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용작품 「나만의 향」에 관한 연구 :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소설 『향수』를 바탕으로

        이유빈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71

        본 논문은 2018년 12월 6일 이화여자대학교 홀 1에서 발표한 본 연구자의 무용작품「나만의 향」을 안무하는 전반적인 과정과 결과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한 논문이다. 이에 따라 논문의 서론을 통해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방법 및 제한점을 먼저 밝히고 본론을 통해 작품의 핵심 개념 서술과 작품「나만의 향」의 구체적인 연구와 분석이 이루어진다.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소설『향수』를 바탕으로 창작된「나만의 향」의 연구는 안무자 소개와 안무 의도, 작품 분석으로 나뉘며, 그중에서도 특히 작품「나만의 향」의 분석은 작품을 구성하는 예술적 요소 분석과 움직임의 심층분석으로 구분하여 주제의식이 형상화되는 과정을 더욱 집중적으로 기술하고자 하였다. 무용작품의 안무 의도는 다음과 같다. 타인의 시선을 중요시하는 현대사회에서 나의 자아정체성을 상실하는 문제는 반복되어 일어나며 이는 또 다른 사회적 문제들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안무자는 주체적인 자아정체성이 확립되지 못한 데서 비롯되는 현대인의 괴로움과 무기력함이 소설 속 주인공 그루누이가 자신의 본질적인 결핍을 마주했을 때 오는 충격, 혼란과 비슷하다고 생각했고 단순히 소설의 줄거리와 흐름, 소설 속 주인공의 감정을 전달하는 것이 작품의 목적이 아니라, 진정한 자아의 발견과 성숙은 어디에서부터 오는 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에 스스로 답하기 위해 끊임없이 사유하고 연구하여 안무자의 소설에 대한 재해석과 그 과정에서 느꼈던 여러 가지 감정을 예술작품으로 형상화했다. 1장 <동굴>에서는 소설 속에서 주인공을 위한 절대 왕국이면서도 사회로부터의 도피처로 쓰이는‘동굴’이라는 소재의 이중적 이미지를 차용하여 사회가 요구하는 틀에 갇혀 나의 자아를 들여다보지 못한 채 살아가는 현대인의 모습을 오브제를 활용한 동작으로 담아내었다. 2장인 <결핍>에서는 자신이 무취 상태의 인간이라는 충격과 괴로움이 천사의 향기를 향한 집착으로 이어지며 24번의 살인을 저지르는 주인공의 광적인 모습과 연결하여 본질적 자아를 마주한 내가 나의 결핍을 인지하게 되어 겪게 되는 내적 갈등을 표현했다. 마지막 장인 3장에서는 주인공이 천사의 향기를 입은 채 세상의 모든 사랑이 대상이 되는 순간 다시 마주한 본질적 결핍에서 나오는 괴로움과 덧없음, 그리고 끝내 자살을 선택하고 마는 극단적인 결말에서 벗어나 나의 본질적인 결핍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극복하여 성숙 된 자아로 다시 태어났음을 표현한다. 특히 3장에서는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무용수의 감정이 최대치로 발현된 장으로 1장과 2장을 통해 쌓아왔던 감정을 춤으로 해소시키기 위한 움직임의 절정에 이르는 순간이다. 결과적으로 안무자는 작품「나만의 향」을 통해 현대사회를 살아가면서 타인의 시선에 맞추어 살아가기보다는 나의 본질적 결핍을 인정하고 내 진정한 자아가 원하는 바를 먼저 추구할 수 있는 용기를 얻게 되었고 현대인들이 사회적 틀에서 벗어나 주체적으로 자아정체성을 확립하여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음을 말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안무자의 작품을 스스로 분석하여 자기성찰의 기회로 삼아 안무자의 예술적 가치관을 확립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research focuses on the process and the results of 「My Own Scent」 which was conducted in Hall 1 of Ewha Womans University in December 6th, 2018. Introduction of the novel expresse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research, research method and limitations, and the body part of the research leads to the explanation of choreography’s main notion as well as the analysis of 「My Own Scent」. The research, based on Patrick Süskind’s Novel, 『Perfume』, is consisted of introduction of the choreographer, intention of the choreography, and the analysis. Especially, the analysis of 『My Own Scent』 is specified into the analysis of aesthetic factors and movements and how these factors affect towards the visualization of the main theme. The intention of the choreography is stated as follows: Under the modern society that emphasizes the attention of others, loss of self-identity is frequent leading to another societal problems. Choreographer acknowledged modern people’s suffering and lethargy due to the loss of autonomous self-identity was analogous to the protagonist of the novel, 『Perfume』. The choreography focuses more deeply into the fundamental contemplation and realization of the identity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oneself rather than simply visualizing the flow and summary of the novel. Therefore, the choreography is the visualization of the philosophical contemplation of the choreographer and the feelings felt during the process. The first act <cave> reflects the modern people’s indifference towards self-identity being captive by the restrictions from social community through the movements with the objects. The first act borrows the double imagery from the ‘cave’, which is an absolute empire and refuge from the social community for the protagonist and initiates the self-evaluation of oneself. The second act <deficiency> is connected to the protagonist’s twenty-four murders due to the realization of colorlessness and obsession towards angel’s scent. With the connection of the madness of the protagonist, the act further expresses the inner conflict derived from the confrontation of inner self-realization and self-deficiency. The third act, unlike the protagonist’s suicide due to the realization of the agony and vain even after wearing angel’s scent and acquiring everyone’s love, the act expresses the acknowledgment of inner deficiency and self-reborn as a mature ego. Especially in the third act, the choreographer’s emotion of catharsis is fully revealed with the climactic movements in order to resolve and release the accumulated emotions from the first and second act. Consequently, through 「My Own Scent」, the choreographer delivers the message and courage towards the modern people to admit one’s fundamental deficiency and pursue what ego wants rather than paying attention to others. Escaping from the restrictions of modern society and achieving autonomous self-confidence will lead oneself to a better life. Lastly, the research holds significance in choreographer’s establishment of artistic values through analysis of the choreography and introspection.

