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 대상 e-PBL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장미정 ( Jang Mijung ),유민애 ( Yu Minae ),오선경 ( Oh Sunkyung ),이아름 ( Lee Ahreum ),박정은 ( Park Jung-eun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어 교육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xamples of e-PBL application in liberal arts writing courses for foreign undergraduates. We presented how writing classes at universities applying e-PBL were conducted for foreign students attending K Univers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earners calculated at each stage of e-PBL, it was revealed that e-PBL lessons were feasible for foreign students. Furthermore, we were able to derive the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 survey of students’ satisfaction, foreign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e-PBL. However, e-PBL confirmed that there are space-time constraints and that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of reducing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such as free riders. This paper presents the direction of the course that aim to solve these problems. (Korea Univers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외국인 학부생 대상 한국어 수준별 글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장미정 ( Jang Mijung ),유민애 ( Yu Minae ),오선경 ( Oh Sunkyung ),박정은 ( Park Jung-eun ) 민족어문학회 2022 어문논집 Vol.- No.96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학부생의 한국어 수준에 따른 글쓰기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 대학 기관에서 사용되는 6종의 글쓰기 교재를 분석한 결과, 여러 글쓰기 교재에서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텍스트나 활동을 제시하고 있었으며, 교재에 글쓰기 기술과 전략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를 내재화시키기에는 연습이 적었음을 밝혔다. 그리고 외국인 학부생 185명을 대상으로 대학 글쓰기에 대한 교육 요구를 조사한 결과, 한국어 중급과 고급, 즉 한국어 수준에 따라 대학에서 주로 수행하는 글쓰기 과제와 학습이 요구되는 글쓰기 과제 유형에 차이가 있었으며 선호하는 글쓰기 기술과 교재의 출판 형태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재 분석과 요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학부생 대상으로 한국어 수준에 따른 글쓰기 교재 개발 방향을 설정하였다. 먼저 글쓰기 교재는 외국인 학부생의 글쓰기 표현 능력과 더불어 인문학적 소양 증진, 비판적 사고 능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글쓰기 교재는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에 맞는 맞춤형 교육 내용을 제공하고, 학문적 담화 공동체에서 요구하는 학술적 글쓰기 능력과 학문적 텍스트 생산에 필요한 절차적 지식을 함양할 수 있어야 하며, 디지털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교재로 출판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중급과 고급 수준의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글쓰기 교재의 교수요목과 단원 구성, 쓰기 활동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ethod for developing a writing textbooks according to the Korean proficiency of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We analyzed six types of college writing textbooks and found that texts and activities in them did not fully reflect the learners’ Korean proficiency.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re was little practice to internalize writing skills and strategies. In addition, need analysis was conducted for 185 foreign students. As a result, the educational needs for college writing differed according to Korean proficienc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eeds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in the writing tasks mainly performed at university, the types of writing tasks that require learning, the preferred writing skills, and the publication type of textbook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et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writing textbooks for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level of Korean proficiency. The writing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academic literacy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They also should provide customized educational content suitable for the learners’ Korean proficiency, and should be able to cultivate academic writing skills required by the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and procedural knowledge required for an academic text production. Moreover, the writing textbooks should be published for a digital environment. Based on this, this study presented the syllabus, unit composition, and the examples of writing activities in writing textbooks for the students at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of the Korean proficiency.

