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팬데믹 시대 청소년 신앙 활동을 돕는 가톨릭 주일학교 교리교사의 태도와 접근방식에 대한 연구: 현상학적 방법을 중심으로
이진옥,윤만근 한국종교교육학회 2023 宗敎敎育學硏究 Vol.74 No.-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팬데믹 기간 청소년들의 신앙생활에 도움이 되는 교리교사의 태도와 접근 방식을 살펴보고, 포스트 팬데믹 시대 주일학교 학생들의 신앙 활동 증진에 필요한 교회 내부적 요인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 가톨릭 주일학교 교리교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내용]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교리교사의 역할에 대해 평신도 그리스도인, 신앙여정의 동반자, 그리고 공동체와 협력하는 교리교사로 나누어 교회 문헌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A교구 9개 본당에 속한 9명의 교리교사들이다. 본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심층 면접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교리교사를 위협하는 팬데믹,’ ‘행동하는 교리교사,’ ‘응답하는 학생’ 그리고 ‘책임지는 신앙 공동체’의 4가지 주제를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 주일학교 교리교사들은 청소년이 성숙한 신앙인으로 성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교리교사와 신앙 공동체와의 협력은 청소년의 신앙 활동에 영향을 주는 교회 내적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신앙 공동체가 청소년들의 신앙 활동 증진을 위해서는 주일학교 교리교사의 가치를 인정하고 그들과 협력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ttitudes and approaches of Sunday School teachers, along with the internal factors within the church that can enhance the faith activities of the youth. The exploration i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Catholic Sunday School teachers during the pandemic. [Content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9 teachers from 9 parishes within A dioce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utilizing an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results revealed four themes: the pandemic's impact on Sunday School teachers, teachers' proactive initiatives, students' responses, and the role of a responsible faith community. [Conclusions] The study concludes that Sunday School teachers play a crucial role in helping young people sustain their faith activities and develop mature faith perspectives. Furthermore, the collaboration between Sunday School teachers and the faith community serves as an internal factor in promoting the faith activities of the youth.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church community should acknowledge the role of Sunday School teachers and foster collaboration with them to sustain the faith activities of the youth.
형질전환된 식물세포에서 Sucrose 농도가 hGM-CSF 생산에 미치는 영향
이진옥,김동일,이동근,이재화,주치언,심두희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4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Vol.31 No.2
The effects of sucrose concentration on the secretion of hGM-CSF, total protein and protease into the medium were investigated in transgenic tobacco cells. The dry cell weight (11.22 g/L), hGM-CSF (181.53 ㎍/L) and total protein (66.8 mg/L) were detected as highest at 30 g/L sucrose and protease activity (2660 U/L) was highest at 120 g/L sucrose after 5-day culture. However after 10-day culture, the maximum dry cell weight (28.36 g/L) was found at 60 g/L sucrose while the maximum hGM-CSF (95 ㎍/L) was appeared at 150 g/L sucrose. The total protein and protease activity was secreted as 52.28 mg/L and 3430 U/L, respectively in the same culture. 본 연구에서는 hGM-CSF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 담배세포에서 sucrose의 농도가 배양 배지내 분비된 hGM- CSF, 총분비 단백질, 그리고 단백질 분해효소에 미치는 효과를 보았다. 10, 30, 60, 90, 120, 150 g/L의 sucrose 농도로 배양한 결과 sucrose농도가 30 g/L일 때 건조중량은 11.22 g/L, 분비된 hGM-CSF의 양은 181.53 ㎍/L, 그리고 총단백질은 66.8 mg/L로 시료채취 5일 때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단백질 분해효소는 sucrose농도가 120 g/L일 때 2660 U/L의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배양 10일째 sucrose농도 60 g/L에서 건조중량이 28.36 g/L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낸 반면 분비된 hGM-CSF의 최대 값은 95 ㎍/L로 sucrose농도가 150 g/L일 때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