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순이 루갈다 옥중편지 현전 필사본의 자료적 가치와 해독의 문제

        이유진(Yi Yu-jin) 한국교회사연구소 2012 敎會史硏究 Vol.0 No.40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Kim Jong-ryun’s copies of the letters from prison written by Yi Sun-i, and to solve the interpretative problems which are found in annotations to Kim Jong-ryun’s copies as well as in translations of Kim Jong-ryun’s copies which have been published so far. The annotation by Kim Jung-gu(1965), the annotation by the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 Church History(1982), the translation by Yang Hee-chan and Byun Joo-seung(2002), and the translation with annotation by Lee Tae-yeong and Yoo jong-kuk(2011) have contributed to an intimate interpretation of Kim Jong-ryun’s copies. However, considerable parts of these copies still remain unperceivab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we should read and understand those parts. But, there is more urgent issue. It is well known that some contents of Kim Jong-ryun’s copies are not found in Mgr Daveluy’s French translation, and that some contents of Mgr Daveluy’s French translation are not found in Kim Jong-ryun’s copies. For this reason, some researchers suspected that there sh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Kim Jong-ryun’s copies and the copies which Mgr Daveluy used for French translation. If it were true, it would be dangerous to take Kim Jong-ryun’s copies for basis of research as most researchers have done so far.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go over the differences between Kim Jong-ryun’s copies and Mgr Daveluy’s French translation, and to define where the differences come from.

      • KCI등재
      • KCI등재

        판소리의 시조 수용에 관한 연구

        이유진 ( Yu Jin Yi ) 판소리학회 2010 판소리연구 Vol.29 No.-

        판소리에는 설화, 소설, 무가, 민요, 잡가, 시조, 가사, 한시 등 다양한 장르의 문학이 수용되었다. 이러한 특이점이 일찍 주목을 받아 이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설화나 소설의 수용은 판소리의 기원 또는 판소리 작품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에서 자세히 다루어졌고, 무가, 민요, 잡가 등 기층 가요의 수용은 판소리 삽입가요 관련 연구에서 자세히 다루어졌다. 그러나 시조, 가사, 한시 등의 수용에 관한 연구는 부진했다. 자료의 부분적인 검토와 간략한 논의가 몇 차례 있었지만, 본격적인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편중 현상이 나타난 것은 그 동안 학계의 관심이 판소리의 서민문학적인 측면 또는 민중문학적인 측면에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시조, 가사, 한시 등의 수용은 판소리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왜냐하면 지방민속예술의 하나였던 판소리가 도시대중예술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시조, 가사, 한시 등과 같은 상층 장르의 수용이 의미 있는 역할을 담당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시조, 가사, 한시 등의 수용에 관한 연구를 단계적으로 수행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는 그 첫 번째 단계에 해당되는 시조 수용에 관한 연구이다.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등 전승5가를 대상으로 판소리의 시조 수용 양상을 검토하고, 판소리의 시조 수용에서 나타나는 특징적 경향과 그 의미, 시조 수용의 배경과 전개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Pansori took shape and grew luxuriant receiving various literary genres such as tale, novel, shamanist song, folk song, jabga, sijo, gasa, Chinese poetry, etc. This characteristic has caught wide attention from academia of pansori and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regarding it: for instance, studies on the adaptation of tale narrative and novel narrative, studies on the insertion of shamanist song, folk song and jabga, and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shamanist song`s versific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no study focusing on the reception of sijo or gasa or Chinese poetry, namely literature of the upper class, which is the consequence of the strong tendency to regard pansori as literature of the ruled. For several decades most scholars of Korean literature have devoted themselves to dividing literature of the ruled from literature of the ruling and to discovering the value of literature of the ruled. However, we must remember pansori became a popular art in major cities in the 19th century through receiving literature of the upper class, although it had begun as a part of regional folklore. For those who try to understand present form of pansori which was completed in the 19th century, it is unavoidable to question why and how pansori received sijo, gasa, and Chinese poetry. This paper is the first attempt to approach this issue. It describes why and how sijo was taken and used in pansori, and discusses the meaning of pansori`s receiving sijo in connection with the cultural environment in the 19th century.

