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석 시의 인지구조 연구

        이형권(Lee Hyeong kwon) 어문연구학회 2016 어문연구 Vol.90 No.-

        논문은 민족시인 백석의 대표작 가운데 하나인 「북방에서」를 인지시학의 방법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필자는 다양한 인지정보를 기반으로 한 시의 의미 구조를 밝히고자 했으며, 또한 그 구조 형성에 작용하는 자동화 일탈의 방식으로서 은유, 의인화, 그리고 상호텍스트성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백석의 「북방에서」는 일제식민치하에서 살았던 “나”가자신의 삶을 반성적으로 고백하고 자책하는 시이다. 그의 고백은 부끄럽다는 것과 되찾고 싶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부끄럽다는 것은 민족사의 위기 상황 속에서 민족사의 터전인 “북방”을 버리고 “먼 앞대”라는 속악한 현실 속에서 안일한 삶을 영위했다는 생각에서 비롯된다. 물론 “나”의 이러한 판단은 백석이라는 한 시인의 삶에 견주어볼 때 다소 과장된 측면이 있지만, 그 과장이 오히려 자기 고백의 진실성을 담보해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되찾고 싶다는 것은 먼 옛날의 영광스러운 민족사를 회복하고자 하는 열망과 관계 깊다. 이 시가 “나”의 자책과 회한이 주조를 이루고 있긴 하지만, “새 옛날” 즉 새로운 역사에 대한 전망을 상실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나”는 불운한 민족사에 대한 성찰을 토대로 새로운 전망을 내놓을 줄 아는 한 인간 혹은 한민족의 모습이다. 더구나 이러한 모습이 백석 자신의 시 「목구(木具)」나 동시대 시인 이육사의 「광야」 등에서도 유사하게 드러난다는 점은 많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요컨대 「북방에서」는 다양한 인지 정보들이 시학적인 차원에서 밀도 높게 교직되면서 충실한 의미 구조를 보여주는 시로서, 일제말기의 시기가 역사의 암흑기일지언정 시의 암흑기라고는 말할 수 없다는 사실을 증명해 주는 중요한 시사적 자료이다. 백석 시 가운데 구체적인 역사성을 담보하는 독특한 작품인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by a cognitive poetic approach, “In the Northern Region” a key poem of Baekseok, who is one of the significant national poets. Based on various cognitive information, this paper focuses on metaphors, personification, and intertextuality of “In the Northern Region” arguing that those poetic devices are used as ways of breaking away from automation. “In the Northern Region” is a poem of self-reflection, self-confession, and self-blame of a speaker, “I” who live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Specifically, this paper gives more attention to the self-confession of “I” who feels “ashamed” but at the same time longs for “restoration.” This paper argues that “I” feels ashamed because of his strong self-consciousness that “I” has lived in an indolent life compromising the vulgar reality of a further down Southern area and abandoning the Northern region, which used to be a base of the national livelihood. This self-blame sounds rather harsh considering the life of the writer, Baekseok but this harsh self-criticism makes the speaker’s self-confession rather genuine and convincing. Also, this paper argues that longing for “restor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desire for restoring the glorious national history. This poem mainly describes self-blame and regret of “I” but does not lose hope for and prospect of making a new history, “New Oldness.” Therefore, “I” is a symbol of a person or a nation which can present a new prospect based on a fierce reflection, and the unfortunate and tragic national history. Furthermore, importantly, this aspect can be witnessed in Baekseok’s another poem, “Mokgu” and Yuksa Lee’s “Gangya”. In sum, “In the Northern Region” epitomizes the fact that the late Japanese colonial era can be interpreted as a dark age of the Korean history but not for Korean poetry. This work is a unique piece of Baekseok’ works that include specific historicity.

