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의 입학전형 유형별 교직 적·인성 특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전경희(Kyong Hee Chon),조안나(Anna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입학전형 유형별 교직 적·인성 특성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교직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예비교사의 적·인성 관련 잠재변인들의 요인구조를 분석하고, 입학전형 유형에 따른 집단 간 교직 적· 인성 요인구조를 비교하며, 학업성취도에 대해 교직 적·인성이 어떠한 매개효과를 지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교원양성기관에서 교직과정을 이수중인 4학년 학생 110명에 대한 교직 적·인성 측정 자료와 학업성적 및 대입전형 정보를 연계하여 연구 자료를 구성하였다. 전형유형별 교직 적·인성 수준 및 요인구 조에 대한 분석 결과, 입학 전형 유형이 다른 학생 집단 간 교직 적·인성 수준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교직 적·인성 하위 요소 중 언어·의사소통력과 지도성이 교직 적·인성을 예측하는 데 가장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입학전형 유형에 따른 예비교사 집단 간 교직 적·인성 잠재변인의 요인구조가 상이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입학전형 유형별 대학생들의 학업 성적에 대한 교직 적· 인성 요인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시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의 경우 학업성적과 교직 적·인성 점수 간 정적인 상관은 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확보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 교직 적·인성 함양을 위한 정책 방향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actors related to preservice teachers dispositions. In particular, the study was intended 1) to compare character traits, ap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wo preservice teacher groups, 2) to explore factor structures of preservice teachers character traits, and 3)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reservice teachers’ aptitude and character traits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For these purposes, data were collected for preservice teachers’ responses to the self-monitoring instrument of their aptitude and character traits, and were combined with the academic achievement records, which were measured by a grade-point averag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with covariates model and the multiple indicators and multiple causes model. In addition, the single-level simple mediation analysis model was employe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reservice teachers’ character traits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skills have the strongest factor loadings, implying that these two traits were the most effective predictors in accounting for preservice teachers’ aptitude and character tratis. However, the factor structures were not found to be different between the regular admission group and the admission officer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academic management and college admission procedures for preservice teachers.

      • KCI등재

        교직 적·인성에 대한 잠재집단 분류 및 영향요인 분석

        전경희 ( Chon Kyong 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원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교직 적·인성 측정 결과에 대한 잠재집단 분류 및 영향요인 분석을 통해 우수교원 양성지원 정책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설치된 교원양성기관에서 2014년과 2015년에 걸쳐 교직 과정을 이수 중인 339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교직 적·인성 검사에 대한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교직 적·인성 검사도구에 대한 응답 자료로부터 측정구인별 총점을 산출하여 교직 적·인성 특성 관련 잠재집단 분류를 위한 측정지표로 사용하였다. 교직 적·인성에 대한 잠재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 세 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프로파일별 패턴 분석을 통해 각각 ‘교직 적·인성이 높은 수준’, ‘교직 적·인성이 보통 수준’, ‘교직 적·인성이 낮은 수준’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교직 적·인성 수준이 가장 높은 집단에 속한 학생들은 14개 측정 구인에 걸쳐 대체로 고른 성취와 발달을 보였으며, 특히 소명감·교직관과 계획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교직 적·인성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집단에 속한 학생들일수록 측정구인별 점수의 편차가 큰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잠재집단 분류의 영향요인으로 투입된 변인 중 학생 성별과 교직 동기에 의해 교직 적·인성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수준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분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교직 적·인성검사 자료에 잠재프로파일 분석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방법론적 확장을 통해 검사 자료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로부터 도출된 연구 결과는 교직 수행을 위해 필요한 인성과 전문성을 갖춘 우수교원 양성지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교원양성지원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to measure preservice teachers’ aptitude and character traits in the course of teacher education. In this study, latent profile analysis (LPA) method was applied to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2014 and 2015 administrations for students who attended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at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Kyunggi-do, South Korea. The sum score of each of the 14 constructs was calculated from the responses to the teacher’s aptitude and character assessment instrument. These sum scores were used as measures for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groups according to their aptitude and character traits. The results of the LPA indicated that the groups can be interpreted as ‘low’ (latent group 1), ‘high’ (latent group 2), and ‘average’ (latent group 3) in terms of their levels of aptitude and character traits as teachers. After classifying latent group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effects of predictors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latent groups. Among a variety of predictors, student gender and motivation for applying to a teachers’ licence were the most effective predictors in classifying the latent groups by preservice teachers’ aptitude and character tra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serve as critical information and evidence for making policy decisions regarding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preservice teachers.

