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부모의 주거지원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임고운 ( Im Kowoon ),은주희 ( Eun Ju-hui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2 청소년복지연구 Vol.24 No.2

        청소년부모란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가 모두 만 24세 이하로, 이들은 아동이 있는 가구이면서 아직 부모가 미성년이라는 점에서 경제적으로 취약한 대상이다. 이 연구는 삶에 필수적인 주거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인 청소년부모가 주거지원을 받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며, 주거지원 전후로 인식하는 삶의 변화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 민간단체에서 연계한 주거지원제도와 서비스를 경험한 청소년부모 10가구(부부 2가구, 미혼모 8가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합의적 질적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방법론에 따라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총 3개의 영역, 11개의 범주, 그리고 42개의 하위범주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주거지원 이전에 주거환경, 경제적, 가족 및 사회적 관계, 정서적 이유에서 불안정하게 정처 없이 떠도는 과정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모바일 검색이나 지인 활용, 행정기관 문의 등을 통해 안정적인 주거를 스스로 탐색하였다. 이 과정에서 민간단체의 도움으로 주거지원을 받아 안전하고 주거환경에서 살게 되었다. 주거지원 이후 정서적ㆍ사회적 변화, 경제적 상황의 변화도 경험하며 장래를 계획하고 도전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었지만, 이들의 도전과 시도를 가로막는 장애와 한계도 여전히 있었다. 이를 토대로 청소년부모의 주거지원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한부모 또는 미혼모 복지시설의 부부 입소, 공공임대주택 보급 확대와 주거보증금 대출지원 기준 완화, 청소년부모 대상의 특수성에 대한 행정기관 담당자의 이해 역량 강화, 기타 양육 및 교육 지원 간의 서비스 연계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young mothers and fathers in the blind spot of residential welfare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housing support. Plus, it aims to explore what life change they perceive before and after housing support are. For this purpose, participants consisting of 2 couples and 8 unmarried mothers, who have used housing support service provided by the private organization,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ology,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nalyzed data were classified into 3 domains, 11 categories, and 42 subcategories. Results showed that young parents had not stably settled down becaus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economic situation, social relations, and emotional reasons before the use of housing support service. Also, they looked for stable housing by themselves through mobile search use, acquaintances, and information gained from administrative agencies. As a result of these behaviors, housing support service provided by a private organization enabled them to live in safe residential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after the use of housing support, they had changes in emotional, social, and economical situations, and also, a plan for the future. However,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ere still obstacles and limitations on their challenge and attempt. Based on these findings, it suggested that welfare facilities for a single parent or an unmarried mother would allow couples to use them, the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would be expanded, the criteria for loan support on housing deposit would be lowered, the capability that allows public officials to understand the specificity of adolescent parents would be strengthened, and parenting support service and educational support service would be linked.

      • KCI우수등재

        비실시간 온라인 그룹토론활동에서 피드백 유형에 따른 학습자들의 성찰 수준 탐색

        임고운(Im, Kowoon),진성희(Jin, Sung-Hee)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4

        온라인 그룹토론활동에서 시각적 피드백과 교수자 피드백은 학습자의 참여도와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그 효과가 검증되어왔다. 그러나 토론활동은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토론활동을 통해 드러나는 학습자들의 성찰 수준과의 관련성을 살펴볼 때 그 교육적 효과가 보다 더 명확해질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그룹토론활동에서 피드백 유형에 따라 학습자의 성찰적 사고 수준이 서로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 질적 차원에서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2020년 2학기에 A대학교에서 개설된 교양교과목 ‘인간삶과 교육’을 수강하는 4개 분반 학습자 115명이다. 온라인 토론활동을 수행하는 동안 2개 분반(64명)에는 시각 및 언어적 피드백을 제공하였고 다른 2개 분반(51명)에는 교수자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온라인 토론활동 이후 성찰활동을 수행하도록 안내 받았으며,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작성한 성찰내용을 Kember와 그의 동료들의 성찰 수준 모델을 재구성한 기준에 따라 분석되었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 중 8명의 자발적 참여자를 모집하여 4명씩 두 집단으로 나누어 포커스그룹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두 집단의 공통적 특성으로 ‘비성찰’과 ‘이해 성찰’ 수준에서 ‘공감과 차이에 대한 느낌형 성찰’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빈도는 낮았으나 ‘비판적 성찰’ 수준에서 ‘사회적 문제에 대한 인식형 성찰’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찰’ 수준에서 시각 및 언어적 피드백 집단은 ‘나-동료 상호작용 중심의 과정 성찰’과 ‘동료와의 상호작용으로 더욱 명료해지는 내용 성찰’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자 피드백 집단은 ‘나-주제 상호작용 중심의 과정 성찰’과 ‘주장의 합리성에 대해 내재적으로 검토하는 내용 성찰’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피드백 유형에 따른 연구 참여자들의 성찰 수준별 특성이 갖는 의미를 논의하고,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온라인 토론시스템의 피드백 설계에 주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reflective thinking levels according to type of feedback in online group discussion activitie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15 students from four classes taking the liberal arts course Human Life and Education at a university in the fall semester of 2020. During the online discussion activity, visual and linguistic feedback was provided to two classes (64 students), and teacher feedback was provided to another two classes (51 students). Participants were guided to perform reflection activities after the discussion activity; the contents of reflec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reconstructing the reflection-level model of Kember and his colleague. In addition, eight volunteer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mong the sample and divided into two groups of four to conduct focus group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study, both groups performed “feeling reflection on empathy and difference” and “perceived reflection on social problems” as common features. In reflection level, visual and linguistic feedback groups were found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I-peer interaction centered reflection” and a “reflection become clearer through interaction with colleagues” Otherwise, teacher feedback group was found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I-topic interaction centered reflection” and a “reflection on inherently examining the rationality of the argument.”

