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가채무의 최적수준에 대한 연구

        임진 ( Jean Lim ) 한국경제학회 2011 經濟學硏究 Vol.59 No.3

        본 연구는 이질적 경제주체를 가정한 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최적 국가채무 비율을 추정하였다. 본 모형에서 국가채무의 최적수준은 국채발행 증가로 인해 자산유동성이 확대되어 가계의 유동성 제약이 완화되는 사회적 편익과 국채발행 증가로 인해 자본스톡이 감소하고 금리가 상승하는 구축효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고려하여 결정되었다. 분석결과 국가채무 비율과 사회후생 간에는 역 U자형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국가채무 비율 1%p 상승에 따른 금리상승효과는 1.02bp 수준에 그쳐 국가채무 비율이 높은 선진국에 비해 구축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음이 나타났다. 그러나 국가채무 비율이 상승할수록 금리 상승폭이 커지는 비선형관계가 있어 향후 국가채무 비율이 커지면 구축효과가 현 수준보다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음을 보였다. This paper studies the optimal ratio of government debt based on the heterogeneous agents model. The optimal ratio is determined where the marginal benefit is equal to the marginal cost. The benefit of increasing government debt is the consumption smoothing through loosening the borrowing constraints of households, but the cost is that government debt crowds out private capital and raises the interest rate. This paper shows that there is an hump-shaped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debt ratio and social welfare. It also finds that one percentage point increase in government debt ratio induces interest rate to increase by 1.02 basis points, but the effect is larger as the debt ratio increases.

      • 평균 수명 증가가 연령별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 고령층을 중심으로

        김석기 ( Seok Ki Kim ),임진 ( Jean Lim ) 한국금융연구원 2015 KIF 연구보고서 Vol.2015 No.4

        Korea``s average propensity to consume(AVC) has fallen by 9.1%p from 2000 to 2013. This decline in APC was most severe in old ages, as it fell by 11.7%p and 13.4%p, respectively, for people in their 50s and 60s.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life expectancy has been increased from 71.3 years in 1990 to 76.2 years in 2000 and 81.4 years in 2012. Based on these stylized facts, we made an assumption that agents spend less now to prepare for the period of post-retirement consumption, which has extended due to increased life expectancy. We made a model which reflects the above assumption and calibrated it to Korean economy and found that the model explains well the stylized fact of decreasing APC. The elderly has little time to prepare for the extended period of consumption so that they decrease consumption relatively more sharply than the young. It was also found that agents who receive additional income after retirement cut their APC to a lesser extent. Therefore, to counteract reduction in APC, one can consider policy options, such as creating jobs for the elderly, promoting reverse mortgage, and developing insurance products tailored to the needs of the elderly.

      • KCI등재

        가계부문 신용사이클이 채무불이행 위험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박성욱 ( Sungwook Park ),임진 ( Lim Jean ),김영일(논평) 한국금융연구원 2018 韓國經濟의 分析 Vol.24 No.3