      • KCI등재

        직업기초능력평가의 문제해결력 측정을 위한 평가틀 개정 방안

        전경희(Chon, Kyong Hee),온정덕(Ohn, Jung-Duk),김자영(Kim, Ja Young)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4

        본 연구는 미래사회 역량을 반영하기 위한 직업기초능력평가 개선 맥락에서 문제해결 영역 평가틀 개정의 구체적인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 고찰, 현행 평가틀 분석, 포커스 그룹 및 전문가 패널의 의견 수렴 과정을 통해 평가틀 개정을 위한 주요 쟁점과 개선 사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로 평가 영역 재구성에 의해 분석적 문제해결, 창의적 문제해결, 협력적 문제해결 영역으로 세분화한 후 각 평가 영역에서의 측정구인을 정의하였다. 주축(내용×행동)과 보조축(상황)으로 구성되어 있는 현행 평가틀 구조를 「빅아이디어×문제해결과정×문제해결맥락」의 3차원 구조로 재설계하였다. 빅아이디어의 세부 요소는 지원관리, 정보활용, 기술활용, 시스템적 사고이며 문제해결과정은 문제인식, 대안탐색 및 선택, 전략수립 및 실행, 평가 및 성찰이며 문제해결 맥락은 발생형, 탐색형, 설정형으로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직업계고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지원하기 위한 평가 체제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ocedures for revising the assessment framework of problem solving in the context of vocational competency tests. Key issues and areas of improvement for the revision of the assessment framework were drawn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 analysis of the current framework, and interviews with focus groups and expert panel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test domain is restructured by subdividing into analytical, creative, an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domains. Furthermore, the current structure, consisting of the main axis (contents × skills) and the auxiliary axis (situation), was redesigned into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big idea × problem-solving process × problem-solving contex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ed various ways to support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orkplace skills and career readiness by improving the overall curriculum and the evaluation system.

      • KCI등재

        대학 입학전형 인성평가 요소에 대한 예비대학생의 인식 분석

        전경희 ( Chon Kyong 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5

        본 연구에서는 대입전형 인성평가 내실화 방안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비대학생 1,25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인성교육과 인성평가 관련 다양한 쟁점들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에 앞서 대학별 전형자료 분석과 전문가 델파이조사를 통해 대입전형 인성평가에서 공통적으로 반영되고 있는 인성요소를 추출하였으며, 그 결과 성실성, 창의성, 개방성, 정직성, 타인배려,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을 포함한 8개 요소가 추출되었다. 대학별 공통 인성평가 요소에 대한 예비대학생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초중고 교육과정에서 대인관계능력, 타인배려, 정직성 관련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반면, 창의성, 개방성, 자아존중감 관련 프로그램 운영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인식되었다. 8개 인성평가 요소 중 일부 항목에서 내신등급별 인식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전공계열별 인식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 현장의 인성교육과 대입전형 인성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적 제언 사항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character evaluation in college admissions by investigating pre-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character education and evaluation components. The survey used i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pre-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character education and evaluation components, by examining students’ level of importance, appropriateness, and experience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ir classrooms and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urvey indicate that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with components such as care for others, interpersonal skills, and sincerity were perceived as the most effective program. However,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creativity, openness, self-esteem were perceived as the least effective. In some of the eight character evaluation components, students’ perceptions of character education and evaluation components differ by academic achievement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combination with existing research findings, provide practically applicable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haracter education implementation as well as the validity of character evaluation process in the college admission setting.

      • KCI등재

        Effects of Model-Data Misfit on IRT Equating for Polytomous Data

        전경희(Kyong Hee Cho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6 교육평가연구 Vol.29 No.4

        이 연구에서는 모형-자료 부적합이 다분 문항반응반이론 모형을 이용한 동등화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비등등집단 가교문항 동등화설계를 가정한 모의연구를 통해 모형-자료 간 부적합 정도와 가교문항 및 일반문항 세트 내에서의 부적합 문항의 위치 등의 조건을 달리하였을 때 다분문항반응 자료에 대한 동등화 결과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점수변환표 상에서의 일치도와 동등성 지표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모형-자료 간 부적합 문항이 포함될 경우 점수변환체계 상의 동등화 관계에 있어 왜곡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왜곡 현상은 부적합 문항이 가교문항 세트 보다 일반 문항세트에 포함될 경우 더 심각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등성 지표를 이용한 결과비교에 있어서도 부적합 문항이 일반 문항세트 중에 배치될 때 부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또한, 모형-자료간 부적합 정도와 검사 내 부적합 문항 위치에 따른 영향을 비교할 때 부적합 문항의 위치에 의한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model-data misfit on polytomous IRT equating under the common-item nonequivalent groups design. A simulation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equating results according to different impacts and aspects of model-data misfit. The study factors include the proportion and the location of misfitting items on uncommon and common item sets. Equating results from different misfit conditions were evaluated based on two criteria: consistency in score conversions and equity properties. This study found that the equating relationship was substantially altered when a test from involves misfitting items in comparison to the situation where no misfit exists. Distortion of the score conversions tended to be more severe when misfits occurred in uncommon items rather than common items. First- and second- equity properties were not well achieved when uncommon items were functioning as misfitting items. The location of misfit rather than proportion of misfit has a larger impact on the equating results.

