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콜레스테롤혈증 치료에서 심바스타틴 10mg 과 20mg 사용시의 효능 및 안전성 비교 연구

        이재건(Jae Gun Lee),김화민(Hwa Min Kim),이현희(Hyun Hee Lee),최혜진(Hae Jin Choi),박창하(Chang Ha Park),서명덕(Myung Deok Seo),정재천(Jae Cheon Jeong),조한균(Han Kyun Cho),최성식(Sung Sik Choi),이지현(Ji Hyun Lee),김석연(Seok Yeon Ki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3 No.1

        목적 : 지방공사 강남병원 순환기 내과에서 추적 검사 받는 고지혈증 환자 106명을 대상으로, 심바스타틴 상용량인 10 mg과 20 mg 사용시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부작용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 NCEP guideline에 따라 약물 치료가 필요한 환자 중 저비중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가 130 mg/dL 이상이면서 중성 지방 농도는 400 mg/dL 이하인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를 대상으로 심바스타틴 사용량을 10 mg 군과 20 mg 군으로 무작위적으로 나누어 처방한 후 6개월 후의 혈중 지질 농도를 분석하였다. 환자들은 매월 부작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정기적 외래 검진을 받았으며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나거나 합병증이 나타난 경우 치료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1997년 4월부터 2000년 11월까지의 115명 중 탈락되지 않은 106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남녀비는 40:66이었고, 전체 대상군 중 55%에서 고혈압이 있었고, 9%에서 관상동맥 질환이 있었으며, 13%에서 당뇨병이 존재하였다. 심바스타틴 투여 전 평균 지질 농도는 258-201-50-167 (총 콜레스테롤-TG- HDL-LDL)이었다. 저비중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는 20 mg 군에서 34.9 mg/dL, 10 mg 군에서는 20.8 mg/dL 감소하였고, 20 mg 군이 10 mg 군에 비해 저비중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를 의미 있게 더 감소시켰다.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20 mg 군에서 22.7 mg/dL, 10 mg 군에서 21.7 mg/dL 감소하였고, 심바스타틴 복용 용량에 따른 감소 효과의 차이는 없었다. 심바스타틴 용량에 따른 NCEP guideline (ATP III)의 저비중 지단백 콜레스테롤 목표 농도 달성 정도를 조사한 결과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 인자가 0∼1개인 저위험군에서는 20 mg 군이 80%, 10 mg 군이 81%에서 목표 농도가 되었고, 고위험군에서는 20 mg 군 50%, 10 mg 군 35%가 목표 농도에 도달하여 저위험군에 비해 치료 성공률이 낮았다. 중성 지방 농도는 10 mg 군과 20 mg 군 모두에서 의미있게 감소하지 않았으나 200 mg/dL 이상의 고중성지방군에서는 심바스타틴 20 mg 사용 군에서 22.3 mg/dL, 10 mg 군에서 42.7 mg/dL 감소하여 10 mg 사용 군에서 20 mg 사용 군에 비해 의미 있게 중성 지방을 감소시켰다. 고비중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심바스타틴 복용 전 농도가 40 mg/dL 미만인 경우에는 20 mg 복용 군에서 11.5 mg/dL, 10 mg 복용 군에서 8.3 mg/dL가 증가하였다. 6개월간의 심바스타틴 치료를 하는 동안에 부작용 때문에 약물 복용을 중단한 경우는 전신 근육통이 심해 중단한 것 외에는 없었고, 심각한 부작용을 가진 환자는 없었다. 연구 대상 환자들에 대한 약물 용량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10 mg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결론: 심바스타틴은 고콜레스테롤혈증 한국인에서 10 mg과 20 mg 사용시 모두 지질 농도를 개선하는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관상동맥성 심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에서는 NCEP guideline을 만족시키는데 효과적이지 못했다. 환자들의 선호도를 고려할 때 고위험군외에는 초기 치료 용량을 10 mg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Elevated serum cholesterol level is a major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Simvastatin is effective for treating hypercholesterolemia.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efficacy and safety of 6-month therapy with simvastatin with relatively low dose, 10 mg and 20 mg/day. Methods: One hundred six patients with hyperlipidemia (triglycerides<400 mg/d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LDL) cholesterol>130 mg/dL) were randomized to receive either simvastatin 10 mg/day (n=43) or 20 mg/day (n=63). Efficacy was determined by measuring changes from baseline in lipid parameters including LDL 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and high-density lipoprotein (HDL) cholesterol. Results: Of the one hundred six patients randomized to treatment, forty patients were men and sixty-six patients were women. Fifty-five percent of patients had hypertension, nine percent coronary artery disease and thirteen percent type 2 diabetes mellitus. Mean baseline lipid concentrations were 258 (total cholesterol), 201 (triglycerides), 50 (HDL) and 167 mg/dL (LDL). Both 10 mg and 20 mg of simvastatin produ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measured serum lipid parameters (p<0.001). Compared with 10 mg of simvastatin, 20 mg of simvastatin produced significantly greater (p<0.001) reductions from baseline LDL cholesterol (34.9 mg/dL vs 20.8 mg/dL). But 10 mg of simvastatin was more effective than 20 mg of simvastatin at reducing triglycerides level (42.7 mg/dL vs 22.3 mg/d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doses at improving total cholesterol and HDL cholesterol level. Percentage of patients at goal LDL as recommended by NCEP guideline (ATP III) were 81% and 80% for patients in low risk but 35% and 50% for patients in coronary heart disease and its risk equivalents, taking 10 mg and 20 mg/day respectively. Both doses were well tolerated. Only 3 patients (4.8%) in the 20 mg group and one patient (2.3%) in the 10 mg group experienced mild adverse events. Most patients contacted by telephone wanted to take 10 mg of simvastatin. Conclusion: In patients with hypercholesterolemia in Korea, both doses (10 mg, 20 mg) of simvastatin were effective in improving serum lipid parameters and well-tolerated. We recommend, considering patients' preference, that 10 mg of simvastatin be intial dosage and in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higher doses than 20 mg should be prescribed to allow most patients to reach their NCEP target levels.(Korean J Med 63:46-53, 2002)

