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류오염토양의 정화기술과 적용사례

        이철효,Lee, Cheol-Hyo 한국기술사회 2008 技術士 Vol.41 No.3

        The most common soil contaminants are petroleum-based. Hydrocarbons from diesel fuel and gasoline are widespread problems, as are total petroleum hydrocarbon(TPH). There are two distinct classes of soil remediation: in-situ, or on-site, and ex-situ, or off- site. On-site cleanups are often preferred because they are cheaper. On the other hand, excavating a contaminated area and transporting it to a remote site before cleaning it can often be more complete. Ex-situ remediation also has the added bonus of taking the bulk of contaminants off-site before they can spread further. In addition, in-situ situations are limited because only the topside of the soil is accessible.

      • 지구물리학적 조사방법의 매립지 평가에의 응용에 관한 연구

        이철효,이환,이석호,김이태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02 APLAS Vol.2002 No.2

        최근, 매립지로부터의 토양과 지하수 오염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지구물리학적 조사방법은 지표면 하부 토양의 복원을 위한 조사방법으로 소개되었다. 개인용 컴퓨터 기술과 같은 디지털 기술은 단시간에 많은 양의 자료를 처리할 수 있게금 하였으며, 지표면 하부 토양의 시각화라는 결과를 이끌어냈다. 더불어, 시각화 기술은 조사결과를 좀 더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때문에, 오염된 지표면 하부 토양의 특성뿐만 아니라 오염물질과 복원과정의 모니터링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해변에 위치한 매립지의 침출수 플륨 분포와 이동을 파악하기 위해서 전기저항과 전자기를 측정하는 지구물리학적 조사방법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조사는 매립지의 특성 이해에 도움을 준다. 매립지 평가를 위한 지구물리학적 방법의 응용 가능성 역시 검토하였다. 침출수 플륨의 분포와 누출경로를 평가하는데 있어 전기저항과 전자기 측정방법이 비용면에서 효과적이었다. Recently, the pollution of soil and groundwater from landfill sites becomes a serious social problem. Geophysical exploration methods have been introduced as a remedial investigation method of subsurface media.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personal computer technology have dramatically enhanced our ability to operate large volume of data in a short term, and to produce more reliable results for subsurface image. In addition, since imaging technologies help us to easily visualize survey results in a more understandable manner, they are widely used not only for characterizing contaminated subsurface media but also for monitoring contaminant and remedial processes. In this paper, geophysical exploration surveys on electrical resistivity and electromagnetic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of leachate plume and the movement of leachate from landfill sites located in shore and coastal area. These surveys were expected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n landfill characteristics. The applicability of geophysical prospecting to assess landfill site was tested as well. Based on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ethods of electrical resistivity and electromagnetic were cost- effective in assessing the distribution of leachate plume and in detecting the routes of leaking leachate.

      • 공기희석법에 의한 매립지 안정화의 현장적용에 관한 연구

        이철효,이환,전예호,이남훈,최종식,이채영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02 APLAS Vol.2002 No.2

        공기희석법에 의한 폐기물 안정화 기술의 현장실험은 매립지의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와 악취 안정화를 위한 최적 공기 주입량과 가스추출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해서 난지도와 다른 매립지에서 실시하였다. 이러한 안정화 기술은 매립지 채굴과정에서 생기는 악취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계획된 서산 매립지 복원 프로젝트에 처음으로 적용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은 비용면에서 효과적이고, 프로젝트의 요구를 충족시킨다. 일반적으로 매립지는 혐기성 상태이므로, 산소가 누출되지는 않는다. 강제호기에 의한 혐기성 상태에서 호기성 상태로의 전환은 매립폐기물의 자연적인 분해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잘 알려져 있다. 초기 연구 단계에서, 매립가스의 추출은 증기추출법(Soil Vapor Extraction, SVE)에 의해 이루어졌다. 낮은 압력과 가스유량을 가지는 이후의 단계에서는 Hybrid Aerobic Biostabilization System(HABS)에 의한 안정화에 중점을 둔 지속적인 주입 방법(Continuous Injection Method, CIM)으로 대체된다. 오래된 매립지는 휘발성 고형물질 함량과 산소소비율이 낮기 때문에, CIM에 의한 안정화가 효율적일 수 있다. 공기주입과 증기추출에 의하면, 공기희석법에 의한 SVE가 유기물질의 생분해 방법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공기희석법이 매립지의 유기성 폐기물의 생물학적 안정화를 가속시킬 수 있음을 제안한다. 또한 매립지 채굴, 매립폐기물의 분류 또는 이동에 따른 가스방출을 줄이는 방법으로 효과적이다. Field scale experiments of the waste stabilization technology by air ventilation were conducted at the Nanjido landfill site and other sites to evaluate the optimum air injection rate and gas extraction system for the degradation of organic waste and the odor-stabilization in landfill sites. This stabilization technology was applied to the Korea’s first remediation project - Seoshin landfill remediation project - to mitigate odor problems during the landfill mining. This system was proven to be cost-effective and meet the project requirements. In general, oxygen does not escape from a landfill site as it usually is in an anaerobic state. Changing anaerobic into aerobic condition by forced aeration is a well-known method to accelerate the rate of natural decomposition of landfilled waste. The Soil Vapor Extraction (SVE) technique used to extract landfill gas was applied at the initial stage in this study. It was replaced by the Continuous Injection Method at the latter stages with low pressure and low flow rate of gas which focuses on the stabilization of the landfill by bioventing landfills(Hybrid Aerobic Biostabilization System; HABS). Continuous Injection Method (CIM) with low pressure and flow rate can be effective for pre-stabilizing old landfill sites because of the lower contents of volatile solids and oxygen consumption rate in landfill. Air injection and gas extraction showed that the Soil Vapor Extraction (SVE) approach by air ventil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onventional biodegradation of organic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ir ventilation method can accelerate the rate of biological stabilization of organic waste in landfills. It is also expected that they may be effective in reducing gas emission during the landfill mining, sorting and/or transportation of landfilled waste.