      • KCI등재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대학 입학전형 유형별 학업성취도 변화 추이 분석

        전경희 ( Kyong Hee Chon ),김자영 ( Ja Young Kim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논총 Vol.38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 입학전형 유형에 따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성장 추이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A대학교의 학업성취도 현황에 대한 종단자료를 분석하였다. 대학생의 학업 성적에 대한 관측변인이자 종속변인인 학업성취도는 2011학년도 1학기에서부터 2013학년도 1학기에 걸친 5개 시점에 대한 학기별 GPA로 측정되었으며, 입학사정관전형과 정시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와 성장 추이를 비교하였다. 공변인 확인적요인분석모형과 다집단 잠재성장모형 등을 적용한 분석 결과, 정시전형 학생 집단이 입학사정관전형 학생 집단에 비해 전반적으로 학업성취도가 높았으며 성장 속도 역시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두 입학전형 유형 집단 간 학업성취도 성장모형의 초기값과 기울기가 다르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입학전형 유형별 사후 학사 관리를 위한 정책 방향과 학생부종합전형 절차의 타당성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undergraduate achievement trends based on university admission types using longitudinal data collected from university A. Student achievement as a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using grade-point averages (GPA) at five points in time from the 2011 spring semester to the 2013 spring semester. The factor structure and growth factors of students` achievements were compared in two student groups: one group admitted by the regular admission type, and the other group admitted by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For the analysis methods, multiple indicators and multiple causes (MIMIC) and multi-group latent growth model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regular admission group outperformed the admission officer group, and the regular admission group showed higher growth rates than the admission officer group. These result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validity of college admission procedures and academic management for undergraduate students.

      • KCI등재후보

        대학 입학전형 유형별 학업성취도 변화 추이 분석

        전경희(Kyong Hee Chon),이빛나(Bitna Lee)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4 교육연구 Vol.46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 입학 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입학 시점과 전형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 변화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재학 기간 경과에 따른 종단적 학업 성장 추이 분석에 초점을 두어, 수도권 소재 K대학의 최근 5개 학년도에 걸쳐 축적한 입학생의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2018∼2022학년도에 걸쳐 대체로 서류면접, 서류, 교과, 정시전형 순으로학생들의 성적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류전형 학생들의 경우 코로나 전후 성적 양상에 변화가 나타나는데 코로나 이전 학기에는 정시 전형 학생들과 유사하게 상대적으로 저조한 성적을 보인 반면 2020학년도부터 가파르게 성취도가 향상되어 교과전형과 역전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또한, 2018학년도, 2020학년도 성적 자료에서 재학 기간과 전형유형 간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를 통해 재학 기간 경과에 따른 학업성취도 변화 추이가 전형유형별로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입학 시점부터 재학 기간에 걸쳐 축적된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학업 성장을 종단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대학 교육성과 점검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trends in academic achievement over the past five academic years among admitted students. Focusing on the longitudinal analysis of academic growth, we utilized panel data from students admitted to K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from 2018 to 2022. The analysis revealed that trends in academic achievement varied differentially based on the year of admission and admission typ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GPA data from 2018 to 2022, students generally outperformed in the order of document-based interview, document-based, high school subject achievement-based, and test score-based admission types. Particularly, for students admitted through document-based admission, there was a distinct change in the grade trend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Furthermo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enrollment period and admission typ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academic performance data for the years 2018 and 2020. This indicates that trends in academic achievement over the enrollment period differ by admission types. The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by longitudinally analyzing students' academic growth from admission to enrollment, contributing to the assessment of university education outcomes.

      • KCI등재

        경기도 중학생의 인지적, 사회적, 자율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김자영 ( Kim Ja Young ),전경희 ( Chon Kyong 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3

