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의 대상관계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검증

        이지연(Jeeyon Lee),김미영(Miyoung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9 여성연구 Vol.76 No.-

        이 연구에서는 여성의 우울에 대해 대상관계와 자기침묵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대상관계가 자기침묵을 매개로 하여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인천광역시와 수도권 일대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 여성 총 363명이 대상 관계, 자기침묵, 우울을 측정하는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불성실하게 응답한 10부를 제외한 353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관계 하위변인은 자기침묵과 우울 간의 상관관계 모두에서 불안정 애착, 사회적 무능력, 소외와 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나, 자아중심성과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침묵과 우울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대상관계가 자기침묵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였으며 대상관계의 하위변인 중 불안정애착, 소외, 사회적 무능력 순으로 자기침묵을 유의하게 예언하였다. 셋째. 대상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침묵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였다. 넷째, 자기침묵은 대상관계와 우울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한국 여성의 우울을 설명하는 변인으로서 자기침묵을 새로이 추가하여 우울을 더욱 더 다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Korean women’s object relation, self-silencing and depression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object relation level on depression with the mediation of self-silencing. The subject for this study were 363 women over 20 years old who lives in Incheon and the metropolitan area. Sample population completed OR-Inventory, Silencing-The-Self Scale(STSS)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by the SPSS 12.0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ronbach’s α were also calculated. The major findings an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object relation, subordinate variables such as Insecure Attachment(IA), Social Incompetences(SI), Alienation (ALN) have positive associations with both self-silencing and depression. However Egocentricity(EGC) shows no significant association. Among those, IA shows the most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Selfsilencing and depression shows positive associations. Subordinate variables such as ‘Externalized self-perception,’ ‘Silencing the self,’ ‘Divided self’ shows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but ‘Care as self-sacrifice’ has low-leveled positive association with depression. Second, object relation has positive influences on self-silencing. IA, ALN, SI predicts self-silencing in order, but EGC does not influence. Third, object relation and self-silencing have positive influences on depression. Specially, IA, SI (among object relation) and ‘Externalized self-perception’, ‘Divided self’ predict depression significantly.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ilencing on the relation between object relation level and depression was also examined. This study is the first one in Korea which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object relation and self-silencing, the relation between self-silencing and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ilencing between object relation and depression.

      • KCI등재

        부모의 비지지적 반응과 아동의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이선화(Lee, Sunhwa),이지연(Lee, Jeey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비지지적 반응이 아동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인식명확성이 부모의 비지지적 반응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와 인천에 위치한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454명을 대상으로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부모의 비지지적 반응과 정서표현양가성, 대인관계문제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 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부모의 비지지적 반응과 정서인식명확성 간에는 유의한 부적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인식명확성과 대인관계문제 간에는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정서표현 양가성과 대인관계문제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정서표현 양가성과 정서인식명확성은 부모의 비지지적 반응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아동의 대인관계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는 데 필요한 시사점과 연구의 함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supportive parental response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interpersonal problems. A total of 454 5th-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ncheon and Kyonggi metropolitan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onsupportive parental respons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Nonsupportive parental respons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clarity. Emotional clarity was also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emotional clar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nonsupportive parental response on interpersonal problems. The implication for future studies and education together with counseling practice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Finally, the study's limits and further discuss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 부모 위주의 진로기대, 진로미결정 간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매개효과

        이은설(Lee, Eun Sul),이지연(Lee, Jeeyon)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6 교육과학연구 Vol.4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and the literature on career indecision by examining the integrative path model that contains personal influence, contextual influence, and cognitive influence on career indecision. To do so, we included direct and indirect paths of ambiguity tolerance, parent-centered career expectations (maternal and paternal expectations, respectively), and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on career indecision in the path model. Additionally, we hypothesized that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guity tolerance and career indecision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entered career expectations and career indecis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with a sample of 281 Korean college students. Overall,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zed path model. Ambiguity tolerance, maternal career expectations, and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were each found to produce significant paths to career indecision. Also, the results revealed that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partially mediated ambiguity tolerance and career indecision.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also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career expectations and career indecision. The significance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as also examined by the bootstrap method.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n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A Study on Secretary’s Core Self-Evaluations and Creativity

        Won, Yoonjeong(원윤정),Lee, Ji Yon(이지연),Paek, Jeeyon(백지연) 한국비서학회 2016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5 No.1