      • 자기비난,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은폐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Focusing on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이유빈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자기비난과 대인관계문제 사이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은폐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후, 자기비난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관계에 대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와, 자기비난이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은폐를 거쳐 대인관계문제에 이르는 전체 경로에 대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함께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의 성인 390(남 117명, 여 27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기비난 척도(DEQ), 자기자비 척도(K-SCS),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 자기은폐 척도(SCS), 대인관계문제 척도(IIP-SC)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1.0과 PROCESS macro v.3.5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변인 간 상관분석에서 자기비난은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은폐, 대인관계문제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내면화된 수치심은 자기은폐, 대인관계문제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자기은폐 또한 대인관계문제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한편 자기자비는 모든 변인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자기비난과 대인관계문제 사이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은폐의 각각의 매개효과와, 자기비난이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은폐를 차례로 거쳐 대인관계문제에 이르는 경로에 대한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자기비난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자기비난이 대인관계문제로 가는 전체 경로에 대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기비난이 대인관계문제에 이르는 심리적 기제를 밝힘으로써, 자기비난적 인지 특성을 지닌 내담자들이 대인관계문제를 경험할 때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은폐라는 개인 내적 변인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자기자비의 증가는 수치심을 감소시킴으로써 부적응적 개인 내적 특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통해, 만성적인 수치심으로 인한 대인관계문제 혹은 다른 심리적 문제를 경험하는 내담자들에게 자기자비 태도 함양을 통한 효과적 치료개입 방향을 제공하였다는 데 함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self-criticism,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ncealment on interpersonal problems, and also tried to ident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criticism on the entire path through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ncealment to interpersonal problems. As a result, First, self-criticism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ternalized shame, self-conceal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Also, internalized shame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conceal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addition, self-concealment had also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terpersonal problems. On the other hand, self-compassion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all variables. Second, we confirmed the mediated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ncealment between self-criticism and interpersonal problems, and the double-mediated effect of self-criticism on the path to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ncealment. Third, the moderated effect of self-compassio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riticism and internalized shame, and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entire path of self-criticism to interpersonal issues was confi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by which self-criticism leads to interpersonal problems, suggesting that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ncealment can be considered when self-criticizing clients experience interpersonal problems. It also has implications for providing effective treatment intervention directions through cultivating self-compassion attitudes to those who experience interpersonal or other psychological problems caused by chronic shame through the moderated effect of self-compassion.

