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북한이탈주민 학생에 대한 초등교사의 태도 분석 : 사회적 거리감을 중심으로

        임나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남한 사회 적응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그 중에서 중요한 문제는 남북한 주민 사이의 심리적 통합이다. 따라서 교육현장에서 북한이탈주민 학생과 일반 학생 간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고, 앞으로 통일 시대를 이끌어 갈 주역이 되게끔 인성과 지성을 겸비한 창의적인 인재로 육성할 필요가 절실하다. 특히 초등교육 단계는 인성 및 사회성 발달의 핵심 단계로, 앞으로 개인의 삶에서 필요한 가치관과 태도의 토대가 된다는 점에서, 초등교육 현장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의 정서적 유대 및 신뢰관계를 확보하는 일은 그 어떤 교육의 내용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는 통일 후, 또는 북한상황의 급변화로 인한 북한이탈주민 학생의 유입으로 초래될 학생집단의 질변화로 인한 초등통일교육의 문제를 기본전제로 하였다. 특히 학생집단의 질 변화에 있어 교육 제공자인 교사의 인식이 통일세대를 대비한 교육 효과 달성에 핵심적 역할을 한다는 가정 하에 서울, 경기 지역의 일선 초등교사 313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북한이탈주민 학생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사회적 거리 측정 척도를 활용한 설문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설문 분석 결과, 첫째, 설문대상 교사의 과반수가 일반·생활차원에서 북한이탈주민 학생에 대한 사회적 관계를 대체로 허용하고 있었으며 국가·제도 차원, 학교차원 순서로 사회적 거리감이 컸다. 설문 항목 중, 대부분의 교사가 담임이 되어도 상관없다고 응답하여 북한이탈주민 학생과의 학교차원의 사회적 관계를 대부분이 용인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교사 직업적 당위성 또는 사회적 규범에 따른 응답으로 실제보다 부풀려졌을 가능성이 크다. 둘째, 친구 차원과 학교·동료 차원에서 과반수의 교사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관계를 맺는 데 허용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가·제도 차원, 일반·생활 영역 중 집단 정착시설 수용 및 자원봉사에 대하여는 과반수의 교사가 부정적 태도를 보여주었으며 특히 가족차원에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도는 매우 낮았다. 이는 설문대상 교사들이 북한이탈주민 개인과 집단을 분리하여 사고하기 때문으로, 북한이탈주민 집단을 인식할 때, 북한에 대한 인식이 작용하여 거리감을 더욱 크게 했을 것이라 추정된다. 셋째, 북한이탈주민을 만났거나 북한이탈주민 학생을 가르친 경험이 있을 경우, 대부분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묻는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거리감을 줄여주는데 유의미한 경험이 되었다. 그러나 북한이탈주민 학생을 지도한 교사라 하더라도 지도 경험에 투입된 ‘노력’과 얻은 결과에 대한 교사의 ‘만족도’가 긍정적일 때, 실제적으로 북한이탈주민 학생에 대한 편견이 감소하여, 교사의 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도 줄어들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북한이탈주민 학생의 특성상 활동적이며 놀이와 체험 중심인 교수 학습 방법을 고안할 필요와 동시에 이들의 수준별 학습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법을 통해 교사의 성공적인 학생지도 경험을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아울러 북한이탈주민 학생 교육의 중요성을 홍보하고, 성공적인 학생 교육의 사례를 발굴하여 각 학교에 보급하는 방법 등을 동원하여 교사의 교육적 ‘노력’의 효과와 ‘보람’을 극대화할 필요도 있다. 끝으로, 북한이탈주민은 북한이탈주민 학생의 지위 특성을 인식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북한이탈주민과 교사와의 긍정적 접촉경험을 장려하여 내집단 인식을 높임과 동시에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기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전환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통일은 헌법에도 명시되어 있는 국가적 목표로, 교사는 통일시대를 이끌어나갈 학생들에게 올바른 가치와 태도를 키워주어야 할 교육적 책임이 있기에, 학생을 가르치기에 앞서 교사 스스로 고민하고 반성하며 교육현장에서 남북한 학생들간 심리적 통합을 위해 교육적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

      • 동시대 미술에 나타나는 파라픽션(Parafiction) 연구 : C.램버트비티의 이론을 중심으로

