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고 사교육비 영향요인 분석

        이혜정,송종우,Lee, Hyejeong,Song, Jongwoo 한국통계학회 2014 응용통계연구 Vol.27 No.7

        본 논문에서는 현재 우리 사회에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사교육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사교육비가 논란이 되는 이유 가운데 하나는 각 가정에서 소비되는 전체 교육비 가운데 사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으면 경제적으로 교육에 대한 기회균등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과도한 사교육으로 인해 기본적인 학교 교육보다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할애한다면, 계층 간, 지역 간의 양극화와 더불어 학교의 기능이 저하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다양한 회귀분석 방법론과 분류분석 방법론을 이용하여 사교육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변수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또 각각의 변수들이 어떻게 사교육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도시가 중소도시 보다 사교육비 지출이 높았고, 일반 고등학교, 중학교, 전문 고등학교, 초등학교 순으로 사교육비 지출이 높았다. 그리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사교육비 지출도 높았다. This paper studies what affects the private education cost for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t is a big issue now because there can be a problem in the equal opportunity for education if the portion of private education cost is very high in the total education cost. If we spend more time and money on the private education than the school education, it can cause the polarization among the classes and regions. The excessive private education also can deteriorate the school system. we use various regression and classification methods to analyze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and find the important variables in the models. we found that large cities spend more money on the private education than small cities. We also found that high school students spend more th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elementary students and the household with more income spend more money on the private education.

      • 경매절차의 개선방안 - 주택임대차관계의 현황조사 절차를 중심으로 -

        이혜정 ( Lee Hyejeong ),이단비,양승욱 사법정책연구원 2023 연구보고서 Vol.2023 No.12

        주택임대차보호법에 의해 주택임차인은 임차권등기 대신 주택의 인도와 주민등록이라는 간이한 방식으로 대항요건을 구비할 수 있게 되었으나, 이로 인해 집행법원이 매각부동산에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적용되는 주택임대차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파악된 주택임대차관계 정보를 매각절차에서 공개하는 경매실무는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첫째, 집행관이 작성하는 현황조사보고서 대부분에는 주택임차인의 전입신고일자만 기재되어 있어, 주택임차인의 배당요구가 없는 한, 매수희망인이 경매에 참여하거나 매수가격을 정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주택임차보증금이나 임대기간 등의 정보는 공개되지 않은 채 경매절차가 운영되고 있다. 둘째, 주소 특히 ‘1동 2층 203호’와 같은 상세주소는 그 표기의 다양성이 허용되고, 일정한 종류의 주택에는 상세주소가 지정될 필요가 없어, 주소를 통해 주택임차인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매각부동산에 거주하는 주택임차인을 누락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셋째, 주택임차인의 지위를 가지는 외국인·외국국적동포나 장애인은 한국어로 진행되고, 비장애인 중심으로 마련되어 있는 경매절차에서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넷째, 주택임차인이 우선변제권을 행사하여 배당금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집행법원이 정한 배당요구종기까지 배당요구를 하고 대항력을 유지하여야 하나, 실무상 배당요구종기를 주택임차인이 인지(認知)하기 어려운 상태에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보고서에서는 ① 현황조사에서의 주택임대차정보의 확충을 위해 확정일자부제도와 주택임대차계약 신고제도를 활용하는 각 방안, ② 상세주소가 다양하게 표기되거나, 표기되지 아니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 개선방안, ③ 경매절차에 취약한 계층인 외국인·외국국적동포, 장애인의 주택임차인으로서의 주거권이 보장될 수 있는 경매절차 개선방안, ④ 최초 또는 변경된 배당요구종기를 고지하는 수단인 임차인통지서의 송달방식을 임차인이 직접 수령하고 그 내용을 인지할 수 있는 확률을 높이는 방식으로 변경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보고서는 주택임대차와 경매절차의 상호작용관계를 염두에 두면서, 경매절차의 기본적인 틀은 유지하되 시대의 흐름과 맥을 같이 하는 시스템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아무쪼록 본 연구가 주택임차인 뿐만 아니라 경매절차의 이해관계인 더 나아가 국가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경매제도의 바람직한 운영에 도움이 되길 바라는 바이다. While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grants housing lessees the ability to meet the requirements for opposing power in the simplified manner of “provision of housing” and “resident registration” rather than leasehold registration, a number of issues arise within the realm of auction practice, wherein the court of execution assesses whether the object of the auction has a lease relationship encompassed by the Housing Leasehold Protection Act and discloses pertinent leasehold information in the sale procedure. First, most of the current status reports prepared by the execution officer list only the date of the tenant's moving-in report. Consequently, unless the tenant demands a distribution, the auction procedure is operated without disclosing information, such as the rental deposit or lease period, which plays a pivotal role in determining the purchase price, for prospective buyers to participate in the auction. Second, addresses, especially detailed ones such as “203, 2F, Building 1,” can be expressed in diverse formats, and certain categories of residence do not require explicit specification of detailed addresses, resulting in a situation where lessees who reside at the object of the auction are omitting in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m through addresses. Third, individuals such as foreigners, foreign nationality Koreans, and disabled individuals who hold the status of housing lessees face a disadvantage due to the fact that the auction procedure is conducted exclusively in Korean language and centered primarily on non-disabled individuals. Fourth, in order for housing lessees to exercise their preferential repayment rights and receive dividends, it is necessary for them to demand a distribution and maintain their opposing power until the completion period set by the execution court for distribution demand. However, in practice, it becomes challenging for the lessee to accurately identify the completion period to make a distribution demand. To address these problems, this report examines the following measure: ① Utilizing the acknowledged fixed date system and the housing lease contract reporting system to expand housing lease information, ② Implementing an improvement plan on the action procedure to resolve issues arising from diversely marked or even unmarked detailed addresses, ③ Improving the auction procedure aiming at ensuring the housing rights of foreigners, foreign nationality Koreans and also the disabled who are vulnerable as housing lessees, ④ Proposing a plan to modify the method for the service of notice notifying the lesses of the initial or modified completion period of demand for distribution in a bid to increase the likelihood of direct receipt and full awareness on the part of lessees, and so on. Considering the interactions between housing leases and the auction procedure, this research report suggests the implementation of a system that preserves the fundamental framework of the auction process while adapting to keeping up with times and contemporary demands. It is our aspiration that this report will contribute to the effective functioning of the auction system, which impacts not only housing lessees but also individuals involved with the auction procedure and the nation as a whole.