      • KCI등재
      • KCI등재

        다블뤼 주교의 저술에 나타난 1860년 무렵 판소리의 모습

        이유진 ( Yu Jin Yi ) 판소리학회 2011 판소리연구 Vol.32 No.-

        본 논문의 목적은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지지 않았던 판소리사 관련 자료를 소개하고, 이 자료를 통해 확인되는 몇 가지 의미 있는 사실들을 짚어 보는 데 있다. 소개할 자료는 프랑스인 선교사제로서 1845년 조선에 입국해 1866년 새남터에서 순교할 때까지 약 21년간 조선에서 활동했던 다블뤼(Daveluy, 1818-1866) 주교의 기록이다. 이 기록은 다블뤼 주교의 저술들 중 하나인 Notes pour l`introduction a l`histoire de Coree(조선사 입문 노트)에서 발견된다. 불어로 작성된 이 저술에 조선의 과거제도(科擧制度)에 대해 서술한 부분과 조선의 민간 연희(演戱)에 대해 서술한 부분이 있는데, 여기에 각각 판소리에 관한 기록이 포함되어 있다. Notes pour l`introduction a l`histoire de Coree가 집필된 시기는 1860년 전후로 추정된다. 저자가 15년이나 되는 오랜 기간 동안 조선에서 살며 많은 견문과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쌓은 뒤에 이 글을 썼으므로 그 내용이 상당히 자세하며 오류가 많지 않음을 짐작할 수 있다. 판소리에 관한 다블뤼 주교의 기록은, 판소리의 외적인 모습을 기술하는 데 그치지 않고, 판소리 창작 또는 재창작 과정, 그리고 판소리 연행 및 향유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 주는 데까지 나아가고 있다. 이 기록은 한편으로 우리가 지금까지 추정해 왔던 19세기 후반 판소리의 모습을 재확인시켜 주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의 추정과 배치되는 모습을 보여 주기도 하며,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판소리의 모습을 보여 주기도 한다. 그러므로 이 기록의 진지한 검토가 19세기 후반 판소리에 관한 논의들을 더욱 진전시키는 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 검토한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블뤼 주교의 기록은 19세기 후반에 판소리가 오락성 또는 광대놀음의 성격을 확고히 유지하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 둘째, 다블뤼 주교의 기록은 판소리광대들이 판소리 사설을 짓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들이 책에서 소재를 구해 판소리 사설을 짓기도 했음을 보여 준다. 셋째, 다블뤼 주교의 기록은 중간층 또는 상층 부녀자들이 판소리를 향유했으며, 그들이 판소리 공연을 감상할 때는 판소리광대들이 욕설이나 육담을 삭제했음을 보여 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 new material, which documents the picture of pansori in the 19th century, and to review several facts of pansori history which can be proved by this material. This material is found in Notes pour l`introduction a l`histoire de Coree written by Marie Nicolas Antoine Daveluy(1818-1866), a French missionary priest who entered Choson Dynasty in 1845 and worked for 21 years until he died a martyr in 1866. It is estimated that Notes pour l`introduction a l`histoire de Coree was written around 1860, when the author had experienced and studied the culture of Choson for about 15 years. Thus, it is believed that it gives quite accurate information and has few mistakes. Daveluy had a great interest in pansori and also a deep affection for it. Therefore, he did not only try to describe the appearance of pansori, but also tried to report the way how it was produced and how it was enjoyed. His writing verifies the picture of pansori which has been developed by many researchers on a weak foundation so far, but on the other hand, it also presents a new picture of pansori which does not coincide with the picture we have had in mind. It tells us that pansori held its entertainment value, while it tried to obtain artistic value in the late 19th century. More interestingly, it also tells us that pansori clowns as creative singing poets arranged pansori texts for themselves, and that they performed a specially edited version for the female audience.