        임나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000년대 초반 이후 동시대 미술계에서 새롭게 발견되고 있는 ‘파라픽션 예술’의 실천 양상을 살펴보고, 예술에서 나타나는 거짓말의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캐리 램버트비티의 파라픽션 개념을 중심으로 동시대 파라픽션 예술 실천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거짓말의 효과적 측면을 고찰한다. 본 연구는 파라픽션이 거짓말 개념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보고, 파라픽션 예술을 일종의 거짓말하는 미술로 상정한다. 이때 거짓말하는 미술이란, 진위여부를 판단하는 인식구조 자체를 소재로 삼아 미적 경험에 따라 인간의 이성, 감성, 믿음이 어떻게 가공되고 통용되는지 성찰의 계기를 제공하는 미술을 말한다. 거짓말은 고전적인 정의상 누군가를 속이려는 의도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자크 데리다는 거짓말을 수행적 차원에서 사유해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고전적인 정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논의를 확장한다. 이와 같이 거짓말을 행위로 파악한다면 의도와 함께 효과적 측면을 논해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한편, 예술의 영역에 거짓말이 개입된다면 논의는 훨씬 더 복잡해진다. 거짓말과 허구가 결합된 거짓말하는 예술은 현실에 대하여 성찰적 차원과 창조적 차원에서 통찰의 계기를 제공한다. 미술사학자 캐리 램버트비티는 파라픽션을 ‘사실이 아니지만 사실로 경험되고 믿어지는 허구’로 정의하면서, 이를 ‘거짓말’이 사회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시대적 흐름과 함께 논의한다. ‘포스트트루스’ 시대에 난무하는 거짓말의 양상은 과거와 달리, 개인의 감정이나 직감을 근거로 믿고 싶은 바를 진실이라고 믿는 경향이 있다. 이는 일찍이 해리 프랭크퍼트가 개념화를 시도한 ‘개소리(Bullshit)’와 의미가 상통하고, 개소리와 거짓말의 가장 근본적인 차이는 진리에 대한 관심 여부이다. 파라픽션은 객관적이고 절대적 진리가 주관적 감정과 의견에 압도되는 현상을 그대로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파라픽션 예술은 믿음과 의심을 함께 불러일으키는 이율배반적 구조를 취한다. 이 구조는 파라픽션이 전략적으로 다루는 ‘믿음’의 의미에 따라 재현적 차원과 수행적 차원으로 구분된다. 재현적 차원에서 믿음은 세계를 경험하는 정신적 활동을 의미한다. 즉 관객들을 믿게 만드는 원리로 작동한다. 이때 관객들을 믿게 만드는 원리로 ‘그럴듯함’의 기술이 요구된다. 그럴듯함은 합의된 현실을 충실히 모방해 관객들에게 신뢰감을 부여한다. 파라픽션 예술이 재현하는 허구가 ‘우리가 진실이라고 느끼거나 믿고 싶은 바’를 반영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쉽게 현혹된다. 이러한 믿음은 관객이 의심을 불러일으키는 장치를 스스로 발견함으로써 유예된다. 파라픽션 예술은 의심 안에서 성찰을 훈련시킨다. 구체적으로, 현실을 합리적이고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인지적 성찰뿐만 아니라 인간 본능과 감정, 직감을 자기반성적으로 성찰하는 행위를 포함한다. 수행적 차원에서 믿음은 인간 본연의 심적 태도를 의미한다. 파라픽션 예술이 생산한 믿음은 깨어지더라도 믿음은 두 가지 잔류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이는 믿음이 두 가지 상반된 방향성을 가지고 세계를 지향하기 때문인데, 하나는 세계를 올바로 표상하기 위해 객관적 진리를 추구하는 마음이고, 다른 하나는 욕망을 세계와 일치시켜 충족하려는 마음이다. 관객이 진리를 추구할 때, 애초에 믿게 만들었던 ‘진실-프레이밍’ 장치가 드러나고 현실을 성찰적으로 바라보게 된다. 반면, 욕망을 충족시키려 할 때, 구체적인 ‘가능세계’의 이미지가 관객의 마음에 새겨진다. 본 연구는 파라픽션 예술의 구조에 입각하여 동시대 예술의 사례를 살펴본다. 왈리드 라드는 레바논의 부재하는 근대사를 대안적인 역사 쓰기로 소환하며, 박혜수는 필요한 상황에 최적화된 인간을 대여해주는 가상의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한다. 이들의 예술적 실천은 파라픽션이라는 또 다른 양상의 거짓말이 예술과 삶의 영역에서 창조적인 주체를 형성하고 새로운 인식의 지평을 연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parafictional art practices which are recently being discovered in contemporary art world since 2000s and to derive the implications of lies that appear in art. To this end, this thesis analyzes the effective aspects of lies characteristically appearing in parafictional art practices based on Carrie Lambert-Beatty’s ‘Parafiction.’ This study proposes that Parafiction be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 of lies, assuming Parafictional art as a kind of lying art. Here, lying art refers to art tha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reflection on how human reason, emotion, and belief are processed and circulated according to aesthetic experience by using the epistemological structure itself to determine authenticity. Lies, according to traditional definitions, should have the intention of deceiving someone. However, Jacques Derrida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classical definitions and expands the discussion by insisting that lies should be contemplated on a performative dimension. In this way, it can be said that if lies are identified as actions, effects of lying art should be discussed along with intentions. On the