      • 국악관현악단 활동이 중학생의 협동심과 음악적 자기효능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

        이유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국악관현악단 활동이 중학생의 협동심과 음악적 자기효능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의도적 표집 방법에 따라 현재 국악관현악단 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는 김포, 구로 그리고 평택시에 위치한 3개의 중학교를 선정한 후 국악관현악단 활동을 처음 접해본 학생 5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사전과 사후변화를 살펴보는 양적 연구와 구체적인 원인과 인식을 학생의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하여 포커스 심층 면담을 함께 진행하는 혼합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관현악단 활동에 참여한 학생의 협동심 영역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 국악관현악단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은 세 가지 하위요소에서 모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중 평균치가 가장 크게 변화한 것은 '팔로워십'이다. 청소년 시기에 동료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을 때 성취감과 만족감을 느끼는 것이 큰 영향을 준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행동을 통해서 학생들은 국악관현악단 내에서 자신이 가치 있는 존재가 되고자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둘째, 국악관현악단 활동에 참여한 학생의 음악적 자기효능감은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 국악관현악단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은 세 가지 하위요소에서 모두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중 평균치가 가장 크게 변화한 것은 '과제수준선호'이다. 이는 학생들이 국악관현악단 활동 및 연주에 대한 흥미, 성취했을 때의 자신감과 자존감이 증가할수록 이전보다 높은 수준의 곡을 선택하여 연주하려고 하며 연주를 성공적으로 해냈을 때의 성공 경험이 바탕이 되어 이전보다 더욱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국악관현악 교육과 인성교육 연구의 연계성 증진과 학교현장에서의 실질적이고 다각적인 관찰을 통해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수업 내용을 제작하고 지도안을 작성하여 다채로운 수업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바탕으로 미래의 국악관현악단 활동을 경험할 중학생들이 국악관현악단 활동을 통하여 협동심과 음악적 자기효능감이 증진되어 국악 교육에 더욱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여 국악 교육을 개발해 나가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activitie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orchestra affect middle school students’cooperative behaviors and self-satisfaction. To this end, the researcher selects three middle schools of active participation in traditional Korean orchestra activities in Gimpo, Guro, and Pyeongtaek and conducts a research on 54 students of first-time encounter to such activities, with frequency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based on the research problem. The conclusion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operation area overall improved among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There was improvement in all three sub-factors, among which “followership” saw the biggest change on average. The result indicates that helping other students, and thereby becoming a valuable member of the orchestra, played a huge role for the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atisfaction for the teenagers. Second, the self-satisfaction area overall improved among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For them, there was huge improvement in all four sub-factors, among which ‘Task Difficulty Preference’ were of the biggest improvements on average. The result shows that students choose and play music of higher difficulty as their interest and confidence grow and that they try to grow based on their experiences of successful performance. Therefore,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various classes be offered with class contents that are helpful for students through improved connectivity between researches on character education and traditional Korean music orchestra education, which is comparably less available than Western orchestra activities, as well as through practical and multifaceted field observations. Based on the study, the researcher hopes that future middle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 traditional Korean music orchestra activities produce even more positive results for the Korean music education, with improved cooperative behaviors and musical self-satisfaction, and thereby contribute to its development.

      • 여자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습관여행동, 교사-학생 관계와 원격수업 시 행동조절능력의 관계 :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이유빈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코로나-19로 인해 학교 교육 현장에서는 원격수업이 또 하나의 수업 형태로 자리 잡게 되었고, 그러한 변화 속에서 학생, 학부모, 교사는 많은 혼란을 겪어야 했다. 그와 함께 제기된 학생의 적응과 학습 격차에 대한 우려는 학생들이 원격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적극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으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여자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습관여행동, 교사-학생 관계가 원격수업 시 학생들의 행동조절능력과 맺는 관계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동작구의 여자중학교 학생 20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8과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학습관여행동, 교사-학생 관계, 학업적 자기효능감, 행동조절능력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학습관여행동은 원격수업 시 학생들이 보여주는 행동조절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 과정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자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사-학생 관계는 원격수업 시 학생들이 보여주는 행동조절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그 과정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원격수업 시 학생들의 행동조절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의 학습관여행동과 교사-학생 관계가 중요함을 확인하였으며, 교사-학생 관계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행동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결과에 대해 원격수업 상황 속 교사-학생 관계 형성에서의 질적 한계를 추측해볼 수 있었다. 또한 부모의 학습관여행동이 원격수업 시 행동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가 교사-학생보다 큰 것을 확인하며 자녀의 행동조절능력 향상에 대한 부모의 영향력을 확인하기도 했다. 그리고 이와 함께 부모의 학습관여행동과 교사-학생 관계를 활용하여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원격수업 시 행동조절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상담교육적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Due to COVID-19, remote classes have become another form of class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have had to suffer a lot of confusion amid such changes. Concerns about student's adaptation and learning gaps raised in the confusion led to the need for research to enable students to actively and efficiently participate and learn in remote classe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behavior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perceived by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students' behavioral regulation ability during remote classes through academic self-efficacy.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09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Dongjak-gu, Seoul,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8 and SPSS process macro Model 4.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behavior,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behavioral regulation ability Second,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behavior perceived by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behavioral regulation ability during remote classes, and academic self-efficacy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Third,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perceived by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ehavioral regulation ability of students during remote classes, but academic self-efficacy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nseling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related to the cultiv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behavioral regulation ability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remote classes were discussed.

