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중국의 교육대학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양사청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95

        논 문 요 약 한국과 중국의 교육대학 음악교육과정 비교 분석: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양 사 청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장기범)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 서울교육대학교와 중국 하남사범대학교의 음악교육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양국 교육 현황을 파악하여 그 교육과정을 비교함으로써 양국이 서로 참고할 만한 부분을 찾는데 있다. 이 연구는 한중 양국의 음악 교육과정 중에서 각 과목의 교육 목적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양국 교과교육의 교류와 협력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학교 교육과정과 관련된 선행 연구, 문헌자료, 관련 서적, 인터넷 조사 등의 문헌 조사를 통해서 교육대학교 음악교육학과의 설립배경과 발전 과정, 대학교의 기능 및 교과과정 운영의 기본 방향을 알아본다. 둘째, 중국 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을 한국 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에 맞추어 동일한 틀에 넣고 분석한다. 셋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학교 교육과정 설치, 교과목 학점 수, 교육과정 해설 및 심화과정은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으로 분류해서 비교하여 분석한다.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 음악교육과정, 학점 수, 교육과정 해설, 실습배치 등의 비교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교육실습 제도가 다르다. 한국은 2학년부터 학기마다 교육실습을 실행하는 데 반에 중국은 4학년 2학기 때만 8주간에 교육실습을 실행한다. 하지만 중국은 수습 기간을 필수로 하며 한국은 교육실습을 대체로 한다. 이러한 점은 양국 서로 참고할 가치가 있다. 둘째, 한국과 중국의 음악 교육과정을 비교할 때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전통음악에 관한 과정을 중시하는 정도이다. 한국 대학교는 국악과정의 설치가 교육과정에서 서양 음악과 대등한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중국 대학교의 전통음악에 관한 과정을 차지하는 비중은 아주 적었다. 이와 비교할 때 중국 사범대학교의 민족 음악 교육과정의 체계는 아직까지 미흡한 상황이다. 주요어: 교육대학교, 음악 교육 과정, 비교, 분석 *본 논문은 2018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교육대학원 실시간 비대면 수업 경험 탐색 - COVID-19로 인한 수업방식과 공간 변화를 중심으로 -

        이소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COVID-19로 실시간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교육대학원 수업방식과 공간 변화에 따른 수업 경험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직장인 교육대학생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두 가지 측면의 특이성을 발견하였다. 첫째, 개별 공간에서 진행되는 비대면 수업으로 학습자 간 단절을 경험하고, 이로 인해 수업의 적극적인 참여가 제한되고 있었다. 둘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로서 학생 역할에 대한 중심 공간인 학교라는 물리적 공간이 사라졌고, 이 때문에 각자 공간을 확보하여 수업에 참여해야 했다. 학교 외 공간에서의 수업은 접근성의 확대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용이함을 주었지만, 학생으로서 수업의 몰입을 어렵게 했고 대학원생이라는 인식도 옅어지게 했다. 이에 본 연구는 갑작스럽게 도입된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대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경험을 드러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는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방식에 어떻게 적응하고 있는가? 둘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는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물리적 공간 변화를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가? 이를 위해 COVID-19의 상황으로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직장인 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인터뷰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질적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로 실행된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은 학습자 간 분리된 공간에서 수업 참여가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학습 커뮤니티 형성이 어려워졌고, 발표와 토론이 많은 수업에 대한 참여의 비적극성이 나타났다. 또한 새로운 수업방식에 각자 적응하는 시간이 필요했으며, 수업의 집중이 떨어졌다. 둘째, 학교 공간은 수업을 진행하는 장소라는 의미 이상의 학생이라는 역할 인식과 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직장인 성인학습자에게 대면 수업의 학교 공간은 직장과 가정에서 분리되어 학생 역할에 집중할 수 있는 장소였다. 구성원과 공간을 공유함으로써 학교와 관련된 대화를 나누고, 정보를 교환하며 자연스럽게 학생으로서 역할 전환을 경험했다. 하지만 비대면 수업은 불안정한 공간에서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직장인 성인학습자로서 학생에 대한 인식을 어렵게 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수업공간 변화를 중심으로 비대면 수업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다중역할을 수행하는 성인학습자의 수업방식과 수업공간이 주는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다만, 개인의 특성에 따른 차이와 일반화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원격 수업이 아닌 COVID-19로 인한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관한 연구임을 밝혀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보완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첫째, 연구대상과 범위를 확대하여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수업공간과 학습에 관한 심도 있는 탐색과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적합한 수업공간을 고찰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lassroom experie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eaching  method  and  space  of  worker  adult  learners  who experienced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The researcher discovered the peculiarities of two aspects in the real-time non-face-to-face class of workers,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First, students experienced disconnection between learners due to non-face-to-face classes conducted in individual spaces, which limited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es. Second, the physical classroom space, the school, which is the central space for the student's role as a worker adult learner, disappeared, and for this reason, they had to participate in the class in their own space. Classes  outside  of  school  provided  ease  of  access  to  the various  roles  of worker  adult  learners,  but  mad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class  and  diminished  the perception  of  being  a  graduate  student. This study focused on revealing the experiences of worker  adult  learners in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was suddenly introduced.