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회전킬른반응기를 이용한 리튬이온전지용 Si/C/CNF 음극활물질의 제조 및 전기화학적 특성 조사

        전도만,나병기,이영우 한국화학공학회 2018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6 No.6

        Graphite is used as a sample anode active material. However, since the maximum theoretical capacity is limited to 372 mA h g-1, a new anode active material i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a high capacity lithium ion battery. The maximum theoretical capacity of Si is 4200 mA h g-1,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graphite. However, it is not suitable for direct application to the anode active material because it has a volume expansion of 400%. In order to minimize the decrease of the discharge capacity due to the volume expansion, the Si was pulverized by the dry method to reduce the mechanical stress and the volume change of the reaction phase, and the change of the volume was suppressed by coating the carbon layers to the particle size controlled Si particles. And carbon fiber is grown like a thread on the particle surface to control secondary volume expansion and improve electrical conductivity.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were measured by XRD, SEM and TEM, and their electrochem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synthesis method that can be used as anode active material by improving cycle characteristics of Si. 흑연은 리튬이온전지에 사용 되는 대표적인 음극활물질이다. 그러나 최대 이론 용량이 372 mA h g-1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고용량의 리튬이온전지 개발을 위해서는 새로운 음극 소재 활물질이 필요하다. 실리콘의 최대 이론 용량은 4200 mA h g-1으로 흑연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지만 부피 팽창이 400%로 크기 때문에 음극 소재 활물질로 바로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부피 팽창으로 인한 방전 용량의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건식 방법으로 실리콘을 분쇄 하여 기계적 응력 및 반응상의 체적 변화를 감소시키고 입도 제어 된 실리콘 입자에 탄소를 코팅하여 체적의 변화를 억제하였다. 그리고탄소 섬유를 입자 표면에 실타래처럼 성장시켜 2차적으로 부피 팽창을 제어하고 전기전도성을 개선하였다. 실험 변수에따른 재료들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XRD, SEM 및 TEM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리콘의 수명 특성을 향상시켜 음극 소재 활물질로 사용 할 수 있는 합성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KCI등재

        이차전지 음극활물질 Si/PC/CNF/PC 복합 소재의 전기화학적 특성

        전도만,나병기,이영우 한국화학공학회 2018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6 No.6

        Si을 리튬이온전지 음극활물질로 사용하기 위해 입도를 0.5 μm 보다 작은 크기로 제어하였고 표면에 탄소를 약 10 nm 두께로 코팅하였다. 그 위에 탄소섬유를 50~150 wt% 양으로 성장시키고 다시 한 번 탄소코팅을 진행하였다. 이렇게만들어진 Si 합성물질은 전기전도성을 높이기 위한 공정으로 이종 금속을 혼합하였으며 수명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흑연과 복합화하였다. 실험 변수에 따른 재료들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XRD, SEM 및 TEM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코인셀을 제조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Si/PC (Pyrolytic Carbon)/CNF (Carbon Nano Fiber)보다 Si/PC/CNF/PC 가 전체적으로 Si 함량이 줄어 방전용량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지만 전지평가에서 중요한 수명특성에서는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0.2 C rate에서 1512 mA h g-1의 초기 방전 용량과 78%의 초기 효율을 나타내었고 10 싸이클 에서94%의 용량 보존율을 보여주었다. In order to use Si as an anod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y, the particle size was controlled to less than 0.5 μm and carbon was coated on the surface with the thickness less than 10 nm. The carbon fiber was grown on the Si surface with 50~150 wt%, and the carbon coating was carried out once again. The Si composite material was mixed with dissimilar metals to increase the conductivity, and graphite was mixed to improve cyclic life characteristics. The physical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mposite materials were measured with XRD, SEM, TEM and coin cell. The discharge capacity of Si/PC/CNF/PC was lower than that of Si/PC (Pyrolytic Carbon)/CNF (Carbon Nano Fiber). However, the cyclic life of Si/PC/CNF/PC was higher. Initial discharge capacity of 1512 mA h g-1 at 0.2 C rate and initial efficiency of 78% were shown. It also showed a capacity retention of 94% in 10 cycles.

      • KCI등재

        건식 분쇄 공정으로 Si 입도 제어를 통한 고용량 리튬이온전지 음극 소재의 개발

        전도만,나병기,이영우 한국청정기술학회 2018 청정기술 Vol.24 No.4

        Currently graphite is used as an an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y. However, since the maximum theoretical capacity of graphite is limited to 372 mA h g-1, a new anode active material i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high capacity and high energy density lithium ion battery. The maximum theoretical capacity of Si is 4200 mA h g-1, which is about 10 times higher than the maximum theoretical capacity of graphite. However, since the volume expansion rate is almost 400%, the irreversible capacity increases as the cycle progresses and the discharge capacity relative to the charge is remarkably reduce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article size of the Si anode active material to reduce the mechanical stress and the volume change of the reaction phase, thereby improving the cycle characteristics.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decrease of the charge / discharge capacity according to the volume expansion rate of the Si particles, the improvement of the cycle characteristics was carried out by pulverizing Si by a dry method with excellent processing time and cost. In this paper, Si is controlled to nano size using vibrating mill and the physicochemical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are measured according to experimental variables. 현재 리튬이온전지의 음극 소재 활물질로는 흑연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흑연의 최대 이론 용량이 372 mA h g-1으로제한되기 때문에 차세대 고용량 및 고에너지 밀도의 리튬이온전지 개발을 위해서는 새로운 음극 소재 활물질이 필요하다. 여러 음극 소재 활물질 중에서 Si의 최대 이론 용량은 4200 mA h g-1으로 흑연의 최대 이론 용량보다 약 10배 이상 높은 값을나타내고 있지만 부피 팽창율이 거의 400%로 크기 때문에 사이클이 진행될수록 비가역 용량이 증가하여 충전 대비 방전 용량이 현저히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Si 음극 소재 활물질의 입자 크기를조절하여 기계적 응력 및 반응상의 체적 변화를 감소시켜 사이클 특성을 다소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Si 입자의 부피 팽창율에 따른 충전 및 방전 용량의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공정 시간 및 원가 절감이 우수한 건식 방법으로 Si을 분쇄하여 사이클 특성 향상에 관한 연구를 진행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진동밀을 이용하여 Si을 나노 크기로 제어하고 실험 변수에 따른 재료들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전기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 Prevalence and Drug Resistance of Shigella in Taegu Area of Korea

