학교 과학 교과용 도서에서 나타난 과학 글쓰기 과제 분석 : 2007,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전제응,채동현,고아라,신애경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9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과학 교과용 도서에 나타난 과학 글쓰기 과제를 교과용 도서에 제시된 형태와 글쓰기 구성 요소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2007, 2009,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와 실험관찰에 나타난 과학 글쓰기 과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과학 글쓰기과제의 형태를 분석한 결과 2007 개정에서 2015 개정으로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과학 글쓰기가 제시된 교과용 도서가 줄어들고, 과제가 명시되지 않은 형태로 변화하였다. 그리고 2009 개정 5∼6학년군 과학 글쓰기과제가 글과 그림으로 제시되어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나타났다. 과학 글쓰기 과제를 글쓰기 구성 요소분석틀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과 학년군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일부 하위 요소에치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2007 개정 5∼6학년군에서 가장 다양한 구성 요소가 반영된 과학 글쓰기가 제시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cience writing task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workbooks using the presented form and the writing components analysis framework. For this study, the science writing tasks in the 2007, 2009 and 2015 revis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workbook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sented form of science writing tasks, the number of books for science writing tasks was reduced and the tasks were changed to unclear form as the curriculum was revised from the 2007 to 2015. And the science writing tasks in the 2009 revised 5th∼6th grades group were presented as writing and drawing, and they appeared as the most desirable form. As a result of analyzing science writing tasks using the writing components analysis framework,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urricula and the grades groups, but they tended to be focused on some sub-factors. However, the science writing tasks reflecting the most diverse sub-factors were presented in the 2007 revised 5th∼6th grades group.
전제응 청람어문교육학회 2004 청람어문교육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ature of reading motivation through wild approach method and to make the model of reading motivation. This study is du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ading motivation in reading. Initially, I study on the definition, the fun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motivation. I supposed that the reading motivation has two major attributions. One is a universality, and the other is a peculiarity. Then, I survey various instruments of reading motivation to design the dimension of reading motivation. So I proposed that the dimension of reading motivation is composed of reading efficacy as a reader,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social motivation. Also, 11 factors of that is proposed, too. Second, I designed the model of student's reading motivation. This is to full of suggestions in reading lesson. 이 연구의 목적은 읽기동기의 본질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고찰하고, 읽기동기 모형을 구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읽기 교육에서 읽기의 인지적 능력뿐만 아니라 정의적 요인 또한 중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먼저, 읽기동기의 개념, 성격, 기능을 살펴보았다. 읽기동기는 읽기의 특수성과 동기의 보편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전제 아래, 기존의 읽기동기 검사의 영역을 탐색하여 읽기동기 구성 범주를 설정하였다. 읽기동구 구성 범주는 독자의 효능 범주, 내적 동기 범주, 외적 동기 범주, 사회적 동기 범주 등이다. 그리고 그 하위 요인 11개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읽기동기 범주와 구성 요인을 토대로 학생 독자의 읽기동기 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에 근거한 다양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범교과 문식성 탐구와 2015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 학습 활동 분석
전제응 청람어문교육학회 2019 청람어문교육 Vol.0 No.70
이 연구의 목적은 범교과 문식성 개념과 특성을 탐구하고, 이에 터하여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학습 활동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범교과 문식성을 ‘학습 주체가 국어교과와 타교과를 가로지르면서 ‘범교과 문’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과 의지’로 정의하였다. 범교과 문식성의 특성은 학습자, 국어교과와 타교과, 가로지르기, 범교과 문, 읽기와 쓰기, 능력과 의지 면에서 나타남을 밝혔다.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3학년 2학기 8단원 실천 학습 차시와 5학년 2학기 2단원 기본 학습 차시의 학습 활동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각의 학습 활동에서 사회 교과와 과학교과의 교육 내용이 국어 교과서에 반영됨을 확인하였다. 2단원 기본 학습 차시에는 5학년 1학기 과학 교과서에 나오는 ‘열이 이동’ 내용이 직접 반영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서 차원에서 강조되었던 교과 간 통합 강조가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학습 활동으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분석,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일부 학습 활동만을 대상으로 거칠게 분석하였다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LAC(lliteracy across the curriculum, and to analyze the learning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books. The study defined a LAC as 'the ability and willingness of the learner to read and write 'universalized text' across Korean and other subjects.' The characteristics of LAC(~curriculum) are found in terms of learners, Korean and other subjects, crossing, reading and writing, and ability and wilingness. This study analyzed learning activities in Unit 8 and Unit 2 of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s. The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and science teaching courses are reflect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study also showed that integration between the Korean language and other subjects in spoken in this 2015 revised curriculum is reflected in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book learning activities.
교육대학 <글쓰기>의 특이성과 교육적 접근 방향 탐구 -J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전제응,이주섭 한국작문학회 2019 작문연구 Vol.0 No.4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pecificity of the College of Education's Writing course, and to propose a difference-making mechanism to find an educational approach. I looked at the peculiarities of the College of Education's Writing course in three respects. First, it is a singularity that occurs in writing learners. Unlike ordinary college writing learners, an education college writing learner is both a liberal and potential writing teacher. Second, it is a peculiarity that appears in the curriculum. The content, methods, and evaluation of the liberal arts and writing curriculum are directly and indirectly linked to the curriculum of the major courses. Third, it is a peculiarity that appears in the academic community. Family similarity is a peculiarity that occurs in the academic community of education colleges. In this study, I emphasized a tough approach to the differential generation mechanism. Finally, I analyzed the plans for Professor A's Writing course and proposed a direction for improvement.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 <글쓰기> 강좌의 특이성을 고찰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첫 단추로 차이생성적 메커니즘을 제안하여 교육적 접근 방향을 찾는 데 있다. 교육대학 <글쓰기> 강좌의 특이성을 세 가지 점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글쓰기 학습자에게서 나타나는 특이점이다. 일반 대학 글쓰기 학습자와 달리 교육대학 글쓰기 학습자는 교양인으로서의 글쓰기 수행자인 동시에 ‘잠재적 글쓰기 교수자’라는 특이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특이점이다. 교양 글쓰기 교육과정의 내용, 방법, 평가 등에 관한 내용이 전공교과의 교육과정와 직접, 간접적으로 연계된다는 특이점이 있다. 셋째, 학문공동체에 나타나는 특이점이다. ‘가족 유사성’은 교육대학 학문공동체에서 나타나는 특이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차이생성 메커니즘에 터한 접근 방안을 강조하였다. ‘교양 글쓰기’와 ‘전공과목’의 관계를 ‘① 규정 가능성, ② 상호적 규정, ③ 완결된 규정이라는 작동 방식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교육대학 <글쓰기>의 특이성에 터하여 J대학교 교육대학 A 교수의 <글쓰기> 강의 계획서를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