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how are worker  adult learners adapting to the real-time non-face-to-face class method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how do adult learners of workers experiences changes in the classroom space due to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this  e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or  workers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that  experienced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l-time  non-face-to-face  clas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was  implemented  due  to  COVID-19,  was  made  in  a  class  participation  method  in  a  space  separated  between  learners. This made it difficult to form a learning community, and the inactivity of participation in classes of many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appeared. In addition, it took time for each to adjust to the new teaching method, and the concentration of class was reduced. Second, the school space was a factor that affected students' role recognition and immersion beyond the meaning of a place where classes were conducted. For adult learners, the school's face-to-face classroom space was a place where they could focus on student roles, separated from work and home. By sharing a space with members, they had conversations related to the school, exchanged information, and naturally experienced a role changes as a student. However,  mad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recognize  workers  adult  learners  as  students  by  participating  in  classes  of  an  unstable  space  with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This study can help adult learners who play multiple role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lass space and class methods by exploring the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 focusing on changes in class space that have not been noticed until now. However, differ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re may be limitations on generalization. Also, let me clarify that this is a study on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not general remote classes. Finally,  if  we  suggest  a  follow-up  study  to  supplement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students  and  study  the  various  class  experiences  of  worker  adult  learner. Second, it would be meaningful to consider a class space suitable for in-depth exploration of class space and learning and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 초등 5-6학년군 교육과정 내 지속가능한 농업 콘텐츠 도입 방안

        박경하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79

        1992년부터 대두되기 시작한 지속가능발전의 개념은 현재까지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지속가능발전목표라는 개념을 통해 좀 더 구체화되었고 이에 발맞추어 우리나라에서도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이루기 위해 정부 및 여러 단체들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으나 농업 분야에서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에 대한 교육적인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내의 5~6학년군 교과서를 바탕으로 하여 지속가능성 농업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재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을 내용단위로 분석하였으며 교육과정 외의 자료 조사를 통해 교육과정에 추가할 만한 주제를 선별하여 제시하였다. 교육과정 내 콘텐츠 도입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도권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지속가능성 농업 관련 콘텐츠 도입과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결과를 분석하여 재구성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을 전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내에서 지속가능발전 관련 내용의 경제·사회·환경 영역의 균형적인 배분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현재 교육과정에서는 내용 배분이 환경성 영역에 치우쳐 있어 다른 영역의 내용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외부 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전문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체계적이고 시의적절한 자료와 프로그램 활용이 가능해지며 관련 정책과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도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지속가능성 농업 관련 내용이 삶에 녹아들 수 있도록 실질적인 사례와 다양한 콘텐츠 양식을 활용해야 한다고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성 