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대성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1998 地域社會開發硏究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approach method of alternative local administration to analyze and explain the field of space politics for local autonomy totally and scientifically. As a result, this paper is to help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local administration completely. If we try to research the local administration at the viewpoint of linearity, predictibility and legal, institutional approach, we have no choice but to comprehend it partially. So we have to do our best to work authentic space social and political area and context. In this research, I am going to show you the governance theory that realizes the alternative local administration. And then I suggest the scope and objectives of this study on the base of the theory.
전대성,김동욱 한국자치행정학회 2016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0 No.4
그동안 청소년들의 게임중독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인터넷 게임중독을 병리적 현상으로 간주하여 게임중독의 발생원인과 부정적인 결과에 중점을 두어왔다. 따라서 왜 청소년들이 게임중독에 빠지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은 부족한 편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게임중독이 청소년들의 주관적인 행복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통하여 왜 청소년들이 게임중독에 빠지는지에 대한 실증분석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게임중독은 청소년들의 주관적 행복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스트레스가 높은 청소년들의 게임중독 정도가 높아질수록 주관적 행복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하여 청소년들이 게임중독에 빠지는 이유는 스트레스 해소를 통한 주관적인 행복인식이 증가하기 때문이라는 시사점을 제시해주고 있다. Excessive online game playing can be associated with a number of negative outcomes. Therefore, online game addiction becomes an issue of great concern that requires further exploration.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game addiction and adolescents’ happiness, and to provide an explanation about why teenagers are addicted to online games. Analyzing the 2015 Korean Children & Adolescent survey on Happiness, we found that online game addiction has negative effects on the happiness of youths. In addition, the high levels of stress has positive moderating effects on game addiction and youths’ happiness. This result deepens our understanding of the adolescents online game addiction and suggests some insights that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addiction prevention policy and dealing with problems caused by online game addiction.
휴대폰 과사용이 청소년들의 성인용 매체 중독에 미치는 영향
전대성,이주실,김동욱 한국자치행정학회 2017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1 No.1
최근 청소년들의 성인용 매체 중독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소년들의 성인용 매체 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들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뿐만 아니라 기존 선행연구들도 횡단 자료를 통한 분석에 한정하고 있어 청소년들의 성인용 매체 중독에 미치는 요인들의 인과관계를 추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4년 동안의「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중 1패널」자료를 사용하여 청소년들의 성인용 매체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휴대폰 과사용은 청소년들의 성인용 매체 중독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부모의 관심,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휴대폰 과사용에 따른 청소년들의 성인용 매체 중독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조절변수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최근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청소년들의 성인용 매체 중독에 대한 학문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해주고 있다. Excessive adolescent’s mobile phone can be associated with a number of negative outcomes. Therefore, mobile phone addiction becomes an issue of great concern that requires further exploration.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phone overuse and adolescents’ pornography addiction. Analyzing the 2011-2015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data, we found that mobile phone overuse has negative effects on the pornography addiction. In addition, the high levels of parent’s relationship and school life(peer and teacher) have positive moderating effects on mobile phone overuse and youths’ pornography addiction. This result suggests some insights that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addiction prevention policy and dealing with problems caused by adolescent’s mobile phone overuse.
전대성 慶北專門大學(영주경상전문대학) 2000 慶北專門大學 論文集 Vol.18 No.-
The most important survival strategy of the states in the 21 century is to construct knowledge state. In order to do it, it is necessary to realize the knowledge government and it is established through knowledge administration. The knowledge based-economy which knowledge becomes the core-sources of the competitive advantage in all areas arrives. All economic subjects such as an individual, an enterprise and government etc cannot but fail unless they elevate competitive power by using knowledge. Therefore state is rebuilt as knowledge state, government as knowledge administration, an enterprise as knowledge management, an individual as Homo-Knowledgian. With this in mind, this paper attempts to provide the practical plan of the knowledge administration as the alternative approach to upgrade the competitive power in the local government. We must realize to face the crisis of the being in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as well as the absence of the leadership in the state management unless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is reborn as the knowledge administration. The realization of the knowledge administration is asked more and more in the present circumstance that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government dominates that of the state.
전대성,김동욱 한국자치행정학회 2016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0 No.3
최근 증가하는 사이버폭력이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청소년층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폭력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이런 사이버폭력에 대한 문제는 단지 청소년층 에 한정된 것이 아닌 성인층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인층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폭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터넷진흥원의 「2014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를 사용하여 성인들의 사이버폭력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청소년들과 동일하게 사이버폭력 피해를 경험한 성인들은 사이버폭력 가해에 가담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법적처벌을 인식할수록 그리 고 가족 간의 관계가 좋을수록 사이버폭력 가해행위에 가담할 가능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 났다. 하지만 사이버폭력 피해를 당한 성인들의 사이버폭력 가해행위에 가담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한 교차항 분석은 유의미하지가 않다. 이런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성인들 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폭력에 대한 학문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해준다. Although a number of studies have examined factors that influence youth cyberviolence, only a few have analyzed the effects of those factors on adult’s cyberviolence.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victimized experience and cyberviolence behavior of adult victims. Using the 2014 Korean Internet& Security Agency’s survey on cybervioelnce, we found that cyberviolence victimized experience affects the probability of committing cyberviolence of adults. However, we found no positive effect on the decrease of cyberviolence among ad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esearch on cyberviolence should take into account an adult group as well as youths. Also, future studies on cyberviolence should take factors into consideration associated with the decrease of cyberviolence among adults.