      • 일본인 한국어학습자의 「-아/어서」 「-고」의 의미기능별 사용과 이해도에 대하여

        이혜정 ( Lee Hyejeong ),이시하라코코로 ( Ishihara Kokoro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

        한국어의 연결어미 「-아/어서」와 「-고」는 일본인학습자들에게 오용이 많이 나타나는 학습 항목 중에 하나이다(정선혜1999, 印省2016 등). 그 이유로는 연결어미 「-아/어서」와 「-고」는 각각 다양한 의미기능을 가지고 있어 혼동하기 쉬운데다가 이에 대응하는 일본어는 「-site(-シテ)」라는 표현으로만 나타내기 때문에 변별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이에 본 발표에서는 대역 문학 작품에 나타난 한국어의 「-아/어서」와 「-고」, 일본어의 「-site(-シテ)」의 의미기능을 간략히 비교하고, 대학에서 한국어를 전공하고 있는 일본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아/어서」와 「-고」의 변별력 테스트를 실시하여 오용의 경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효율적인 교육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변별력 테스트는 도쿄 소재 T대학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는 1-4학년생 총108명을 대상으로, 일본어 문학 작품『마음』(나쓰메 소세키 지음)의 원문과 대역 작품(역자가 다른 3권)에서 추출한 용례를 이용하여, 한국어 연결어미 「-아/어서」와 「-고」의 의미기능이 맞게 쓰인 것을 양자택일 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를 분석하여 일본인학습자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아/어서」와 「-고」의 의미기능의 분류, 한국어 학습레벨별 오용의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원인·이유」 「나열·대비」의 용법은 초급군과 중상급군에서 정답률이 80% 이상인 점으로 보아 전체적으로 변별력이 높았다. 그 이유로는 교과서나 사전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용법이기도 하고 실제 사용빈도도 높기 때문에 이해도가 높다고 말할 수 있다. 반면에 「필연적시간순」을 나타내는 용법에 관한 문항은 전체적으로 정답률이 낮았다. 두 번째로, 앞 절의 내용이 뒷 절의 내용을 한정/수식하여 결과의 상태나 동시성을 나타내는 「부대상태」를 나타내는 용법에서는 교과서 등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 쓰인 문제는 두 대조군 모두 정답률이 높았지만, 전체 평균 정답률을 비교하면 초급군 56.5%, 중고급군 65.1%로 높지 않았다. 이는 착용 동사와 휴대 동사를 나타내는 용법이 포함되어 있는데 두 가지 표현을 혼동하여 오용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로, 초급군과 중·상급군의 레벨에 따른 변별력은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이번 변별력 테스트에서는 어학 레벨이 높아짐에 따라서 오용이 줄어든다는 경향이 발견되지 못했다. 이는 한국어 학습량이 늘어나도 혼동하기 쉬운 학습항목은 계속해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일본인 한국어학습자의 「-아/어서」와 「-고」의 학습 순서에 관해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우선 연결어미 「-아/어서」, 「-고」는 주로 초급단계에서 배우는 문법항목이므로 학습자가 직접 참여하는 활동 중심의 수업방식으로 흥미있게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초급 단계는 통사적인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물론이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다양한 상황에 맞는 문장 만들기 및 주제에 따라 조별로 회화 연습을 하는 등 자연스러운 표현을 위한 연습이 필요할 것이다. Korean connective endings “-아서/어서” and “-고” are one of the learning items that Japanese learners often misuse (孔蕙英2015, 印省煕2016, etc.).The reason is that the connecting endings “-아서/어서” and “-고” each have various semantic functions, so it is easy to confuse them. And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Japanese corresponding to this because it is expressed only with the expression “-site (-して)”. Therefore, in this presentation, we briefly compare the semantic and function of “-아서/어서” and “-고” in Korean and “-site (-して)” in Japanese appearing in literary works, and Japanese learners majoring in Korean at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ndency of misuse by conducting a discrimination test of “-아서/어서” and “-고”.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ffective educational plan for Japanese Korean learners based on the results. The discrimination test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08 students from 1st to 4th graders majoring in Korean at T University in Tokyo, and used examples extracted from the original text of the Japanese literary work 『Heart』 (written by Soseki Natsume) and the double work (three volumes with different translators). By using this, it was made to use the correct meaning of the Korean connecting endings “-아서/어서” and “-고”. By analyzing the results, we analyzed the semantic functions of “-아서/어서” and “-고”, which are common among Japanese learners, and the tendency of misuse by Korean language learning level. First, the use of 「cause/reason」 and 「list/contrast」 was highly discriminatory overall, as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over 80% in the beginner group and the upper intermediate group.