농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갖게 되며 더욱더 성공적인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의 이행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 지속가능한 농업 * 본 논문은 2020년 7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began to emerge in 1992, is still drawing global attention. In line with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e government and various organizations are working in various ways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n Korea, but they are suffering from various difficulties in the agricultural sector, which requires an educational approach. Based on the textbooks of 5th and 6th grader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presented a plan for reconstruction through analysis of sustainable agriculture. To this end, the curriculum was analyzed as a content unit,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introduction of sustainable agriculture-related contents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the reorganization plan was proposed,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analyzed that a balanced allocation of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areas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is needed within the curriculum. Second, professional access through links with external agencies is required. It is analyzed that this will enable systematic and timely use of data and programs and help improve understanding of related policies and programs. Third, it was analyzed that practical examples and various content forms should be utilized so that sustainable agriculture-related contents can be incorporated into life.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government will have a positive perception of sustainable agriculture and implement more successful national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Key Words : Sustainable agriculture, National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 한국과 미국의 5, 6학년군 천문 영역의 내용 체계 분석

        김은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 교과서를 분석하되, 우리나라 2009 개정교육과정 과학과 5~6학년군 ‘생명과 지구’ 영역에서 천문내용과 관련된 단원의 내용체계, 학습 내용, 탐구활동 요소, 실험 내용 등 교과 내용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2009 개정교육과정 과학과 5~6학년군 ‘생명과 지구’ 영역에서 천문내용과 관련된 교과 내용을 크게 태양계와 별(5-1), 날씨와 우리 생활(5-2), 지구와 달의 운동(6-1), 계절의 변화(6-2) 주제로 나누어 이와 관련된 미국의 Grade 1~6의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내용체계, 학습내용, 실험내용을 비교 분석 하여 아래의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교과서의 내용 체계에 있어 우리나라의 2009 개정 교육과정 과학 교과서는 탐구 활동 중심으로 단원이 이루어져 있으며, 미국의 교과서의 경우, 통합 교과적인 내용과 STS적 요소가 많이 제시 되어 있다. 두 번째로, 학습 내용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한 학년에 하나의 주제를 다루고 있지만, 미국의 경우 하나의 주제를 여러 학년에 걸쳐 다루고 있으면서 탐구 활동과 교과 내용이 심화되어 전개 되어 있다. 특히 미국의 5, 6학년 교과서에는 우리나라 중학교 과정 수준의 학습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우리나라의 교육과정과 다른 부분이 있었다. 세 번째로 교과서 실험의 탐구 과정 요소에 있어서 우리나라의 경우 추리(23%), 측정(20%), 자료 변환 및 자료 해석(17%)과 같은 학습 내용을 일반화 하는 활동이 주를 이루는 반면, 미국의 경우 가설설정(33%), 관찰(26%), 추리(22%), 변인통제(17%), 결론 도출(16%)과 같은 요소가 더 많이 제시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실험의 내용에 있어 우리나라의 경우 독립적으로 학습 개념을 다루어 활동이 이루어져 있는 반면, 미국의 경우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의 기본 운동을 전제로 날씨와 계절의 변화, 별과 달의 운동, 태양계 등을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구성하고 있다. 천문 영역은 공간과 시간의 제약을 많이 받기 때문에 천문현상 그대로를 탐구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위해 탐구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고 천문 현상을 이해하기 쉽도록 교과서의 실험 활동을 추가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학생들이 탐구에 필요한 요소를 골고루 체험할 수 있도록 기초 탐구 과정을 토대로 통합 탐구 과정 요소를 추가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천문, 내용 체계, 기초 탐구 과정, 통합 탐구 과정 * 본 논문은 2015년 2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In this study, Korean and analysis of science textbooks, but the United States, Korea, 2009 revision science curriculum in grades 5-6 group 'Life and Earth' area of the section relating to astronomical subjects experimental methods and content, test tools, test results summary, and a description of the concept we analyzed the main idea. First, this section consists mainly explore activities in Korea 2009 revised curriculum science textbooks. There are a lot of information and interdisciplinary STS elements of American textbooks. Second, there was a topic covered in one semester, Korea. However, while dealing with the United States over several grade the subject content has been intensified. 