전대성,박준호 경운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0 産業技術硏究論文誌 Vol.3 No.1(B)
Global motion by the translation and rotation of camera affects all over the frame in video sequences. With this kind of video sequences, it is impossible to extract exact video object using change detection technique and to obtain high compression ration due to large motion vectors. This problem can be resolved when the global motion compensated video sequences are used. The existing camera motion estimation methods for global motion compensation have a large amount of comput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imple global motion estimation algorithm that contains no repetition. The algorithm uses information of symmetric points contained in the frame of the video sequence. The determining equations to distinguish regions from foreground are also presented. Using the MPEG test sequences we performed experiments and the results are included in the last part. The real-time processing capability of the proposed technique can be applicable to many MPEG-4 related area.
개발촉진지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경북북부지역을 중심으로
전대성,권오인 慶北專門大學 2002 慶北專門大學 論文集 Vol.21 No.-
개발촉진지구(development promotion districts) 지정은 「개발수준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은 지역 등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제정되었다. 그러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지원하고 있는 공공부문 사업비중이 매우 낮고, 개발사업의 대부분은 관광사업을 중심으로 계획되어 있으며 지역특화사업은 미미한 상태이다. 또한 경제적 타당성과 관계없이 자체적으로 개발계획의 수립 등으로 인하여 민간투자자의 사업추진이 불투명한 상태이다. 앞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의지와 일관성 있는 정책을 펴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정부의 실현 의지가 없는 법령은 아무리 그 취지가 좋아도 효과를 거두기가 어렵다. 또한 개발촉진지구 사업에 대한 사업평가제도를 도입하여 여건상 계속적 추진이 곤란한 사업과 타지역의 중복투자사업도 과감히 정리할 필요가 있으며, 낙후지역의 입지특성 및 지역의 산업특성을 고려한 특화사업이 다양하게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Development Promotion Districts(DPD) Is enacted by law for the need of promoting development of regions which are very lower undeveloped rate than others. But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little support the public projects and most concentrate in the tourism, the local characterization business Is meager. And the private investor's management is unclear on the cause of the establishment of development plan without the relation of the economic validity. For solution of these problems, the government's will and consistent policy are most important. The laws without government's achievement desire, are not effect even good purport. The non-consistent business and it overlapped with other region are cleared by the operation of evaluation institution which estimates the DPD project. And the characterized busines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underdeveloped region and of industry had better be operated.
지방자치시대 친환경적 지역개발의 대안으로서 환경관리레짐의 구축방안
전대성 慶北專門大學(영주경상전문대학) 1999 慶北專門大學 論文集 Vol.17 No.-
오늘날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환경위기는 자연보호운동, 공해추방운동이나 쓰레기분리수거와 같은 단편적인 운동으로 극복할 수 있는 단계는 이미 지났고 인간과 자연과의 공생관계를 강화하여 지속가능한 공동사회가 이루어질 때, 비로소 해결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지속가능한 공동사회의 구축은 인간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데 이를 가능케하는 요소가 환경지향적 기술혁신, 환경지향적 의식전환 그리고 환경보전형 생활양식이라고 하겠다. 이제 환경위기를 맞아 우리는 그동안 잊혀졌던 전통적 동양의 자연관에서 환경보호를 위한 지혜를 배워야 할 때가 되었다고 본다. 동양의 자연관은 자연은 인간의 종속물이 아니며 인간 역시 자연의 일부로서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 나가지 않으면 안 될 생명체라는 사실을 일깨워 주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과 같은 생태위기의 극복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인류 중심적인 윤리관을 버리고 동식물 등 비인류적인 존재들도 도덕적으로 배려하는 새로운 윤리체계가 정립되어야 하겠다.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윤리체계를 바탕으로 한 효과적인 환경관리레짐의 선결적 구축과 이의 실효성을 담아 내는 환경관리레짐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모든 지혜가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악성민원이 지방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공공봉사동기와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전대성 감사연구원 2024 감사논집 Vol.- No.43
Recently, as the emotional labor of civil servants ha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malicious complaints,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effect of malicious complaints on job satisfaction. Still, there is very little discussion on thi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the degree of work performance disruption due to malicious complaints on the job satisfaction of local civil servants.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the moderating variable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as additionally examin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work performance disruption due to malicious complaints from local civil servants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unlike previous studies, the moderating variable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leadership did not offset the negative impact of malicious complaints on job satisfaction. Thes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academic and policy efforts are needed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 of malicious complaints on job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