other hand, if lies are involved in the domain of art, the discussion becomes more complicated. Lying art, which combines lies with fiction, provides an opportunity for insight of reality at a critical and inventive dimension. Art historian Carrie Lambert-Beatty describes the term ‘parafiction’ as ‘the untrue that tends to be experienced and believed as true,’ and discusses it along with the trend of the times in which ‘lies’ have fatal consequences in society. Unlike in the past, the lies prevailing in the ‘post-truth’ era tend to believe what one wants to believe is true based on individuals’ feeling or intuition. This is equivalent to the meaning of ‘Bullshit,’ which Harry Frankfurt attempted to conceptualize earlier, and the most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bullshit and lies is whether it is interested in truth or not. Parafiction can be seen as reflecting the phenomenon in itself in which objective and absolute truth is overwhelmed by subjective emotions and opinions. Parafictional arts have a structure of antinomy that evokes both belief and doubt. In this study, this structure is divided into a representational and performative dimens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meanings of the term ‘belief’ which parafictional arts strategically deal with. In a representational dimension, belief refers to the mental activity of experiencing the world. It contains a certain meaning of principle, and namely the art of ‘plausible’ is the principle that is required to make the audience believe. Plausibility demonstrates the social consensus and sanction and gives the audience a credibility. People are easily misled because the plausibilities in a parafictional art reflect ‘our willingness to believe that it is true.’ This belief is suspended when the audiences discover a device that raises doubt for themselves. So the parafictional art trains them within skepticism. Specifically, it includes not only cognitive reflection on reality reasonably and critically, but also the self-reflection on human instincts, emotions, and intuitions. In a performative dimension, the belief refers to mental attitude. Even if the belief produced by parafictional art has been dropped, the belief leaves two residual effects. This is because belief is intentional state to the world with two conflicting directions. One is the will to pursue objective truth to properly represent the world, and the other is the desire to be matched with the world and to achieve conditions of satisfaction. When the audiences pursue truth, the truth-framing devices that allowed for deception in the first place is emerged, which makes people confront the reality critically. On the other hand, when people pursue their desire, the specific image of the ‘possible world’ is inscribed onto their mind. This thesis analyzes two examples of parafictional arts in contemporary art practices. Walid Raad summons Lebanon's absent modern history through an alternative writing of history, and Hye-soo Park constructs a fictional business model that rents human who is optimized for necessary situations. Their artistic practices demonstrating another kind of lies called parafiction form creative subjects in the realm of art and life and claim a new horizon of knowledge.

