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ESG 위험관리 관점 공급망 실사 및 컴플라이언스를 통한 무역 활성화 방안

        장윤제 무역구제학회 2023 무역구제연구 Vol.0 No.68

        최근 ESG 관련 규제는 기존에 연성규범으로 존재하던 UN 및 OECD 등 국제기구의 비구속적 지침에서 각 국가의 법률로 강화되고 있다. 특히 무역과 관련하여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인권 이슈에 따른 수출통제와 더불어, 공급망 실사 및 이에 관한 공시에 대한 규제가 EU發로 역외적용까지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에 대하여 정부는 공급망 실사 대응에 관한 다양한 지원책을 펴고 있으며 기업 역시 여러 방법을 통해 대응하고 있으나, 법률적인 검토 및 이해가 부족하여 효율적인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우리 기업의 피해를 막고 무역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법률적 이해를 기반으로 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이에 따라 무역에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ESG 관련 규제를 개관하였으며, 관련하여 ESG 관점에서의 공급망 실사와 컴플라이언스에 대한 이슈 및 체계 수립 방안을 검토하였다. 또한 ESG 관점 공급망 실사 및 컴플라이언스를 위한 정책 및 입법 지원에 있어서 기업의 자율성과 효율성, 법적 적합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관련하여 입법, 행정, 기업 전문가로서 활동하고 있는 법률가의 역할을 조망하였다. Recently, ESG-related regulations have been strengthened from non-binding guideline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UN and OECD, which previously existed as soft norms, to national laws.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export controls based on human rights issues directly related to trade, regulations on supply chain due diligence and related disclosures are expected to be applied offshore as an EU initiative. In response, the government is providing various support measures for supply chain due diligence, and companies are also responding through various methods, but there is a risk that efficient responses may not be made due to a lack of legal review and understanding. Therefore, a review based on legal understanding is necessary to prevent damage to Korean companies and revitalize trade. In this study, we reviewed ESG-related regulations that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 trade, and related issues and systematic measures for supply chain due diligence and compliance from an ESG perspective. It also suggests ways to secure corporate autonomy, efficiency, and legal compliance in policy and legislative support for ESG supply chain due diligence and compliance, and examines the role of lawyers as legislative, administrative, and corporate experts.

      • KCI등재후보

        대량보유보고제도상 일반투자 요건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장윤제,원종현 법제처 2020 법제 Vol.690 No.-

        2020년 1월 29일 개정, 2020년 2월 1일 시행 자본시장법 시행령은 대량보유보고제도에 몇 가지 변화를 일으켰다. “경영권에 영향을 주는 것”의 예외조항을 두어 그 범위를 조정하고, 단순투자와 경영참여의 보유목적 이외에 일반투자라는 보유목적을 신설한 것이다. 이 개정은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에 따른 성실한 수탁자책임 이행을 위해 “경영권에 영향을 주는 것”의 범위를 합리적으로 조정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투자자의 관점에서 이 개정은 오히려 적극적 주주권 행사를 주저하게 만들 수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시행령 개정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일반투자 요건의 신설은 경영참여 목적이 없는 주주에게 보고 및 공시의무를 가중시킨다. 기존에 법원이 대량보유보고제도의 취지와 경영참여의 목적을 엄격하게 해석함을 살펴볼 때, 이러한 보고의무 차등화는 대량보유보고제도의 취지에 합치하지 않는다. 또한 개정에 참고한 해외의 입법례와도 정합하지 않아, 시행령 개정이 주주권의 행사를 합리적으로 규율하는지 포괄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국민연금 등 공적 연기금의 경우 스튜어드십 코드의 취지에 따라 대부분의 투자대상회사를 모니터링하고 그에 따라 주주권을 행사하게 된다. 그런데 일반투자 요건의 신설에 따라 기존에 비해 전반적인 공시 부담이 가중되고 운용전략의 노출이 불가피하게 되었으며 능동적 주주권 행사를 주저할 우려가 커지게 되었다. 개정 시행령에서 “경영권에 영향을 주는 것”의 예외조항을 둔 점은 기존에 경영참여 보유목적을 시행령으로 열거한 사항에 대해 사실상 영향력을 갖는 행위 전반으로 규정하였음을 고려할 때, 오히려 예외 조항을 제외한 모든 주주권 행사를 경영 참여로 오해하게 할 소지가 있다. 이에 “경영권에 영향을 주는 것”의 범위를 명확히 하고 그 외의 주주권 행사에 대하여는 경영참여로 보지 않는 규제방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자본시장법은 국민연금 등 공적 연기금에 관한 특례를 두어 일반투자자에 비해 보고의무를 완화하고 단기매매차익 반환의 면제 요건을 두고 있다. 그러나 시장의 투자 태양에 대한 경제적 분석이 없는 특례 대상 설정은 불합리한 차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주주권 행사의 원활화를 위해, 투자자의 투자방법과 투자현황에 대한 경제적 분석을 거친 입법을 통하여 합리적 의무 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이 원래의 개정 목적, 즉 기관투자자의 수탁자 책임 활동의 확대 지원이라는 위한 목적에 부합한 개정이었는지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요구된다.

