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녹색발광 β-SiAlON:Eu 세라믹 플레이트 형광체의 치밀화 소결

        박영조,이성훈,장욱,윤창번,윤철수,Park, Young-Jo,Lee, Sung-Hoon,Jang, Wook-Kyung,Yoon, Chang-Bun,Yoon, Chul-Soo 한국세라믹학회 2010 한국세라믹학회지 Vol.47 No.6

        $Eu^{2+}$-doped $\beta$-SiAlONs ($Si_{6-z}Al_zO_zN_{8-z}:Eu_y$) are recognized as promising phosphor materials to build an white LED for lighting application due to its excellent absorption/emission efficiency in the long wave length region. In this research, the fabrication of $\beta$-SiAlON:Eu plate phosphor by sintering was investigated with fixed Eu content(y) and varied composition of the host lattice(z). The addition of the activator $Eu_2O_3$ lead to enhanced densification by forming the transient liquid phase. The refinement of a composition by the calculated lattice parameter indicated that the measured composition of the fabricated specimens is nearly same to that of designed one. The single phase $\beta$-SiAlON:Eu plate with relative density of 96.4% was achieved by addition of 2 wt% CaO, which implies the possibility of full densification by adjusting the processing variable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화이트칼라 계층의 폭력성에 관한 연구

        이장욱(Lee, Jang-Wook),성빈(Seong, Bin) 한국공안행정학회 2016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5 No.4

        최근 김형식 전 서울시의원의 수뢰 은폐 목적 살인청부 사건, 그리고 모 대학 교수가 제자를 자신이 대표로 있는 학회 사무국에 취업시켜 일을 시키면서 수년간에 걸쳐 폭행하고 인분을 먹이는 등 엽기적인 학대를 자행한 소위 인분교수 사건이 발각되어 세상을 경악케 하였다. 그간 범죄학계에서는 화이트칼라 범죄자 내지 화이트칼라 계층 근로자의 성격적 특징이나 폭력성에 대해서는 관심이 비교적 적은 편이었다. 그러나 최근들어 서덜랜드가 주창했던 화이트칼라 범죄의 특징들을 무색케 할 정도의 폭력성향이 사회 상류층 내지 화이트칼라 계층 근로자들에게서 발현되는 사례가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으며, 서구에서는 소위 ‘레드칼라(Red-Collar)’ 범죄라는 새로운 범죄유형까지 등장하는 등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위의 김 前 의원 살인청부 사건이나 소위 인분교수 사건 등을 비롯하여 화이트칼라 계층 근로자의 강력 또는 폭력범죄가 갈수록 기승을 부리고 있다. 그러나 그 발생 원인이나 대책 등에 대한 국내 논의는 아직 찾아보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화이트칼라 범죄의 기본 개념을 정리한 후 그간 등한시되었던 화이트칼라 범죄자의 성격적 특징과 화이트칼라 계층 근로자의 폭력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미국 등 서구에서 발생빈도가 점증하고 있는 화이트칼라 범죄와 폭력범죄의 연계 현상 즉 소위 레드칼라 범죄 및 사기은폐살인(Fraud-Detection Homicide) 등 신종 범죄 유형을 소개하고 화이트칼라 범죄의 원인에 대한 새로운 접근, 화이트칼라 계층의 폭력성에 대한 인식 전환 등에 대해 심층 논의하였다. We were recently so shocked by an ex-city councilor s contract killing case for the concealment of taking bribes and a case of an professor who committed a grotesque maltreatment of his pupil such as assaulting and feeding a human excrement for several years. Meanwhile, the crime academia has tended to have relatively less interest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 or violence of white-collar workers as individuals. However, a research on the so-called red-collar crime is gradually becoming active in the West. Violent crimes by white-collar criminals or white-collar workers are on the increase day by day even in Korea. Nevertheless, it is hard to find a discussion about a cause or a countermeasure for its occurrence. This study examined about the definition of white-collar crime and about the violent propensity of white-collar workers that has been neglected in the meantime. In Western countries, in-depth discussions were made focusing on red-collar crime. Finally, the controversial issues were arranged in relation to new approach on the causes of white-collar crime, violent personality of white-collar workers, and the crimi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d-collar crime.

      • KCI등재

        기획 특집 : 문화산업/이미지/예술 ; 문화산업시대 문학의 존재론 -레비나스와 바흐친의 외재성 개념을 중심으로

        이장욱 ( Jang Wook Lee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0 인문학연구 Vol.0 No.39

