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교 남자 역도 선수의 척측 측부인대 초음파 검사

        장일웅,김세식,최창혁,Jang, Il-Woong,Kim, Se-Sik,Choi, Chang-Hyuk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3 No.2

        목적: 남자 고교 역도 선수에게서 나타나는 주관절 부위의 변화와 내측 측부 인대 손상의 정도 및 빈도를 초음파 검사를 이용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평균연령 16.8세(범위 16세-18세) 고교 남자 역도 선수 15명(실험군, Group I) 및 평균 연령 16.7세(범위 16-17세)인 대조군(Group II) 9명을 대상으로 하여 주관절 부위 병력 청취, 신체검사, 단순 주관절 방사선 촬영, 외반 부하 방사선 검사 및 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관절 주위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단순 방사선 촬영상 내측 관절 간격은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3.6 mm, 2.7 mm; p>0.05), 외반 부하 방사선 사진상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 되었다(우측 평균 5.86 mm 및 3.52 mm, p<0.01, 좌측 평균 5.33 mm 및 3.64 mm, p<0.01). 초음파 검사상 실험군에서 내측 관절 간격이 유의하게 증가 되어 있었고(우측 평균 4.66 mm 및 3.29 mm, p<0.01, 좌측 평균 8 mm 및 3.38 mm, p<0.01), 척골 근위부가 유의하게 외측 이동되어 있었으며(우측 평균 0.73 mm 및 1.43 mm, p<0.01, 좌측 평균 0.96 mm 및 1.53 mm, p<0.05), 주관절 각변형 또한 실험군에서(우측 A형 6례, B형 9례, 좌측 A형 9례, B형 6례), 대조군(우측 A형 9례와 좌측 A형 9례)에 비해 유의하게 나타났다. 실험군에서 운동경력(p>0.1) 및 우세팔 여부(p>0.05)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남자 고교 역도 선수들의 주관절 내측 이완성의 빈도가 높았으며, 동적 초음파 검사를 이용시 보다 효과적인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Purpose: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of the medial collateral ligament injury in elbow joints in the high school male weight lifting athlete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group (group I) included 15 male weight lifting athletes (average age: 16.8) and the control group (group II) was demographically matched 9 male with no symptoms on their elbow. Both elbow joint was evaluated through physical examination, plain radiograph, valgus stress view and ultrasonography. Results: On plain radiograp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3.6 mm, 2.7 mm; p>0.05) for the medial articular distances between both groups. The valgus stress view revealed the significant increase in group I (right, avr. 5.86 mm and 3.52 mm, p<0.01, left, avr. 5.33 mm and 3.64 mm, p<0.01). On ultrasonography, medial joint space was increased in group I (right, avr. 4.66 mm and 3.29 mm, p<0.01, left elbow 4.28 mm and 3.38 mm, p<0.01). The lateral shifting of proximal ulna also increased in group I (right, avr. 0.73 mm and 1.43 mm, p<0.01, left, avr. 0.96 mm and 1.53 mm, p<0.05). The angular deformity were more prevalent in group I. Conclusion: The medial joint space widening and angular deformity was prevalent in male weight lifting athletes. the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was useful in evaluating the degree and incidence of the medial collateral ligament injuries.

      • KCI등재

        견갑하 건 단독 파열에 대한 쇄골하 삽입구를 이용한 봉합술

        최창혁(Chang-Hyuk Choi),김신근(Shin-Kun Kim),장일웅(Il-Woong-Chang),김세식(Se-Sik Kim)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09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2 No.2

        목적: 저자들은 견갑하 건 단독 파열에 대한 쇄골하 삽입구를 이용함으로써 봉합나사못을 보다 적절한 각도로 삽입하고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봉합갈고리를 이용한 건 봉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었다. 대상 및 방법: 기존의 방법은 일반적으로 전방 및 전외측 삽입구를 이용하여 견갑하 건의 견인과 부착부 족문 (footprint)의 변연절제술을 시행한 후 봉합나사못을 삽입하여 복원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저자들은 삽입관을 따로 위치시키지 않고 쇄골하 삽입구를 이용하여 피하 (subcutaneous)로 봉합나사못 삽입과 봉합고리를 이용한 봉합사 통과작업을 시행하고, 전방 삽입구에만 삽입관을 위치시켜 봉합사를 결찰하여 견갑하 건 복원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및 결론: 이 술식은 간단하며 견갑하 건의 부분 파열이나 퇴축이 많이 되지 않은 전 파열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For an isolated tear of the subscapularis tendon, the presented technique using a subclavian portal provides both a good angle for anchor placement and sufficient space for managing the upper portion of a subscapularis tendon tear. Materials and Methods: The conventional method needs 2 additional portals for traction, debriding the footprint and anchor fixation for repair. The presented technique requires only an anterior portal for suture management and a subclavian portal without cannula for suture anchoring and placement of suture hooks. Results: The two suture limbs of the anchor can be placed on the subscapularis tendon by the switching technique and these limbs are repaired sequentially. Conclusion: This technique is simple and reproducible and it can be applied to partial tears and minimally retracted subscapularis tears.

