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경제발전을 위한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 모색

        장재홍 ( Jae Hong Jang ) 한국응용경제학회 2009 응용경제 Vol.10 No.2

        이 글에서는 지역정책이 헌법적 기초를 갖는 국가 정책 의제 중 하나라는 점, 그리고 그것은 지역간 경제적 수렴을 위한 차등화 정책을 의미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클러스터 정책 틀은 여전히 유효하며, 이를 토대로 인프라 정책을 보완한 정책 조합이 필요하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참여정부 지역정책의 문제점을 조감하고 신정부의 정책이 참여정부의 정책과 다른 점, 광역경제권 구상 및 기초생활권 구상, 초광역개발권 구상 등 신정부 주요 정책의 쟁점, 향후의 지역정책 기조 및 신정부 지역정책 보완 방향, 수도권 규제 완화 관련 주요 연구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I presented a definition of regional policy as the policy for inter-regional economic balance through the catching-up process of lagged regions. On this definition the regional policies of the previous Roh Moo-hyun government and the present Lee Myung-bak government were compared. I argued that the cluster-based policy framework is still valid but should be complemented with infrastructure policies for the better policy-mix. The relationship betwee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other regions, and the needed areas of future study were also presented.

      • KCI등재

        워싱턴 컨센서스 이후의 지역정책 논의 동향과 시사점

        장재홍(Jang, Jae-Hong) 한국공간환경학회 2011 공간과 사회 Vol.21 No.3

        2008년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이른바 워싱턴 컨센서스에 입각한 신자유주의 패러다임에 대한 비판적 성찰 위에 지역정책의 논거와 추진방향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고 있다. 특히 지역 간 차별화의 타당성에 대한 세계은행과 EU 및 OECD의 대립, 크루그먼(P. Krugman)의 신경제지리학(NEG)의 유용성에 대한 자기비판, 클러스터 정책의 보편화 및 유효성에 대한 비판 등 중요한 이론적, 정책적 논쟁이 진행 중이다. 본고에서는 최근의 지역정책 논의 동향을 개관하고, 세계은행과 EU/OECD 간의 논쟁을 정리한 다음 지역정책의 정체성, 적정 공간 범역, 지역발전의 형평성과 효율성, 지역 간 차별화 방향 등의 관점에서 논평하였다. 이러한 논평에 입각하여 향후 지역정책 방향을 크게 두 가지로 정리, 제언하였다. 지역정책의 위상 확립과 패러다임 재정립, 광역경제권 전략 추진 기반 강화 등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발전위원회의 위상 및 기능 강화, 중앙부처간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이 선결과제이다.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2009, the neo-liberalist paradigm of economic development policy based on the Washington Consensus has been criticized and a chorus of voices began to proclaim that it has ended. In regional policy area the World Bank published an important report based on the Washington Consensus view and the EU/ OECD also published a few important reports based on the Post-Washington Consensus policy framework in 2009 and 2010. In addition P. Krugman self-criticized the effectiveness of the NEG in 2011 which is a theoretical basis of the World Bank report.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recent trends in regional policy and evaluate the debates between the World Bank and the EU/OECD on the rationale and the framework of regional policy. I made a few suggestions on the future framework of the Korean regional policy; establishing the status of regional policy in the national policy agenda, strengthening the basis of the 5+2 Economic Region development policy, enhancement of the effectiveness of cluster policy.

      • KCI등재
      • KCI등재

        중학생의 학습전략 종단적 변화 양상 및 영향요인 탐색

        장재홍 ( Jaehong Jang ),조애영 ( Aeyoung Cho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1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습전략 종단적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변화 양상을 토대로 학습전략 유형을 구분하여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 제4-6차년도 학생 5,341명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중학교 1학년에서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총 3개년도 시점의 학습전략 변화 양상을 잠재계층성장분석(Latent Class Growth Analysis: LCGA)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전략 유형은 각각 ‘하강집단’, ‘상승집단’, ‘유지집단’으로 나뉘었다. 둘째, 독서활동은 학습전략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의 자기이해와 자기효능감은 학습전략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친구와의 관계보다는 교사와 부모와의 관계가 학습전략을 높이는 데 유의한 영향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별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학습전략의 종단적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 양상에 기초하여 학습자 개개인에게 필요한 학습전략을 지원하며 효과적인 학습전략 제고를 위해 다양한 방안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longitudinal changing aspects in the learning strateg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each type by distinguishing the types of learning strategies based on the changing aspects. For the analysis, data with 5,341 students in the 4th-6th year of the 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were used, and changes in learning strategies of three-year point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LCGA) from 1st to 3rd year of middle school. A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learning strategies were divided into ‘falling groups’, ‘rising groups’ and ‘maintenance groups’, respectively. Second, reading activities c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hanges in learning strategies. Third, learners’ self-understanding and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hanges in learning strategies. Fourth,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teachers and students-parents were an important influence variable in enhancing learning strategies rather than friendships.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confirmed that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changes in learning strategies at various point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earners. Based on these changing aspects, it is needed to support learning strategies each students need and enhance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with various measures.