      • KCI등재

        ‘광주 정신’의 시적 연대와 계승에 관한 연구

        이형권(Lee Hyeong kwon)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5 No.-

        이 논문의 목적은 미국에서 발간된 사화집 『빛의 바다 1』과 『빛의 바다 2』를 통해 1980년대 초 미주시의 특징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두 사화집은 미국에서 활동하는 대표적인 한인 시인들이 5.18광주라는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취택하여 형상화했다. 이 시기에 미주 시인들이 5.18이라는 당대 최대의 이슈를 소재로 사화집을 두 권이나 발간했다는 사실은 문학사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두 사화집은 고국에서 벌어지는 5.18의 비극과 민주화 운동에 대해 국내의 시인들보다 더 적극적인 고발과 비판을 했다. 이런 일이 가능했던 것은 일차적으로 국내의 탄압과 검열이 미치지 못하는 미국이라는 공간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미국에 살면서도 조국의 현실에 대해 가졌던 관심과 사랑이 크기 때문이었다. 두 사화집의 시편들이 보여주는 표현상의 특성은 우선 비교적 길이가 긴 시가 많다는 점이다. 이는 시의 리얼리티를 확보하기 위해 도입한 진술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5.18과 관련된 사건이나 일화 등을 시에 수용하는 과정에서 시가 길어질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 시적 응축미를 포기하는 대신 리얼리티를 확보하고자 하는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두 사화집의 시편들은 파토스와 에토스를 강하게 드러내는 특성을 보여준다. 에토스는 폭력과 독재 시대에 대한 응전으로서의 윤리적 결단의 차원에서, 파토스는 민주주의와 정의를 향한 뜨거운 열정의 차원에서 강화되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두 사화집의 시편들은 사실 시적 세련미나 미학적 완성도의 측면에서는 다소 부족한 모습을 보여준다. 요컨대 시의 중요한 기능 가운데 하나가 부정한 현실에 대한 고발이나 비판인데, 당시 미주의 한인 시인들은 시의 그러한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 그 대표적인 시인은 고원, 이창윤, 이세방, 최연홍, 황갑주 등이다. 이들의 시는 비록 표현상의 세련미는 다소 부족했을지라도 시가 견지해야 할 시대적, 역사적 역할에 충실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Korean American poems in the early 1980s through two anthology books, The Sea of Lights Vol. I and II. The two books deal with the tragic historical events that happened in Gwangju on May 18, 1980. The fact that Korean American poets tackled the biggest political issue in South Korea at that time and published the poetry books on them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e aspect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 Sea of Lights Vol. I and II gave more acute criticism on the tragedy of Gwangju massacre and severe crackdown on Koreans’ demand for democracy by the Korean dictatorial regime than their Korean native counterparts. The primal reason that Korean American poets could be more active on criticising the dictatorship of South Korean government and raising their voice strongly against it is that they did not have to worry about the government oppression and censorship due to the geological benefit. However, the more important thing that the author want to point out is that they did that out of deep care for and interest in their own native country. The first poetic characteristic of The Sea of Lights Vol. I and II is that most are rather long poems because the poets wanted to describe the tragic events more realistically. It seems that it is inevitable to choose detail explanations in order to describe the Gwangju massacre realistically. In other words, Korean American poets in the early 1980s had an intention to show what happened in Gwangju through detail explanations instead of poetic condensation. Another characteristic is that The Sea of Lights Vol. I and II show strong pathos and ethos. Ethos in those books is intensified as ethical resolution in order to show resistance against violence and dictatorship. Pathos is solidified by showing passionate desire for democracy and justice. Ironically, those characteristics reduce poetical refinement and aesthetical completion of The Sea of Lights Vol. I and II. In conclusion, regarding that one of the significant roles of poetry is that it criticizes social injustice and wrongfulness or informs the public of them, the early 1980s’ Korean American poets played their role justifiably. The poets actively involved in this role are Won Go, Changyun Lee, Sebang Lee, Yeonhong Choi, and Gapju Hwang. Although their poems lack refinement in terms of poetic expressions, they should be praised because they play a meaningful role as historical beacon that poetry should be.