      • KCI등재

        대학 생활 문화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의 교육 요구도 분석 -저학년과 고학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미정(Jang, Mi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needs of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year in terms of college culture, including the academic system, university support centers and system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attending Korean universities is increasing, but some fail to adjust to college life and complete their studies. To address this, universities provide educational programs at the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levels and administrative support to help foreign students adapt. This study, which focuses on educational support, surveys 152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who took liberal arts courses opened at three universities regarding their educational needs and perceptions of college culture. The results show that these students would like to learn about college culture in their liberal arts classes. When college life is divided into six categories—the academic system; university support centers and systems; schoolwide or departmental activities and ev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areer and employment; and housing and living expenses—lowerclassmen show higher needs within the academic system than in other categories. When comparing the educational priorities between the two groups, while the lowerclassmen have a higher need for education regarding the credit system, the major system, how to register for classes, the seniors express higher demand for education regarding employment regulations, Korean 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and school festival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may be best to vary the content of 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learners’ academic year. 본 연구의 목적은 학사 체계, 학내 지원 기관, 대인 관계 등을 포함하는 대학 생활문화에 대해 외국인 학부생들이 학년 차에 따라 어떠한 교육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 밝히는 데에 있다. 한국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은 크게 증가했지만, 일부 유학생은 대학 생활에 적응을 하지 못하고 학업을 마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 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교과, 비교과, 행정 차원에서 지원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 생활 적 응을 돕기 위한 지원 가운데 하나인 교육적 측면에 중점을 두고, 국내 대학 3곳에 개설된 학업 한국어 등 교양 과목을 수강하는 외국인 학부생 152명을 대상으로 유학생들이 대학 생활 문화 항목에 대해 어떠한 교육 요구와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외국인 학부생들은 대학 생활 문화 항목을 교양 수업 등의 교과차원에서 배우기를 요구하였다. 대학 생활 문화 범주를 ‘학사 체계 및 제도, 학내 지원 기관 및 제도, 학내/학과 활동 및 행사, 대인관계, 진로 및 취업, 주거 및 생활비’ 로 구분하였을 때, 다른 범주보다 학사 체계 및 제도에 대해서 저학년의 교육 요구가 높았다. 두 집단 간의 교육 요구 우선순위를 비교하였을 때, 저학년은 ‘학점 체계, 전공 체계, 수강 신청 방법’ 등에 대해 교육 요구가 높았고, 고학년은 ‘취업 규정, 한국 문화 체험 활동, 학교 축제’ 등에 대해 교육 요구가 높았다. 이를 통해 학습자 학년에 따라 대학 생활 문화 교육에 중점을 둘 수 있는 교육 내용이 달라질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외국인 학부생 대상 교양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항목 분석 연구

        장미정 ( Jang Mijung ) 한국민족연구원 2017 민족연구 Vol.0 No.69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들이 교양 한국어 교재 텍스트에서 어떠한 문화 항목을 접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에 반영할 수 있는 문화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대상은 외국인 학부생들이 수강하는 교양 한국어 강의에서 사용되는 4종의 교재였다. 문화 항목 분석의 기준은 국제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에서 제시된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의 문화 범주를 변형한 것이었다. 분석 결과 4종의 교양 한국어 교재에서는 한국 사회, 한국의 예술과 문학, 한국인의 생활, 한국인의 가치관, 한국의 문화유산, 한국의 역사, 외국인의 한국생활의 순으로 문화 항목이 비중을 두고 다루어지고 있었다. 교양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항목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에서 학교생활에 대한 문화 항목이 보다 중점을 두고 다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범주의 문화 내용이 다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한국인의 입장에서 본 문화만이 아니라 외국인의 입장에서 본 문화 항목 또한 제시될 필요가 있으며, 전통 문화의 경우 학습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비계 역시 제시되어야 함을 밝혔다. 아울러 교재에서는 문화 항목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문화를 향유함에 있어 비판적 사고를 키우며, 상호문화주의적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활동이 제시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education for academic Korean learners through analyzing cultural items in the college Korean textbooks. And so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ultural education for academic Korean textbooks. The objects of the analysis are four types of textbooks that are used by academic Korean learners in the College Korean courses after entering the university.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modification of the cultural categorie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ndard model presented in the second stage of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ndardized model for international availabil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ultural items in the textbooks were dealt with in the order of Korean society, Korean art and literature, Korean life, Korean values, Korean cultural heritage, Korean history and foreigner`s life in Korea.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that cultural items about school life need to be treated more sufficiently in academic Korean textbooks and various categories of cultural contents should be addressed. In addition, it emphasized that cultural items should be presented not only from local people`s viewpoint but also from foreigners` viewpoint. And that it needs to include traditional cultural items along with the scaffolding to aid the learner`s understanding. It also suggested that the textbook should not only provide information on cultural items but also provide activities which can raise critical thinking in enjoyment of the culture and enhance intercultural competence.