      • KCI등재

        ESG 실사의 실무와 향후 과제 - 국내외 ESG 실사 사례를 중심으로 -

        장윤제,송수영 한국법정책학회 2024 법과 정책연구 Vol.24 No.1

        최근 투자대상회사의 ESG가 실사의 목적인 기업가치 확인 및 거래안전의 보장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ESG 실사가 적지 않게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조는 국내외의 대형 자산소유자 및 자산운용사 등 기관투자자가 자산운용의 위탁·일임 및 출자, 공동 투자 시 다른 투자자에게 ESG 투자 정책을 갖고 그 일환으로 ESG 관련 실사를 할 것을 요구하며 더욱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ESG 실사는 실무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학술적인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주요 기관투자자의 ESG 실사 정책과 사례를 소개하고 법과 정책의 담론에서 향후의 과제를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 해외 주요 사모투자자인 칼라일과 블랙스톤, KKR과 국내 주요 사모투자자인 IMM홀딩스, 스틱인베스트먼트의 실무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향후의 과제로 산업별 핵심 ESG 요소의 고려, 지역 및 규모에 따라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실사체계의 지속적 개선, ESG 요소의 투자 통합에 대한 성공사례 발굴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실사에서의 ESG 관련 법률 및 규제, 이니셔티브 대응 현황 검토 및 법률실사와 ESG 실사와의 통합 수행을 통한 효율성과 효과성 제고를 제안하였다. ESG의 가장 단기적이고 확실한 재무적 효과는 규제 준수에 있다. 법률 전문가의 ESG 전문성 확보 및 투자 전 과정에서의 전문성 발휘를 통해 향후 ESG 투자 성공사례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기를 기대한다. The recent growth in the importance of a target company's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in due diligence for verifying corporate value and ensuring transaction safety has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erformance of ESG due diligence. This trend is further strengthened by the demands of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al investors, such as large asset owners and asset management firms, for conducting ESG-related due diligence as part of their ESG investment policies during the delegation, entrustment, and co-investment processes with other investors. However, despite its widespread practical use, academic discussion on ESG due diligence has not been as active. In response, this paper introduces the ESG due diligence policies and cases of major institutional investors and examines future tasks within the discourse of law and policy. Specifically, it looks into the practical cases of major foreign private investors like Carlyle, Blackstone, and KKR, as well as domestic ones like IMM Holdings and Stick Investment, and proposes future tasks such as considering key ESG factors by industry,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 due diligence system that can be specifically applied according to region and size, and the discovery of successful cases of ESG integration into investments. Additionally, it suggests enhancing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through the review of ESG-related laws and regulations, initiatives response, and the integrated performance of legal due diligence and ESG due diligence. The most immediate and certain financial effect of ESG lies in regulatory compliance. It is hoped that through the acquisition of ESG expertise by legal professionals and the demonstration of expertise throughout the investment process, a continuous stream of successful ESG investment cases can be secured.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 모범규준의 개선방안에 관한 소고 – 주주권을 중심으로