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t is the most intensively explained usage in textbooks and dictionaries, and the frequency of actual use is high, so it can be said that the understanding is high. On the other h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low overall for the questions about usage indicating “inevitably chronological order”. Second, when the content of the previous section limits/modifies the content of the second section to indicate the condition or simultaneity of the result, the correct answer rate was high for both control groups, but for questions using expressions that are frequently used in textbooks, the overall Comparing the average correct answer rate, it was not high at 56.5% for the beginner group and 65.1% for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group. It contains usage for wearable verbs and portable verbs, but it seems that misuse occurred by confusing the two expressions. Third, the discriminatory power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beginner group and the intermediate/advanced group did not obtain a significant result. In this discrimination test, we did not find a trend to reduce misuse with increasing language level. It can be understood that even if the amount of Korean learning increases, learning items that are easy to confuse continue to feel difficult. As the above results,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learning order of “-아서/어서” and “-고” of Japanese Korean learners. First of all, since the connecting endings “-아서/어서” and “-고” are mainly grammar items learned at the beginner level, it is thought that it is effective to conduct the class in an interesting, activity-centered way in which the learner directly participates. In the beginner level, it will be necessary to understand syntactic functions as well as practice for natural expression, such as making sentences suitable for various situations and practicing conversation in groups according to the topic for smooth communication.

      • KCI등재

        대학생 학습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대학을 중심으로

        이혜정 ( Hyejeong Lee ),임상훈 ( Sanghoon Im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A대학의 학습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A대학 교육목표 및 학생 특성 분석, 학습역량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 전문가 델파이를 거쳐 학습역량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진단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진단도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예비조사 및 본조사를 거쳐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학습역량을 구성하는 하위요소와 진단문항의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A대학의 학습역량으로 인지, 사회, 기술, 태도의 4개 역량 범주와 메타인지, 문제해결, 의사소통, 협력, 디지털리터러시, 자원관리, 학습동기, 학습윤리의 8개 학습역량이 도출되었다. 또한 23개의 하위역량과 74개의 진단문항이 개발되고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학습역량 진단도구는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역량 수준을 더 잘 이해하고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 개발해야 할 역량을 파악하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교수자는 수업 단위 내에서 학생들의 학습역량 수준을 파악하여 수업을 설계하기 위한 학습자 분석 자료로 진단도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학 측면에서는 교과 영역과 비교과 영역에서 학습역량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연결하고 학생의 학습역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학생지원을 위해 학습역량 진단도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test suitable for learning measuring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located in Chungcheong province, Korea. The learning competencies were derived through an analysis of educational objectives as well as student characteristics at A University and by means of a tho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learning competencies. Furthermore, a three-round Delphi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both conducted. As a result, four competency categories, namely cognition, sociality, skill, and attitude, along with eight learning competencies, namely meta-cognition,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cooperation, digital literacy, resource management,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ethics were derived. In addition, 23 sub-competencies and 74 questionnaire items were developed so as to measure the learning competencies. The test of learning competencie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can serve to support learners to better understand their level of learning competency and to identify those competencies which need to be developed for the sake of their future successful learning. For instructors, the result of students’ learning competencies can be utilized for a learner analysis when designing the course. For the university,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learning competencies with regular curriculums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to support students individually based on the data derived from the instrument used in measuring learning competencies.