      • KCI등재

        특집 논문: 문학사회학의 현단계(제52차 전국학술대회) : <후반기> 시의 메트로-코스모폴리탄 감각과 사회시학

        이형권 ( Hyeong Kwon Lee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0

        이 논문은 <후반기> 동인들의 시에 자주 등장하는 메트로-코스모폴리탄 감각이 1950년대 현대 문명을 시적으로 전유하는 중요한 방식이었다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6.25전쟁 시기에 미국의 문화가 직접 수입되면서 메트로폴리탄 문화는 가속적으로 비인간화의 길로 진입하게 된다. <후반기> 동인은 이러한 메트로폴리탄 서울을 배경으로 한 도시 문명과, 국지적 체험을 넘어서는 코스모폴리탄 감각을 시적으로 전유했다. 메트로폴리탄 서울에 대한 <후반기> 시인들의 정서는 불안, 고독, 슬픔 등과 같은매우 부정적인 것들이 주류를 이룬다. 김경린은 『태양이 직각으로 떨어지는 서울』에서 전후의 서울에서 무력감과 권태감을 표현한다. 김차영은 『안개의 강』에서 대도시의 뒷면에 드리운 어두운 부면을 성찰적으로 묘사한다. 화려한 대도시의 뒷면에는 안개처럼 모호하고 어두운 세계가 펼쳐진다는 사실을 들추어낸 것이다. 또한 김규동은 『하늘과 태양만이 남아있는 도시』에서 삭막한 인공 도시에서의 방황하는 인간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이봉래는 『단애 2-풍경』에서 대도시의 음울하고 어두운 면모는 인간의 내면세계로까지 이어진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후반기> 시인들은 또한 이러한 메트로폴리탄 감각에 코스모폴리탄 감각을 결합하여 시를 창작하기도 한다. 박인환은 『투명한 버라이어티』 등을 통해 주체성을 상실하고 물질적인 저급 문화에 매몰된 도시인의 자화상을 그려낸다. 김경린은 『국제열차는 타자기처럼』에서 성찰 없이 국제적 범주로 확산되어 나가는 도시 문화의 문제적 국면을 묘파한다. 국제적 차원에서 질주하는 문명의 속도와 시간은 인간을 불안하게 한다는 점에 주목한 것이다. 조향은 『검은 SERIES』에서 코스모폴리탄 문화 현상으로 보편화되었던 영화의 표현 방식을 시의 창작방법으로 수용한다. 이는 박인환이나 이봉래가 영화를 시의 소재 차원에서 수용하는 것과 함께 대도시 문화의 한 부면을 시 창작에 활용한 사례이다. <후반기> 시의 이러한 성과는 1930년대 모더니즘 시와 변별되는 특성이다. <후반기> 시인들은 1930년대 모더니즘 시인들과 마찬가지로 도시 문명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중시했지만, 서울이 단순한 도시가 아니라 국제적 문화 감각의 도시라는 점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고자 했다. 미국과 유럽에서 직접 유입된 모더니즘 문화를 매개로 당대현실의 문제적 국면들을 문화사 차원에서 생생하게 형상화하고자 했던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at metro-cosmopolitan senses frequently reflected in poems of Hubanki are the significant themes that these poems appropriate to describe and criticise the Korea``s comtemporary civilization in 1950s. During the Korean War, American culture directly flew into Korean society and the American metropolitan cultures were added to the road to the dehumanization of South Korea. Poets from Hubanki appropriates those cosmopolitan senses that transcend local experiences based on city culture of metropolitan city, Seoul. The emotions of poets of Hubanki on metropolitan city, Seoul are negative ones such as anxiety, loneliness, and sadness. In a poem, "Seoul where the Sun is Plummeting to the Ground," Kim, Kyeongrin expresses the sense of helplessness, and weariness of Seoul in the post-Korean War period. In a poem, "A Mist River," Kim, Chayeong introspectively describes the dark side of the big city, revealing the fact that the reverse side of a seemingly glamourous big city hides an uncertain and dark face of the city. In a poem, "A City where Only the Sky and the Sun Remain," Kim, Gyudong shows the individuals who wander around the waste land of an artificial city and get lost. In a poem, "Danya 2-A Landscape," Lee, Bongrye emphasizes the fact that the dark and dismal aspects of a big city influence the inner world of individuals. Poets of Hubanki also incorporate these metropolitan senses with cosmopolitan senses in their poem. In a poem, "Transparent Variety," Park, Inhwan describes portraits of individuals living in a city losing theirsubjectivity and only pursuing low material culture. In a poem, "An International Train like a Typewriter," Kim Kyeongrin criticise problematic aspects of city culture that quickly spread out to the world without deep examination, taking a notice that the fast rushing speed and time of international culture make individuals anxious and nervous. In a poem, "Dark SERIES," Cho, Hyangeun adapts common cinematic ways of expression on cosmopolitan cultural phenomena into his poems. Like Park, Inhwan and Lee, Bondrye, he uses cinema as a poetic materials, which is one aspect of a big city culture, These features of Hubanki explained above are distinguished from those of modernism poems of 1930s. Although poets of Hubanki have critical recognitions on city culture like 1930s modernist poets, they actively try to reveal the international cultural aspects of Seoul as a metropolitan city. They try to reveal problematic cultural aspects of contemporary Seoul through the lens of modernism culture that were flown from America and Europe.