      • 감염병 의료시설 접근성 및 확진자 발생 지역요인 분석 : 코로나19를 대상으로

        이유빈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2020년 1월 20일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확진자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감염병 발생 시, 감염병 환자의 치료와 확산 방지 대응이 중요하게 고려될 수 있다. 감염병 환자의 치료는 확산 방지를 위해 음압 격리실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음압 및 일반 격리실은 공간적인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요 인구의 접근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감염병은 접촉을 통해 전파되므로 공간적인 측면에서의 대응이 필요하다. 하지만 공간적인 관점에서의 감염병 연구는 부족한 편이며, 중앙정부의 현행 감염병 관리 방안에서도 공간적인 요소를 세밀하게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료의 측면과 예방 및 대비의 측면에서 감염병에 대한 공간적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치료가 필요한 감염병 환자의 의료 접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SFCA 방법론을 활용하여 인구 밀도, 65세 이상 인구 밀도, 코로나19 확진자 밀도를 기준으로 음압 및 일반격리병상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GWR 방법론을 활용하여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건축물 용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같은 지역이라도 인구 특성에 따라 접근성 값이 모두 다르게 나타났다. 대체로 서울 지역에서는 높은 접근성 값이 나타났고, 수도권 외곽으로 갈수록 접근성 값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감염병에 취약한 인구 특성을 선정하여 접근성 분석을 통해 의료 지원이 취약한 지역을 파악하고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또한, GWR 분석을 통하여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건축물 용도 종류가 읍면동별로 상이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패턴을 추정하는 데에, 해당하는 행정동만 고려하는 것보다 주변 행정동의 영향까지 고려하는 것이 더 높은 설명력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기존 감염병과 관련된 연구 및 정책에서 많이 다루지 않은 공간적인 요소를 반영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두 가지 분석을 통하여 감염병 관리에 공간적인 관점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공간적 관점은 코로나19를 포함한 추후 다른 감염병과 관련된 정책 및 예방 대책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스케이프와 고객행동의도의 관계에서 서비스가치의 매개효과 : MZ세대와 X세대 간 비교를 중심으로

        이유빈 서경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has further extended the lifespan of mankind, and the interest in external beauty is growing day to day along with the desire for a healthy and beautiful life. Accordingly, there is a lot of interest and demand for the medical skin care. Hence, in order for the medical skin care to exist by attracting customers in the midst of fierce competition, it is now the time to improve the consumer centric service quality, increase customer affinity, and develop the service marketing strategy for revisit. Furthermore, given the difference in the inter generational interests, an understanding of generations and the strategic marketing method are needed accordingly. This study seek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between Generation MZ and Generation X by examining as to whether the service value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cal skin care servicescape and the customer behavioral intention. As for the survey method, a total of 530 copies were conducted online for 50 days from November 14, 2021 through January 2, 2022 with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50s across 17 cities and provinces across the nation. However, a total of 511 copi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for the study, excluding 19 copies of insincere responses. As for the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method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ronbach's α coefficien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ss-tabulation, Person's correlation analysis, Baron and Kenny's three-step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using the systematic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obel test were conduct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based on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of 0.05, and the deriv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cross-analysis to confirm the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by gener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reasons for skin care, considerations when choosing a hospital, and the motivation for purchasing hospital products. Secon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ffect of servicescape on the service value for all respondents, all sub-factors had a statically significant effect. Hence, it turned out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unctionality, aesthetics, and stability, the higher the service value was evaluate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ffect of servicescape on the customer behavioral intention for all respondents, aesthetic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ustomer behavioral intention. That i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unctionality, and stability, the higher the customer behavioral intention.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ervicescape and service value on the customer behavioral intention for all respondents, it turned out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stability and service value, the higher the customer behavioral intention, whil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unctionality, and the aesthetics did not cause any significant effec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ervicescape on the service value of the respondents of Generation MZ, it turned out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unctionality, aesthetics, and stability, the higher the service value was evaluat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ervicescape on the customer behavioral intention for the respondents of Generation MZ, it turned out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stability, the higher the customer behavioral intention, while the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paid attention to customer behavioral intention did not have any effect.