        호황기에는 차입자와 금융회사 모두 투자의 수익성과 대출의 상환가능성에 대해 낙관적이게 되고 금융회사도 자기자본 개선 등으로 대출을 적극 확대하는 과정에서 금융회사의 대출태도가 관대해진다. 그 결과 사후적으로 보면 채무상환능력이 부족한 차입자에게도 대출이 일어나는 과잉대출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신용사이클 상의 호황기때 부적격 차입자에 대한 대출이 늘어나면서 대출의 질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2010년 이후 2017년까지 신규로 개설된 578.6만 개인대출 계좌의 미시 정보를 이용하여 각 계좌가 개설된 시기의 가계대출 증가율이 해당 계좌의 연체확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가계대출 증가율이 높았던 시기에 실시된 대출일수록 부실확률이 더 높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주택담보대출보다는 신용대출이, 은행대출보다는 비은행대출이, 그리고 임금근로자대출보다는 비임금근로자대출이 신용사이클에 더 민감하게 반응함을 보여 주었다. 또한 가계대출 부실확률은 경기사이클보다는 신용사이클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뿐만 아니라, 신용사이클을 통제한 상태에서는 경기사이클이 대출의 부실확률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대표적인 거시건전성 정책인 동태적 대손충당금이나 경기대응완충자본이 경기사이클보다는 신용사이클에 따라 적립되는 것이 금융안정에 더욱 직접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동태적 대손충당금이나 경기대응완충자본도 가계대출의 종류에 따라 적립규모를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예를 들면 주택담보대출 증가분보다는 신용대출 증가분에 대손충당금을 더 많이 적립하는 것이 금융안정에 더 효과적임을 주장하였다. During the period of economic boom, financial companies are far more lenient on lending in compliance with their loan expansion policy. This is because not only the equity of financial companies improves, but both borrowers and financial companies come to enjoy optimistic views on investment profitability and loan redemption. Consequently, financial companies give out loans even to borrowers with poor debt service ability. These loans granted to ineligible borrowers during the credit cycle boom are excessive loans, in hindsight,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loans as a whol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growth rate of household debt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delinquency rate by using the micro information of 5.786 million accounts newly opened during 2010 to 2017.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higher the growth rate of household debt in a certain period, the higher the insolvency rate of loans made in the corresponding term. Furthermore, this study demonstrates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at credit loans than mortgage loans, non-bank loans than bank loans, and non-wage workers’ loans than wage workers’ loans are more sensitive to credit cycles. In addition, the probability of insolvency is more affected by the credit cycle than economic cycle; and it is estimated that there is little effect of economic cycle on insolvency when credit cycle is controll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ynamic loan loss provisions and Countercyclical Capital Buffer (CCyB), the two most typical macroprudential policies, should be accumulated in line with the credit cycle rather than economic cycle for a more direct impact on financial stability.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amount of the dynamic loan loss provisions and CCyB depending on the type of loan. That is, for instance, more loan loss provisions should be accumulated for increment of credit loan than that of mortgage loan to better enhance the overall financial stability.

      • KCI등재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의 사이버교육의 접근성에 대한 연구 : 장애인 당사자주의를 중심으로

        임진 한국문화교육학회 2006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 No.2

        장애인에게 있어서 교육은 그들이 당당히 사회에 통합되기 위하여 가장 절실한 부분으로 장애인들이 지금까지 접근하지 못했던 영역으로의 진출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장애인들은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사회로부터 격리되고 소외당하며 많은 기회를 제한받았다. 특히 교육영역은 비장애인들과의 분리 속에서 많은 기회를 박탈당하고 있다. 장애인들이 비장애인들과 함께 사회에 통합되기 위해서는 교육환경에 대한 물리적, 심리적, 제도적 요건이 마련되어진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1900년대 중반 이후 장애인들이 사회로 참여하기 위한 여러 가지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특히 유니버설디자인은 장애인, 노인을 포함한 사회구성원 모두가 사용하기 편리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장애인들은 장애인당사자주의 관점에서 복지제도와 사회구조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사이버교육공간은 사회의 변화추세를 반영하는 새로운 교육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정규과정 교육 참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애인들의 시간, 공간, 지리적인 문제를 한꺼번에 극복할 수 있으며 무한한 교육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들이 사이버교육공간에서 교육을 받기위한 환경요소 중에서 유니버설디자인의 관점에서 기본요건을 점검해보고자 한다. For the disabled, education is the most needed part to be integrated with our society. That would allow them to access some limited area. However, they have been isolated, neglected and restricted from the society. Their chances are also limited because they are the handicapped. Especially in education, so they have. To be united with the non-disabled, the physical, psychological, institutional conditions for the educational system should be set-up first. Since mid 1900s, many kinds of trial circumstances have beeb made in which the disabled could participate. Above all, universal design set up a purpose for the everyone including the handicapped and the old to have environment conveniently. Besides, the handicapped request the improvements in the welfare and social system from the raised consciousness point of view. Cyber space for education could be the new way of teaching reflecting our social transitions, and it could get over the problems of time and space in which the disabled have many difficulties in joining the regular education system. This study has set the goal at inspecting the necessary requisites of cyber education system for the disabled in the view of universal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