      • KCI등재

        온라인 그룹 토론활동에서 참여정보에 대한 자동화 피드백과 토론의견 평가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의 교육적 효과 비교

        진성희 ( Sung-hee Jin ),임고운 ( Kowoon Im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4

        가상의 공간에서 비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온라인 토론활동은 학습자들에게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지만 동료학습자 또는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에 시간차가 발생하여 토론에 대한 관심도가 낮아지거나 적시에 피드백을 받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그동안 자동화 피드백과 교수자 피드백 각각의 교육적 효과와 한계에 대해 논의되어온 가운데, 학습자가 경험하는 두 가지 피드백 유형의 교육적 효과의 차이는 면밀하게 분석되지 못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그룹 토론활동에서 학습자들에게 제공하는 참여정보 중심의 자동화 피드백과 토론의견에 대한 평가결과 중심의 교수자 피드백 간의 교육적 효과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65명(자동화 피드백 집단-남: 22명, 여: 11명, 교수자 피드백 집단-남: 26명, 여: 6명)으로, 두 집단의 연구참여자들은 사전검사, 2회의 온라인 그룹 토론활동,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동화 피드백 집단이 교수자 피드백 집단보다 참여도와 상호작용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참여정보 중심의 자동화 피드백을 제공받은 집단이 토론의견에 대한 평가결과 중심의 교수자 피드백을 제공받은 집단보다 토론내용의 질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두 유형의 피드백은 학습자들에게 토론내용의 객관성과 독창성 측면에서 평균 수준이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두 집단 모두 온라인 토론활동의 경험으로 온라인 토론에 대한 태도와 비판적 사고 성향이 향상되었고, 제공받은 피드백 유형에 대해 평균수준 이상으로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이러한 연구의 결과가 갖는 의미를 논의하고 온라인 토론시스템의 피드백 설계에 주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in virtual spaces provide learners with the advantage of being free from time and space constraints but have the disadvantage of having time differences in interactions with peers or instructors, resulting in less interest in discussion or less timely feedback.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e educational effects and limitations of each automatic feedback and teacher feedback have been studied, but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effects experienced by learners have not been thoroughly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effectiveness between automatic feedback on participation information and teacher feedback on discussion opinion evaluation provided to learners in online group discussion activiti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65 (Automatic Feedback Group-male: 22, female: 11, Teacher Feedback Group-male: 26, female: 6). Two groups of study participants conducted a pre-test, two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and a post-tes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utomatic Feedback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than the Teacher Feedback Group. Second, the Automatic Feedback Group who received automatic feedback on participation information showed a higher quality of discussion content than the Teacher Feedback Group who received qualitative teacher feedback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discussion opinion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two types of feedback had a positive effect above the average level in terms of the objectivity and originality of the discussion content. Fourth, both groups were found to have improved their attitude toward online discussion and thei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and were satisfied with the feedback above the average level.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the feedback design of the online discussion system were proposed.