      • 회전근 개 질환에 대한 초음파의 유용성

        최창혁,장일웅,Choi, Chang-Hyuk,Chang, Il-Woong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2 No.2

        회전근 개 질환에 대한 초음파 검사는 비침습적이며 동적인 검사이며, 최근의 발달을 통해 MRI에 비견할 만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초음파 유도하의 주사 치료뿐 만 아니라 회전근 개 복원술 등의 수술적 치료 후 추적 검사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초음파 장비의 발전, 검사자의 숙련도 및 병증에 대한 사전 지식은 초음파를 이용한 회전근 개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로 알려지고 있다.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for the rotator cuff disease is dynamic noninvasive study and the results is comparable to MRI on the behalf of recent development. It also can be used as a tool for guided injection and follow up study after rotator cuff repair. The development of equipment, learning curve and knowledge for the disease are the thre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critical role of the ultrasonography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rotator cuff disease.

      • 골안정성 결손을 가진 Bankart 병변에 대한 경 골-유사 교량형 봉합술식 - 술기 보고 -

        최창혁,김신근,장일웅,채승범,Choi, Chang-Hyuk,Kim, Shin-Kun,Chang, Il-Woong,Chae, Sung-Bum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2

        목적: Bankart병변에서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관절경적 치료는 관절와 가장자리에 점고정(point fixation)을 하여, 관절와 골 결손시에 적절한 부착부 족문(foot print)치유를 이루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저자들은 골성 Bankart병변에서 나사못 고정으로 인한 점접촉의 단점을 피하고 관절순의 교차압박을 통해 기계적 안정성을 개선시킬수 있는 경골-유사 교량형 봉합술식을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본 술식은 교량형 봉합술식을 통한 경 골-유사 회전근개 봉합술에서 응용되었으며, 이는 부착부 족문과 건 사이 평균압력과 압력이 가해지는 접촉면적을 개선시킨다. 골성 Bankart 병변의 경우 관절와 부착부의 돌출된 골병변은 제거하거나 다듬어주며, 골편이 가동성이 있는 경우 관절순과 함께 분리시킨다. 이후 2개의 나사못(3.0 mm Biofastak, $Arthrex^{(R)}$, Naples, FL)을 골성 Bankart병변 위, 아래 부위의 내측 연에 삽입한다. 관절와를 적당한 두께로 덮을수 있도록 하 상완관절와인대 부근 관절낭순의 내측에 봉합갈고리를 이용하여 봉합사를 각각 통과시켜 mattress봉합을 시행한다. 교량형 봉합을 위해서, 전방 관절와연의 관절측 가장자리에 3.5 mm pushloc 나사못 ($Arthrex^{(R)}$, Naples, FL) 구멍을 만든 후 먼저 원위 교량형 봉합을 시행하고, 이어 근위 교량형 봉합을 시행함으로써 근위방향으로 관절순을 가동시킬 수 있다. 본 술식은 나사못 고정으로 인한 점 접촉의 기술적 단점을 피하고 관절순 교차압박을 통해 간격형성을 감소시킬수 있는 이점이 있다. Purpose: Point fixation at the margin of the glenoid is a limitation of conventional arthroscopic stabilization using suture anchors, and does not afford sufficient footprint healing, especially in glenoid bone deficiency. So, we introduce an arthroscopic suture bridge transosseous-equivalent technique for bony Bankart lesions to avoid the technical disadvantage of point contact with anchor fixation and to improve mechanical stability through cross compression of the labrum. Surgical approach: The technique was adapted from the transosseous-equivalent rotator cuff repair technique using suture bridges, which improved the pressurized contact area and mean pressure between the tendon and footprint. After preparation of the glenoid bed by removal, reshaping, or mobilization of the bony lesion, two anchors (3.0 mm Biofastak, $Arthrex^{(R)}$, Naples, FL) were inserted into the superior and inferior portion of the bony Bankart lesion. Using a suture hook, medial mattress sutures were applied around the capsulolabral portion of the IGHL complex to obtain sufficient depth of glenoid coverage. A 3.5 mm pushloc anchor ($Arthrex^{(R)}$, Naples, FL) hole was made in the articular edge of the anterior glenoid rim. distal, suture bridge was applied, and proximal was inserted to mobilize the labrum in the proximal direction. This avoided the technical disadvantage of point contact with anchor fixation and decreased the level of gap formation through cross-compression of the labrum.