      • KCI등재

        이육사 문학의 독자와 기대지평의 문제

        이형권(Lee, Hyeong-kwon) 한국언어문학회 2013 한국언어문학 Vol.85 No.-

        This paper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you should be watching Lee Yuksa's literature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His literature in terms of the historical, ideological, and aesthetic appreciation of different perspectives. One of the conditions of work Whatsoever good diversity of interpretation. The diversity of interpretations is established from an emphasis on the actual role of the reader rather than the writer and the text. Literary works will be accommodated by the actual readers of the living environment, tastes, and generations. What about, for example, did not under Japanese rule,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young readers? And his literary ethnic discourse, or discourse level resistance to only listen, they do not want. Fortunately, his major works that are not tied to the historical reality, viewing is possible. His works are closely linked in terms of intertextuality castle, as the possibility of multiple interpretations. His major work, such as “Dusk”, “Wilderness”, “Green grapes”, “Mountaintop”, “Flower” have the layered meanings. This paper from the perspective of ‘Homo Aestheticus’, his work will be appreciated. His work is to keep the common pursuit of the aesthetic world of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artist. These characters are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reality of his experience was never beautiful. So reading his literary aesthetic reading and historically it is not exclusive.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ecure his literary diversity must be accommodated in the literature with more scalability works. His literary work more actively to the movies, dramas, musicals, etc., should be transformed. In addition, you also need to have a lot of interest in his literary dimensions of the local culture.

      • KCI등재

        서정주의 사랑시편과 에로티즘

        이형권 ( Lee Hyeong Ku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11 No.-

        Seo Jeong-ju is a poet who created love poems throughout all his life. Most of all, the reason that he maintained a strong love for poetry in his mind through his life is that he had strong libido. Besides his inborn nature, the social conditions of Seo Jeong-ju’s time is one of the reasons that made him indulge in erotic poems. Seo Jeong-ju, a poet, felt a sense of futility and emptiness toward life under Japanese colonialism in his youth and as a result of tough situations after independence in his manhood. He was absorbed in erotic poems as a means to deviate from those conditions. Eroticism in Seo Jeong-ju's love poems has three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 his eroticism is sensual and physical epitumia as a primitive vitality. This characteristic appeared in his early poems and it broke fresh ground for sensual and concrete love poem in Korean modem poetry. Second, his eroticism is a will to make progress to the world of soul and life above reality. The medium of this eroticism is a lyric world of Shilla spirit(Buddhism) and folklore. Third, his eroticism is a light game or trifling episode in everyday life. The author thinks chat erotic poems with those tendencies regardless of the specific times should be criticized mostly.