        이 글은 ``부정성의 상실``로 요약되는 문화산업시대를 배경으로, 차이와 전체성의 문제를 레비나스 및 바흐친의 사유에 의거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차이와 전체성의 문제를 양자택일적 선택지로 간주하는 한 오늘날 문화예술을 둘러싼 질곡들은 해소되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단독성을 전체성의 체계로 환원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그 고유한 관계들의 성좌를 사유하는 것은 어떻게 가능한 것인가? 창조적 차이, 타자의 발생, 혹은 대화적 이질성은 어떤 방식으로 우리 시대의 문화예술에 접속될 수 있는가? 이 글은 이 질문들을 특히 레비나스와 바흐친의 ``외재성``(exteriority) 개념을 중심으로 탐구한 것이다. 레비나스에게 외재성 개념은 주체의 자기 초월적 계기의 다른 이름이며, 동시에 타자 개념의 재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 용어이다. 레비나스가 자신의 후기 대표작에 대해 『전체성과 무한』이라는 이름을 붙였을 때, 여기서 ``무한``은 저환원불가능한 외재적 타자성의 자리를 지시하는 것이며, ``전체성``은 ``무한``의 반대항으로서 외재적 타자를 자신의 체계로 귀속시키는 ``지식``의 자리를 의미한다. 레비나스의 철학적 기획은 말하자면, 저 타자의 외재적 위치를 복원시킴으로써 윤리학을 ``제1철학``의 지위로 승격시키는 것이 되는데, 이 윤리학을 통해 레비나스의 주체-타자는 합리성에 근거한 근대적 나-타자의 관계를 넘어설 지반을 얻게 된다. 궁극적으로 그가 전제하는 나-타자의 관계는 비대칭성으로 요약되며, 합리적인 대립과 지양을 통한 동일자의 ``승화`` 과정으로 규정되는 변증법의 회로를 벗어난 곳으로 우리를 인도한다. 레비나스에게 예술은 변증법적 ``인식``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지점에서 예술로서 자신을 정립할 수 있는 셈이다. 바흐친은 레비나스에 비해 예술과 인식, 예술과 진리의 문제를 부정적인 방식으로 사유하지 않는다. 그는 1920년대에 이미 전체성의 내부로 환원불가능한 주체들의 위치를 설정하고 이를 문학이론의 영역에 적용한 바 있는데, 보편성이나 전체성으로 환원되지 않는 단독자야말로 바흐친적 의미의 ``삶``의 담지자이다. 추상성에 의거하는 ``이론주의``는 저 ``삶``과 대비되는 체계적 이성의 영역, 즉 전체성과 보편성의 지배를 지시하는 상징적 명칭이다. 그러므로 바흐친의 다성적 소설은, 개별자인 인간의 시선이 완결적 전체성과 등치되지 않는다는 것을 문장의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자각한 예술가에 의해 가능하다. 다성성은 다른 가치들의 지속적인 틈입과 이질적 시선들의 지속적인 경쟁에 의해서만 성취되는 셈이다. 이러한 대화적 세계에서 안정되거나 영원한 것은 없으며, 모든 고정적인 가치들은 타자들과의 조우 속에서 유동적 상태로 들어간다. 바흐친의 외재성 개념은 이 유동적 가치들을 낭만적 허무 속으로 무화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역동적인 가치의 경쟁을 가능하게 만드는 출발점으로 기능한다. 이 두 사상가의 사유는 서로 변별적이면서도 전체성의 귀환이나 차이의 전일성이라는 양자택일적 사유를 넘어서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보여준다. 전체성과 진리의 자기동일성에 의거하지 않으면서도 문화산업시대의 무차별적 ``차이들``을 넘어설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도 할 수 있다. 외재성 개념은 이 지점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두 사상가에게 주체의 자기회로 외부에 존재하는 타자와의 대면, 그리고 이 자기초월적인 ``대면``(``대면``은 무엇보다도 수평적 ``공존``이 아니다)을 통한 에피파니의 순간은 문학예술의 존재근거가 되는 셈이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ce and totality in the context of the art.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philosophy of E. Levinas and M. Bakhtin. ``Exteriority`` is the main term of this examines. The age of ``cultural industry`` used by Adorno and Horkheimer is also the age of lost negativity. The term ``Exteriority`` of Levinas describes how subjectivity arises from the idea of infinity, and how infinity is produced in the relationship of the I and the Other. Exteriority is produced beyond ``totality`` which is one of key words of the western philosophy. That is why Levinas named his book as Totality and Infinity. Levinas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exteriority and language, of exteriority and image in this book. Eros, fecundity and creation are typical examples of self-transcendence. We can transcend beyond ``being`` through exteriority as Levinas thought. Literature is one of possibilities like that. M. Bakhtin first used the expression ``exteriority``(вненаходимость) in his philosophical essay "Author and hero". This term plays very important role in his aesthetic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be polyphonic novel if it would be not beyond totality and monologue system in the Bakhtin`s view. And dialogism means a kind of inter-exteriority or plural exteriority. It`s close to agonistic pluralism, not to neutral pluralism. Polyphonic novel is a possibility of modern literature in the age of cultural industry. Difference or totality? It is pseudo question, the important thing for us is to go beyond this dichotomy: deconstruction or dialectics. The real of this world appears with very dynamic and unfinished dialogue. Exteriority is a key of this dialogue.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경찰관의 보안유출범죄 실태분석 및 정책제언 - 경찰부패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이장욱 ( Lee Jang Wook ) 한국경찰학회 2021 한국경찰학회보 Vol.23 No.4