        창의성이 직무능력에서 중요한 역량으로 여겨지면서, 비서직의 역할 수행에서도 창의성이 중요한 기능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에서는 비서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인 특성과 환경적인 특성을 통합적인 관점으로 접근하는 Woodman(1993)의 창의성 모형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통합적인 접근을 위해 개인적인 특성으로 설정한 핵심자기평가를 독립변인에 두었고, 환경적인 특성으로 조직학습문화와 상사의 감성지능을 설정하여 창의성과 핵심자기평가 사이의 조절효과를 관찰하였다. 현직 비서를 대상으로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182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최종 167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비서의 핵심자기평가는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학습문화와 상사의 감성지능은 비서의 핵심자기평가와 창의성의 관계에 부의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핵심자기평가가 높은 비서들은 조직학습문화의 수준이 낮거나 상사의 감성지능이 부족하더라도 본인 스스로가 자신감을 가지고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열정적으로 일하고자 노력하기에 더욱 창의적으로 행동하여 업무에 높은 성과를 가져옴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비서의 핵심자기평가와 창의성, 조직학습문화, 상사의 감성지능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에 의의를 두고 있다. 또한, 비서에게도 창의성이 필요한 역량이며 개인의 핵심자기평가가 창의성을 가지고 업무 수행을 하는 데에 중요하다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To explore creativity among secretaries, the adapted Woodman’s Interactional Model of Creativity (1993) was used in the current study, which presents the interaction in the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that affect crea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cretary’s core self-evaluations and creativity and to measur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learning culture and the supervisor’s emotional intelligence. A survey collected from 167 secretaries working in Korea was used for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secretary’s core self-evalu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In addition, the organizational learning culture and the supervisor’s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cretary’s core self-evaluations and creativ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elp bring better understanding of secretaries’ creativity in the interactional perspective and core self-evaluations and will provide useful suggestions to develop the training program for the secretary’s creativity and the core self-evaluations.

      • KCI등재

        교사의 교수 몰입과 행복과의 관계에서 감사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조절 효과

        강수정(Kang, Sujeong),이지연(Lee, Jeeyon),장진이(Jang, Jinyi)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교사를 대상으로 교수 몰입, 감사 성향, 대인관계 유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 교수 몰입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력이 개인차 변인인 감사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수 몰입이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감사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조절 효과를 가정하는 연구 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감사 성향의 조절 효과는 유의미하였으나, 대인관계 유능성의 조절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교수 몰입이 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교사 개인의 감사 성향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감사 성향 수준이 낮은 교사들의 교수 몰입은 감사 성향 수준이 높은 교사들의 교수 몰입보다 행복감을 더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에 대한 함의를 기술하고, 교사 연수나 교사 자문 및 상담적 개입에서 감사 성향에 대한 평가와 이를 훈련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입 전략의 모색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gratitude disposi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s teaching flow and happines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232 male and female teachers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The data was submitted to SPSS/WIN 18.0 statistics program to test mu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eachers's teaching flow, gratitude disposi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ir happiness. Secondly, there w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gratitude dispos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s teaching flow and happiness. Thirdly,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wasn't seen as significant. These results implied that it'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gram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promoting teachers's gratitude disposition.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were discussed.

      • KCI등재

        여고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사회비교경향성, 신체비교, 신체불만족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혜원 ( Kim Hyeweon ),이지연 ( Lee Jeeyon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社會科學硏究 Vol.42 No.2

        본 연구는 여고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신체불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 비교경향성과 신체비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여고생 33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고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사회비교경향성이 높게 나타났고, 신체비교도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비교경향성이 높을수록 신체비교도 높게 나타났고, 신 체비교가 높을수록 신체불만족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여고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높다고 해서 무조건 신체불만족이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여고생의 신 체비교로 이어져, 신체비교가 높을수록 신체불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여고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신체불만족의 관계를 사회비교경향성과 신체비교가 이중매개하였다. 본 연 구의 결과를 통해,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그 자체가 신체불만족을 예측하는 단일 변인으로 유의하지 않고, 사회비교경향성과 신체비교가 연결통로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body comparis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sm and body dissatisfa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30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when higher scores o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sm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higher levels of body comparison were found. Study has shown that higher scores o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cores on body comparison. Moreover, higher scores on body comparis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body dissatisfaction. Seco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sm did not necessarily lead to higher scores on body dissatisfaction. Rathe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sm led to female high school students’ higher scores on body comparison, which in turn predicted higher levels on body dissatisfaction. Thir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sm had an effect on body dissatisfaction through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body comparison.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sm by itself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for body dissatisfaction, but that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body comparison were linkage between them.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독립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

        윤은영 ( Youn Eunyoung ),이지연 ( Lee Jeeyon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社會科學硏究 Vol.42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257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심리적 독립이 낮게 나타났고 진로정체감이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심리적 독립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유능성이 높게 나타났고 대인관계 유능성이 높을수록 진로정체감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높다고 해서 진로정체감이 낮아지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 통제가 심리적 독립으로 이어져 심리적 독립이 낮을수록 진로정체감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진로정체감의 관계를 심리적 독립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이중매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진로정체감을 예측하는 단일변인으로 유의하지 않고 심리적 독립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연결통로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eparation ,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identity statu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57 college students, and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when higher level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were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lower scores on career identity status were found. Study has shown that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separati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cores on interpersonal competence. Moreover, higher scores on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cores on career identity status. Secon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id not necessarily led to lower levels of career identity status. Rather,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led to lower levels of psychological separation, which in turn predicted lower levels of career identity status. Thir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had an effect on career identity status through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by itself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for career identity status, but that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linkage between them.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아동기 정서적 외상이 성인 진입기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김은석(Kim Eunseok),이지연(Lee Jeeyo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아동기에 경험한 정서적 외상이 성인 진입기의 대인관계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아동기 외상의 영향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이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진입기에 있는 대학생 302명을 대상으로 정서적 외상,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 대인관계 문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은 성인 진입기의 순응형 대인관계 문제, 공격형 대인관계 문제, 고립형 대인관계 문제를 모두 증가시키는 위험 요인으로 작용함이 확인되었으며, 이들 간의 관계를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동기 정서적 방임은 순응형 대인관계 문제에 대한 직접 효과만을 보였다. 또한, 정서적 학대와 정서적 방임이 상호 간에 억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적 함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childhood emotional trauma by examing whether emotional trauma experienced during childhood influences interpersonal problmes in the emerging adulthood and social self-concept mediates their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302 college students at the admission stage for adulthood using a questionnaire of emotional trauma, social self-concept,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relationships of these variables was examined by apply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the experience of childhood emotional abuse was found to be a risk factor for the increase of compliant interpersonal problem, aggressive interpersonal problem, and detached interpersonal probl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mediated by negative social self-concept. On the other hand, childhood emotional neglect showed only a direct effect on dependent interpersonal problem. And emotional abuse and emotional neglect had mutual inhibitory effects. Finally,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상담요구 분석

