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웅진시기 백제의 약재 교역과 그 의미

        이정빈(Lee, Jeong-Bi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0 한국고대사탐구 Vol.34 No.-

        본고는 『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의 도홍경 自注에 보이는 백제 약재의 교역 시점과 방식을 검토하고 그 의미를 생각해 본 것이다. 인삼과 관동화, 2종의 백제 약재가 전하는데, 그 전거자료는 南朝代 집대성된 본초학의 성과를 반영했다. 따라서 2종의 백제 약재는 남조대 교역된 물품의 일종이었다고 이해하였다. 2종의 백제 약재는 모두 고구려의 약재와 함께 보인다. 인삼의 경우 고구려에서 조공하였다고 했다. 백제가 고구려의 신속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고 했다. 이와 같은 서술은 백제의 약재가 중개 교역된 사정을 말해준다. 5세기 후반이 주목된다. 이때 백제는 고구려의 통제를 받아 對남조 교섭이 불안정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고구려는 약재를 중개했고, 남조 측에다가 백제를 신속국으로 소개했다고 추정된다. 물론 5세기 후반 백제는 고구려의 신속국이 아니었다. 양국은 대립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그럼에도 백제에서는 실리를 얻기 위해 적대국인 고구려와 교역했다. 적어도 그를 묵인했다고 보인다. 웅진시기 백제의 약재 교역은 국제관계의 명분보다 교역의 실리를 도모한 일면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aims at explaining the timing and the way of medicine trade by examining the medicine of Baekje from Classified Materia Medica(證類本草), abbreviation for the Revised Zhenghe Edition of Classified and Practical Basic Materia Medica Based on Historical Classics(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 during Ungjin period. In the annotation of Classified Materia Medica,the two kinds of medicines of Baekje, ginseng and coltsfoot(款冬花), were introduced in the content which quoted Dohonggyeong(陶弘景)’s writings. It is hard to identify whether these quotations were the direct writings of Dohonggyeong or not. However, it reflected the result of the Knowledge on the Herbal Medicine(本草學), compiled during the Southern dynasties period. The two medicines belonged to trade items of Baekje, and were traded with Goguryeo in the late fifth century. At that time Goguryeo blocked direct trade between Baekje and the Southern dynasties. Instead, the trade was made in the form of tribute to Goguryeo from Baekje, and Goguryeo intermediated these tributes to Southern dynasties. Ginseng and coltsfoot were among these tributes.When intermediating goods, Goguryeo introduced Baekje as its vassal stateto Southern dynasties ; however, it was based on Goguryeo"s unilateral perception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historical fact. In 475, Baekje was attacked by Goguryeo and transferred the capital to Ungjin, but tried to stop the southward advance. Baekje was more hostile state rather than vassal state. Nevertheless, Baekje traded with hostile state, Goguryeo, and endured the situation even when Goguryeo introduced Baekje to the Southern dynasties as vassal state. It was to gain practical interest through trade. Baekje"s medicine trade in the fifth century was one of several cases in which the form did not match the fact in international relations of East Asia between the fourth and sixth centuri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단군신화의 비대칭적 세계관과 고조선의 왕권

        이정빈 ( Lee Jeong-bi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인문학연구 Vol.0 No.31