        학생들이 미래사회에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인 인지적, 사회적, 자율적 역량 관련 다양한 교육 정책을 수립하고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성과를 설명할 수 있는 학교 단위의 객관적인 데이터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학생의 인지적, 사회적, 자율적 역량을 측정하여 학생의 역량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활동 관련 변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성과를 학교 단위에서 통합된 학생의 인지적, 사회적, 자율적 역량 수준으로 설정한 후 이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여건, 교육운영, 교육활동 관련 변인의 효과를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여건 관련 변인 중 독서활동이 인지적, 사회적, 자율적 역량에 걸쳐 공통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갖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운영 관련 변인으로는 교사의 사기, 학습자중심수업 운영, 학교 및 교직만족도가 해당되며, 교육활동 관련 변인으로는 학습동기, 자기주도학습, 교사의 수업 운영에 대한 인식 등이 포함되었다. 이밖에도 학생 간 협동학습과 다양한 학습경험이 사회적·자율적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주요 분석 결과에 대한 요약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lthough various educational policies related to cognitive, social, and autonomous competencies, which are core competencies that students must have in the future society, are established and relevant projects are being implemented, there is a lack of evident data at the school level to explain the outcomes as a results of such educational effo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riables related to educational activities that affect the level of students' competency by measuring students' cognitive, social, and autonomous competenc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To this end, educational outcomes were set as the level of cognitive, social, and autonomous competency of students who were aggregated at the school level, and the effects of variables in educational conditions, operations, and activities were examined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reading activity was the factor showing a significant influence in common across cognitive, social, and autonomous competencies. The predictors related to the educational operations affecting cognitive competency included teacher morale, learner-centered class operation, and school and teaching job satisfaction. Th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educational activities included learning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student’s perception of teacher class operation. In addition, cooperative learning among students and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and autonomous competencies. Finally, a summary of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presented.

      • KCI등재

        일반진단모형을 활용한 수학과 학업성취도 및 정의적 특성의 국제 비교

        서민희 ( Seo Minhee ),전경희 ( Chon Kyong 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2

        세계 각국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국제비교 연구에서 주요 교육 성과지표에 대해 국가 간, 문화 간 차이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제 학업성취도 비교연구 자료를 통해 아시아 문화권과 서구 문화권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특성을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반진단모형(general diagnostic model; GDM)을 적용하여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TIMSS) 수학 성취도 및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응답 자료의 잠재적 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각 문화권을 대표하는 국가로 우리나라(371명), 일본(315명), 미국(656명), 영국(284명)을 선정하여 4개국으로부터 총 1,626명의 학생들의 수학성취도와 교과 태도, 교사에 대한 인식, 자신감, 가치인식을 포함한 정의적 특성 관련 척도에 대한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 성취도와 정의적 특성 자료에서 아시아와 서구 문화권으로 분류되는 두 개의 잠재집단이 확인되었으며, 수학성취도와 정의적 특성이 각 문화권에서 각각 다르게 식별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udents’ math achievements measured in cognitive and noncognitive domains using TIMSS 2011 data collected from four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N=371), Japan (N=315), United States (N=656), and United Kingdom (N=284). Students from these four countries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s of Asian/Eastern and Western cultural backgrounds, respectively. A general diagnostic model (GDM) was applied to analyze the latent structure of response data on the math achievement and attitude scales.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wo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into student groups representing high-achievers and low-achievers in math achievement. Higher percentages of students in South Korea and Japan were classified into the “high-achievers in math achievement” group. Similarly, two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into student groups representing high-achievers and low-achievers in math attitudes. Higher percentages of students in United States and United Kingdom were classified in the “high-achievers in math attitudes” group. Thus, this study reveals that students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i.e., Asian/Eastern versus Western cultures) perform differently in math achievements and attitude domains.

      • KCI등재

        초등단계 혁신학교 재학 경험이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서민희 ( Seo Minhee ),전경희 ( Chon Kyong Hee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논총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교육종단연구 자료 분석을 통해 혁신학교의 재학 여부가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종단적으로 평가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교육종단연구의 초등학교 5학년∼중학교 2학년의 4개년도 패널 자료를 토대로 다집단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의 학업성취도 및 성취 성장률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국어, 수학, 영어 세 교과에서 모두 초등학교 5학년 시기에는 혁신학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일반학교에 비해 다소 낮았으나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혁신학교 학생들의 점수가 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세 교과에서 공통적으로 초기 시점으로 설정한 초등학교 5학년 학업성취도 점수에 대하여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간 차이가 없었으나 학년이 높아지면서 성취도점수의 변화율은 혁신학교에서 더 가파르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성장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초등단계 혁신학교에 재학한 학생들이 장기적 학업성취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단계 혁신학교 재학 경험이 장기적 관점에서 인지적 성취의 성장을 이끄는 데 긍정적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혁신학교에 대한 교육성과 검증 시 초기단계의 집단별 차이를 고려한 장기적 관점에서의 학업성취도 분석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Hyukshin schools by focusing on the growth rate of academic achievement scores. For this purpose,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data for grades 5 through 8 collected across four consecutive years were analyzed to compare academic achievement and its growth between regular schools and Hyukshin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chievement for the fifth graders of the Hyukshin schools was somewhat lower than that of the regular schools; however, the achievement for the Hyukshin school students tended to increase as they progressed. Second, the growth rate curve was steeper for the Hyukshin school students and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t was found that long-term academic achieve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students who attended Hyukshin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experience in Hyukshin schools plays a positive role in driving the growth of the cognitive achievement in the long term. Additionally, we suggested follow-up research to analyze the educational outcomes of Hyukshin school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considering group differences in the initial s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