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孟子의 良心論 — 양심과 관련된 세 가지 문제[원천ㆍ형성ㆍ저항권]를 중심으로 —

        장승희 한국유교학회 200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theory of conscience and the meaning in Mencius(孟子). The conscience is a concept connected with a sense of sin and moral consciousness. It is a foundation of human character and morality. Whenever we discuss human nature, conscience is the important concept. In East philosophical history, Mencius was the first man who spoke the conscience in connection with the view of human nature as fundamentally good. Mencius recognised innately conscience in the base of meaning of confucian traditional Tian(天). There are three problems of conscience, the origin, the formation, and the right of resistance concerning the conscience. The origin of conscience in Mencius is Tian. We have a priori conscience given by the Tianming(天命). It is a standard when we judge right from wrong facing the moral situation. The formation of conscience is not the result of our efforts but the intrinsic, the transcendental, and the transcendental nature. The gap of the great man(大人) and the worthless fellow(小人) depends upon inner moral efforts. The right of resistance is connected directly with the liberty of conscience holding fast to right notwithstanding the death. The theory of revolution is radical in political thoughts of Mencius. It is a basis of his ruling people with justice and morality. In conclusion, the theory of conscience in Mencius has meaning by showing a standard of right on the feel of ashamedness(羞惡之心) in the present day. 이 글은 맹자사상에 드러난 양심에 대해 논의하고, 그 윤리적 함의를 찾고자 한 것이다. 양심은 죄의식, 혹은 도덕의식과 관련되며, 인격과 도덕성의 근거이다. 그것은 인간만이 지니는 고유한 특성으로 인간을 문제 삼을 때마다 핵심이 된 개념이다. 서양에서 양심은 도덕의식의 내용보다 형식적 측면을 강조한다. 양심 문제에서 핵심은 양심의 원천, 형성, 저항권이라고 볼 수 있다. 동양에서 양심이란 말은 맹자에서 단초를 찾을 수 있다. 맹자는 유학의 도덕적 천에 근거하여 선천적 양심을 강조한다. 그것은 良知良能, 四端, 仁義, 平旦之氣라고 표현되는데, 善惡 선택 상황에서 義의 기준이 된다. 맹자 양심의 문제에서, 그 원천은 中庸의 ‘天命之謂性’의 天으로, 天命에 의해 인간에게 부여된 본성이 양심이다. 양심은 天命에 의한 선천적인 것으로, 대인소인의 차이는 본래적인 것이 아니라 도덕적 노력에 달린 것이다. 양심에 대한 신념은 죽음을 불사하고 義를 지키려는 ‘양심의 자유’와도 직결되는데, 맹자 왕도정치의 핵심으로, 혁명론의 기반이기도 하다. 혁명의 옳고 그름의 기준은 오로지 義에 타당한가, 즉 양심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맹자의 양심은, 옳지 못한 것을 부끄러워하는 마음[羞惡之心]을 기반으로 한, ‘올바름[義]’에의 지향성으로 규정지을 수 있겠다.

      • KCI등재

        전통윤리의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장승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4

        최근 학교붕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전통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및 평가에 대한 재조명 작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1980년대 이후 서구 윤리학계에서 자유주의 윤리학에 대한 비판으로 공동체주의 윤리학이 대두되었고, 윤리교육이론에서도 인격 교육론 및 덕 교육론이 등장하였다. 공동체주의 윤리학, 덕 교육론 및 인격 교육론은 그 이론적 배경의 상이점에도 불구하고 전통 가치를 중시하고 있으며, 이를 교육 내용과 방법에 적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서구 윤리교육이론을 살펴보면 내용적 측면과 방법적 원리에서 우리 전통교육과의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적지 않은 사람들이 전통 교육에 관심을 갖고, 그 내용 및 방법의 현대적 적용을 시도하고 있기도 하다. 세계적으로 전통교육으로의 회귀 경향은 고도의 산업화로 인한 인간 소외, 지나친 개인주의, 그리고 ‘열린 교육’ 결과로 인한 가치위기와 맥을 같이 한다. 즉, 전통윤리와 전통교육에 대한 관심의 급등은 공동체적 가치위기에 대한 우려에서 나온 것으로, 새로운 교육적 접근의 의지 표명이라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전통윤리' 에 대한 체계적 분석 및 평가