      • SCOPUSKCI등재

        초음파 복합처리를 통한 참굴 펩타이드의 피부미백 및 피부면역 활성

        재건(Jae Gun Han),김효성(Hyo Sung Kim),권민철(Min Chul Kwon),김진철(Jin Chul Kim),황보영(Bo Young Hwang),이현용(Hyeon Yong Lee) 한국식품과학회 200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0 No.4

        초음파를 병행한 참굴 시료로부터 조단백질의 수율은 34% 이상으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분리 단백질을 SDS-PAGE로 검정한 결과 70 kDa와 50 kDa 사이에 특정 피크를 나타내었다. 이를 sephadex G-75 컬럼을 이용하여 분리하였으며 MALDI-TOF MS를 이용하여 분자량을 검정한 결과 66 kDa으로 판단하였다. 굴 추출물 및 펩타이드의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최고농도인 1.0㎎/mL에서 모두 22.8%를 나타내었으며 형태학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굴의 저온 추출물 및 펩타이드가 식품 또는 향장 소재로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Melanocyte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량 측정을 통해 굴 펩타이드의 미백활성을 탐색한 결과 최고 62.7%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1.0 ㎎/mL의 농도에서 tyrosinase의 활성을 35%까지 저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피부 염증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행한 PGE₂ 생성량 측정의 경우 특정 수용체(EP3)와 결합하면 알레르기 증상이 억제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특정 펩타이드와 결합으로 인한 PGE₂의 생성 억제 가능성이 있으리라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시료의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경향을 나타남에 따라 특정 물질의 작용으로 불 수 있으며 melanocyte의 멜라닌 생성량 저해능과 더불어 향후, 보다 면밀한 정제를 통한 물질 검정의 단계를 거치면 천연 피부미백용 향장소재로서 피부미백 및 피부 면역 활성을 안전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peptides were isolated from Crassostrea gigas using an ultrasonification process at 40℃. The yield of the peptides was greater than 34%, and their cytotoxicity was found to be less than 22.8% against several cell lines that were treated with the extracts at a dose of 1.0 ㎎/mL. In addition, the tyrosinase inhibitory and melanin synthesis of the peptides isolated from Crassostrea gigas were also evaluated to determine if they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cosmetic agent. The peptide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hibit the melanin synthesis of the clone M-3 cell line by up to 62.7%.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tyrosinase were observed 34.51% in ascorbic acid, 42.49% in extract with the ultrasonification at 40℃ and 35.37% in 40℃ extract at 1.0 ㎎/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Finally, when samples were treated with the peptide extracts at a concentration of 0.6 ㎎/mL, PGE2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rassostrea gigas may be a source of cosmetic agents capable of improving physiological hyperpigmenting and immunomodulating skin disorders.

      • KCI등재

        유채대의 이단 고온 처리에 의한 알콜 발효용 당화물 생산

        재건(Jae-Gun Han),오성호(Sung-Ho Oh),정명훈(Myoung-Hoon Jeong),김승섭(Seung-Seop Kim),서현범(Hyeon-Beom Seo),정경환(Kyung-Hwan Jeong),장영석(Young-Seok Jang),김일철(Il-Cheol Kim),이현용(Hyeon-Yong Lee) 한국생물공학회 2009 KSBB Journal Vol.24 No.5