        본고는 단군신화에 담긴 세계관을 분석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단군신화에 보이는 곰과 호랑이에 주목하였다. 일찍부터 단군신화의 곰ㆍ호랑이는 토테미즘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하지만 단군신화의 곰과 호랑이는 전형적인 토템과 차이를 보인다. 다만 토테미즘의 흔적을 엿볼수 있다. 단군신화에서 인간과 곰ㆍ호랑이의 경계는 비교적 명확했다. 그런 만큼 양자의 직접적인 교감과 소통 역시 어려웠다. 단군신화에서 인간과 자연은 비대칭관계로 설정되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단군신화는 비대칭적 세계관을 반영한다고 이해된다. 물론 웅녀의 존재에서 알 수 있듯이 인간과 곰ㆍ호랑이의 교감ㆍ소통이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었다. 단군신화 내지 그 신화소의 원형은 인간과 자연의 대칭관계를 반영한다고 추정된다. 웅녀는 환웅을 통해 인간과 교감ㆍ소통하였다. 이로 보아 대칭관계에서 비대칭관계로 변화한 중심에는 환웅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환웅은 천계의 존재였지만, 천하의 인간세계를 대변하며 자연세계를 주관하였다. 단군신화의 환웅은 단군왕검과 혈연적 계보가 설정된다. 이로 보아 환웅이 인간세계를 대변한 것은 단군왕검으로 상징되는 고조선의 왕권이 신화에 투영된 결과였다고 해석된다. 인간세계의 지배자로서 왕이 출현하면서, 왕은 인간세계만 아니라 자연세계도 주관할 수 있는 존재로, 또 양자와 천계의 교감ㆍ소통을 독점한 혹은 그의 가장 우월한 존재로 부상하였다고 파악된다. 이 점에서 단군신화의 비대칭적 세계관은 고조선 사회의 변화, 보다 구체적으로 왕권의 탄생을 반영한다고 이해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world views of Dangun myth and figure out their historical meanings with a focus on the bear and tiger. It has been long that discussions started about the bear and tiger of Dangun myth in relation to totemism, but the bear and tiger of Dangun myth are different from the typical totems, merely showing the traces of totemism. There is a relatively clear boundary between the bear and the tiger in the Dangun myth,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hem to have direct communion and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the Dangun myth, man and nature are set in an asymmetrical relation, which means that the myth reflects an asymmetrical world view. The presence of Ungnyeo, of course, makes communion and communication possible among man, the bear, and the tiger. It is estimated that the Dangun myth and the archetype of its Mythmes reflect the symmetrical relations between man and nature. Ungnyeo engages in communion and communication with people through Hwanung, which means there is Hwanung at the center of shift from symmetrical to asymmetrical relations. In the Dangun myth, Hwanung has in blood-based genealogy with Dangun Wanggeom. Hwanung represents the human world as the royal authority of Old Joseon represented by Dangun Wanggeom is projected in the myth. As a king appears as the ruler of human world, he rises to the status of controlling both the human and natural worlds and monopolizing commun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worlds as the most superior being. In that sense, the asymmetrical world view of Dangun myth seems to reflect the changes to the Old Joseon society and the birth of royal authority.

      • KCI등재

        고구려 태학 설립의 배경과 성격

        이정빈 ( Jeong Bin Lee ) 한국교육사학회 2014 한국교육사학 Vol.36 No.4

        본고의 목적은 고구려 태학 설립의 배경을 살펴보고, 그 교육내용과 성격을 생각해 보는 데 있다. 지금까지 고구려 태학 제도의 수용에 대해서는 동진설이 있었고, 전진설이 있었다. 그런데 동진의 태학 운영은 부실했고, 이와 비교해 전진은 적극적이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전진설의 가능성이 높다. 다만 고구려와 전연의 국제관계와 교류를 염두에 두면, 이미 전연을 통해 태학과 같은 학교제도 수용의 기반을 마련하였다고 판단된다. 전연으로부터 학교제도에 대한 이해를 갖춘 바탕위에서 전진의 태학 제도를 수용했다고 이해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구려의 태학은 유교 교육기관으로 설립되었다고 여겨지고 있다. 그런데 전연과 전진의 동상 및 태학이 유교만 교육한 것은 아니었다. 군사적인 학문이 함께 다루어졌다. 고구려 역시 문무겸비의 인재를 중시했고, 특히 이 무렵에는 군사적인 능력을 갖춘 인재가 요구되었다. 이점에서 고구려에 태학이 설립되었을 때 그 주요 교육내용에는 유교만 아니라 군사적인 학문과 군사훈련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판단된다. 다만 설립기부터 유교가 주요 교육내용에 속하였음은 물론이고, 이후 태학은 차츰 전문적인 유교 교육기관으로 그 성격이 변모해 갔다고 생각된다. Taehak of Goguryeo is the oldest known school in the history of Korea. This paper analyzes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aehak’s establishment. The existing literature is divided whether the institutional origin of Taehk was in Tsin or Qian. Whereas Tsin’s Taehak was poorly managed, Qian actively ran its Taehak, which favors the Qian-origin hypothesis. However, given the Goguryo’s relation and interaction with Former Yan, the bases of establishing formal education system such as Taehak may have been already in place. It is generally agreed that the Taehak was established as an educational institute of Confucianism. However, Taehak in Former Yan and Qian did not teach Confucianism only, but also military instruction and training. Goguryo also traditionally valued those who are well versed in both polite betters and martial arts, and at this time, military talents were especially welcomed. Under such context, the major curriculum of Taehak in Goguryo probably contained both military instruction and training, in addition to the teaching of Confucianism.