      • 스마트교육에 의한 가창 교육방법 연구

        임나영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and industries, which have changed the infrastructure of education. As a resul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ontent, and methods have all evolved over time. In the past, education was largely based on textbooks and teacher-centered instruction, but today, it is more focused on learner-centered education that can develop the skills needed for the future. This has led to the rise of smart education, which uses a variety of technologies to provide flexible and personalized learning experiences for learners. Music education is also undergoing a transformation, and smart educa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necessary. Smart education can be used to improve the singing skills of learners and provide them with a variety of artistic experie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design, and implement smart education singing methods that can help learners improve their singing skills and gain a variety of artistic experiences.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a preliminary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on the concept of smart education, types of smart content, and smart engineering technology in Chapter 2. It then examined the importance of vocal education, methods of vocal education, and vocal education in the revised 2022 music and education curriculum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is study. Based on the derived principles, Chapter 3 designed vocal-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smart educational environment, smart educational content, and smart educational methods. To apply the design, Korean songs and nursery rhymes included in the 1st-grade textbook for middle school were selected as sanctioned songs, and a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was develop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expected educational effec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y applying smart education to singing education, it enables active and learner-centered instruction, rather than passive and one-way knowledge transmission. This allows students to engage in active exploration and discovery in the field of singing, leading to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enhancement of problem-solving skills. Additionally, by utilizing smart devices in education, a wide range of smart education content tailored to students' musical levels can be provided. This enables students to review the repertoire even after the lesson and expand their singing learning into various activities, allowing them to express themselves in a more engaging way during singing classes. Second, by embracing future-oriented teaching approaches through smart education in singing instruction, it allows the cultivation of essential musical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 future society. Students are not limited to learning from static textbooks but can benefit from constantly updated educational content, methods, and environments that align with the current trends. This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quality of singing education and nurturing students' inherent singing abilities. In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smart education in singing instruction offers the potential for active and learner-centered learning experiences, personalized content delivery, and the development of essential competencies for the future. It enhances students' problem-solving skills, engagement, and interest in singing classes while aligning with the ever-evolving educational landscape.

      • 청소년 정서행동문제 그림검사(Emotional & behavioral drawing test; EBDT)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임나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developed Drawing Test of You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fficulties(EBDT)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examine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test. The relationships of EBDT with self-report measures of youth emotional and behavior problems, self-esteem, and coping patterns were also investigated. Participants were 1,9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have a problem of social desirability that test-takers often respond in a defensive way.