        우리 연구팀은, 농산부산물인 유채대의 알콜 발효용 당 화물 생산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농산부산물인 유채대를 연속적으로 5 mL/min의 속도로 산을 이용하지 않고 증류수만을 이용해 이단 고온 처리 (200℃ and 15 Mpa, 375℃ and 23 Mpa)하였다. 본 전처리 공정을 통한 가수수분해물의 당화물 생성은 최종적으로 자일로스와 글루코스의 경우 25.6 g/L, 5.5 g/L가 생성되었다. 이는 유채대에 존재하는 글루코스와 자일로스의 초기 양 대비 각각 18%와 59%의 전환 수율을 나타낸다. 또한 이 공정은 타 공정들에 비하여 대표발효 저해 산물인 HMF의 생성량이 0.2 ppm으로 극히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가수분해물의 에탄올 생산시, 글루코스의 발효를 통한 에탄올 생성 전환수율이 90% 이상으로 높은 생성율을 보였다. 따라서 본 공정을 통해 다른 농산부산물이나 해조류 전체에 응용된다면, 고 수율의 에탄올 생산용 당화물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한다. Two-step pretreatment process was investigated to efficiently hydrolyzed rape stems for obtaining fermentable sugars. The process was consisted of two consecutive steps as 200℃ and 15 MPa and 374℃ and 24 MPa with the flow rate of 5 mL/min. Under this condition, 5.5 (g/L) of glucose and 25.6 (g/L) of xylose were obtained from rape stems, showing 18% of glucose yield based on 25% cellulose in the rape stems. It was also found that this process could generate less amounts of toxic residues, such as HMF (Hydroxy- Methyl-Furfural) and other fulfural components during hydrolysis process. It could reaction maintain relatively high ethanol production yield as 90% of theoretical conversion yield from glucose. Therefore, this pretreatment process could be applied to hydrolyze other cellulosic and marine resources such as woods, stem and algae for bioethanol production.

      • KCI등재

        고압액화공정을 이용한 구멍갈파래의 발효용 알코올 당화수율 증진

        재건(Jae Gun Han),오성호(Sung Ho Oh),최운용(Woon Yong Choi),권정웅(Kwon Jung Woong),서현범(Hyeon Beom Seo),정경환(Kyung Hwan Jeong),강도형(Do Hyung Kang),이현용(Hyeon Yong Lee) 한국생물공학회 2010 KSBB Journal Vol.25 No.4

        Green alga, Ulva pertusa kjelmann has been known to be one of the largest pollutants in Korea. Therefore, the efficient pretreatment processes have been required to improve the yields of fermentable sugar. The optimal pretreatment conditions were determined to be 195℃ for 15 min. The sugar yield of glucose and xylose were estimated as 20.5%, and 5.0% respectively, based on theoretical yields. However solid residues were estimated enzymatic digestibility of 90-95% with cellulase loading of 15 FPU/g glucan. This process was proved to generate the low concentration of Hydroxy-Methyl-Furfural (51 ppm), which resulted in ethanol production with 95% of the maximum conversion yield from glucose in the culture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TCC, 24858). This study showed that Ulva pertusa kjellmann can be used as a bioetahnol resource using the high temperature liquefaction process.

      • SCOPUSKCI등재

        구멍갈파래의 면역활성 증진을 위한 추출방법 비교

        재건(Jae Gun Han),하지혜(Ji Hye Ha),최영범(Yeong Beom Choi),고정림(Jeong Lim Go),강도형(Do Hyung Kang),이현용(Hyeon Yong Lee) 한국식품과학회 200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1 No.4

        본 연구는 제주도의 녹조현상의 원인인 구멍갈파래의 활용을 위해 고압추출 공정을 통한 추출물의 면역활성 확인 하였다. 150MPa, 80℃ 조건에서 Superoxide Radical 소거효과에서는 90% 로 활성도가 제일 높았으며, 면역세포 생육도면에서도 B&T cell, 각각 14.2×10sup{4} cells/mL 14.5×10sup{4} cells/mL 나타나 제일 높았다. 반면, NK cell과 NO 면역능 실험에서는 100MPa, 30℃ 조건에서 각각 11.8×10sup{2} cells/mL, 30.0 μM을 보여 주었다. 결과를 통해 구멍갈파래는 면역활성을 가지며 고압 공정을 통한 추출물의 활성이 일반추출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해조류 및 다른 유용 자원에서도 고압 공정이 기존의 추출방법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되며 기능성 식품이나 기능성 소재로서 사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munomodulatory effect of Ulva pertusa kjellman extract after undergoing a low temperature and high-pressure extraction process. First, the extracts obtained under the extraction conditions of 150 MPa and 80℃ showed a relatively high antioxidant activity, with 90% super oxide radical activity compared to the extracts from conventional extraction process with water at 100℃. This extract also improved the growth of both human immune B and T cells up to 14.5×10sub{4} cells/mL and 14.2×10sub{4} cells/mL compared to 9.1×10sub{4} cells/mL in adding the extracts from conventional processes. It was found that the extracts obtained at 100 MPa and 60℃ showed better activities in NK cell growth and NO production from macrophage as 11.8×10sub{2} cells/mL and 30.0 μM. Overall, the extracts from high pressure and low temperature extraction process had relatively higher immune activation activity, possibly because the low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extraction process may have higher yields of active compounds and have less damage to useful ingredients from relatively weak marine natural resources, such as Ulva pertusa kjellmann than that from the conventional extraction system.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