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거리환경미화원의 근골격계 증상의 특징 및 인간공학적 평가

        이향기(Hyang Ki Lee),명준표(Jun Pyo Myong),정은희(Eun Hee Jeong),정혜선(Hye Sun Jeong),구정완(Jung?Wan Koo) 대한인간공학회 2007 大韓人間工學會誌 Vol.26 No.4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usculo-skeletal symptomatic features of municipal sanitation workers and to compare differences of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by work types. We conducted descriptive cross-sectional survey concerning the musculo-skeletal symptomatic features of 315 street clean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Korea, during 2 weeks of September 2006. Questionnaires we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we observed their works and evaluated their movement and posture by REBA. For work types, tools and subjective physical work loading,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 whether or not NIOSH symptom positive on upper limb. Musculo-skeletal symptoms on upper limb were claimed from 43.2% of street cleaners, more than in 32.4% of cleaners. Musculo-skeletal symptoms on upper limb were reported higher in the group who felt their subjective physical work loading severe than in the otherwise group. The REBA results were over 'high risk stage' in street cleaners. Street cleaners had more repetitive motions than solid waste collectors on upper limbs. Works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musculoskeletal burdened work by the Ministry of Labor results were over 'high risk stage' of No. 2 and No. 4 in street cleaners. We found that street cleaners complained musculo-skeletal symptoms on upper limb more than solid waste collector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for street cleaners to carry out the prevention program of musculo-skeletal diseases. For street cleaner, the measure plans such as job rotation, automatic street sweepers, reducing work hours are helpful in preventing musculoskeletal symptoms on the upper limb.

      • 급성요통 발생의 위험요인 유형별 예방방안 : 2006~2008 경기 서부 지역 요통재해 일부 요인분석

        이향기(Hyang-Ki Lee),박정근(Jung-Keun Park),김창환(Chang-hwan Kim),박종수(Jong-su Park),신통원(Tong-won Shin) 대한인간공학회 2009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1

        요통은 국내외에서 가장 주목되는 직업성질환의 하나이다. 최근 근골격계질환 관련 산업재해자는 전체 질병요양자의 80%에 점점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체 산재자료 중 경기서부 지역에 해당하는 자료를 대상으로 주요 변수(예, 업종 및 직종)별 요통 발생현황, 요통의 유발작업과 위험요인 특징을 분석했다. 2006년부터 2008년 까지 승인된 전체 요통 근로자 854명 중 남자가 84%를 차지했고 급성요통이 80%로 나타났다. 급성요통이 발생된 업무는 ‘인력 또는 수동 업무’가 97%로 가장 높았고, 작업유형 중 ‘들어올리기 작업’이 4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급성요통의 위험요인 중 ‘과도한 힘 또는 무리한 동작’이 62.6%로 가장 높았다. 연구결과에 대해 고찰했으며, 연구의 제한점도 제시했다. 본 연구서 발견된 연구 결과는 경기서부 지역 사업장을 포함한 일반 사업장에서 급성요통 예방을 위한 산업안전보건 사업 및 정책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 급성요통 발생의 위험요인 유형별 예방방안 : 2006~2008 요통재해 일부 요인분석

        박정근(Jung-Keun Park),이향기(Hyang-Ki Lee) 대한인간공학회 2009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5

        요통은 국내외에서 가장 주목되는 직업성질환의 하나이다. 최근 근골격계질환 관련 산업재해자는 전체 질병요양승인자의 80%에 점점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9년 연구과제의 일부로 수행된 것이며, 산재자료를 중심으로 요통 발생, 작업유형, 위험요인과 관련된 특징을 분석했다. 전체 급성요통 환자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급성요통 유발 작업유형은 들기작업이 44%로 가장 높았으며, 위험요인은 힘과 자세가 동시에 작용하여 발생하는 형태가 73.3%로 가장 높았다. 발견된 결과들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고찰했다. 본 연구에 이어 연구과제는 계속 추진되고 있으며, 최종 연구결과는 요통 예방을 위한 방안과 함께 산업안전보건 사업 및 정책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국내 청소년의 과거 영화 속 흡연장면 노출 정도와 현재 흡연유무와의 관련성

        김이경 ( Kim Yi-gyung ),이성규 ( Lee Sungkyu ),이향기 ( Lee Hyang-ki ),지선하 ( Ji Sunha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保健社會硏究 Vol.33 No.4