      • KCI등재

        `바보 형` 이야기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이유진 ( Yi Yu-ji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문학치료연구 Vol.41 No.-

        `바보 형` 이야기는 바보 이야기에 속하는 한국 민담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바보 이야기로는 `바보 사위` 이야기, `바보 며느리` 이야기, `바보 원님`이야기 등을 꼽을 수 있겠는데, `바보 형` 이야기는 그런 이야기들만큼 널리알려져 있지 않고, 남한에서 수집되어 보고된 예도 많지 않기 때문에 자주논의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그러나 이 민담은 한국의 다른 바보 이야기에서 찾아볼 수 없는 엽기적인 화소들과 그 난해성으로 인해 연구자들의 주의를 끈 바 있다. 다른 유형의 바보 이야기들과 마찬가지로, `바보 형` 이야기도 바보의 우행(愚行)에 대한 이야기다. 바보 형과 똑똑한 동생이 함께 사는데, 형이 동생의 말을 잘못 알아들어서 자꾸만 실수를 저지르게 된다. 그런데 문제는 그 실수가 결코 가볍게 웃어 버릴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는 데 있다. 어이없게도 바보 형은 어머니를 죽이고, 장례를 망치고, 시신을 잃어버린다. 이 기괴한 바보 이야기를 도대체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일반적인 논리와 상식으로는 이해하기가 어려운 부분들이 있기 때문에, 선행 논의들에서는 `바보 형` 이야기를 신화의 잔상 또는 신화의 파편으로 간주하기도 했다. 그러나 `바보 형` 이야기에서 어떤 신화의 흔적을 찾으려고 하기보다는, 이 이야기를 하나의 온전한 민담으로 수용함으로써 그것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고 본다. `바보 형` 이야기는 웃음을 주는 바보 이야기에 익숙한 우리에게 너무나 낯선, 기괴한 이야기임에 틀림없지만, 결코 허술한 이야기는 아니다. 오히려 어떤 분명한 논리에 의해 빈틈없이 짜여 있는 이야기다. 그러므로 `바보 형` 이야기를 조직하고 있는 일관된 논리를 찾아내면, 이 이야기의 수수께끼도 자연스럽게 풀릴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분석심리학 이론을 적용해, `바보 형` 이야기를 자아와 그림자의 갈등, 그리고 그로 인한 아니마의 상실을 보여 주는 이야기로 해석했다. 이 이야기에 등장하는 똑똑한 동생은 자아를 표상한다고 볼 수 있고, 바보 형은 그림자를, 어머니는 아니마를 표상한다고 볼 수 있다. "The Stupid Brother" is a type of Korean folk tale that can be categorized as a fool story. Just as other Korean fool stories, such as "The Stupid Son-In-Law," "The Stupid Daughter-In-Law," and "The Stupid Lord," it is a story about follies. It runs as follows: Once upon a time, there were two brothers. The older one was stupid and the younger one was clever. The older brother misunderstood whatever the younger brother said and continuously made mistakes. However, the follies of "The Stupid Brother" are not laughable, as would be expected. Shockingly, the stupid brother kills his mother, ruins her funeral, and abandons her body. This unusual and unfunny fool story has gained attention because of its grotesqueness and abstruseness. In order to find a way to decode this story, some researchers tried to regard it as an afterimage of a myth or as a fragment of a myth. But we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this story better when we regard it as a complete folk tale, not as an afterimage or fragment of some myth. "The Stupid Brother" is indeed a strange story; nevertheless, it is very logical. There is logic in this folk tale that organizes all the episodes and all the acts flawlessly. Therefore, "The Stupid Brother" can be decoded when we discover the consistent logic of the whole story. Applying analytical psychology, we can understand that "The Stupid Brother" is a story about the conflict between ego and its shadow, and about the loss of Anima caused by the conflict.