        장윤제 한국상사법학회 2019 商事法硏究 Vol.38 No.3

        The corporate governance disclosure system was introduced in 2017 and the disclosure of corporate governance reports was mandatory for companies with assets exceeding 2 trillion won this year. However, the problem of corporate governance reports highlighting only the overly formal and positive aspects continues to be observed. For a soft landing of the corporate governance disclosure system and a voluntary improvement in corporate governance, disclosure of corporate governance reports needs to be supplemented first through soft rules rather than frequent revisions of corporate governance principles and report guidelines. The corporate governance code is a ductile norm and is not in effect effective. However, because the core and detailed principles of a corporate governance disclosure system are based on corporate governance code, corporate governance code can serve as a preliminary function for a corporate governance disclosure system. However, there are some aspects of this that might not be consistent with the laws in their content and the issue is that it is difficult to use them in conjunction with the disclosure system because they are less readable. In this paper, this problem is reviewed and improvement measures are presented for the use of corporate governance code. In particular, we have highlighted the areas related to shareholder rights, and we intend to address the risk of non-compliance with the laws of good practice and to increase the profit or loss of compliance. In the section concerning shareholders of corporate governce code, there is a provision that can be interpreted to enable shareholders to make a resolution on matters other than those provided in the Act. Since the law is not clear, it is advisable to amend the regulation to extend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by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only in matters that the law reserves the right of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In addition, the provision of active voting rights of shareholders as shareholders' responsibility should be deleted and replaced with matters concerning the revitalization of shareholders' meetings of listed companies. The provisions on the responsibilities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also need to be replaced by a faithful description of the responsibilities set out in the law, but need to be amended in such a way as to induce disclosure. In addition, by unifying the subjects of best-practice compliance and reorganizing distracting regulations into principle-based norms, it will be possible to enhance the benefits of compliance by strengthening the linkage with the corporate governance disclosure system. 2017년 기업지배구조 공시제도가 도입되고 올해 자산 2조 원 이상의 회사에 기업지배구조 보고서 공시가 의무화되었다. 그러나 기업지배구조 보고서가 지나치게 형식적이고 긍정적인 면만을 부각시킨다는 문제점은 지속하여 관찰되고 있다. 기업지배구조 공시제도의 연착륙과 자발적인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위해서는 기업지배구조 원칙 및 보고서 가이드라인의 잦은 개정보다는 먼저 연성규범을 통해 기업지배구조 공시제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기업지배구조 모범규준은 연성규범으로서 그 사실상 효력이 강하지 않다. 그러나 기업지배구조 공시제도상 핵심원칙 및 세부원칙은 모범규준에 기초하므로, 모범규준은 기업지배구조 공시제도에 대한 예비적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모범규준은 그 내용상 법률과 합치하지 않을 우려가 있는 부분이 있으며, 공시제도와 연계하여 가독성이 낮아 활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모범규준의 활용을 위해 이 문제점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주주권과 관련한 부분을 조명하였으며, 이를 통해 모범규준의 법률 불합치 위험을 해소하고 준수의 실익을 제고하고자 한다. 모범규준의 주주에 관한 부분에는 법령에서 규정된 바 이외의 사항에 관하여 주주총회 결의를 할 수 있도록 해석할 여지가 있는 규정이 있다. 이는 법리가 명확하지 않은 사항이므로 법률이 주주총회의 권한으로 유보할 수 있도록 정한 사항에 한하여 정관에 의해 주주총회 권한을 확장할 수 있는 규정으로 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주의 적극적 의결권 행사를 주주의 책임으로 규정하는 바는 삭제하고 상장회사의 주주총회 활성화에 관한 사항으로 대체하여야 할 것이다. 지배주주의 책임에 관한 규정 역시 법률에 규정된 책임을 충실히 설명하는 것으로 대체하되 관련된 사항의 공시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모범규준의 준수 주체를 일원화하고 산만한 규정을 원칙 중심의 규범으로 재구성한다면 기업지배구조 공시제도와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준수의 실익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ESG 관련 투자계약의 법적 분쟁 사례와 쟁점