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ervicescape and service value on the customer behavioral intention for the respondents of Generation MZ, functionality, aesthetics, and stabi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when they were input together with the parameter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ervicescape on the service value for the respondents of Generation X, surrounding environment and functionality. It turned out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aesthetics and stability, the higher the service value was evaluat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ervicescape on the customer behavioral intention of the respondents of Generation X,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esthetic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ustomer behavioral intention. Hence, it turned out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functionality and stability, the higher the customer behavioral intention. Finally,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ffect of servicescape and service value on the customer behavioral intention for the respondents of Generation X, it turned out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service value, the higher the customer behavioral intention. In conclus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ervice valu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scape of the medical skin care and the customer behavior, it turned out that the stability for all respondent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or Generation MZ, and the service value for Generation X had a significant effect. Given which, for the marketing that can cover all generations, it would be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stability of machines and equipment, and for the Generation MZ, it would be necessary to carefully manag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by creating a photo spot where one could take photos. Furthermore, for Generation X, if the satisfaction that could be secured through consultation is explained, it will become a successful service industry that satisfies the entire generation for the medical skin care. Hence, for the effective marketing of the medical skin care, it would be meaningful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eration and enhance the brand image strategy to ensure that it may be recognized by the customers as a differentiated image from other hospitals based on the management of sub-factors of servicescape. 현대 과학기술의 발전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있으며, 건강하고 아름다운 삶을 갈망하는 욕구와 함께 외적 미모에 대한 관심이 나날로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메디컬 스킨케어에 많은 관심과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메디컬 스킨케어가 치열한 경쟁 속에서 고객을 이끌어내며 존재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중심의 서비스품질의 향상과 함께 고객애호도를 높이고, 재방문을 위한 서비스마케팅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세대 간 관심의 차이가 있으므로 세대에 대한 이해와 이에 따른 전략적인 마케팅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스케이프와 고객행동의도의 관계에서 있어서 서비스가치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며 MZ세대와 X세대 간의 특성을 비교하는 것을 연구하고자 한다. 조사방법으로는 전국 17개 시∙도 지역의 20~50대 남녀를 대상으로 2021년 11월 14일부터 2022년 1월 2일까지 50일간 총 530부를 온라인으로 자기기입식 설문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불성실한 응답 19부를 제외하여 총 511부를 연구의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은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25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Cronbach's α 계수 탐색적 요인분석, 교차분석, Person's 상관분석, Baron과 Kenny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한 매개효과 3단계 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으며, 통계분석의 유의성은 유의확률 0.05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대에 따른 일반적 특성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피부 관리 이유, 병원 선택 시 고려사항, 병원제품 구매동기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전체 응답자에 대해 서비스스케이프가 서비스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하위요인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주변환경, 기능성, 심미성, 안정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서비스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에 대해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심미성은 고객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주변환경, 기능성, 안정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고객행동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체 응답자에 대해 서비스스케이프와 서비스가치가 고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안정성과 서비스가치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고객행동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변환경, 기능성, 심미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MZ세대 응답자에 대해 서비스스케이프가 서비스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주변환경, 기능성, 심미성, 안정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서비스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Z세대 응답자에 대해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주변환경, 안정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고객행동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기능성과 심미성은 고객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MZ세대 응답자에 대해 서비스스케이프와 서비스가치가 고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기능성, 심미성, 안정성은 매개변수와 함께 투입되었을 때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X세대 응답자에 대한 서비스스케이프가 서비스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주변환경, 기능성. 