      • KCI등재

        학습자 상호동료교수 활동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및 문법 교육 연구

        장미정(Jang, Miju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72 No.-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어휘 및 문법 교육에서 학습자 간 상호동료교수 활동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학습자 간 상호동료교수 활동은 교육 내용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해가 높은 참여자가 동료교수자로서 다른 동료학습자에게 교육 항목을 가르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참여자들은 2명씩 한 조를 이루어, 해당 조가 선정한 한국어 어휘나 문법 항목을 전체 학습자를 대상으로 상호동료교수 활동을 하였다. 그리고 참여자들은 한국어 어휘나 문법에 대해 강의자의 강의도 수강하였다. 상호동료교수 활동 후, 교수 항목에 대해 성취도 평가를 시행한 결과, 참여자들은 강의자가 강의한 문항보다 상호동료교수 활동을 한 문항에 대해 더 높은 점수를 획득했으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어휘 및 문법 학습에서 학습자 간 상호동료교수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실제 교육 현장에서 상호동료교수 활동을 활용할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reciprocal peer teaching activities between learners in Korean vocabulary and grammar education for foreign undergraduates are affected. Reciprocal peer teaching activity between learners involves participants who have a relatively high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of education teaching other students.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orked in a group of two to teach Korean vocabulary or grammar to the other students. Furthermore, the participants received lectures from a lecturer on Korean vocabulary or grammar. Upon conclusion of the reciprocal peer teaching activities, an achievement test was conducted on the subjects taught. The results of the achievement test show the participants scored higher on the content of the reciprocal peer teaching activities than those taught by the lecturer,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indicates reciprocal peer teaching is effective in teaching Korean vocabulary and grammar. In addition, the study proposes items and idea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utilizing reciprocal peer teaching activities in the classroom.

      • KCI등재

        외국인 학부생 대상 대학 생활 문화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장미정 ( Mijung Jang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7 한국어 교육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perception and educational needs of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regarding the culture of college life.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universities in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need to study about the culture of college life and had a perception that it is desirable to learn this through general education classes or freshman subjects after entering university. Also, the culture of college life can be divided into nine categories: bachelor`s system; career and employment; university support centers and systems; interpersonal relations; departmental events; housing and living expenses; freshmen`s events; exchange activities and programs; and 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showed higher learning needs in order of career and employment; cultural experience activity; and bachelor`s system.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showed different educational needs according to year of study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pecify the items of the culture of college life required for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to measu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se items, and to categorize the elements of the culture of college life. (Korea University)

      • KCI등재

        쓰기 주제에 따른 언어 사용 양상 연구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대학 글쓰기를 대상으로-