        장윤제 한국기업법학회 2022 企業法硏究 Vol.36 No.4

        With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finance,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ESG is being applied not only to corporate operations but also to corporate projects and project finance. It is expected that ESG risks and performance of businesses and project will become important. Recently,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that declared eco-friendly business investment has decided to provide financing for a project in which a domestic company that advocates an eco-friendly business has recently participated in an overseas gas field development project. In this case, Legal issues were raised regarding environmental and human rights violations. In this paper, this case is reviewed, and reviewing below issues for the case by finding recent overseas cases that has similar issues for drawing implications for Korean companies. First, I examined whether it is possible to directly raise a problem with a company or financial institution about the wide-area air pollution caused by carbon emissions and climate change caused by it, and how to sue a domestic company with issues of environmental and human rights in a company's overseas business. Next is whether a beneficiary of finance or a shareholder of a company can file a suit against the impact of the business, and whether a declaration related to the sustainability of a company is inconsistent with actual practice(So called “Green Washing”.). Examining the above issu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limit to claiming and winning legal disputes under the current Korean law. However, as the number of companies claiming “ESG management” increases, the issue of greenwashing will also increase, and as the board of directors directly manages ESG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s of stakeholders, the possibility of raising issues with the board of directors is likely to increase. In addition, as ESG issues gradually expand and their importance to investors and stakeholders increases, ESG issues may develop into an material condition of contracts for legal dispute. 지속가능금융의 발달에 따라 ESG를 바라보는 관점은 기업 운영뿐만 아니라 기업의 프로젝트 및 그와 관련된 금융제공에도 적용되고 있다. 향후 금융의 대상이 되는 기업의 사업과 투자대상 프로젝트의 ESG 위험 및 성과가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최근에는 최근 친환경 사업을 표방하는 국내 기업이 해외 가스전 개발 사업에 합작투자로 참여한 사업에 대해 마찬가지로 친환경 사업 투자를 선언한 국내 금융기관이 금융을 제공하기로 하였고, 이 사업에 국내외 직간접적 이해관계자가 환경 및 인권 침해에 관하여 법적으로 문제를 제기한 사례가 발견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 사례를 검토하고, 쟁점으로 탄소배출로 인한 광역적 대기오염과 이로 인한 기후변화에 대해 직접적으로 기업 또는 금융기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지, 기업의 해외 사업에서 환경 및 인권에 대한 침해 여부가 문제되는 사안에서 국내 본사에 대해 제소가 가능할 것인지, 금융의 수익자 또는 기업의 주주가 해당 사업으로 인한 영향에 대해 제소가 가능한지, 금융회사 또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련한 선언이 실제 관행과 괴리되는 경우의 그린워싱 우려가 타당한지를 검토하여 그에 관한 최근의 해외 사례를 확인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위의 쟁점과 관련하여, 현재의 국내법상 쟁송으로 다투는 데에는 한계가 있지만 해외에서는 각 쟁점별로 쟁송이 나타나고 있으며 법리의 발전 가능성이 관찰된다. 특히 ESG 경영을 표방하는 회사가 늘어남에 따라 그린워싱의 이슈도 늘어날 것이고, 이해관계자의 요구에 따라 이사회가 직접 ESG를 관리함에 따라 이사회에 대한 문제 제기의 가능성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또한 ESG 이슈가 점점 확대되고 투자자 및 이해관계자에게 그 중요성이 더해짐에 따라, ESG 이슈는 향후 쟁송이 가능한 투자 및 계약의 중요 조건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유아를 위한 다수 참여형 미디어 인터페이스 연구

        장윤제(Chang, Yoon Je),김형기(Kim, Hyunggi)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2

        미디어 기술의 혁신과 교육열을 바탕으로 최근에는 유아를 위한 체험형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무엇보다도 감각과 체험이 어느 시기보다도 중요한 유아의 특성상 인터랙티브 미디어가 멀티미디어 교육의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부분들이 많기 때문이다.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체험형(hand-on) 전시는 관객이 작품에 참여하며 완성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인터페이스는 체험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유아들이 개인용 미디어를 통해서 콘텐츠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체험형 전시와 비교하면 그 체험의 방식에서 새로운 특성을 발견할 수 있다. 체험형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전시의 경우, 콘텐츠와 유아의 상호작용 이외에도 작품에 함께 참여하는 또래집단 간의 상호작용 관계가 발생하게 된다. 기존의 교육용 미디어 프로그램이나 관련 연구는 주로 웹기반이거나 개인 미디어 중심이었기 때문에,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작품에서의 상호작용과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체험 전시에 출품되었던 작품 10점을 분석의 사례로 선정하고, 다수 유아가 작품에 참여 할 때 발생되는 다양한 감정들과 인터페이스를 각각 여섯 가지로 분류했다. 그 중에서 긍정적 상호작용으로 간주할 수 있는 ‘협동(collaboration)’에 관련된 인터페이스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선행 연구들을 참조하며 인터페이스를 물리적, 정신적인 측면으로 분류하여 분석했다. 체험형 미디어 전시가 다수의 참여를 전제로 한다는 점과 다른 한편으로는 유희적인 측면이 강조된다는 점에서 컴퓨터 게임의 상호작용성에 비교하여 연구를 발전시켰다. 본 연구는 결론적으로, 다수 참여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특징과 유아 놀이의 심리적 특징을 연결하여 협동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탐색한 결과이다. Today, the great interest of hand-on multi media contents for child is increasing. The child is important time required to meet diverse experiences and developing senses. Hand-on multi media contents will give satisfaction to child. An interactive art work is completed through user"s participation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We focus on multi-user"s interaction. That"s why the child learn many things playing with a peer group. The interface is important tool sharing physical and mental interaction. This paper analyzed emotional exchange among specific participants aimed at children. It appears six different psychological relations among children participating in artwork, those are characterized in words of competition, intervention, observation, isolation, improvisation, and collaboration. Above all, this paper tried to figure out interface factors connecting to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purpose of collaboration with a peer group in artwork.