심미성, 안정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서비스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X세대 응답자에 대해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주변환경과 심미성은 고객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기능성과 안정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고객행동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X세대 응답자에 대해 서비스스케이프와 서비스가치가 고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한 결과, 서비스가치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고객행동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메디컬스킨케어의 서비스스케이프와 고객행동의 관계에서 서비스가치의 영향을 알아본 결과 전체 응답자에 대해서는 안정성, MZ세대에 대해서는 주변환경, X세대에 대해서는 서비스가치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보아 전체 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마케팅을 위해서는 기계나 장비의 안정성에 유의하는 방안이 필요하며 MZ세대를 위해서는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포토스팟을 만들어 놓는 등 주변환경에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X세대를 위해서는 상담을 통해 관리를 받음으로 얻을 수 있는 만족감에 대해 설명을 하게 된다면 메디컬 스킨케어에서 전체세대를 만족시키는 성공적인 서비스산업이 될 것이다. 따라서 메디컬 스킨케어의 효과적인 마케팅을 위해서는 세대 별 특징을 이해하며 서비스스케이프의 하위요인들의 관리를 통해 타 병원과는 차별화된 이미지로 고객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브랜드 이미지 전략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밝힌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 패션정보 제공 주체와 컨텐츠 특성이 정보수용에 미치는 영향: 유튜브 채널을 중심으로

        이유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55

        As we enter the era of smart media, people can now watch and use desired video content through smartphones without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Kim, 2017). The advancement of the video media industry has accelerated the growth of the video platform market, leading to the emergence of various video platforms. In this rapidly growing video platform market, YouTube stands out as the platform with the highest number of users and viewing hours, and its influence is expected to steadily increase. YouTube users not only enjoy content but also use YouTube to search for information they want.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mobile video services and the preference for obtaining vivid information through videos rather than text, consumers primarily use YouTube as a tool for exploring fash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changing consumer behavior, individual fashion YouTube channels have proliferated, and fashion companies have also opened YouTube channels to not only provide fashion information to consumers but also use them as tools for communication. Consumers express satisfaction with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se YouTube channels, emphasizing the need for strategic marketing research to enhance product purchases and information dissemination. Existing research on fashion information has primaril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information on social media platforms other than YouTube. Moreover, previous studies on YouTube information and content have mainly examined industries other than fashion and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provided by YouTubers. Most research on companies and brands has been limited to case studies and analytical studies of YouTube marketing strategies. Despite the significant role played by fashion YouTubers and fashion companies' YouTube channels in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and providing and exploring fashion information, there is an insufficient amount of related research, necessitating further investigation. In this context, the current study classifies YouTube information providers into two categories: fashion companies and fashion YouTubers. This study categorizes YouTube information providers into two entities: fashion companies and fashion YouTubers. It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YouTube fashion information that are professional, useful, capture consumers' attention, and allow for the pursuit of individuality. These characteristics are categorized as informativity, novelty, usefulness, authenticity, and enjoyment. The study seek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YouTube fashion information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needs satisfaction, information satisfaction, and the acceptance of information.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targeting female consumers aged 20 to 39, analyzing 212 out of 215 collected responses after excluding demographic and personal YouTube usage-related questions. The data were measured on a 5-point Likert scale, and factor analysis and hypothesis testing were performed using SPSS 27.0 and SPSS Process Macro 4.1.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showed that, for fashion companies, usefulness and enjoyment positively influenced information acceptance, while for fashion YouTubers, usefulness, authenticity, and enjoyment had positive effects on information acceptance. Notably, usefulness was the most influential for fashion companies, while both usefulness and enjoyment played significant roles for fashion YouTubers. The results of tes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consumer needs satisfaction show that, for fashion companies, enjoyment demonstrated mediating effects on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needs. Informativity showed mediating effects on autonomy, relatedness, and authenticity showed mediating effects on competence and relatedness, novelty and usefulness demonstrated mediating effects on competence. However, for fashion YouTubers, none of the characteristics, including informativity, novelty, usefulness, authenticity, and enjoyment, exhibited mediating effects on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needs. The results of testing the mediating effects on information satisfaction indicate that, for both fashion companies and fashion YouTubers, informativity, novelty, usefulness, authenticity, and enjoyment all exerted significant influences. The results of testing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consumer needs satisfaction and information satisfaction indicate that, for fashion