5th and 6th grades textbooks in the United States includes learning the Korean middle school level. This is different from Korea. Third, the majority reasoning (23%), measurement (20%), data conversion and data interpretation (17%) of the Korea Science textbook. On the other hand, hypothesis (33%), observation (26%), reasoning (22%), variable control (17%), draw conclusions (16%) is the most American textbooks. Finally, consists of the following activities to address the learning concept independent experimental information in Korea. However, in America, configure the connection to the weather and seasonal changes, movement of the stars and the moon, the solar system, based on the basic movements of the Earth's rotation and revolution. Because the constraints of space and time, astronomical many areas, it is difficult to explore astronomical phenomena Partially intact. So, Provide opportunities for exploration activities and laboratory activities should be added to the books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the astronomical phenomenon. Also, you will need to explore further integration process elements based inquiry process as well as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thoroughly explores the process elements. Keywords : astronomy, basic inquiry processes, content system, integration inquiry process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 그림책 감상활동을 통한 자연친화 연계 활동이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윤혜경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79

        현재 산업의 발전은 인간의 삶을 윤택하게 만들어주었지만 도시화는 자연에 대한 경외심 상실과 환경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유아기에 만나야 할 자연이 점점 줄어들고 아이들은 TV나 컴퓨터에 보다 많은 시간이 노출되면서 혼자 놀이하는 환경에 익숙해지고 있다.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자연친화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지만 유아교육기관 대부분이 주거지 밀집 지역에 위치하여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유아에게 친숙하고 교육현장에서 접근이 용이한 매체인 그림책을 활용하여 시·공간적 어려움이 있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 가능한 자연친화 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B시의 C유치원 만 5세 유아 50명을 대상으로 자연환경과 관련된 그림책을 교사와 함께 감상한 후 그림책과 연계된 자연친화 활동을 실행하여 그 효과를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그림책 감상 활동을 통한 자연친화 연계 활동이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그림책 감상 활동을 통한 자연친화 연계 활동이 자연친화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그림책 감상 활동을 통한 자연친화 연계 활동이 환경보전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위에 제시한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B시에 위치한 C유치원 만 5세 유아 25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비슷한 수준의 만 5세 유아 25명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총 50명의 유아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처치 기간은 2018년 10월 2일부터 12월 8일까지 총 10주간 10회에 걸쳐 실행되었으며, 실험집단은 그림책을 감상한 후 자연친화 활동을 그림책과 연계하여 실내외에서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그림책을 감상한 후 그림책 내용에 대한 회상과 생각 나누기 활동을 하였다. 실험집단의 자연친화 활동에서는 그림책의 이야기를 연계하여 조형, 언어, 표상, 체험, 관찰 활동의 수업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Musser & Diamond(1999)가 제작한 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Preschool Version(CATES-PV)을 허윤정(2001)이 수정·보완한 검사 도구인 자연친화적 태도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 도구는 자연친화 태도와 환경보전 태도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연친화 태도의 세부 요인으로 생명존중 의식, 자연환경의 선호, 동·식물 애호가 있고 환경보전 태도의 세부 요인으로 자연보호와 자원절약이 있다.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결과를 수집하여 SPSS 20.0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검사 결과를 독립표본 t­검증하여 두 집단 간의 동질성을 확인하고 난 후 사후검사 결과를 독립표본 t­검증으로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 감상 활동을 통한 자연친화 연계 활동은 유아들의 자연친화적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림책 감상 활동을 통한 자연친화 연계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자연친화적 태도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해 본 결과 비교집단의 평균 점수보다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그림책 감상 활동을 통한 자연친화 연계 활동은 자연친화적 하위 요인인 자연친화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림책 감상 활동을 통한 자연친화 연계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자연친화 태도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해 본 결과 비교집단의 평균 점수보다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그림책 감상 활동을 통한 자연친화 연계 활동은 자연친화적 하위 요인인 환경보전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림책 감상 활동을 통한 자연친화 연계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환경보전 태도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해 본 결과 비교집단의 평균 점수보다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그림책 감상 활동을 통한 자연친화 연계 활동이 자연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자연친화 연계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향상을 위한 교육매체로서의 중요함과 시·공간적 제약이 있는 유아교육기관에서도 활용이 가능한 프로그램임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그림책을 활용한 자연친화 활동의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 향상을 위해 보다 폭넓고 활발하게 적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주요어: 자연친화적 태도, 그림책 감상 활동, 자연친화 연계 활동 * 본 논문은 2019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 초등영어 수업에서 아동문학 작품을 활용한 초점 단위 수업에 대한 연구