      • KCI등재

        ESG 활성화를 위한 기관투자자와 이사회의 역할 - 재무적 성과와의 연계와 관련하여 -

        장윤제(Yoon-Je Jang) 한국기업법학회 2021 企業法硏究 Vol.35 No.2

        ESG가 투자의사결정 및 경영의사결정의 중요 요소로 고려되려면 재무적 성과와의 연계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ESG와 재무적 성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실증과 반박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ESG 활성화의 선결과제인 재무적 성과와의 연계를 법적인 측면에서 해결하고자 한다. ESG 생태계의 소비자와 공급자는 투자자와 기업이다. 투자자는 ESG를 고려한 투자의사결정이 수탁자책임을 위반하지 않는가가 중요한 문제가 되며 ESG 활성화의 전제조건이 될 것이다. 그리고 적절한 ESG 고려를 위해서는 증권의 발행인인 기업이 먼저 경영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ESG 요소를 의사결정에 통합하고 공시하여야 한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기관투자자의 수탁자책임과 ESG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ESG 투자 활성화 방안을 법적 관점에서 제시하였으며, 이사회의 ESG에 관한 역할을 제안하였다. 먼저 기관투자자는 ESG 투자 시 ‘ESG 등급’과 ‘ESG 정보’의 동일시에서 탈피하여, 성과에 중요한 개별 ESG 정보를 분석하여야 한다. 또한 투자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주기적으로 분석하고 투자방법을 재검토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민연금기금의 운용자를 중심으로 신인의무와 수탁자책임을 위반하지 않고 ESG를 투자의사결정에 고려할 수 있는 조건을 규정화, 입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이사회는 중장기적 이익에 기반을 두고 ESG를 고려하되, 그 의지를 표명하고 ESG 관리에 관한 책임을 제고하여야 한다. 그 실천으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ESG 요소를 식별하되, 그에 따른 이사회의 역할을 수립하고 추진하여야 한다. 또한 ESG를 별개의 영역으로 규정하기 보다, 일상적인 이사회의 의사결정에 있어 비재무적 위험과 기회를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이사가 회사에 중요한 ESG 요소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하므로 이사회 구성원, 특히 사외이사에 대한 교육이 중요하다. 또한 이사회는 ESG 공시와 관련하여 감독과 승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공시서류에 비재무적 리스크를 공시하는 경우 재무적 정보를 효과적으로 보충할 수 있도록 정량 지표와 측정 수단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제재현황의 공시와 그에 따른 관리를 충실히 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ESG 정보의 중요한 취득 경로가 될 것이므로, 법률상 중요사항에 관하여 다르게 서술되지 않도록 검증과 감독에 유의하여야 한다. Linkage to financial performance is essential for ESG to be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in investment decision making and management decision making. In this paper, we seek to address these priorities in terms of law so that ESG ecosystem can be promoted. The consumers and suppliers of the ESG ecosystem are investors and corporate. In particular, it will be an important issue for investors to make investment decisions considering ESG that do not violate fiduciary duty, and will be a prerequisite for promote ESG investing. It is also important for corporate that are issuers of securities to integrate and disclose material ESG in their decisions. To this end, this paper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duciary duty of institutional investors and ESG, and proposed the resulting ESG investment activation plan from a legal perspective, and proposed the Board"s role in ESG. First, institutional investors should break away from the equilibrium of "ESG rating" and "ESG information". Institutional investors should analyze and integrate individual financially-material ESG information. It should also periodically analyze the impact on investment performance and re-examine investment methods. In particular, it is desirable to legislate the conditions under which ESG can be considered for investment decisions to ensure that it does not violate its fiduciary duty, for operators of the National Pension Fund. Next, the Board of Directors should consider ESG on the basis of mid- to long-term interests, but shall express its willingness and enhance its sense of responsibility. Material ESG factors should be identified, and roles shall be established and promoted accordingly. In addition, rather than defining ESG as a separate area, it is desirable to integrate non-financial risks and opportunities in routine board decisions. The Board should pay attention to oversight and approval in relation to ESG disclosures. When disclosing non-financial risks in disclosure documents, quantitative indicators and measures need to be established to effectively supplement financial inform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disclose the status of sanctions and to faithfully manage compliance accordingly. In addition, verification and supervision of sustainability reports should be taken to ensure that important matters are not misplaced or omit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