      • KCI등재

        온라인 직소모형 협동학습에 대한 대학생의 학습 활동 경험 분석

        이혜정 ( Lee Hyejeong ),정재원 ( Jung Jaew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5

        본 연구는 온라인 직소모형을 활용한 수업 사례를 통하여 면대면 기반 협동학습의 온라인 수업 전환 가능성과 교수·학습 전략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온라인 직소모형 협동학습을 설계하고 3주차로 구성된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대학생 11명이었고, 3명으로 구성된 1개 팀과 4명으로 구성된 2개 팀, 총 3개 팀으로 나누었다. 3주간의 온라인 직소모형 협동학습을 마치고 난 후 설문지와 성찰일지를 통해 수업 단계별 학습자 활동 경험과 수업 방식 효과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직소모형 수업 단계 중 퀴즈가 가장 도움이 된다고 느꼈으며 수업 방식 효과 측면에서는 온라인 직소모형 협동학습이 학습자의 책임감을 높이고 학습 내용을 습득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직소모형 협동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직소모형의 단계마다 학습 내용 관련 피드백을 제공하고 협동 스크립트를 통해 협동학습 활동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교수설계 시사점을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온라인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직소모형 협동학습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효과적인 온라인 직소모형 협동학습의 실증적 사례를 제공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applying the face-to-face cooperative learning model to an online learning context and its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is study examined the use of the online jigsaw class model in a three-week long class. The participants were 11 college students. They were divided three groups, one of which had three participants and two of which had four. After three weeks of learning using the online jigsaw cooperative learning model, data about their learning activity experiences at each stage of the jigsaw model clas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 method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reflection journals.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felt that the quiz stage was the most helpful stage and that the online jigsaw cooperative learning model increased learners’ accountability and improved their learning outcomes. Thes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that can increase the effective online jigsaw cooperative learning.

      • KCI등재

        초과근로와 일과 삶의 균형과의 관계에서 직무중심 인력계획과 인사평가의 조절효과

        이혜정(Lee Hyejeong),명순영(Myung Sunyoung),유규창(Yu Gyuchang) 한국노동연구원 2020 노동정책연구 Vol.20 No.4

        초과근로와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리고 초과근로는 일과 삶의 균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과근로와 일과 삶의 균형과의 부적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기업의 인사제도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초과근로와 관련된 기존의 탐색적 논의를 실증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과근로와 일과 삶의 균형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직무중심 인력계획, 직무중심 인사평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다양한 산업의 101개 기업의 인사담당자들에게는 기업 수준의 정보를 측정하였고, 기업 내 구성원들에게는 개인 수준의 변수를 측정하여 다수준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초과근로는 일과 삶의 균형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초과근로와 일과 삶의 균형과의 관계에서 직무중심 인력계획, 직무중심 인사평가의 조절효과 역시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정보를 토대로 한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인력 예측과 속인적 기준이 아닌 직무성과 중심의 인사평가가 초과근로와 일과 삶의 균형의 부적 관계를 완화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초과근로와 일과 삶의 균형과의 관계에 대한 우리나라 기업의 실증 자료의 제시, 직무와 관련된 제도들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 등에서 이론적 의의를 갖는다. 실무적 의의로는 초과근로, 일과 삶의 균형의 두 개념에 대한 보다 체계적 이해를 통한 다양한 정책 및 제도의 필요성, 초과근로를 줄이기 위한 직무관리 차원에서의 방안, 직무중심 인사평가를 통해 평가의 공정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overtime and work-life balance. And overtime is consistently reported as having a negative effect on the work-life balance. Thu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isting exploratory discussion related to overtime by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firm"s HR practices that can mediate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overtime and work-life balance. To this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time and work-life balance was verified. Also,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based HRP, and job-based evaluation were verified. For the hypothesis test, organizational-level variables were measured for 101 firms in various industries and individual-level variables were measured for the members of the firms and used for HLM analysis. As a result, overtim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work-life balance, also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f job-based HRP, and job-based evalu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time and work-life balance. Therefore, it was verified that rational and systematic HRP based on job information and job-based evaluation rather than person-based evaluation alleviat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overtime and work-life balanc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t has theoretical implication in that it presents empirical data of Korean firm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time and work-life balance, and the importance of job-based practices. Practical implications are the need for various viewpoints of policies and practices through a mor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two concepts of overtime and work-life balance, job management to reduce overtime, and job-based evaluation to increase fairness and validity was proposed.