companies, informativity, novelty, usefulness, and enjoyment among fulfilled consumer needs demonstrated dual mediating effects on autonomy and relatedness needs, contributing to information satisfaction. Additionally, authenticity showed dual mediating effects on 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and information satisfaction. For fashion YouTubers, the results showed dual mediating effects of informativity, novelty, and authenticity on 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and information satisfaction. Usefulness demonstrated dual mediating effects on competence and relatedness, contributing to information satisfaction. However, enjoyment did not show dual mediating effects on consumer need fulfillment and information satisfaction. This study has substantiated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consumer needs satisfaction and information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ube fashion information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acceptance,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provider. Furthermore, the study has identified that needs fulfilled may vary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r and fashion information characteristics. By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YouTube's fashion information as a crucial tool for fashion exploration and validating relationships,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scholarly insights. Additionally, it seeks to offer meaningful marketing strategies to fashion companies and YouTubers, fostering consumer satisfaction and leading to the acceptance of fashion information through the fulfillment of consumer needs,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r. 스마트미디어시대에 접어들면서 사람들은 스마트폰을 통해 시간과 공간 제약 없이 원하는 영상 콘텐츠를 시청 및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Kim, 2017). 영상 미디어 산업의 발전을 통해 동영상 플랫폼 시장의 성장이 가속화되었고 다양한 동영상 플랫폼이 등장하였다.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동영상 플랫폼 시장에서 가장 이용자 수와 이용 시간이 많은 동영상 플랫폼은 유튜브이며 유튜브의 영향력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튜브 이용자들은 단순히 콘텐츠를 즐기는 것뿐만 아니라 알고 싶은 정보를 검색하는 용도로 유튜브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수요와 영상 콘텐츠 소비가 늘어나고 텍스트 보다 영상을 통해 생생한 정보를 얻으려고 하는 소비자 이용행태와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유튜브의 장점으로 인해 소비자들은 패션 정보 탐색 도구로써 유튜브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변화된 소비자의 행동에 발 맞추어 개인 패션 유튜브 채널이 증가하였으며, 패션 기업들도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여 콘텐츠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에게 패션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소통을 위한 도구로도 사용하고 있다. 이에 소비자들은 이러한 유튜브 채널을 통해 제공받은 정보에 대해 만족을 느끼고 정보 관련 제품 구매나 정보 전달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인 마케팅 연구가 필요하다. 패션 정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유튜브를 제외한 타 소셜미디어의 패션 정보 특성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유튜브 정보 및 콘텐츠 관련 선행연구들은 패션을 제외한 산업 분야와 유튜버가 제공한 정보의 관점에서만 실증적 연구가 진행되었고 기업 및 브랜드는 유튜브 마케팅 전략 사례 및 분석 연구가 대부분인 상황이다. 패션 유튜버와 패션 기업의 유튜브 채널이 소비자와 의사소통과 패션 정보 제공 및 탐색의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유튜브 정보 제공 주체를 패션 기업과 패션 유튜버 2가지로 분류하고 전문적이고 유용하며 소비자의 눈길을 사로잡고 개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유튜브 패션 정보 특성을 정보성, 참신성, 유용성, 진정성, 유희성으로 나누어 소비자 욕구충족성과 정보만족, 그리고 정보수용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39세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총 215부의 설문지 중 212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문항과 개인의 유튜브 이용실태 문항을 제외하고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되었다. SPSS 27.0과 SPSS Process Macro 4.1을 사용하여 요인분석과 가설검증을 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패션 기업의 경우 유용성, 유희성이 정보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패션 유튜버의 경우 유용성, 진정성, 유희성이 정보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패션 기업 채널은 유용성이 패션 유튜버 채널은 유희성과 유용성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욕구충족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패션 기업의 경우 유희성은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욕구의 매개효과를 입증하였으며 정보성은 자율성, 관계성, 진정성은 유능성, 관계성, 참신성과 유용성은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입증하였지만 패션 유튜버의 경우 정보성, 참신성, 유능성, 진정성, 유희성 모두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정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패션 기업과 패션 유튜버의 경우 모두 정보성, 참신성, 유용성, 진정성, 유희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소비자 욕구충족성과 정보만족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패션 기업의 경우 정보성, 참신성, 유용성, 유희성은 충족된 소비자 욕구 중 자율성, 관계성과 정보만족의 이중매개효과가 입증되었으며 진정성은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과 정보만족의 이중매개 효과를 입증하였다. 패션 유튜버의 경우에는 정보성, 참신성, 진정성은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과 정보만족의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유용성은 유능성, 관계성과 정보만족의 이중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유희성은 소비자 욕구 충족성과 정보만족의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정보제공주체에 따라 유튜브 패션 정보 특성과 정보수용과의 관계에서 소비자 욕구충족성과 정보만족의 이중매개효과를 입증하였다. 또한, 정보제공주체와 패션 정보특성에 따라 충족되는 욕구가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패션 정보 탐색도구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튜브의 패션 정보 특성을 알아봄과 함께 관계 검증을 통해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정보제공 주체에 따라 제공받은 패션 정보를 통해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욕구가 충족되며 만족도를 강화함으로써 패션 정보 수용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패션 기업과 패션 유튜버에게 유의미한 마케팅 전략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대학 총학생회 자치활동의 설명책임성을 위한 기록관리 방안 연구 : 명지대학교 총학생회를 중심으로