        황미연 ( Hwang Miyeoun ),이지연 ( Lee Jeeyon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社會科學硏究 Vol.42 No.2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가 지각하는 상담요구에 대해 개념도 방법론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중요도와 실행수준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부모 15명을 초점집단으로 선정하고, 103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상담요구는 2차원 7개 범주로 나타났다. 둘째, 상담요구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서 부모들은 ‘경제적 부담’을 가장 높게 지각하고, ‘가족관계 갈등’을 가장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행도 평가에서 부모들은 ‘제 도적 필요성 요구’를 가장 높게 평가하고 ‘가족관계 갈등’을 가장 낮게 평가하였다. 넷째, 진술문의 중요도와 실행도 평가 간 차이는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 평가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at parent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recognized counseling needs by concept mapping and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and the level of performance. 15 parents who live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were chosen as the focus group and then 103 parents responded to the survey. The main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ounseling needs for parents with adult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categorized by two-dimensions and 7 categories. Second, in the awareness for the importance of counseling needs, ‘Financial burden’ ranked the highest and ‘Trobles about family relations’ ranked the lowest. Third, in the assessment of the performance, ‘Needs for institutional necessity’ ranked the highest and ‘Troubles about family relations’ ranked the lowest. Fourth, the result analyzed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statements was shown that the performance assessment is lower than the importance.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특수학교 교사의 교권침해에 따른 어려움과 극복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양창훈(Yang Changhoon),이지연(Lee Jeey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본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교권침해에 따른 어려움과 극복요인을 개념도 연구법(concept mapping method)을 활용하여 특수학교 교사들이 교권침해를 경험했을 때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교권침해에 따른 어려움을 극복하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3년 이내에 특수학교 내에서 교권침해를 경험한 특수학교 교사 1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특수학교교사의 교권침해에 따른 어려움은 ‘물리적 환경-정서적 환경’ 차원과 ‘개인 외적 자원-개인 내적 자원’ 차원으로 구성되었으며, ‘교권침해에 둔감한 특수학교 풍토’, ‘개선되지 않는 보호자와의 정서적 유대감’, ‘트라우마로 인한 심리적 고통’, ‘부정적 자존감 형성’, ‘존중받지 못하는 특수교사의 교권’, ‘취약한 교권보호 시스템’ 등 6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극복요인은 ‘2차적 행동지원-1차적 행동지원’ 차원과 ‘정서적-행동적’ 차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사회관계적 지지’, ‘긍정적 사고활동’, ‘즉각적 대안찾기’, ‘제도적 지원 활용’, ‘적극적 대처’, ‘전문성 신장’, ‘긍정적 유대관계 정립’ 등 7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의 교권침해에 따른 어려움과 교권침해 극복요인이 지닌 구조 및 기저 차원을 실제적 경험에 근거하여 검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is paper applied the concept mapping method to show the difficulties presented by the violations of teachers right and to explore the ways used by teachers in special schools who have experienced such violations to overcome them. To this end, were conducted with 13 teachers working in special schools with experience in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within the past three years. The Difficulties due to infringement of teaching rights was recognized ‘physical environment-emotional environment’ dimension and the ‘individual’s external resources-individual’s internal resources’ dimension. six clusters were classified as ‘special schools climates insensitive to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emotional bonds with guardians who haven’t improved’, ‘psychological pain caused by trauma’, ‘self-esteem negatively formed’, ‘special-education teachers’ rights that are not respected’, ‘vulnerable teachers’ rights protection system’. The overcoming factor was recognized ‘secondary action support-the primary action support’ dimension and the ‘emotional-behavior’ dimension. seven clusters were classified as ‘social relation support’, ’positive thinking activity’, ‘find an immediate alternative’, ‘utilize institutional support’, ‘active measure’, ‘growth of expertise’ and ‘establishment of positive bonding’. This paper examines the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baseline dimensions of special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of teachers’ rights violations and overcoming factors on the infringement were empirically verif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