        강소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영어 수업에서 아동문학 작품을 활용한 초점 단위 수업이 학생들의 작품 감상 능력 및 영어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초점 단위 수업이란 하나의 텍스트를 깊이 있게 읽으며 반응을 점차 심화시키고, 깊은 공감을 이끌어내는 수업이다. 학생들은 한 권의 텍스트를 다양한 방식으로 읽으며, 텍스트별 특징적인 주제, 독자, 장르 등에 대해 깊이 탐구하고 여러 활동을 수행하며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깊이 한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학생들의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는 적절한 자극 및 학생들의 반응을 촉진할 수 있는 교육적 장치를 제공한다. 한 번 읽을 때 보다 다시 읽을 때,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으며 언어 학습의 측면에서도 섬세한 표현을 받아들이며 내재화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점 단위 수업을 기반으로 하는 모형을 외국어인 영어 수업에 도입하여 실행 과정을 탐구하고, 그 과정에서 학생들의 반응 심화 및 영어 학습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동문학 기반 초점 단위 수업에서 학생들의 작품에 대한 반응이 심화되는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아동문학 기반 초점 단위 수업에서 학생들의 영어 학습 양상은 어떠한가? 제시한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하여 S시 B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학년 25명(남 13명, 여 12명)을 대상으로, 아동문학텍스트를 초점 단위 수업 기법을 활용하여 읽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반응 심화 양상 및 영어 학습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수업의 진행은 크게 삼 단계로 초점 텍스트 읽기, 연관 텍스트 읽기로 확장, 프로젝트 활동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초점 텍스트 읽기’ 단계에서 학생들은 초점 텍스트를 다양한 방식으로 읽고 반응을 점차 심화했다. 두 번째 단계인 ‘연관 텍스트로 확장’ 단계에서는 같은 주제의 다른 텍스트를 읽으며 반응을 확장했다. 마지막 단계는 ‘프로젝트 활동’으로 주제별로 읽었던 초점 및 연관 텍스트의 내용과 반응을 통합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수업 활동지, 학생 반응지, 수업 활동 녹음 및 녹화 전사문, 사전․사후 설문, 학생 면담, 교사 일지 등의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 번째 결과로 학생들은 텍스트를 읽고 학생들의 반응이 심화되었는데, 이는 ‘누적된 반응을 통한 깊이 있는 공감’, ‘생각 교환을 통한 협력적 의미 구축’, ‘텍스트의 특징에 따른 논리적 사고력 신장’으로 하위 범주화할 수 있었다. 먼저, 매 차시 초점 텍스트를 다양한 방법으로 읽고 반응지를 작성한 결과, 초기에는 단순 경험 비교나 내용 파악에만 치중했던 반응이 점차 자신의 기분과 연관시키며 깊이 공감하는 내재화된 반응으로 발전되었다. 또한, 처음에는 주요 사건이나 자극적인 장면만 기억하였다면 점차 세부내용을 살피며 텍스트 분위기나 깊은 의미를 찾으려 노력하는 태도를 보였다. 둘째, 학생들은 자신의 반응이나 궁금한 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같은 책을 읽은 독자들 간에 서로 의견의 의견을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책을 다시 읽는 과정을 거듭하며 협력적으로 의미를 구축하는 모습을 보였다. 학생들은 생각 교환의 과정을 통해 텍스트의 비유적 의미를 이해했으며, 텍스트 속 글자의 크기나 텍스트 배열 모습에 따른 형식적 구조를 파악하기도 했다. 셋째, 학생들은 4차례에 걸친 다양한 방식으로 초점 텍스트를 읽은 뒤, 가장 특징적인 비교 기준을 세워 연관 텍스트를 비교, 대조하며 논리적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었다. 두 번째 결과로는 초점 단위 수업이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먼저, 학생들의 구체적이고 다양한 표현 활용 능력이 향상되었다. 초점 단위 수업을 활용한 수업을 하며 영어 표현을 제시하기 전 텍스트에 쓰인 영어 표현을 예측하거나 프로젝트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단어나 표현을 선택함에 있어 신중하게 선택하거나 자신의 뜻을 전달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묘사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또한, 학생들은 영어에도 같은 뜻을 가진 다양한 표현이 존재함을 인지하고 다양한 표현을 사용하려 노력하였다. 둘째, 초점 단위를 기반으로 한 연구 전반의 과정에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각 기능은 신장되었을 뿐 아니라 각각의 기능들은 서로 연계되어 통합적으로 발달되는 모습을 보였다. 한 권의 텍스트를 다양한 방식으로 읽고 프로젝트 과제를 해결하며 영어로 쓰고, 이를 친구들 앞에서 소개하며 말하고, 다른 친구의 활동 내용을 듣고, 게시판에 게시된 결과물을 자발적으로 읽는 과정에서 언어 기능 간 통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다. 이상에서 제시한 본 연구의 결과가 초등영어교육에서 갖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아동문학 작품을 활용한 초점 단위 수업이 학생들의 작품 감상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 권의 텍스트를 생각을 교환하며 읽고, 또 본인의 지난 생각들과 비교하며 읽으며 책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켰고, 책을 읽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영어학습의 측면에서도 자연스럽게 다양한 표현을 익히게 되었으며 내재화된 영어를 바탕으로 더욱 적절하고 다양한 표현을 사용하려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학생들은 프로젝트 활동을 위해 서로 협의하고 아이디어를 영어로 바꾸어 쓰고, 발표하며 친구의 발표 내용을 듣고, 게시된 결과물을 읽는 과정에서 각각의 언어 기능들을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가 초등영어 교육에 긍정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할지라도 다음 몇 가지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세 개의 주제를 선정하여 수업에 도입하고 연관 텍스트로 확장하였으나, 한정된 주제만을 선정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영어 표현의 제약으로 좀 더 깊은 반응을 이끌어 내기 위해 모국어 사용을 허락하였기에 영어 발화 기회가 충분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초등 아동의 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공유읽기 수업에 대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영어 수업에서 아동문학 작품이 단지 영어 능력 신장을 위한 수단이 아닌 깊이 반응하고 심도 있게 읽는 초점 단위 수업에 대해 다양한 주제로 다양한 학년에서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학교와 도서관이 연계된 도서대차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학교별, 또는 도서관별 좋은 자료라고 일컬어지는 책은 한 두 권정도 밖에 구비되어 있지 않고 문학 단위 수업에서 교사는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책을 읽어주거나 하나의 책을 오랜 기간에 걸쳐 돌려 읽거나 하는 방법을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수업 진행시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학교와 교육청 또는 지역 도서관이 연계하여 특정 책을 다량으로 대출해주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주요어: 아동문학 텍스트, 심미적 읽기(aesthetic reading), 반응중심 읽기, 초점 단위 수업, 초등 영어 *본 논문은 2018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 논문임.