      • KCI등재

        전문성 개발 활동 개선을 위한 교사 인식 분석 : 긍정적 특성, 지원요인, 방해요인을 중심으로

        장재홍(Jaehong Jang),신범철(SHIN BEOMCHUL)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1

        본 연구는 교사 전문성 개발 활동의 긍정적 특성과 교사 전문성 개발 활동에 미치는 지원요인과 방해요인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교원 및 교직환경 국제비교 조사(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TALIS) ’3주기(2018) 결과 중 한국 교사 데이터(초등교사 3145명, 중등교사 2829명)를 활용하였으며, 학교급 및 교직경력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중등교사 공통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와 지식을 시연 적용하며, 활동적 학습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는 전문성 개발 활동에 대하여 긍정적인 특성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초·중등교사 공통적으로 21년 차 이상의 고경력 교사들과 다른 경력의 교사 간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초등교사와 중등교사의 전문성 개발 활동 인식 여부에 따른 지원요인·방해요인에 유의한 인식 차이를 보였으며, ‘적합한 전문성 개발 활동 부족’이 공통적으로 긍정 인식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의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연구결과에 따라 학교급, 교직경력별 대안을 제시하고, 교사의 전문성 개발 노력에 필요한 개선책 마련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positive feature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upport and barriers factors o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we used Korean teacher data from the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18 and confirmed the differences school level and teaching career(3145 elementary school teachers, 2829 secondary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recognized the application of new ideas and knowledge the provision of active learning opportunities as positive feature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highly experienced teachers with more than 21 years of career and other teachers in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pport and barriers for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according to whether they perceived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positively. In addition, the lack of appropriate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had the greatest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they perceived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positively.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 alternatives for each school level and teaching career, and try to help improv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 KCI등재

        창의적 사고 역량 향상을 위한 수업 및 평가방법 탐색

        장재홍(Jaehong Jang)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2 창의력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학생의 창의적 사고 역량 유형을 확인하고, 각 역량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및 평가방법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발산적 사고력, 독창적 유연성, 호기심 및 모험심, 탐구심을 지표변인으로 사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수업방법으로 개별화, 상호작용, 학생 참여형 수업 정도, 평가방법인 과정중심평가, 평가 피드백이 역량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행한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창의적 사고 역량은 3개의 잠재프로파일로 구분되었다. 둘째, 개별화 정도는 ‘상위 역량’ 집단을 구분하는 영향변인이었다. 셋째, 상호작용은 창의적 사고 역량 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학생 참여형 수업은 모든 잠재집단 구분에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영향변인이었다. 다섯째, 과정중심평가는 ‘일반 역량’과 ‘상위 역량’ 집단을 구분하였다. 여섯째, 평가 피드백은 모든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쳤다. 창의적사고 역량 향상을 위해 학습자의 적극성과 주도적 태도를 발현할 수 있는 참여 중심의 수업활동 구성, 학습의 결과뿐만 아니라 과정을 면밀히 살필 수 있는 과정중심평가, 이를 지원하기 위한 평가 피드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confirmed the student's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profile and the instructions and evaluation methods that affect the profile. LPA was performed using divergent thinking, creative flexibility, curiosity and adventure, and inquiry as index variables, and the degree of individualization, interaction, and students' classroom engagement was used as the instruction method, and process fortified assessment and evaluation feedback were used as evaluation methods. For the analysis, the 6th year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was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profiles. Second, individualization was an influential variable that differentiated the ‘higher competency’ profile. Third, interaction did not affect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profile differentiation. Fourth, students' classroom engagement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the differentiation of all profiles. Fifth, process fortified assessment differentiated the ‘general competency’ and ‘higher competency’ profiles. Sixth, evaluation feedback affected the differentiation of all profiles. In order to improve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foster learners' activeness and initiative attitude for student engagement classes. In addition, it should support process fortified assessment and evaluation feedback that can check the process as well as the result of learning.

      • KCI등재

        교사별 과정중심평가 방식에 따른 수업개선활동, 과제피드백, 교사효능감, 수업이해도 비교 분석

        장재홍 ( Jaehong Jang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4

        본 연구는 교사별 과정중심평가 방식에 따른 수업개선활동, 과제피드백, 교사효능감, 수업이해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교사별 과정중심평가 방식에 따라 수업개선활동과 과제피드백이 교사효능감과 수업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교육연구원이 실시한 경기교육종단연구(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이하 GEPS) 제7차년도(2018년) 고등학교 교사 데이터를 총 2754명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수의 교사는 교사별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이해정도와 필요성에는 공감하고 있으나, 평가방식의 기대 정도와 실제 수행교사들의 선호도는 이에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교사별 과정중심평가를 지필평가에만 적용하는 것은 수업개선이나 과제피드백,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수행평가에 교사별 과정중심평가를 적용하는 것은 과제피드백에 효과가 있었다. 넷째, 지필·수행평가 모두에 교사별 과정중심평가를 적용하는 것은 과제피드백과 교사효능감에서 다른 평가방식 적용보다 더 큰 효과를 보였다. 다섯째, 수행평가에만 적용한 경우와 지필·수행평가 모두 적용한 경우 미적용 집단보다 학생의 수업이해도 평균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여섯째, 지필·수행평가에 모두 적용한 집단의 경우 수업개선활동과 과제피드백이 교사효능감과 수업이해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수행평가만 적용한 집단의 경우 과제피드백이 교사효능감과 수업이해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교사별 과정중심평가 방식을 위한 제언을 하였으며, 교사별 과정중심평가는 학생의 수행과정 및 성장 과정을 평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fferences in (a)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b) task feedback, and (c) the level of understanding instructions of implementing the Teacher by Teacher Process Fortified Assessment (TPFA) Policy. This study also compared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and task feedback on teacher efficacy, 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instruction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2,754 high school teachers ’ data from the 7th-year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2018) conducted by Gyeonggi Institute of Educa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 it showed that the majority of teachers acknowledged the policy and its necessity; however, the level of expectations for the assessment, and the level of preference among teachers who implemented the policy were low. Second, the implementation of only the paper-based written test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instructional improvement, task feedback, nor teacher efficacy. Third, implementing performance-based assessment was effective on task feedback. Fourth, it was most effective when both written and performance-based assessment were implemented. Fifth, in both cases of solely implementing performance-based assessment, and combining performance-based, and written assessment, the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and task feedback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eacher efficacy 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instruc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TPFA should be implemented to reflect the assessment of the performance and the growth of th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