      • KCI등재

        1950년대 북한 역사교과서의 민족형성 이해와 한국사 체계의 변화

        이정빈(Lee, Jeong-bin) 고려사학회 2021 한국사학보 Vol.- No.83

        본고는 1950년대 북한 역사교과서에 보이는 한국사 체계를 민족형성 이해와 관련하여 검토한 것이다. 먼저 『조선력사』(1953 · 1956)를 검토하였는데, 이 책은 국가적 노예제 · 농노제를 염두에 두고, 고조선~삼국과 통일신라를 고대사와 중세사로 구분하였다. 이와 같은 한국사 체계의 설정은 해방 이후 백남운의 연구에 기초한 것으로, 종족 · 민족에 대한 서술도 그러하였다. 원시 · 고대사회의 諸종족 · 종족동맹이 고대 삼국의 준민족으로, 삼국의 준민족이 중세 중앙집권 국가 통일신라에서 단일의 준민족을 형성했다고 하였다. 그리고 다단계의 발전을 통해 근대 민족형성의 기초를 형성했다고 하였다. 마르크스 · 엥겔스-백남운의 종족 · 종족동맹 · 민족 개념을 바탕으로 스탈린의 중세 준민족 이론을 수용한 결과였다. 그런데 스탈린의 민족이론과 정책은 소련의 이해를 중심으로 하였고, 북한도 그에 종속시키고자 하였다. 1950년대 중반부터 비판적인 견해가 제기되었고, 1960년대 전반의 개설서 및 역사교과서에서는 민족을 단위로 한 한국사의 보편성과 내재적 발전을 강조하였다. 그 결과 원초적 · 영속적 민족 이해를 정립하였다. 원시 · 고대사회에서 단일의 종족 · 민족을 상정한 것이다. 이제 신라 삼국통일의 의의는 부정 · 축소하였고, 발해사를 강조하였으며, 민족통일의 시점은 고려 초기로 조정하였다. 그런데 이때 고려의 민족통일은 근대의 민족을 전망한 민족형성의 역사적 과정이 아니었다. 이미 형성된 단일 종족 · 민족의 통일왕국 수립을 의미하였다. 원초적 · 영속적 민족이해에서 새롭게 부여한 고려왕조 성립의 역사적 의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history in North Korea"s history textbooks during the 1950s in relation to the understanding of formation of nation.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first reviewed The History of Joseon(1953·1956), which distinguished the period of Gojoseon~Three Kingdoms and Unified Silla as ancient history and medieval history, respectively, based on national slave and serf constructions. This setting in the construction of Korean history was based on Baek Nam-un"s researches after Korea"s liberation. It was the same case with the descriptions of tribes and nations as they reflected his understanding. The many different tribes and tribal leagues in the primitive and ancient societies formed nationalities[народность] in ancient Three Kingdoms, who then formed a single nationality in Unified Silla, a centralized medieval state. They went through multiple stages to build a foundation for a modern nation. These were results of accepting Stalin"s theory of medieval nationality based on the tribe, tribal league, and nation concepts of Marx, Engels, and Baek Nam-un. Stalin"s theory and policy of nation was, however, centered around the Soviet Union"s understanding and tried to subordinate North Korea to it. Responding to this, critical voices were raised in North Korea in the middle 1950s. After the arguments over the organization of society in ancient and medieval times during the middle and late 1950s, North Korea"s general statements and history textbooks published in the former half of the 1960s put an emphasis on the universal nature and inherent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based on the unit of naton. As a consequence, a basic and permanent understanding of naion was established with a single tribe and nation assumed for primitive and ancient societies. Now the significance of Silla"s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was denied or reduced with the history of Balhae emphasized and with the unification of Korean nation adjusted to early Goryeo. Here, Goryeo"s unification of nation was not the historic process of forming a nation for the outlook of modern nation. It signified a construction of Korean history reorganized from the already formed single tribe and nation. It represented the historic significance of the foundation of Goryeo Dynasty newly granted by the basic and permanent understanding of nation.