      • 독자의 이야기 정체성 구성을 위한 읽기 지도 방법 연구

        조혜수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학습자의 텍스트 읽기를 통하여 이야기 정체성 구성을 돕기 위한 읽기 지도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폴 리쾨르(Paul Ricoeur)는 미메시스 개념 정립을 통해 텍스트를 매개로 한 형상화 과정에 대한 이론을 구성하였다. 리쾨르에 의하면 텍스트는 텍스트 자체의 내적 구조만이 중시되는 폐쇄적 공간이 아니라, 외부를 향하여 독자 자신의 세계를 투사하는 개방적 공간이다. 독자는 텍스트 이해 과정에서 타자의 경험을 자신의 것으로 삼는 자기화의 과정을 거친다. 이로 인해 독자의 이야기 정체성이 구성되고 독자로 인해 텍스트의 세계도 풍부한 잠재성을 갖게 된다. 독자의 이야기 정체성 구성을 위한 읽기 교육에서 학습자는 형상화 과정을 거치며 자기를 발견하며 텍스트 이해를 확장한다. 학습자는 이야기에 드러난 인물의 정체성을 통해 독자 자신의 정체성을 인식함으로써 자기 이해를 실현할 수 있다. Ⅱ장에서는 이야기 정체성과 관련하여 읽기의 의미를 살핀다. 또한, 리쾨르의 형상화 개념과 원리를 바탕으로 형상화와 텍스트 읽기를 접목한다. 끝으로 독자의 이야기 정체성 구성을 위한 읽기의 과정을 논의하여 이야기 정체성 구성을 위한 읽기의 교육적 의미를 정립한다. Ⅲ장에서는 모방의 원리, 초점화의 원리, 조직화의 원리, 발현성의 원리의 이야기 정체성 구성을 위한 읽기 지도 원리를 바탕으로 읽기 지도 모형을 개발하였다. ‘인물 알기-줄거리 구성하기-자기 이야기 만들기-자기 밝히기’의 이야기 정체성 구성을 위한 읽기 지도 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질적 사례 연구를 통해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자는 초등학교 4학년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3편의 텍스트를 선정하여 8차시의 이야기 정체성 구성을 위한 읽기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의 활동지에 나타난 반응과 교사의 관찰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야기 정체성 구성을 위한 읽기를 통해 학습자가 텍스트에 대한 이해 확장과 이야기 정체성 구성을 실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삶과 읽기 과정을 깊이 있게 연결짓지 못하는 현 읽기 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독자의 다양성과 주체성을 존중하고, 학습자가 독서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탐구할 수 있도록 돕는 새로운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읽기 교육에서 독자의 이야기 정체성 구성을 독려하고 독자의 삶의 변화를 유도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 이야기 정체성, 형상화, 텍스트 읽기, 읽기 교육, 읽기 방법 * 본 논문은 2021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Arts propel에 근거한 초등 음악 창작 활동 방안에 관한 연구

        문동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79

        제7차 교육과정은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에 역점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음악과 교육목표에서도 다양한 악곡과 음악 활동을 통하여 음악성과 창의성을 기르는 것을 총괄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창의성을 기르기 위한 활동의 하나로 음악의 창작 활동이 있다. 그런데 현재의 음악과 수업에서는 창작 활동이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지속적이고 단계적인 창작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음악적 상징체계를 이용하여 음악을 만드는 과정에서 어떻게 사고하고 결정하는지 그 창의적 사고 과정을 알기 어려운 상황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체계성 있는 창작 학습을 위해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에 입각한 아츠 프로펠을 고찰하고 아츠 프로펠 음악의 도메인 프로젝트를 초등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안하였다. 그리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그에 따른 학습자의 변화와 그 효과를 관찰하였다. 아츠 프로펠 음악은 생산-지각-반성의 통합에 기반을 두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틀로 도메인 프로젝트와 반성수단을 도구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메인 프로젝트는 반복적이고 장기적인 교육과정이며 교육환경에 따라 융통성 있게 재구성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학생들은 과제를 수행하면서 음악가와 같은 경험을 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메인 프로젝트 중에서 창작활동이 중심이 되는 악보 만들기 프로젝트를 음악적 개념과 언어적 발달의 차이가 나는 3학년과 6학년에 각각 적용할 지도안을 고안하였다. 3학년에서는 자신의 고유한 악보를 만들어내면서 음악적 개념과 상징체계에 자연스럽게 접근하도록 고안하였으며 6학년에서는 악보 만들기 프로젝트의 확장으로 악곡의 형식이나 구조, 음색이나 악기의 구별을 주제로 삼아 학생들이 음악적 요소와 상징체계에 보다 민감해질 수 있도록 지도과정을 고안하였다. 특히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현실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기존의 가창이나 기악 수업에 선행되는 선수학습으로서 체계성 있게 제시하였다. 이 지도과정을 수업에 적용하여 음악적 능력과 음악을 대하는 태도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먼저 과제를 수행하며 학생들은 음악적 요소에 민감해지고 보다 유창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음악적 이해력이 높아지게 되었다. 그리고 자신의 작품과 동료의 작품에서 음악의 심미적 특성들을 발견할 수 있으며 과제를 해결하면서 반성적 사고력과 인지전략을 발달시킬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창작학습에 대해서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자세로 참여하게 되었다. 