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est using projective drawings which may be able to avoid defensiveness and to provide more accurate information. Moreover, the study intended to reflect emotional and behavioral maladaptation of adolescents by considering unique circumstances of Korean adolescents. In Study 1, a pool of preliminary drawings for EBDT was developed and selected based on a pilot study and expert consultation. A preliminary rating system was also devised by the discussion among raters. The preliminary version of EBDT was administered and scor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plore factor structure of the scoring items. In Study 2, the factor structure was re-examin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lationships of EBDT and other self-report questionnaire were examined. In addition,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were calcul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BDT consisted of 15 scoring items with 4 factors. These 15 items were selected from preliminary 24 scoring item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 additional checklist was also developed and included in the test to check which stimulus drawings were chosen. The four factors of EBDT were "hostile expression", "structural poverty", "internal withdrawal" and "structural imbalance". Two factors, hostile expression and internal withdrawal, were content dimensions, while the other two, structural poverty and imbalance reflected structural dimensions. Hostile expression concerned aggression and delinquency; Internal withdrawal involved social isolation and depression that appear in drawings. These two subscales represented dysfunctional attitudes in emotion and behavior of adolescents. Structural poverty indicated drawings with few and simple details; Structural imbalance was related to overall structure of drawings. These subscale are reflected a comorbidity of externalization and internalization of adolescents. Second,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EBDT were in satisfactory range, indicating that this test can be a relatively stable method for evaluation. Third, the correlation of EBDT with other self-report questionnaires confirmed that it was a valid method to identify emotional and behavioral maladjustmen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was the first attempt to develop a projective drawing test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fficulties of Korean adolescents and examine validity with rigorous empirical analyses. EBDT could be utilized in clinical and educational settings to help mental health providers to prevent, screen, and intervene emotional and behavioral difficultie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Key words: Drawing Test, Art assessment, Validation, Youth Emotional behavior problems. Maladaptive cope 본 연구는 중학교 및 고등학교 1-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정서행동 문제를 측정할 수 있는 청소년 정서행동 그림검사(Emotional & Behavioral Drawing Test; EBDT)를 개발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 및 서울 지역의 중고등학생 약 1900명을 표집하였고, EBDT와 K-YSR 및 자존감과 대처양상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기존의 정서 행동 선별 검사들이 자기보고식 설문지 및 보고용 척도이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바람직하게 긍정적으로 반응하며 피검자의 방어가 쉽게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방어를 줄여 줄 수 있고, 보다 정확한 양질의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는 투사적 그림검사를 통한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한국의 청소년에게 적합한 도구를 통해 그들이 보이는 정서 행동의 문제 양상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연구1에서는 EBDT의 예비 자극그림을 제작하고 그 반응을 토대로 자극그림을 완성하였다. 그 후 그림검사의 채점 문항을 개발하고 채점자 간의 논의와 협의를 통해 문항을 선정하고,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하위척도와 최종문항을 선정하였다. 연구2에서는 연구 1에서 개발된 EBDT의 차원과 하위척도간의 관계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확인 하였으며, 다른 변인들과의 상관을 보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BDT는 30개의 자극그림과, 구조 및 형태 변인과 내용변인을 측정하는 1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초기 24문항에서 최종적으로 15문항으로 선별 하였고, 30개의 자극그림 중 어떤 자극그림을 선정했는지 확인 하는 부가적 체크리스트를 함께 구성하였다. EBDT의 채점 항목으로서 구조 및 내용변인의 15문항은 “적대적 표출”,“구조적 빈곤”,“내면적 위축”,“구조적 불균형”의 4요인의 하위척도로 확인되었으며, 네 가지 요인은 크게 심리적 변인과 구조적 변인의 두 가지 차원으로 분리된다. 적대적 표출은 공격성과 비행과 관련된 변인이고, 내면적 위축은 사회적 고립과 우울등과 관련된 변인인데 이는 심리적 내용을 반영하며, 청소년의 정서 행동의 역기능 차원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또한 구조적 빈곤은 묘사가 적거나 단순한 그림과 관련되며, 구조적 불균형은 치우치거나 불균형한 그림의 구조와 관련된 변인이다. 이는 그림의 구조적 변인을 반영하며, 청소년의 외현화 및 내재화의 공존현상을 반영한다. 둘째, EBDT의 신뢰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적 안정적인 평가도구로 밝혀졌다. 셋째, EBDT는 개별 4가지 하위 영역에서 정서 행동의 문제를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넷째, EBDT가 문제가 되는 영역을 탐지해 냄으로 정서⋅행동 문제를 보이는 청소년에게 효과적인 예방교육을 하는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상담을 받고 있는 청소년들의 변화 추이를 측정하는데 유용한 도구임이 확인 되었다. 연구의 의의는 중학생 및 고등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 청소년의 정서 행동을 측정할 수 있는 국내 최초의 타당화 작업을 거친 투사적 그림검사 개발이라는 점이며, 특히 이 척도를 통해 청소년의 정서 행동 문제의 정도와 양상을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알아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청소년 정서 행동 그림검사가 실제 임상 및 교육 장면에서 청소년의 정서 행동 문제의 양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됨으로써, 많은 학교 장면에서 적합한 조치를 취하고 문제에 앞서 예방을 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주요어: 그림검사 , 타당화 , 청소년 정서행동문제, 역기능대처