        우리나라에서는 영화 속 흡연장면 노출과 청소년 흡연행태 간의 인과관계를 증명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고, 문제인식조차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들의 과거 영화 속 흡연장면 노출 정도와 현재 흡연상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했다. 고등학생과 대학생 1,0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영화 속 흡연장면 노출 횟수는 지난 2005년부터 2006년 9월말 사이 개봉된 총 70편의 한국 영화 속 흡연 장면을 모니터링한 조사 자료를 사용했다. 분석 결과, 현재 흡연군의 영화 속 흡연장면 평균 노출 횟수는 137.4회(표준편차, ±47.8)였고, 비흡연군은 74.4회(±47.9회)였다. 영화 속 흡연장면 노출이 가장 많았던 그룹(133-340회)이 노출횟수가 가장 낮은 그룹(50회 이 하)에 비해 현재 흡연율이 38.7배(95% 신뢰구간, 15.4-97.3) 높았고, 93회에서 132회 노출된 군은 18.9배(95% 신뢰구간, 7.6-47.5) 높았다. 많은 횟수의 영화 속 흡연장면 노출은 청소년들의 흡연행태와 긍정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화 속 흡연 장면으로부터 청소년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영화 및 비디오 등급 분류 기준 강화와 국민 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영화의 흡연장면 삽입을 규제하는 정책적 접근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in order to develop strong and comprehensive tobacco control policies by analyzing the association between exposures of smoking scenes in movies and smoking behavior.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 total of 1,075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The group exposed smoking scenes in the movie between 133 and 340 times was more likely to be current smokers, compared to the group exposed the scenes less than 50 times [odds ratio (OR) 38.7; 95% confidence interval (CI) 15.4-97.3]. After adjusting the confounding factors which affect smoking behavior, exposure to smoking scenes in movies was a risk factor to current smoking status. There was the association between exposure of smoking scenes in movies and current smoking status among Korea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The study provides an important evidence to reinforce tobacco control policies for young people by banning the use of smoking scenes in movies targeting adolescents. The existing movie classification regulations should be revised and fully implemented to protect adolescents and young people from smoking scenes in movies.

      • KCI등재
      • KCI등재

        환경미화원의 작업별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 특성과 상지의 인간공학적 평가

        명준포,이향기,김형렬,정혜선,정은희,남 웅,구정완 大韓産業醫學會 2008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20 No.2

        목적: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 일부 지역의 환경미화원 을 대상으로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 호소율을 파악한 후 작업의 차이에 따른 증상호소의 차이를 확인하고,원인 작업을 평가하여 근골격계질환의 관련요인을 찾고자 한다. 방법: 서울 및 경기 일부 지역에 소재하는 환경미화업체 근로자 중 대상자 543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호소율은 NIOSH의 근골격계 질환의 자각증상에 대한 기준을 사용하였다. 환경미화원의 작업에 대한 인간공학적인 평가는 RULA. REB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환경미화원의 72.2%가 근골격계질환의 자각증상 및 통증이 있다고 답하였다. 전체 대상자 중에서 상지의 경우 39.6%,허리는 30.0%, 다리는 27.4%가 경도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였다. 거리환경미화원의 자각증상 기준별 양성자 비율이 지역환경미화원보다 허리의 '증상 기준 3’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거리환경미화원이 상지의‘증상기준 1’,하지의‘증상기준 2∼3’의 영역에서 지역환경미화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p<0.05)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NIOSH 기준 1∼3에 양성자로 해당하는 군을 종속변수로 작업 이외에 근골격제 질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인자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증상기준 1’에 대하여 1.018배(95% CI: O.993∼1.046) 근골격계질환의 자각 증상이 증가하였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10시간 이상 작업 할 경우‘증상기준 1’과 ‘증상기준 2’를 모두 만족시키는 경우가 2.165(95% CI: 1.156∼4.1311,2.187배(95% CI: 1.071∼4.65l)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지역환경미화원의 RULA,RULA 접수 중 상지의 subtotal A 접수, REBA,REBA 접수 중 상지 total A 점수는 모두 거리환경미화원의 점수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결론: 거리환경미화원이 지역환경미화원에 비하여 인간 공학적인 평가점수가 낮음에도,거리환경미화원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복 작업의 빈도와 10시간 이상 작업 등에 의해 상지에 대한 근골격계 질환의 자각증상 호소한다고 판단된다. 환경미화원의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다양한 대책 들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musculo-skeletal symtoms of municipal sanitation workers and to evaluate working conditions of municipal sanitation workers to search for the factors related to musculo-skeletal symptoms. Methods: We conducted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urvey. The study subjects were comprised of 543 municipal sanitation workers in some divisions of Seoul and the Gyeonggi province. Musculo-skeletal analysis was done by using the modified criteria of NIOSH musuclo-skeletal symptoms, RULA and, REBA.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using the chi-square 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72.2% of the subjects complained musculo-skeletal symptoms (39.6% on the upperlimbs, 30.0% on the lumbar region, 27.4% on the legs). For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criteria (1∼3), street cleaners complained of more musculo-skeletal symptoms than the solid waste collectors, after classifying the jobs of sanitation workers. 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criterial" positive groups, age was related to the criteria positive (Prevalence odds ratio=1.018, 95% CI: 0.993-1.046). The worktim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criteria positive 1 and, 2' (Prevalence odds ratio=2.165 (95% CI: 1.156-4.131), 2.187 times (95% CI: 1.071-4.651)). The RULA score, the subtotal A score of RULA, the REBA score and , the total AREBA score of the upperlimbs of solid waste collector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treet cleaners. Conclusions: In spite of the lower ergonomic evaluation score of the street cleaner, the street cleaners complained of more musculo-skeletal symptoms than did the solid waste collectors due to more frequent repetitive motions, a longer work time (over 10 hours) etc. It is suggested that the sanitation workers need to use the proper methods to avoid musculo-skeletal dis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