      • 만성구획증후군 및 스트레스 골절

        최창혁,백승훈,장일웅,Choi, Chang-Hyuk,Baek, Seung-Hoon,Jang, Il-Woong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9 No.1

        The prevalence of overuse syndrome in the lower extremity including chronic compartment syndrome and stress fracture is increasing with popularity of sports activities. Chronic compartment syndrome is defined as elevation of the interstitial pressure during exertional activities in a closed osseofascial compartment that results in microvascular compromise and operative procedures can be necessary if conservative treatments fail. Stress fracture can be classified as fatigue and insufficiency fracture; stress fracture occurs by repeated strain under abnormal conditions from the patient's activity whereas insufficiency fracture does by those from a process intrinsic to the bone. Most stress fractures occur in the lower extremity, most commonly in the tibial region. Fatigue fractures begin in athletes with the change in their training programs. The radiographic findings are usually diagnostic or at least strongly suggestive and MRI has proven to be a beneficial diagnostic tool for difficult diagnostic cases. Fatigue fractures are treated with a decrease in activity, but surgical procedure may be necessary in those in anterior cortex of the tibial diaphysis. 최근 스포츠 활동 증가로 인한 하지의 과사용증후군인 만성 구획증후군 및 스트레스 골절의 빈도가 늘어가고 있다. 만성구획증후군은 운동 중 근육의 부피 증가와 이로 인한 구획압 증가로 야기된 가역적인 허혈상태로, 보존적 치료로 호전되지 않는 경우 근막절개술 등의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스트레스 골절은 정상적인 골에 비정상적인 스트레스가 가해져서 발생하는 피로 골절과 비정상적인 골에 정상적인 스트레스에 의해서 발생하는 부전골절로 분류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스트레스 골절은 하지, 특히 경골부에 호발한다. 운동선수에서 피로 골절은 훈련 방법의 변화에 기인할 수 있고 진단은 일차적으로 단순방사선 촬영을 시행하며, 자기공명영상을 통해 확진 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휴식 및 단기간의 고정 등을 통한 보존적 치료만으로 증상의 호전 및 운동 복귀가 가능하나, 경골의 신연부에 발생한 경우 수술적 치료를 요할 수도 있다.

      • KCI등재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금속정 고정술 시행결과 : 감미정과 근위 대퇴정의 비교 Comparision Gamma Nail and proximal Femoral Nail

        고상봉,조명래,김태훈,장일웅 대한골절학회 2004 대한골절학회지 Vol.17 No.4

        목적: 대퇴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감마정과 근위 대퇴정으로 내고정을 시행하고 방사선학적, 임상적 결과 및 합병증을 비교하여 각각의 장단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2년 2월까지 대퇴 전자간 골절로 감마정과 근위 대퇴정을 이용하여 고정한 환자 중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으로 6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63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감마정군이 31예, 근위 대퇴정군이 32예이었다. 연령, 골절의 형태와 안정성에 따른 분류, 동반 질환, 골다공증의 정도, 환자의 활동 능력 등이 양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평가방법으로는 두 군 사이의 수술시간, 출혈량, 안정정복 획득의 감입 정도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시간은 감마정군은 평균 103±40분, 근위 대퇴정군에서 101±28분으로 통계적인의미는 없었으며 (p=0.801), 수술 중 출혈량은 근위 대퇴정군에서 적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p=0.601). 술 후 골절의 안정성 획득 여부는 감마정군 30%, 근위 대퇴정군 31%에서 안정 정복을 얻어 사용기구에 따른 고정의 안정성 획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934), 술 후 내반 고정의 빈도와 골절부위의 1.28단계의 보행능력 감소를, 근위 대퇴정군에서 평균 0.86단계의 보행능력 감소를 보여 역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p=0.383). 결론: 대퇴 전자간 골절치료에 있어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인 결과에서는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근위 대퇴 골수정이 수술시간, 출혈량 등의 수술 수기의 측면에서 조금 더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of the fracture using the Proximal Femoral Nail(PFN) or Gamma nail in patient with the intertrochanteric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9 to February 2002, we reviewed 63 patients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s including 31 patients managed with Gamma nail and 32 patients with PFN. In variate analysis of age, the pattern and stability of fracture, bone density(Singh index), preoperative patient activit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e evaluated the operation time, blood loss, stable reduction rate and varus reduction rate as operation-related factors, and radiologically investigated union, time, the frequency of delayed union and nonunion, failure of fixation, status of the fracture line and complications. Functional results were evaluated by the possibility of early ambulation, ambulation ability at last follow up, and the pre and postoperative difference of ambulatory ability. Results: Mean operation time was 103±40 minutes in Gamma nail group 101±28 minutes in PFN group.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801). Even though intraoperative blood loss was less in PFN group, it was significant(p=0.601). Postoperative stable reduction rate was 31% in Gamma nail group and 30% in PFN group(p=0.934), suggesting not significant. Postoperative varus reduction and impacted amount of the fracture ling was not significant. Delayed union developed in one case of Gamma nail group and 2 cases of PFN group. Mean loss of ambulation ability was 1.28 grade in Gamma nail group and 0.86 grade in PFN(p=0.383).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use of Student T test and Chi-square test. Analyses resulting in a p value of <0.05 were considered to show significance. Conclusion: Generally, the radiologic and clinical results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ere comparable for the PFN group and Gamma nail group. Even 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FN group had superior results in operation time blood than Gamma nail group for the fixation of the patients with interchanteric fra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