      • 1970년대 말~80년대 민간인 통제구역 내 재건촌 양옥의 조성 및 건축적 특성

        임나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까지 민간인 통제구역(CCZ) 내 재건촌이라는 특수한 공간적 범위 내에 양옥이 조성되는 과정과 건축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철원군, 양구군, 경기도 연천군에 걸쳐 있는 12곳의 재건촌을 조사하였으며 당시 민간건축업자들에 의해 공급된 일반 도시 양옥과 국가에서 제시한 표준설계도서 상의 양옥과의 비교를 통해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재건촌에 건설된 양옥이 가지는 건축적 특성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재건촌은 국가의 주도로 민간인 통제구역에 지어진 전략촌 중 하나로서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에 처음 조성되었다. 북한의 선전촌에 대응하고 유휴 농지의 개간을 통한 식량 증산을 할 목적으로 건설된 재건촌의 초기주택은 한 가구당 9평 내외의 연립주택 또는 단독주택으로 구성되었다. 하지만 이후 기존 주택이 노후화되고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1979년부터 취락구조개선사업의 일환인 민북지구 취락구조개선사업(민북개발사업)이 진행되었다. 민북개발사업은 당시 1970년대 농촌지역에서 활발하게 일어나던 새마을운동과 맞닿아있는 사업으로서 재건촌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민북개발사업으로 인해 재건촌의 초기주택은 다수 철거되었고 이를 대신하여 당시 도시에서 유행하던 양옥이 들어서게 된다. 1970년대 도시에서는 ‘불란서 주택’, ‘불란서식 미니 2층’ 등으로 불리는 이형 물매의 박공지붕, 흰색의 콘크리트 난간, 붉은 벽돌 마감 등 서구식 외관을 가진 주택이 민간건축업자에 의해 지어지며 유행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흐름의 양옥이 재건촌에도 지어진 것인데, 다른 점이라면 민간인 통제구역 내에 있는 전략촌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관이 개입되어 해당 군청에서 제공한 도면과 지침을 통해 건축되었다는 점이다. 이렇게 1979년부터 1983년 사이에 조성된 재건촌 양옥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민간건축업자들에 의해 지어진 도시 양옥, 그리고 국가에서 제시한 표준설계도 속 양옥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주택의 평면은 표준설계도서 상의 양옥과 유사했지만, 외관은 민간건축업자들에 의한 도시 양옥과 같이 다양한 색채와 벽돌로 화려하게 장식하고 지붕을 과장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국 재건촌의 양옥은 국가에 의해 규범화되어 제시된 평면을 바탕으로 하되 외관에 있어서는 많은 다양성을 시도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재건촌 양옥으로는 민간 도시 양옥이나 표준설계도 속 양옥에서는 볼 수 없는 연립형 양옥이 지어지기도 했는데, 이는 북한과 대치하고 있는 민간인 통제구역 안이라는 특별한 공간이기 때문에 나타난 특수한 주택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난방 및 설비 면에서도 차이를 보이는데, 도시 양옥과 비교했을 때 재래식 아궁이를 설치한 점, 외부에 변소를 마련하고 있는 점 등은 재건촌 양옥이 서양식 주택을 지향하긴 했지만, 설비 면에 있어서는 여전히 기존 농촌주택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처럼 재건촌의 양옥은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우리나라에서 유행했던 양옥의 변화 과정의 일면, 그리고 도시에서 농촌으로 양옥이 확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한편, 민간인 통제구역이라는 공간에 지어졌기 때문에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특별한 양옥의 형태를 발견할 수 있다.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construction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western-style houses (Yangok) in a specific area called Jaegeon Villages (reconstruction villages) located in the Civilian Control Zone (CCZ) between the late 1970’s and the 1980’s. To that end, the researcher surveyed twelve Jaegeon Villages in Cheolwon-gun and Yanggu-gun in Gangwon-do and Yeoncheon-gun in Gyeonggi-do. By comparing other urban yangoks built by private sector constructors at the time and the yangoks built based on the standard designs proposed by the government, this study explores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yangoks in Jaegeon Villages. Jaegeon Villages were a part of the villages strategically developed by the government within the CCZ, starting in the period between the late 1960’s and the early 1970’s. These villages were developed as a countermeasure against the construction of Seonjeong Villages (propaganda villages) by North Korea, as well as a means to boost food production. In their early years, these villages saw construction of row houses or detached houses with each unit measuring around 30 square meters. However, as the existing houses deteriorated and the local population grew, the government launched the Minbuk District Settlement Structure Improvement Project (Minbuk Development Project) as part of the nationwide settlement structure development project starting in 1979. The Minbuk Development Project was closely tied with the Saemaeul Movement that prospered in rural areas in the 1970’s. The project introduced significant changes into Jaegeon Villages. The project involved the dismantling of many existing houses in the villages, which were replaced by yangoks that had come into fashion in urban areas. Korean cities in the 1970’s witnessed the growing popularity of houses with western-style elements such as gabled roofs with irregular pitches, white concrete railings, and red brick finishes, called ‘French houses’ or ‘French-style mini two-story houses.’ These houses were mainly built by private sector constructors. These trends affected Jaegeon Villages as well. However, yangoks in these villages were different in that the government was deeply involved in their construction, owing to the special nature of the villages. These yangoks were built based on the drawings and guidelines provided by the local government offi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yangoks in Jaegeon Villages built between 1979 and 1983, this study compares the yangoks built by private sector constructors, and those built in Jaegeon Villages based on government-provided standard designs. Even though the floor plans of these yangoks in the villages closely followed the standard designs, there exteriors were decorated with various colors and bricks with exaggerated roofs. To summarize, while based on the floor plans standardized and proposed by the government, yangoks in Jaegeon Villages attempted diverse approaches when it came to their exteriors. In addition, yangoks in Jaegeon Villages included row houses not found among urban yangoks developed by private sector constructors or those based on standard designs. This particular type was motivated by the location of the villages, because they were located inside the CCZ in close proximity to North Korea. The yangoks in Jaegeon Villages were set apart from their urban counterparts in terms of heating and other facilities as well, as they were built with traditional fireplaces (called agungi) and detached toilets. These characteristics suggest that, even though yangoks in Jaegeon Villages were built in western styles, they were not far advanced from traditional rural houses in terms of facilities. As discussed above, yangoks in Jaegeon Villages represent the spread of western styles from cities to rural areas, and the changes in yangoks between the 1960’s and the 1980’s. In addition, these houses feature characteristics not found in other similar houses, on account of them being located in the CCZ.

      • 서울의 지역문화축제

        임나영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unctions and the backgrounds of regional culture festival and to propose the method of understand for region. 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was selected regional culture festival which is held continuously in present city boundary of Seoul by the citizen and the local autonomous entity(gu). Regional culture festival is cultural phenomenon which was made by inhabitants of city and it will be presented cultural environment of urban. To be held for regional festival in the society was effected by four background. They are as follow. 1) migration of population which is result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2) elevation of the income level and changing of consumption pattern 3) specialization and diversity of leisure 4) improvement of cultural policy and enforcement of the local autonomous entity. Function of regional festival were formation of identity, a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increasing of economic activity and betterment of regional image. Regional festival was held in all of gu. The first opening year of festival was focused in 1980s and 1990s. The rate of each period were 17.5%, 82.5%. It was analyzed to be effected by Seoul olympic and the local autonomous entity. In terms of holding time, 81.8% of total festival were opened in may and october. The reasons are climatic condition for field work and cultural service is served in may, october. It influenced number of participant that how many people live in region and well-known of festival and attraction of place. The period of opening day was one day or two days to participate for most of inhabitants. Regional festival had not various organization, most of all was operated by the district office. In the base of analyzing, I classified five type of regional festival. 1) historical type : historical person, happening and historic spot. 2) social type : weak common consciousness 3) cultural type : cultural source and cultural service 4) economic type : commercial district 5) natural type : physical environment In conclusion regional culture festival had difference which was effected by historical and geographical factor. Inhabitants open regional festival with cultural source of their region and they intensify regional uniqueness. On the other hand, regional festival transform abstract culture into visible culture. So it is attractive factor which inform regional uniqueness on the surrounding of region. The regional festival in Seoul was made by urbanization, lifestyle of urban people and local autonomous entity. It means that culture phenomenon will be propose an index of regional culture and region will be understood by study of regional festival.