      • 요한묵시록의 일곱 편지에 나타난 종말론적 희망

        이혜정(Lee, Hyejeo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7 이성과 신앙 Vol.63 No.-

        이 글은 많은 논쟁의 중심에 놓이기도 한 요한묵시록의 종말론에 대한 것이다. 성경 안에서도 종말론이라는 주제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는 요한묵시록을 택하되, 종말론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2-3장을 통해 종말론을 연구하려는 것이다. 이 연구 작업은 성경 신학의 차원에서는 요한묵시록의 종말론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해석의 작업이 될 것이고, 종교와 신앙의 차원에서는 신흥종교의 종말론을 경계하기 위한 교육적이고 사목적인 제안이 될 것이다. 우선, 일곱 편지의 구조적 특성과 형태적 특성을 알아봄으로써 요한묵시록 전체와의 연결성을 짚어본다. 요한묵시록이 궁극적으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총체를 내포하고 있는 일곱 편지는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종말론적 희망을 전하고 있으며, 그것은 결국 모든 교회를 위한 메시지라는 점을 알게 된다. 그 다음에는, 일곱 편지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초대교회의 상황을 살펴본다. 기본적으로 우상숭배와 불륜이라는 문제를 안고 있던 교회들에 대한 그리스도의 책망과 회개에의 부르심, 그리고 시련을 이겨낸 이들을 위한 약속이 주어진다. 마지막으로는 요한묵시록의 종말론적 희망에 대하여 고찰한다. 요한묵시록의 종말론적 희망은 현재성을 지니며, 그것은 곧 미래를 향한 현재의 희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희망은 보이지 않는 실재에 대한 희망으로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느님과의 일치 안에서 완성되는 희망이라고 할 수 있다. 요한묵시록의 종말론은 결국 세상을 멸망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구원하기 위한 것이다. 종말은 두려워하며 기피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구원사의 맥락 안에서 하느님의 때에 대한 기다림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그렇기에 오히려 ‘약속’이나 ‘희망’이란 말과 함께 언급되어야 한다. 그 약속과 희망은 물론 종말론적 의미에서의 약속이요 희망이다. This research work proposes to discuss a controversial theme in the Book of Revelation, particularly in Chapters 2 and 3, i.e. the end times(Eschatology). It aims to provide a proper Eschatological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based on Biblical Theology leading to an educational and pastoral application on the end times through the following steps. First,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of the theme to the entire message of the Book of Revelation by conducting struc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ven letters. This would lea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the seven letters, i.e. the eschatological hope centered on the Resurrected Jesus addressed to all churches. Second, the situation of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will be examined through a detailed analysis of the seven letters. It shall expose the issues of idolatry and illicit affairs vis-à-vis the call for repentance and the promise of perseverance against the temptations. Third and final, the concept of Eschatological hope in the context of the Book of Revelation will be discussed. Such hope allows one to look beyond the sufferings in the present and foresee a realizable unity with God through Jesus Christ in the future. Therefore, the message and focus of Chapters 2 and 3 in the Book of Revelation is not about destruction but salvation, i.e. God desiring us to be with him. Thus, it should bring fright but rather be understood as a positive encouragement to prepare for the time of salvation, the time when humans are finally back to their loving Creator.

      • 일방향 보이드 슬래브의 유효단면적 크기에 따른 전단 성능 및 일체화 여부에 따른 보강근의 성능에 관한 평가

        이혜정 ( Lee Hyejeong ),조승호 ( Cho Seungho ),임명관 ( Lim Myungkwan ),이종식 ( Lee Jongsik ),이동하 ( Lee Dongha ),노영숙 ( Roh Young-sook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8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2 No.1

        Void slab is a slab with hollow portions in the center of the slab which reduce a self weight of the slab. The flexural capacity of void slab is almost same with a normal slab, but the shear capacity is reduced according to the increasing of hollow portion. One of the solutions to improve shear capacity is using shear reinforcing bars. In this study, the shear capacity of one-way void slabs is evaluated according to an effective cross section and the capacity of shear reinforcing bars is discussed depending on integration method.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the shear capacity tends to be reduced from 0% to 34.5% of hollow rate and slightly increased from 34.5% to 40.0%. And the capacity of integrated shear reinforcing bars are better than the one without integrated shear reinforcing bar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