      • KCI등재

        동아방송(DBS) 판소리드라마 <배비장전>(1976) 연구

        이유진(Yi, Yu Jin) 한국구비문학회 2018 口碑文學硏究 Vol.0 No.50

        동아방송(DBS)은 판소리드라마 <흥보전>, <수궁가>, <춘향전>, <심청전>, <적벽가>, <숙영낭자전>, <배비장전>, <옹고집전>, <장끼전>, <변강쇠전> 등을 제작하여 1976년 1월 1일부터 1977년 3월 1일까지 방송했다. 장장 1년 2개월에 걸쳐 무려 10편의 판소리드라마를 방송할 수 있었던 것은, 물론 그만큼 청취자들의 반응이 좋았기 때문이었다. 판소리드라마는 고전 판소리 작품을 현대적인 문화콘텐츠로 재창조하여 성공을 거둔 중요한 사례로서, 고전이 갖는 문화콘텐츠로서의 가치와 가능성에 대한 사회와 학계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이 시대에 더욱 눈여겨보아야 할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판소리드라마의 양식적 특성과 각색 방식이 검토되었지만 개별 작품에 대한 자세한 검토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를 통해 판소리드라마 <배비장전>의 독창적 면모를 심도 있게 고찰하고자 했다. 판소리드라마 <배비장전>은 박동진 창(唱) <배비장타령>을 기초로 제작되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무엇보다 판소리드라마 <배비장전>과 그 원작에 해당되는 박동진창 <배비장타령>의 비교에 집중했다. 판소리드라마 <배비장전>의 전체줄거리는 원작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원작에서 풍자의 대상이 되었던 배비장의 ‘위선’이 판소리드라마 <배비장전>에서는 풍자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호색(好色)하는 마음을 들킬까 봐 더욱 군자인 양하며 큰소리치는 배비장의 위선이 악의적인 행동으로 간주되기보다는, 성숙하지 못한 행동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요컨대 판소리드라마 <배비장전>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배비장의 호색 기질이나, 그러한 기질을 숨기고 군자인 양하는 위선이 아니라, 배비장의 미성숙이다. 그런 점에서 판소리드라마 <배비장전>은 겉만 어른이고 속은 어린아이인 배비장의 성장 드라마라고 하겠다. This paper examines the originality of the pansori-drama Baebijangjeon , which was produced and broadcast by DBS(Dong-A Broadcasting System) in 1976, by comparing it with the original pansori work “Baebijangtaryeong” restored and performed by Park Dong-jin, the master pansori singer of the 20th century. The pansori-drama Baebijangjeon has significant value as an object of study because it shows us how the classics can create new cultural contents that are not only enjoyable, but also meaningful to modern audiences. Most of all, this paper focuses on how the pansori-drama Baebijangjeon reinterprets the main figure of Baebijang, who has always been notorious for his hypocrisy ever since he first appeared in the history of Korean performing art and literature. In the original pansori work “Baebijangtaryeong”, secondary figures such as Bangja, Aerang, and the governor of Jeju Island snare Baebijang in a conspiracy to expose his hypocrisy. In the pansori-drama Baebijangjeon , on the other hand, Bangja, Aerang, and the governor of Jeju Island treat Baebijang with favor and help him learn a good lesson from his own mistake, and with such a change the bitter satire on the hypocrisy of an immoral man is replaced by careful consideration for the immaturity of an ordinary man. By changing the secondary figures’ perspectives on the main figure, the pansori-drama Baebijangjeon reveals a new perspective on human nature and human life: It regards Baebijang’s pretending to be a moral man not as evil behavior but rather as immature behavior. In this sense, we can say that the pansori-drama Baebijangjeon shows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human being.

      • KCI등재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배란전후 프로게스테론 보충요법의 유용성

        임소이 ( So Yi Rim ),이유진 ( Yu Jin Lee ),이진 ( Jin Lee ),이여일 ( Yu Il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4

        목적 : 본 연구는 체외 수정 시술시 난자 채취 전후에 시행하는 프로게스테론 근주가 자궁의 착상에 대한 수용성을 증진시켜 착상율과 임신율을 향상시키는지의 여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6년 8월부터 2001년 7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체외수정 클리닉에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시험관 아기 시술을 받은 환자에게 hCG를 투여한 날로부터 배아이식일까지 4-5일간 매일 100㎎의 고용량 프로게스테론을 근육주사한 환자 57명 (치료군)과 투여받지 Obj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high dose progesterone intramuscular injections before oocyte retrieval and thereafter increase the implantation and pregnancy rates through improvement of uterine receptivity in patients und