        전도,박종욱,서성일,조동택,설성용,이유철,Chun, Do-Ki,Park, Jong-Wook,Suh, Seong-Il,Cho, Dong-Taek,Seol, Sung-Yong,Lee, Yoo-Chul The Korea Society for Microbiology 1986 大韓微生物學會誌 Vol.21 No.4

        1973년부터 1985년 사이에 대구지방에서 분리된 Shigella는 약 1,200주였는데, 대부분이 Shigella flexneri였고, S. sonnei는 약 20%였으며, S. dysenteriae와 S. boydii는 극히 적었다. 분리균의 95%이상이 chloramphenicol(Cm), tetracycline(Tc), streptomycin(Sm), sulfisomidine(Su), ampicillin(Ap), trimethoprim(Tf) 등의 전부 또는 일부 약제에 내성이었으며, kanamycin, nalidixic acid(Na)와 rifampin(Rf)에 내성인 균주는 소수 있었으나, cephaloridine, gentamicin, amikacin 등에 내성인 균주는 없었다. 1973년에 분리된 균은 약 절반이 약제내성이었으나, 1977년 이후 분리된 균은 95% 이상이 약제내성이었다. 1977년 까지는 Cm, Tc, Sm 및 Su의 4제 내성균이 가장 많았으나 1978년 부터는 Cm, Tc, Sm, Su, Ap 및 Tp의 6제 내성균이 가장 많았다. 약 75%의 균이 그 약제내성을 접합에 의하여 Escherichia coli에 전달하였으므로 이 약제내성은 R plasmid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대다수의 균에 있어서 약제내성 전부를 E. coli에 전달하였으나, Na와 Rf의 내성은 전달되지 않았다. 일부 균주의 약제내성은 E. coli에 전달될 때 분리되는 일이 있었으나, 그 수는 극히 적었다. Shigella의 R Plasmid는 대부분이 비적합성군(incompatibility group) F II에 분류되었으나, 극소수는 B군에 속하였고 군별이 안되는 것도 있었다. Shigella strains isloated in the Teagu area during the period from 1973 to 1985 were studied for species distribution, drug resistance, and R plasmids. Approximately 1,200 strains were isolated during this period, and most of them were classified into Shigella flexneri, S. sonnei occupied less than 20%, and S. dysenteriae and S. boydii were very rarely isolated. More than 95% of them were resistant to one or more of these drugs; chloramphenicol (Cm), tetracycline (Tc), streptomycin (Sm), sulfisomidine (Su), ampicillin (Ap), and trimethoprim (Tp). Strains resistant to kanamycin, nalidixic acid (Na), and rifampin (Rf) were rare, and no strain was resistant to cephaloridine, gentamicin, and amikacin. Approximately half of the isolates were resistant to drugs in 1973, but the rate of resistant strains increased to more than 95% from 1977. Strains resistant to the four drugs (Cm, Tc, Sm, and Su) occupied the majority of resistant strains until 1977, but the most prevalent multiplicity of drug resistance increased to six drugs (Cm, Tc, Sm, Su, Ap, and Tp) from 1978 with the marked increase of Ap- and Tp-resistant strains. Approximately 75% of them transferred resistance to Escherichia coli by conjugation, and the resistance was considered to be mediated by R plasmids. Almost all of them transferred the complete patterns of resistance to drugs except Na and Rf. However, among some strains of recent isolates, small numbers of segregants of transferred resistance were observed. The R plasmids in Shigella were mostly classified into Inc FII, and only small numbers into Inc B. Segregants were in most cases unclassified.

      • Enhancing Performance of Halide Perovskite Photoelectronic Devices by Pressure-Induced Crystallization

        전도,박종혁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0

        Metal lead halide perovskites have been focused as a promising next generation photoelectronic materials. Compositional and deposition approaches have contributed to boosting the photoconversion efficiency and its stability against air and moisture. Although its unprecendented performance breakthrough, metal halide halide perovskites suffer from stagnation in terms of photoconversion efficiency. As a strategic modification, we introduced pressure-induced crystallization method, which can tailor not only nanostructure but also intrinsic properties of metal lead halide perovskites itself resulting in performance efficiency. By exerting pressure with simple and easy-tofollow technique, we developed high-performance photodetectors utilizing nanopillar-structured metal lead halide perovskites, which exhibited enhanced photoresponsivity. Additionally, we succesfully fabricated nanodot-arrayed metal lead halide perovskite films, which shows enhanced film stability against mois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