        이 연구는 경찰관에 의한 보안유출범죄를 경찰부패와 결부지어 유형화하고, 그 실태를 파악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근절대책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최근 4년간의 공무상 비밀 누설 및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사건의 제1심 판결문 중 피고인이 경찰공무원인 경우를 대상으로 보안유출범죄 실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의 주요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경찰관의 보안유출범죄의 약 80%가 외부 업자와의 유착 관계에서 비롯되었거나 뇌물수수 등 대가성을 띠고 있었고, 제1심에서 유죄선고를 받은 보안유출범죄는 모두 수사ㆍ생활안전 2개 분야에서만 발생했으며, 유출자의 절반 이상이 경찰서 소속 인력이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i) 보안유출이 집중되고 있는 수사 및 생활안전분야 경찰관 대상 특단의 보안대책 수립ㆍ시행, (ii) 보안유출에 대한 내부감찰 강화 및 보안유출혐의를 경찰부패 수사의 단서로 활용, (iii) 공무상 비밀누설 교사ㆍ방조자에 대한 형사처벌 조항 신설 등 경찰관의 보안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security leakage crimes by police officers based on their relationship with police corruption,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resent effective prevention measures based on the results. To achieve this goal, the court judgments of the security leakage cases over the past four years has been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has been found that cases of collusion or quid pro quo (such as bribery) with private companies account for approximately 80 percent of all security leaks by police officers. The security leaks, convicted in the first trial, occurred only in two areas: criminal investigation and public safety. More than half of the police officers who leaked security were working at the police st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policy alternatives were proposed: First, special security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for police officers working in criminal investigations and public safety departm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use the suspicion of security leaks as clues to investigations into police corruption. Finally, the Criminal Act needs to be amended to enable criminal punishment against citizens who participate in security leakage crimes.

      • KCI등재

        화이트칼라 범죄에 대한 형사규범학적 재정의

        이장욱(Lee Jang Wook) 한국공안행정학회 2017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6 No.3

        오늘날 화이트칼라 범죄는 나날이 지능화되고 다양해지는 등 그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고, 다양한 범죄 유형들 사이에 어떠한 공통분모적인 요소가 분명히 존재한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utherland에 의해 화이트칼라 범죄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이래 지금까지도 화이트칼라 범죄를 행위주체를 중심으로 정의할 것인지, 행위를 중심으로 정의할 것인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이러한 개념 논쟁이 지속됨에 따라 학계 일각에서는 화이트칼라 범죄에 대한 추상적인 정의 논쟁 대신 구체적인 유형분류를 시도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화이트칼라 범죄의 개념을 좀더 명확하게 재정의하고, 새로운 유형 분류를 위해 형사규범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특히, 행위 부분은 ‘법익(法益, Rechtsgut)’개념을, 주체 부분은 ‘화이트칼라 근로자(white-collar worker)’의 개념을 각각 활용한 결과, ‘공공부문 또는 민간부문 화이트칼라 근로자 개인이나 조직(사업자 포함)이 유·무형의 개인적 또는 조직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비폭력적인 기망·배신·권한 남용 등의 방법으로 행하는 개인적·국가적·사회적 법익 침해 행위’를 화이트칼라 범죄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를 기초로 하여 (i) 공공부문 화이트칼라 근로자에 의한 개인적, 국가적, 사회적 법익 침해, (ii) 민간부문 화이트칼라 근로자에 의한 개인적, 국가적, 사회적 법익 침해, (iii) 조직(사업자 포함)에 의한 개인적, 국가적, 사회적 법익 침해로 화이트칼라 범죄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Since a discussion about a white-collar crime was begun by Sutherland, the unproductive dispute has been lasted for a long time in the academic circles related to the definition of its concept. However, there have been different opinions even so far about whether the white-collar crime will be defined focusing on the offender or the offence. According to the continuation of this conceptual argument, cases that attempt the specific type classification are also being grown instead of the abstract definition controversy over a white-collar crime. The white-collar crime of the day is being added its seriousness such as getting intelligent and diversified day by day. There is likely no special doubt that some elements of being applied in common exist clearly between various types of white-collar crimes in this way. If so, there is a need to newly define a concept of a white-collar crime based on this through seeking common elements of white-collar crimes, and to establish a criminal type on the basis of this. Hence, this study re-defined a concept of a white-collar crime from the perspective of criminal normative science, and attempted new type classification. Especially, the application was made a concept of ‘Rechtsgut(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to a part of the offence, and a concept of ‘white-collar worker’ to of the offender. As a result, the white-collar crime was defined as infringement of individual· national·social ‘Rechtsgut’ that white-collar workers in the public or private sector or organizations conducts with a method such as abuse of power, deceit, breach of trust in order to pursue tangible·intangible personal or organizational benefit. Also, types of white-collar crime are classified into (i) infringement of individual Rechtsgut·national Rechtsgut·social Rechtsgut committed by a white-collar worker in the public sector, (ii) infringement of individual Rechtsgut·national Rechtsgut·social Rechtsgut committed by a white-collar worker in the private sector, (iii) infringement of individual Rechtsgut·national Rechtsgut·social Rechtsgut committed by an orga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