      • SVE/Bioventing시 토양의 투기계수 및 영향반경에 관한 연구

        이철효,장원용,전연호,이진용,이강근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0 지하수환경 Vol.7 No.1

        현장 pneumatic test를 통해 유기화합물로 오염된 불포화 토양의 투기계수와 압력 및 산소의 영향반경을 평가하였다. 대상지역은 약 3미터의 조립질로 구성된 얕은 불포화대로 공기 주입/추출시 압력이 매우 빠르게 정류상태에 도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된 압력 및 산소농도 변화를 이용하여 Theis(1935)와 Hantush(1960) 방법으로 해석하였다. 연구지역의 투기계수는 1.64$\times$$10^{-7}$~5.66$\times$$10^{-6}$ $\textrm{cm}^2$로 추정되었다. 현장시험으로 추정된 투기계수와 영향반경은 SVE 또는 bioventing 시스템의 설계시 중요한 결정인자로 활용될 수 있다. Soil air permeability and influence of radius in air injection/extraction tests were estimated. These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determination of optimal design for SVE or bioventing system. For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air leakage from the ground surface on those factors, Theis (1935) and Hantush (1960) methods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tudied area was in the range of 1.64$\times$$10^{-7}$~5.66$\times$$10^{-6}$ $\textrm{cm}^2$, and this result would be used for the design of SVE or bioventing system.

      • 난지도 매립지 주변 지하수환경의 오염 특성에 관한 연구

        이철효,한정상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6 지하수환경 Vol.3 No.1

        난지도 매립지는 바닥차수재나 침출수 차집시설과 같은 오염방지시설이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표적인 불량 매립지로써 투수성 충적층상에 조성되어 현재 그 인근 지하수와 지표수환경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침출수에 의해 오염된 주변 지하수환경의 오염운(구간) 탐지시 사용할 수 있는 오염지시인자를 결정하고 난지도 매립지를 중심으로 거리별로 설치된 10개의 관측정과 1개의 BTMW*정을 이용하여 물시료를 채취 분석하거나 Electric data logger를 이용하여 그 오염물질의 수직 및 수평적인 분포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온도와 전기전도도는 매립지에서 가까운 지점일수록 높았으며 침출수는 지표하 85 m 지점까지 거동하였다. 오염성분중 전기전도도와 온도는 매립지 인근지에서 오염지시인자임이 판명되었다. 완전스크린설치정(Fully screened well)에서 측정한 오염물질의 심도별 농도는 공내 전구간을 통해 일정하거나 하부구간이 약간 높은데 반해 BTMW에서 측정한 오염물질의 농도는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점이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상하구간이 완전히 관통된 완전스크린설치정에서는 오염물질의 온도나 밀도차이 혹은 침출수의 수직흐름 때문에 농도가 공내에서 평준화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매립지 인근지역에서 침출수의 수직 및 수평분포상태나 그 거동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BTMW나 다점시료 채취정(multi level sampling well)을 이용하여 물시료를 채취 분석한 값을 이용해야 한다. The Nanji landfill is one of the biggest uncontrolled landfill in terms of its size and scale in the world. Because the landfill was constructed on the very vulnerable alluvial deposit installing no pollution control systems such as bottom liner and leachate collection systems, it has caused a serious adverse effect to near-by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systems. A through remedial investigation comprising plume detection and site-characterization was performed to design the remedial measure. As a part the investigation, comprehensive water quality study was conducted, using ten existing observation wells and one bundle type monitoring well, to determine the contaminant indicators for the plume delineation and to define the vertical and horizontal variation of specific contaminants via distances from the landfill. The results clearly shows that EC and temperature are a good pollution indicators and the vertical concentrations of specific contaminants measured in the fully screened wells are 20 to 90% more than those measured at the same depth in bundle type well which is located just 2 m apart. This paper presents a cost effective monitoring and sampling method to define the contaminant plume and obtain a basic data for leachate control meas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