      • KCI등재후보

        통합보육 실천을 위한 장애인식 주관성연구

        김경미(Kim, Kyoung Mi),이유진(Lee, Yu jin),김꽃샘(Kim, Kkot saem),채송이(Chae, Song yi),장소희(Jang So hee)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20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통합보육 실천을 위한 장애인식유형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Q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장애인식에 대한 Q모집단을 구성한 후, Q표본인 33문항의 Q진술문을 추출하였고 31명을 P샘플로 선정하여 33개의 진술문을 Q분류를 통해 자료수집 후, QUANL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식은 3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1유형은 ‘사회적 접근 추구형’으로 장애통합을 위해 사회적 제도, 정책 등 사회적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제2유형은 ‘관계적 접근 추구형‘으로 장애통합을 위해서는 많은 교류와 관계 맺음을 통해 서로 알아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제3유형은 ‘통합적 접근 추구형’으로 복지정책, 복지서비스 등 사회적 제도 마련과 함께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과 소통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보육 실천을 위한 장애인식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통합보육의 실천 방향과 내용을 좀 더 구체화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후속연구로 통합보육을 위한 프로그램, 반편견을 위한 교육, 장애차별 금지를 위한 제도 등에 대한 인식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perception for integrated childcare practice by using the Q methodology. After forming the Q population for 1. awareness of disability, the Q statements of 33, Q sample, were extracted. After 33 statements were collected through Q classification by selecting 31 as P sample, major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QUANL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perception of disability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type was the “social approach pursuit type”, who believed that social systems such as social institutions and policies should be prepared for disability integration. The second type was the “relational approach pursuit type”, who believed that important to get to know each other through a lot of exchanges and relationships to disability integration. The third type was the “integrative approach pursuit type,” who believed that social systems such as welfare policies and welfare services should be prepared, along with improvement of awareness and communication of the disabled. Through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was confirmed for the practice of inclusive childcare, and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the practice of inclusive childcare were more detailed. It is expected that follow up researches about awareness of various programs for integrated child care, variety of education for anti-biases and various systems for the prohibition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are to be done.

      • 정신보건법 관련 격리 강박 지침의 개정안 개발

        김건우(Kunwoo Kim),홍진표(Jin Pyo Hong),이기경(Ki Kyoung Yi),나리지(Ri Ji Na),용효중(Hyo Joong Yong),이유진(Yu Jin Lee),황태연(Tae-Yeon Hwang),이종국(Jong-Gook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2 사회정신의학 Vol.17 No.1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정신질환자의 인권 보호를 위한 격리 강박 지침 개정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둘째, 현 격리 강박 지침의 문제 점을 고찰하고 선진국의 국제적인 기준을 소개하는 것이다. 방 법 : 우리나라의 격리 강박 지침과 관련 법령을 미국, 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 선진국의 지침 및 법령과 비교 고찰하였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간호사, 사회복지사, 국가인권위원회, 의료관리학 교수 등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자문회의를 실시하였다. 결 과 : 기존 격리 강박 지침의 적응증과 지시 규정은 정신보건법과 모순되어 지침의 수정이 필요하겠다. 선진국의 지침과 비교하여 기존 지침의 내용은 세부적이지 못하여, 의사와 간호사의 의무가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 않다. 의사의 지시 형태, 의사의 의무적인 진찰, 의무 기록, 허용된 격리 강박 시간 등에 대한 명확한 내용이 필요하겠다. 결 론 : 개정 지침이 정신보건 상황에서 실제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정신질환자의 인권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Objectives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evised guidelines for seclusion and restraint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mentally ill patients. The second purpose was to critically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guidelines and to introduce international standards of developed countries. Methods : We reviewed current guideline and administrative status in Korea and examined guidelines and regulations for seclusion and restraint in developed countries: U.S.A., United Kingdom, Australia, and New Zealand. In addition, survey of related specialists, advisory conference: advice of related and administrative experts, public hearing were done. Results : Current recipient indications and order regulations concerning seclusion and restraint guidelines contradict those of the Mental Health Act, thus, modification is needed. Compared to other countries, current seclusion and restraint guidelines are less specific. The responsibilities of physicians and nurses have not been clearly divided, and details concerning the form of the physician’s order, physician’s obligatory examination, medical recording and allowed time of seclusion and restraint are in need of clarification. The new seclusion and restraint guidelines have been revised and reviewed by experts in mental health field. Conclusion : Revised guidelines could be used practically in real life mental health situations and strengthen of human rights of current psychiatric in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