이러한 작업은 반복적이고 장기적으로 이루어져야 많은 효과를 거둘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한 지도 과제와 지도 방법, 학습 자료 등이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되어 현장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본 논문은 2003년 2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 논문임. The goal of the 7th curriculum is "The bringing up of self-controlled and creative Korean who lead a period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on 21th century". So the aim of music education is ‘The development of musical ability and creativity through various music and musical activities’. One of Activities for developing creativity is music composition activity. But currently creation activity has been treated indifferently, and creation activity has not been instructed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in music class. Then It was difficult to know the thinking process in making music with musical symbolic system. This study investigated Arts PROPEL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o make creation activity systematically. And this study also applied Domain Project of Arts PROPEL Music to real class. Arts PROPEL Music is continuous and systematic curriculum focusing on issues of creativity, problem-solving skills, and artistic process and consists of domain projects and reflection vehicle. In this project, making music is central to learning process and assessment. Perception and Reflection activities are linked directly to student production of music. Domain Projects are repeated and long-term projects and can be reconstructed with flexibility. This study designed Invented Notation teaching-lesson applied for 3rd and 6th students in Korean elementary school. In this class, 3rd students approached naturally musical concept and musical symbol system through creating notational systems for writing down what they heard as a starting point for learning musical concepts such as pitch, duration, or meter. It was a graphic reinforcement of ear training exercises that could lead to an introduction to standard notation. Students also became familiar with standard notation through this project. 6th students handled particular musical element or structural aspect through being concentrated on texture, phrase structure, pitch contour or instrument and made critical observations. Extension of Invented projects helped students grasp the idea of an abstract symbol system used to describe sound. Specially, the instruction plan had a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they were presented as a systematic pre-learning to the usual singing classes or instrumental music classes. After the application of suggested plans, what aspects of students changed was analyzed based on the observations and results. Students became sensitive to musical elements and increased musical understanding. They developed reflective thinking by various reflection vehicles and change music attitude. Project meaned kind of ‘goal’ through that each student show his/her skills in problem-solving, so they progressed problem-solving skills. As further researches on the teaching process of musical composition are actively progressed, and more systematic and elaborated teaching processes are developed, musical composition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can be improved.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 한글 자모 지도 내용 구성 방안 연구

        김기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79

        이 연구는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제시된 한글 자모 지도 내용 구성의 실태를 살펴보고 효과적인 한글 자모 지도 내용 구성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제1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1학년 1학기 교과서를 참고하여 한글 자모 지도 내용 구성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한글 자모 학습은 제4차 교육과정부터 교과서에 등장하기 시작하였는데 대부분의 교과서가 한글 맞춤법의 순서에 의하여 제시하고 있었다. 한글 맞춤법의 자음자 제시 순서는 기본 소리(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거센소리(ㅊ, ㅋ, ㅌ, ㅍ, ㅎ), 된소리(ㄲ, ㄸ, ㅃ, ㅆ, ㅉ) 순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글자의 학습을 고려한 것이라기보다는 소리의 변화에 따른 순서로 글자를 처음 배우는 학생들에게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보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Ⅲ장에서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들 수준에서 이해하기 쉽게 한글 자모 지도 내용 구성의 원리를 마련하였다. 이 원리는 제자 방식을 고려한 원리와 인지 발달 단계를 고려한 원리로 이루어져 있다. 제자 방식을 고려한 원리는 훈민정음 창제의 원리를 현대적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입문기 학습자의 수준에서 이해하기 쉽게 접근하고 있다.