      • KCI등재

        미주 한인시와 ‘세계로서의 문학’의 가능성

        이형권 ( Lee Hyeongkwo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8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6 No.3

        미주 시인들은 1990년대 들어서 타자와의 공존을 지향하는 글로벌한 시적 상상력으로 시를 창작했다. 그들은 이를 위해 미국, 중국, 일본, 캐나다,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등에서 활동하는 해외 한인시인들과의 교류를 활성화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 그들은 미주에서 발행되는 문예지들을 통해 미주 이외의 지역에서 활동하는 시인들의 특집을 마련하기도 했다. 또한 전 세계의 한인시인들의 시를 망라하는 공동사화집 『2000년 시의 축제』를 발간하여 국제적인 연대감을 과시했다. 다른 한편으로 한글시를 영문으로 번역하는 작업도 활발하게 전개하여 한인시의 세계화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특히 『2000년 시의 축제』에서 미주 시인들은 토포필리아의 상상을 통해 한국 시문학의 확장성을 추구하고 있다. 이를테면 김윤태, 이정강, 주선희, 송희숙, 이성호, 김문희, 전달문 등의 시는 이질적 정서와 향수의 토포필리아를, 배정웅, 주영석, 이창윤, 최연홍, 김호길, 석상길 등의 시는 현지 적응과 동일시의 토포필리아를 보여준다. 전자는 고향의 장소에 대한 애착을, 후자는 현지의 장소에 대한 애착을 기조로 삼는다. 이들이 시를 창작하는 것은 문학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그들이 한국 한글시를 창작하고 감상하는 일은 민족정신을 고양하고 공동체 의식을 앙양하는 일이다. 뿐만 아니라 그들에게 시 창작은 인생 자체의 실존적 의미를 탐색하는 일이자, 세계 시민의 일원으로서 살아가게 해 주는 정신적 계기이다. 이는 카사노바의 용어를 빌리면 ‘세계로서의 문학’에 발을 들여놓는 것이다. 미주 시인들은 뉴욕은 뉴욕의 정서로, 토론토는 토론토의 정서로 창작한 시들을 다수 발표했다. 이들의 작품들은 마치 양탄자의 무늬처럼, 제각각의 존재 의미를 부여받는 동시에 전체로서의 세계문학을 구성하였다. 미주 한인시는 한국시에서 찾아 볼 수 없는 토포필리아를 보여준다는 그 자체만으로도 의미가 있다. 그것은 한국시가 결여한 부분을 보완하면서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시의 위상을 높여주는 데 기여하기 때문이다. Korean American poets have written poems with the poetic imagination that appeals to the world readers, aiming at the co-existence with Others since 1990’s. In addition, they have made an effort to build a rapport with expatriate Korean poets from other countries such as China, Japan, Canada, Argentina, Chile, etc. They published special issues with Korean poems from different countries through some literary journals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they showed the international bond by publishing The Poetry Festival of Year 2000 that contains Korean poems from all around the world.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ranslation of Korean poems into English ones in order to globalize the former. In particular, Korean American poets tried to expand the horizon of Korean poetry through imagination of ‘topophilia’ in The Poetry Festival of Year 2000. Their writing act has more meanings than writing literature. They tried to uplift the sense of communality as well as Korean nationalism through writing poems. Also, their act of writing played roles as exploring existential meanings of their lives as well as spiritual opportunities to live as world citizens. This means that according to P. Casanova, they play a role as ‘literature as a world’. Korean American poets emphasize local sentiments. For example, some from New York write poems about New York, and others from Toronto do about Toronto. Their individual works belong to world literature as if the patterns of a carpet have their own meanings as a part but they consist of the carpet as a whole. Korean American poetry has their own meanings because it shows its own unique ‘topophilia’ that cannot be found in Korean poetry. The poets contribute to raising the statue of Korean poetry as world literature by complimenting elements that cannot be found in Korean poetry.