        장승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2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고등학교 '윤리' 교과는 국민 기초 공통 과목인 '도덕'과 일반 선택 과목인 '시민윤리', 그리고 심화 선택 과목인 '윤리와 사상', '전통윤리'로 분화되었다. '전통윤리'는 선택 중심의 교육과정이라는 요구에서, '윤리 과목의 본질적 목표'와 '국가·사회적 요구'라는 필요성에 의해 개설되었다. 한국의 급격한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도덕·윤리적 위기 해결 방안을 '전통적 가치'에서 찾고자 한 것이었다. 또 청소년들의 서구 지향적 가치관 편향에 대해 '한국의 전통적 혼과 정신'을 강조하기 위한 윤리 교육적 필요에 의한 것이기도 하였다. '전통윤리'는 새로운 선택 교과로 '윤리의 실제성'과 '한국적 주체성'의 확립을 목표로 하였다. 전자가 6차 교육과정 '윤리'에 대한 반작용이라면, 후자는 서구 중심 윤리교육에 대한 '반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실제 '전통윤리' 교과서는 이러한 '윤리적 실제성'과 '한국적 주체성' 확립을 제대로 반영하였으며, 현장에서는 이에 맞게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전통윤리' 교과의 성격과 목표, 내용체계, 방법 및 평가의 특성을 살펴보고, 교과서와 관련하여 집필 과정, 체제와 내용, 방법 및 평가에 대해 분석하고, 제반 문제점을 집어 보았다. 내용에서는 ① 학문적 합의 문제 ② 내용의 일관성 문제 ③ 중복의 문제, 교수방법과 평가에서는 ① 수능 평가의 문제 ② 교수 방법의 문제 ③ 교육적 효과의 측면을 살펴보았다. 21세기 문명한 추세로 세계화는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이 조화를 추구하며, 이는 한국적 특수성을 통해 세계적 보편성을 획득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통윤리'는 7차 교육과정의 시행착오를 통해 새롭게 거듭나서 한국 청소년들의 가치관과 민족적 정체성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전통윤리' 교과에 대한 냉정한 비판과 대안 모색을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Ethics' in high school was divided into 'Moral Education' as a subject in common curriculum, 'Civil Ethics' as a basic elective subject, and 'Ethics and Ideal' and 'Traditional Ethics' as in-depth elective subjects by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raditional Ethics' was set due to the stream of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and the necessity of essential goal of 'ethics' and national, social demand. In other words, the reason to select 'Traditional Ethics' is the answers to handle the morally and ethically critical situation such as loss of value and rule violation caused by Korean rapid industrialization could be found in 'traditional value'. Also 'Traditional Ethics' harmonizes teenagers' westernized values with Korean traditional soul and spirit. 'Traditional Ethics' (which was not a existing subject in the past) as the very new elective subject focuses on the establishment of 'reality of ethics' and 'Korean identity.' The former is reaction to 'Ethics' i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latter is 'reaction' to western-centered ethical education. If so, dose the real 'Traditional Ethics' reflects the establishment of 'reality of ethics' and 'Korean identity'? Also, was 'Traditional Ethics' taught for these goals on the real educational scene? Analysis on characters, goals, systems, methods and evaluations which are based on 'Traditional Ethics' derives from these issues. Analysis on process of writing, system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s will be dealed with. Through this analysis, some problems of textbooks to deal with is proposed. As a aspect of contents of textbooks; there are some problems about ① academic agreement, ② coherence of contents, and ③ overlapping. As a aspect of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s; there are some problems about ① Korea Scholastic Aptitude Test(KSAT), ② teaching methods, and ③ educational effect on teenagers. These problems will be analyzed in this dissertation. 'Traditional Ethics' will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Korean youth's values and national identity through trial and error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is dissertation will propose the new alternative plans through criticism from 'Traditional Eth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