      • KCI등재

        4세기 전반 고구려의 해양활동과 황해

        이정빈(Lee, Jeong-bin) 역사실학회 2016 역사와실학 Vol.59 No.-

        본고는 4세기 전반 고구려의 해양활동을 살펴보고, 그 역사적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본 것이다. 이를 위해 고구려와 後趙 · 慕容鮮卑의 관계를 주목하였다. 338년 고구려와 후조는 해상교통로를 통해 연합하였는데, 일단 일찍부터 운용된 「묘도군도 연안항로」를 이용하였을 것이다. 또 후조의 曹伏이 주둔하였던 蹋頓城과 海島가 지금의 盧龍故城과 秦皇島에 비정되는 만큼 「발해만 연안항로」 또한 운용하였을 것으로 파악된다. 고구려는 이미 3세기 전반부터 압록강 하류 安平을 통해 해양활동을 전개하였다. 341년 후조의 안평 공격도 고구려와 무관치 않았다. 고구려는 2세기 후반∼3세기 전반부터 안평으로 진출했는데, 313년 낙랑을 병합함으로써 한층 안정적인 해양활동이 가능하였다. 낙랑의 해양세력을 흡수해 해양활동의 기반도 공고히 하였다. 그리고 압록강에서 황해로 나아감으로써 동아시아사의 전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marine activities of Goguryeo in the former half of the 4th century and figure out their historical meanings by focusing on its relations with Hou Zhao and Murong Xianbei. In 338, Goguryeo and Hou Zhao formed an alliance through a marine traffic route, and it is estimated that they must have used the "route of Miadao Islands" from the early days. It is said that the Jobok of Hou Zhao was stationed at Dapdong Fortress and Hae Island, which correspond to Noryonggo Fortress and Qinghuang Island, respectively, today. It is thus likely that Goguryeo and Hou Zhao operated along the "coastal route of Gulf of Pohai." Goguryeo engaged in its marine activities through Anpyeong along the downstream of Aprok River, which suggests that Hou Zhao"s attack at Anpyeong in 341 must have had something to do with Goguryeo. Thanks to their combined operation, Goguryeo was able to recover Anpyeong that it lost temporarily and resume its marine activities. Goguryeo made advances to Anpyeong in the latter half of the 2nd century and the former half of the 3rd century, but it failed to solidify its dominance over the area until the end of the 3rd century. It was after its merger with Lelang in 313 that it secured its rule over the area. After that, Goguryeo was able to engage in more stable marine activities. It also solidified the base of its marine activities by absorbing the marine power of Lelang, thus developing its full-blown marine activities. It moved beyond Aprok River to the Yellow Sea and took active part in the development of East Asian history.

      • KCI등재

        고구려-당 관계의 성립과 변경지대(618~624)

        이정빈(Lee, Jeong-Bin) 고구려발해학회 2016 고구려발해연구 Vol.54 No.-

        본고는 618~624년 고구려-당 관계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계의 형태와 공간적 범위를 살펴본 것이다. 고구려와 당은 늦어도 619년 윤2월에 국교를 맺고 우호관계를 수립하였다. 이때 양국은 동돌궐이란 동아시아 최강자를 견제하는 데 이해관계가 일치하였다. 618년부터 620년대 전반까지 요서지역에서는 등고·고개도·나예가 대립·경쟁하였는데, 이 중에서 고개도는 해·거란-동돌궐과 연합 세력을 형성하였다. 이에 고구려는 당과 더불어 그와 같은 연합 세력에 위기의식을 공유하며 우호관계를 맺었던 것이다. 620년대 전반 당은 나예-손오조·돌지계를 통해 요서지역에 세력을 미치기 시작하였다. 손오조·돌지계는 유성을 중심으로 거주하였는데, 그 세력범위는 요서지역의 서부에 한정되었다. 이때 고구려는 요서지역의 동부에 세력범위를 두었다고 판단된다. 양국은 대략 대릉하·의무려산을 자연경계로 하였던 것이다. 다만 이 일대를 경계로 양국의 영역이 선의 형태로 구획된 것은 아니었다. 양국은 기미주 내지 군사거점을 통해 요서지역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따라서 양국 사이의 비교적 넓은 면적은 변경지대였다고 이해된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trends and patterns of border zone in the formation process of Goguryeo-Tang relations in 618~624. Goguryeo and Tang formed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 and then established friendly ones in February of Yun in 619 at the latest, when their interests matched to keep in check Eastern Turks, the greatest power of East Asia. During the period from 618 to the former half of the 620s, in particular, there was a state of confrontation and competition among Deunggo, Gogaedo, and Naye in the Liaoxi region with Gogaedo forming a massive alliance with Hae, Georan, and Eastern Turks. In the former half of the 620s, Tang started to influence the western parts of Liaoxi through Sonojo and Doljigye of Naye, whose residential areas were based on Yuseong and whose influential scope was restricted to western Liaoxi. During the period, Goguryeo seems to have exerted its influence on the eastern parts of Liaoxi. The natural boundaries between the two nations were roughly Daereungha and Uimuryeosan. However, they did not distinguish their respective territories along those areas and had indirect influences on the Liaoxi region through their loose rein provinces or military bases. It is thus understood that there was a relatively large area of border operated betwene them.