      • 비디오 커머스의 특성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미디어 인게이지먼트를 중심으로

        임나영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Change of media usage pattern among users is caused by the rapid growth of the smartphone. It transforms everything in daily life into a mobile-centric one.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commerce and fin-tech brings the popularization of simple payment service amid the steady growth of e-commerce. Also, simple payment service results in fierce competition among portals, social media, open markets, and social commerce. In particular, the commercialization of social media and the increase of users watching video contents through smartphone have featured a new business model called “Video Commerce”. It is naturally exposed to consumers who have no purpose to buy. It is commercial video in a PPL format cannot be totally differentiated with other video contents. Even consumers who have shown an anti-advertisement response voluntarily watch, share, and search the video commerce content rather than rejecting it. In this research, the character of video commerce contents is divided into four aspects; sympathy, entertainment, reliability, and intuition, in order to find out which aspect leads a consumer to be interested, immersed, and thus to the stage of purchasing. Also, the research adopts the concept of media engagement, the index of commercial efficiency. In other words, the assumption is stated that four aspects affect media engagement, and it eventually influences the attitude of the brand and the willingness to buy.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hypothesis testing results. First, entertainment, reliability, and intuition, excluding sympath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media engagement. Second, media engagement powerfully influences the intention of purchase and consumer’s attitude on the brand. It aligns with the result of previous research. With higher engagement in media, consumers easily accept the advertisement and contents. This leads one to have a positive brand attitude and intention of purchase. This results of confirmation of the importance of media engagement. Third, a brand attitude has a decisive effect on intention of purchase. The intention of purchase leads to the action of buying. It can be decided that the possibility of purchase is high when the consumer has a good brand attitude. Finally, finding out whether the feature of video commerce contents and brand attitude of consumers is mediated by media, the result shows that entertainment and reliability are mediated by media engagement. This research will provide strategic implications to decision-makers and practitioners of companies that try to practice digital marketing related to video commerce. Also, it proposes an academic and empirical foundation that presents criteria of video content creation and index of effectiveness. 스마트폰의 급속한 확산으로 인한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는 일상의 모든 것들을 모바일 중심으로 통합하고 변화시키고 있다. 이커머스의 꾸준한 성장 속 모바일 커머스의 약진과 핀테크 기술의 발달로 인한 간편결제 서비스의 대중화는 포털, 소셜미디어, 오픈마켓, 소셜커머스 등 너나없이 경쟁이 치열해지는 시장 상황을 낳았다. 특히 소통과 공유라는 네트워킹의 기본적인 속성을 가진 소셜미디어의 커머스화와 스마트폰으로 동영상 콘텐츠를 시청하는 소비자들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소셜미디어를 통해 동영상 콘텐츠를 노출시켜 제품 판매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비디오 커머스(Video Commerce)’라는 비즈니스 모델을 등장시켰다. 비디오 커머스는 소셜미디어에서 쇼핑에 대한 목적의식 없이 활동하고 있는 소비자들에게 자연스럽게 노출되는, 콘텐츠인 듯 보이지만 PPL 형식을 띈 상업적인 광고 영상이다. 광고 회피 반응을 보이던 소비자들은 비디오 커머스 콘텐츠에 대한 거부감보다는 자발적으로 시청하고 공유하며 심지어 찾아보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디오 커머스 콘텐츠의 어떠한 특성이 소비자로 하여금 콘텐츠에 관심을 갖게 하고 몰입하게 하여 제품을 구매하는 단계에까지 이르게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콘텐츠의 특성을 공감, 오락성, 신뢰성, 직관성이라는 4가지 요인으로 구성하고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광고효율 측정지표로 떠오르는 미디어 인게이지먼트 개념을 채택하여 브랜드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가설 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디오 커머스 콘텐츠의 특성 중 공감을 제외한 오락성, 신뢰성, 직관성은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에 몰입하게 만드는 요인은 콘텐츠 내용에 대한 공감이 높지 않더라도 오락성, 신뢰성, 직관성에 특화되어 있는 콘텐츠라면 미디어 인게이지먼트를 높일 수 있다. 둘째, 미디어 인게이지먼트는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디어 인게이지먼트가 높을수록 미디어에서 노출되는 콘텐츠나 광고에 대한 수용도가 증대되고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낸다는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셋째, 브랜드 태도는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의도는 제품을 구매하려는 행위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브랜드 태도가 좋으면 구매 가능성 또한 긍정적일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넷째, 비디오 커머스 콘텐츠의 특성과 브랜드 태도가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에 의해 매개되는지 알아본 결과 오락성과 신뢰성만이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에 의해 매개되어 브랜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비디오 커머스와 관련된 디지털 마케팅을 시도하려는 기업의 의사 결정권자들과 실무자들에게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동영상 콘텐츠 제작 및 효과 측정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는 학문적, 실증적 토대를 제공하는 것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