      • KCI등재

        대안학교 학부모와 교사의 상호 인식과 관계 특징 : 한 종교계 미인가 대안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종철(Jongchul Lee),임고운(Kowoon Im) 한국학부모학회 2023 학부모연구 Vol.10 No.1

        교육의 3주체로서 교사, 학생, 학부모가 함께 만들어가는 학교를 위해서 학부모와 교사의 파트너십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그 필요성과는 달리, 학교 현장에서는 오히려 상호 불신이 깊어지고 있으며, 학부모와 교사 관계의 부정적인 경험의 사례들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안학교 맥락에서 학부모와 교사의 상호 인식과 관계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학부모와 교사 간 파트너십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설립 12년 차인 한 종교계 미인가 대안학교로 ‘나무 학교’(가명)를 사례로 선정하였으며, 해당 학교의 학부모와 교사 총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무 학교 학부모와 교사는 서로를 ‘차원이 좀 다른 열심을 내는 학부모’, ‘교육에 진심인 교사’, ‘욕심을 조율하는 학부모와 교사’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나무 학교 학부모와 교사의 관계는 ‘상호 선택과 적극적 참여로 깊이 교류하는 관계’,‘한 아이의 성장을 목표로 소통하는 관계’, ‘전문적 소통으로 신뢰와 안정을 주고받는 관계’의 특징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공교육 현장에서 학부모와 교사의 관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학부모와 교사의 관계가 파트너십으로 나아갈 수 있기 위한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partnership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by examining how parents and teachers in alternative schools perceive each other and w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are, as well as to find implications for public education. As a qualitative case study, this study selected ‘Namu School (assumed name)’ located in Gyeonggi-do as a case, which is an unauthorized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established 12 years ago.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six parents and teachers at Namu Schoo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and teachers at Namu School recognized each other as ‘parents who show enthusiasm on a different level’, ‘teachers who are sincere in education’, and ‘parents and teachers who coordinate greed’.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t Namu School showed ‘deepl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by mutual choice and active participation’, ‘mutual communication aimed at the growth of a child', and ‘giving and receiving trust and stability through professional communi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ways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in public education to achieve partnership.

      • KCI등재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중학생들의 또래 관계 맺기 과정과 특징

        임고운,조윤정,이은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교육과학연구 Vol.52 No.3

        Middle school students born in the mid-2000s have experienced unprecedented expansion of peer relationships i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are experiencing various influences in the growth period. This study examined how middle school students' peer relationships in the changing digital media environment take place and how their characteristics appear. For this purpose, 17 middle school students, 3 middle school teachers, and 2 community teachers living in Gyeonggi-do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Peer relationship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hanging digital media environment were formed through process of formation, maintenance, conflict and response. And after the conflict, the reorganization of the relationship was not clearly occurred. First, peer relationships formation consist of ‘building connections for information exchange’and‘grouping centered on taste’. Second, peer relationships were maintained as ‘small talk through constant online access’, ‘sympathetic to gameized conversations’, ‘managing impressions with digital shadow labor’, and ‘ranking and grading’. Lastly, peer relationships responded to conflicts by ‘expressing hatred with hostile feelings’, ‘secretly but boldly unfollowing a ‘secretly but boldly unfollowing a friend on SNS’, and ‘going out and breaking up so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educational support plan to establish healthy and mature peer relationship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hanging digital media environment. 2000년대 중반 이후 태어난 중학생들은 디지털 환경 속에서 전례없는 또래 관계 확장을 경험하며 성장 과정에서 다양한 영향을 주고받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라 중학생들의 또래 관계 맺기가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그 특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질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로서, 연구참여자는 경기도에 거주하는 중학교 1~3학년 학생 17명과 중학교 교사 3명, 마을 교사인 청년 2명이며 편의표집과 눈덩이표집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주된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반구조화된 개별 심층면담을 활용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중학생들의 또래 관계 맺기는 또래 관계 형성, 유지, 갈등 및 대응의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갈등 이후 관계 재정리의 모습은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다. 과정별 구체적인 특징으로는 또래 관계 형성에서 ‘정보교환을 위한 인맥 쌓기’와 ‘취향 중심의 무리짓기’가 나타났으며, 또래 관계 유지에서는 ‘상시 접속을 통한 스몰토크 주고받기’, ‘게임화된 대화에 동조하기’, ‘디지털 그림자 노동으로 인상관리하기’, 그리고 ‘끼리끼리 서열 나누기’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또래 관계 갈등과 대응에서는 ‘적대적 감정으로 혐오 표현하기’와 ‘은밀하지만 과감하게 친구 끊기’, ‘금방 사귀고 헤어지기’의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라 중학생들의 또래관계 맺기가 취향을 공유하는 사람 중심으로 변형되고 있고, 상당한 강도의 노동을 통해 유지되며, 정서적 유대보다 개방된 접속상태를 추구하고, 교묘한 심리적 갈등에 단절로 대응하면서 전 세대가 공유하는 개방적 문화에의 노출로 이들만의 과도기적 독특성이 흐려지는 특징을 갖고 있음을 논의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중학생들의 건강하고 성숙한 또래 관계 맺기를 위한 교육적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