      • KCI등재

        고구려의 국내성 · 환도성과 천도

        이정빈(Lee, Jeong-bin) 한국고대사학회 2017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7

        본고의 목적은 고구려 國內 천도 연구의 쟁점을 점검하는 데 있다. 그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1910년대에 시작되었다. 이때 국내성과 환도성의 구체적인 위치 비정을 두고 다양한 견해가 제기되었는데, 두 城의 同處·異處 문제가 쟁점이었다.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의 관련기사를 중시한 연구에서는 이처설이 견지되었고, 『삼국지』를 비롯한 중국 측의 문헌을 중시한 연구에서는 동처설이 다수를 점하였다. 『삼국사기』와 『삼국지』를 바라보는 시각은 국내 지역으로 천도한 시점에 대한 이해와도 밀접하다. 『삼국사기』를 중시할 경우 瑠璃明王代가 유력한 반면, 『삼국지』를 중시할 경우 山上王代가 주목된다. 최근에는 두 史書의 종합적인 이해를 추구해 太祖大王代 또는 新大王代 천도했다고 본 견해가 제시되었다. 그런데 『삼국사기』에 수록된 고구려 국도 및 천도 관련 기록은 적어도 3종 이상의 전거자료로 구성되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삼국사기』 안의 국도 및 천도관련기사의 계통을 구분하고 그 전거자료를 탐색하려는 노력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issues in the research of Goguryeo’s transferring its capitals. It was in the 1910s that full-blown research began on Gungnaeseong and Hwandoseong. Various opinions emerged then regarding the specific locations of the two capital cities, in which process the Dongcheo(同處) and Icheo(異處) issue of the capital cities became controversial. The researches that placed importance on the related articles in the Goguryeo part of Samguksagi tended to maintain the Icheo theory, whereas the ones that valued the Chinese literature including Samgukji mainly argued for the Dongcheo theory. The viewpoints of Samguksagi and Samgukji were closely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time point when Goguryeo moved its capital to the Gungnae. While those who placed importance on Samguksagi insisted that it happened during the reign of King Yurimyeong, those who did Samgukji turned their eyes to the reign of King Sansang. By putting together these two history books, researchers recently voiced an opinion that Goguryeo moved its capital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 or Shindae. Previous studies usually sought after a coherent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history books. In Samguksagi, the records about Goguryeo’s capitals and movement of capitals consisted of at least three types of source data. Future study needs to distinguish the lines of articles related to capitals and the movement of capitals in Samguksagi and explore their source data.

      • KCI등재

        고구려와 수·당의 전쟁, 무엇을 바꾸었나?

        이정빈(Lee, Jeong-bin) 역사비평사 2019 역사비평 Vol.- No.126

        This article considers the meaning of Goguryeo-Sui War and Goguryeo-Tang War in East Asian history in terms of both state system and international relations. These wars were a continuation of great war mobilizing large-scale armies. Mobilization of large-scale armies was based on the reformation of the weapon and military systems, which was paired up with the aligning of a centralized state system. It also promoted the strengthening of centralization and made power of influence. In the 7th century, Baekje, Silla, and Japan engaged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war, and strengthened the centralized state system. This interlocking wa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War was accompanied by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because it was possible by moving militaries and military supplies. Overland, waterborne and marine traffic route connecting Northeast Asia, inland Asia, and Central Plains of China developed evenly. The alignment of a centralized state system in several East Asian countries was achieved through cultural exchanges, and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vitalized this.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ccompanied by war led East Asia to one world of history. Goguryeo-Sui War and Goguryeo-Tang War in the 7th century called for change based on the change of ancient society in East 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