        장미정(Jang, Mi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1

        외국인 학부생을 대상으로 개설된 대학 글쓰기 교과목의 목표는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뿐 아니라 비판적 사고와 학문적 이해를 함양하는 데에 있다. 하지만 한국어 초급 수준의 학습자들은 한국어 능력의 제한으로 인해 개인적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어 쓰기를 학습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급 수준의 외국인 학부생이 작성한 개인적 주제와 사회적 주제에 대한 쓰기의 언어 사용 양상을 복잡성과 정확성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언어 사용의 복잡성 측면 중 문장 당 쓴 단어의 수, 대등절· 내포절의 수는 두 주제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개인적 주제보다 사회적 주제 에서 사용된 절 당 단어 수와 관형절이 많았다. 반면 주제에 따른 언어 사용의 정확 성은 사회적 주제보다 개인적 주제에 대한 글을 쓸 때 높았다. 특히 주제에 따라 철자 오류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생산한 문법 오류나 어휘 오류에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초급 수준의 학습자는 개인적 주제에 대한 글을 쓸 때는 더 정확하지만 덜 복잡한 표현이나 구조를 활용해 글을 쓰며, 사회적 주제에 대한 글을 쓸 때는 덜 정확 하지만 더 복잡한 표현이나 구조를 활용해 글을 씀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급 수준의 학습자들이 사회적 주제에 대한 글을 쓰는 것이 복잡한 표현이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시도하는 기회를 가지는 것이기에, 한국어 초급 수준의 대학 글쓰기 교과목에서 개인적 주제뿐 아니라 친숙한 사회적 주제 및 학술적 주제로 쓰기 주제를 확장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aim of a college Korean writing course for international students is to enhance their communication skills in Korean as well as their critical thinking and academic understanding. However, beginning level KAP learners have been studying Korean mainly through personal topics because of their limited Korean ability. This study analyzed the aspects of language usage in their writing about personal and social topics in terms of complexity and accuracy. The analysis shows that the numbers of words written per sentence, coordinate clauses and embedding clauses did not differ according to the type of topic. However, the numbers of words written per phrase and adnominal clauses were used more in writing about social topics than about personal topics. On the other hand, language use accuracy was higher when students wrote about personal rather than social topics. In particular, spelling errors did not differ by topic, but grammatical and lexical errors did. Learners wrote more accurately but used less complex expressions or structures when writing about personal topics and did the opposite when writing about social topics. Letting beginning level learners write about social topics will give them the opportunity to try out complex expressions or structur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writing topics assigned to beginning level college writers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not only personal but also familiar social and academic topics.

      •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 체계에 기초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수-학습 활동 분석 연구

        장미정 ( Jang Mijung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9 漢城語文學 Vol.41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제공되고 있는 교수 - 학습 활동을 분석하여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에서 어떠한 차원의 교수 - 학습 활동이 제공되고 있는지를 밝히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 선행 연구 중 교수 - 학습의 결과가 유의미하다고 밝힌 연구 34개를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각 연구에서 교수 - 학습 활동을 추출하여 정리하였고,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 체계’에 맞추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교수 - 학습 활동은 절차적 지식, 개념적 지식, 메타인지적 지식의 순으로 제공되었다. 각 지식을 인지과정 차원에서 분석하였을 때, 개념적 지식은 이해하기, 기억하기와 관련된 활동이 많이 제공되었다. 절차적 지식은 인지과정 차원에서 이해하기 활동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적용하기, 분석하기, 평가하기, 창안하기와 관련된 활동은 고루 제공되었다. 또한 메타인지적 지식은 인지과정 차원에서 기억하기, 평가하기, 이해하기와 관련된 활동이 많이 제공되었다.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수 - 학습 활동을 분석을 통해 지식 차원에서는 자기주도적 교수 - 학습이 강조되고 있는 현실에서 메타인지적 지식차원의 교수 - 학습 활동을 보다 개발하고 제공하는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의 변인이 다양함을 고려할 때, 특정 인지과정 차원에 집중된 교육이 아닌 다양한 인지과정 차원의 교수 - 학습 활동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provided in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and to reveal what dimension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s provided at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Thirty-four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they stated that the results of education were significant among the preceding studies on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In each study,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were extracted, organized, and analyzed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n Korean writing education were provided in the order of procedural knowledge, conceptual knowledge, and meta-cognitive knowledge. When each knowledge was analyzed at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conceptual knowledge provided many activities related to understanding and remembering. Procedural knowledge was the most part of the understanding activity in the cognitive process, and the activities related to applying, analyzing, evaluating, and creating were provided evenly. Meta-cognitive knowledge also provided many activities related to remembering, evaluating, and understanding in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of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it proposed that an attempt should be made to develop and provide mor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of meta-cognitive knowledge in a reality wherein self-directed learning is being emphasized. In addition, given the diversity of learners’ variations in the teaching field,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t various dimensions of the cognitive proces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specific cognitive process dimens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