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한글 지도 시 자음자들은 (ㄱ, ㅋ)→(ㄴ, ㄷ, ㅌ)→(ㄹ←(ㄷ←ㄴ))→(ㅁ, ㅂ, ㅍ)→(ㅅ, ㅈ, ㅊ)→(ㅇ ㅎ)의 순서로, 모음자들은 (ㅣ)→(ㅏ, ㅓ)→(ㅑ, ㅕ)→(ㅡ)→ (ㅗ, ㅜ)→(ㅛ, ㅠ)의 순서로 묶어서 지도하는 게 효과적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Ⅳ장에서는 한글 자모 지도 내용 구성의 원리를 적용하여 자모 지도 단원 구성과 차시 구성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제1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1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의 한글 자모 지도 내용을 고찰했다는 점이다. 이를 바탕으로 한글 자모 지도의 순서와 제시 방법 등 자모 지도 내용의 변천을 정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는 한글 지도에 관한 후속 연구의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둘째, 훈민정음 창제의 원리를 현대적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입문기 초등학생의 수준에 맞게 한글 자모 지도 내용 구성의 원리를 마련했다는 점이다. 한글 자모 지도는 지금까지 이어온 방식대로󰡐한글 맞춤법󰡑에 제시된 자음자와 모음자의 순서대로 지도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초등학교 학습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한글 자모 지도를 위한 내용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한글 지도, 한글 교육, 자모 지도, 입문기 문자 지도, 한글 지도 내용, 한글 해득, 교육과정 변천 * 이 논문은 2021년 2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sent state of Korean alphabet teaching contents construction in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from the 1st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suggest effective ways of constructing Korean alphabet teaching contents. To begin with, the present state of Korean alphabet teaching contents construction was examined, based on the textbooks for the first semester of the first grade from the 1st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Korean alphabet learning began to emerge in the textbook from the 4th curriculum and most textbooks offered Korean alphabets in the order of Korean orthography. Consonants of Korean orthography are presented in the order of basic sounds(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aspirated sounds(ㅊ, ㅋ, ㅌ, ㅍ, ㅎ) and fortes(ㄲ, ㄸ, ㅃ, ㅆ, ㅉ). However, it was considered that this was not appropriate to apply to students, who first learn letters, since this sequence depends on the changes of sounds rather than considering learning of letters. To improve this problem, a 󰡐Principle of Korean Alphabet Teaching Contents Construction’ was devised in Chapter Ⅲ so first-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could understand easily. This principle consists of the principle considering methods of creating letters and the principle considering cognitive developmental stages. The principle considering methods of creating letters is to help first-grade learners understand easily by reinterpreting the Hunminjeongeum invention principle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On the basis of this principle, this chapter explains that it is effective to provide consonants in the order of (ㄱ, ㅋ)→(ㄴ, ㄷ, ㅌ)→(ㄹ←(ㄷ←ㄴ))→(ㅁ, ㅂ, ㅍ)→(ㅅ, ㅈ, ㅊ)→(ㅇ ㅎ), and vowel letters in the order of (ㅣ)→(ㅏ, ㅓ)→(ㅑ, ㅕ)→(ㅡ)→ (ㅗ, ㅜ)→(ㅛ, ㅠ) when teaching Hangeul. Chapter Ⅳ presents examples of alphabet teaching unit construction and lesson construction, which apply the 󰡐principle of Korean alphabet teaching contents construc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s transitions of alphabet teaching contents, including the sequence of Korean alphabet teaching and methods of presenting Korean alphabets by looking into Korean alphabet teaching content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the first semester of the first grade from the 1st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serve as data for further research on Hangeul teaching. Second, this study suggests the principle of Korean alphabet teaching contents construction for first-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by reinterpreting the Hunminjeongeum invention principle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make a contribution to more effective Korean alphabet teaching contents construction for first-grade learners, escaping the idea that Korean alphabets should be taught in the order of consonants and vowel letters according to ‘Korean orthography’ in the conventional way. Key Words : Hangeul Teaching, Hangeul Education, Alphabet Teaching, Beginning Literacy Instruction, Hangeul Teaching Contents, Hangeul Acquisition, Curriculum Transition * This is a Master’s Thesis in Education submitted to the Council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February 202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