      • KCI등재

        1970년대 미주 한인시와 소수자 의식

        이형권 ( Lee Hyeong-kwo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0

        이 논문은 1975년 미국의 한인 시인들이 발간한 『재미시인선집』의 문학사적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이 시집의 발간은 1970년대 미주 한인 시문학사에서 매우 유의미한 문학적 사건이다. 이 시집이 출간된 1975년은 아직 미주 한인시단이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이전이었다. 이 시집은 이런 상황에서 발간되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 의미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미주 한인시가 미국에서 소수집단의 문학으로 정착하는 계기가 되었다. 미주한인시는 20세기 초반 개화기 때부터 형성되기 시작되었지만, 1960년대까지만 해도 동인을 결성하여 공동으로 시집을 발간한 사례는 찾아볼 수 없다. 이 선집의 발간은 미주 한인 시단이 1970년대 들어서 형성기를 지나 정착기로 접어들었다는 점을 의미한다. 둘째, 미주 한인시단이 전문가 중심으로 정착하는 단초를 마련해 주었다. 이 시집에는 김시면, 고원, 김송희 등 11명의 시인이 작품을 싣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국내에서 신춘문예나 문예지를 통해서 정식으로 등단을 하고 미국으로 이민을 간 시인들이다. 이 시집의 발간은 미주 한인시가 국내 시단과 연대 관계를 맺으면서 되면서 본격적으로 전개되는 계기가 된다. 셋째, 국내 시단과 유사한 작품성과 다양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 시집의 시들은 1970년대 국내 시단의 일반적인 시 경향과 유사한 양상을 보여준다. 즉 실험적이고 지성적인 모더니즘 차원의 시편들과 현실참여적인 리얼리즘 시편들, 그리고 순수 서정에 기대어 인간의 내면세계를 다룬 리리시즘의 시편들이 고루 포함되어 있다. 시의 형식도 단시형에서 장시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넷째, 미주 이민자로서의 소수자 의식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미국에 대한 선망 의식, 미국 콤플렉스와 유랑 의식, 고독과 귀향의 의지, 불안과 죽음의식, 구원의 소망, 아메리칸 드림, 시적 자의식 등이다. 이 시집은 1970년대 미국사회에서 마이너리티로 살아갈 수밖에 없었던 한인들의 복잡한 내면세계를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The Collection of Korean American Poets issued by Korean Americans in 1975 in vein of a literary history. Publishing this poetry collection is a significant literary event of the 1970`s Korean American poetry history. Year 1975 when this collection was published is the time when the Korean American poetry had not yet fully developed. Below are the important meanings of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of Korean American Poetry. First, this event of publishing the Korean American poetry collection became a stepping stone for Korean American poems to be recognized as a minority literature in the American society. Although Korean American poetry started to be written from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re was no case that a poetry collection was published by a collaborative group until 1960`s. This poetry collection means that Korean American poetry group entered into a settlement phase after the 1970`s formative period. Second, this event became a momentum that helped Korean American poetry group to be settled as a central role in Korean American literary world. This collection includes eleven poets including Simyeon Kim, Wan Go, Songhee Kim, and so on. Most of them already became professional poets through literary contests hosted by prominent literary journals before they went to the US. Thus, the publication of this poetry book became an opportunity to buil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literary society and Korean American counterparts. Third, this publication shows similarities and varieties with Korean poetry groups at the same time. Poems included in this collection illustrate common literary tastes and similar aspects with 1970`s Korean poetry. Those poems include ones that are experimental, intellectually modernistic, realistically engaging, and lyrical, which deal with human inner worlds. In terms of poetic forms, there are various poems that are short poems, long poems, etc. Fourth, the poems of that collection reveal consciousness as a minority group who live in the States as an immigrant. The specific contents of those poems are envious feelings toward the States, nomadic consciousness of American complex psychology, loneliness and a sense of returning home, anxiety and death consciousness, a hope for redemption, American dream, poetic self-consciousness, etc. This collection fully embraces the complex inner world of 1970`s Korean Americans who were to live as a minority in the 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