        이유빈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A university is an organization charged with publicity and has accountability to the community for the operating process. Students account for a majority of members in a university. In universities, numerous creatures are pouring out every year and university students are major producers of these records. However, roles and functions of university students producing enormous amount of records as main agents of universities and focused concentration on produced records have not been made yet. It is reality that from the archival point of view, the importance of produced records of which main agents are university students has been relatively underestimated.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ed approach in archival point of view on records produced by university students, main agents. There are various types of records that university students produce such as records produced in the process of research and teaching as well as records produced in the process of various autonomy activities like clubs, students' associations. This study especially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 autonomyactivity process and placed emphasis on accountability securing measures on autonomy activity process of university students. To secure accountability of activities, records management should be based. Therefore, as a way to ensure accountability of unversity students autonomy activity, we tried to present records management systematization and records utilization measures. For this, a student body, a university student autonomy organization was analyzed and a student body of Myongji University Humanities Campus was selected as a specific target. First, to identify records management status, activities and organization and functions of the student body, we conducted an interview with the president of the student body. Through this, we analyzed the activities of the university student body and examined the necessity of accountability accordingly. Also, we deriv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ecords to be produced at each stage by analyzing the organization and functions of the student body of Myongji University. Like this, after deriving the types of production records according to the necessity, organization and functions of accountability and activities of the student body, we analyzed records management status of the present student body. First, to identify the general process status of activities of the student body, we analyzed activity process by stage of the student body of Myongji University. And we analyzed records management method of the student body and responsibility principal and conducted real condition analysis. Through this analysis, we presented the measures to ensure accountability of a university student body in three categories such as systematization of records management process, establishment of records management infrastructure, accountability guarantee measures. This study discussed accountability on society by analyzing activities and functions of a student body, targeting a student body, an autonomy organiz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as a measure to secure accountability ofa student body, we proposed a model for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settlement. But in terms that a student body is an organization operated in one year basis, there is a limit that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is hard to settle. This study pointedout this limit and was to provide clues when more active researches were carried out in the field of student records management in the future through presentation of student body records management model.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results derived from this research will have significance in terms of school history arrangement and conservation. 대학은 공공성을 띤 기관으로서 그 운영 과정상 사회에 대한 설명책임성(accountability)을 가진다. 대학을 이루는 구성원 중 다수를 차지하는 것이 바로 학생이다. 대학에서는 매년 수많은 연구 창작물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 대학생은 이러한 기록물의 주요 생산자이다. 그러나 대학의 주체로서 매년 방대한 기록물을 생산해내고 있으면서도 대학생의 역할과 기능, 생산 기록물에 대한 집중적인 조명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처럼 기록학적 관점에서 대학생이 주체가 되어 생산된 기록물에 대한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어 왔던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대학생이 주체가 되어 생산한 기록에 대한 기록학적 관점에서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대학생이 생산하는 기록에는 연구 및 수업 과정에서 생산되는 기록뿐만 아니라 동아리, 학생회 등 각종 자치활동 과정에서 생산되는 기록 등 다양한 유형의 기록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대학생 자치활동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대학생의 자치활동 과정에 대한 설명책임성 확보 방안에 중점을 두었다. 활동의 설명책임성 확보를 위해서는 기록관리가 기초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학생 자치활동의 설명책임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서 기록관리 체계화 및 기록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자치 조직인 대학 총학생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대상으로는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총학생회를 선정하였다. 우선 총학생회의 활동과 조직 및 기능, 기록관리 현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총학생회장과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 총학생회의 활동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설명책임성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명지대학교 총학생회의 조직과 기능을 분석하여 각 단계에서 생산되어야 하는 기록의 종류와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처럼 총학생회의 활동과 설명책임성의 필요성, 조직 및 기능에 따른 생산 기록물의 유형을 도출한 후, 현재 총학생회의 기록관리 현황을 분석하였다. 먼저 총학생회 활동의 일반 프로세스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명지대학교 총학생회의 단계별 활동 프로세스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총학생회 기록관리 방법과 책임 주체를 분석하고 실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대학 총학생회의 설명책임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기록관리 과정 체계화, 기록관리 인프라 확립, 기록 활용을 통한 설명책임성 확보 방안의 세 가지 범주에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 자치 조직인 총학생회를 대상으로, 총학생회의 활동과 기능을 분석하여 사회에 대한 설명책임성을 논하였다. 그리고 총학생회의 설명책임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서 기록관리 환경 정착에 대한 모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총학생회는 1년 단위로 운영되는 조직이라는 점에서 기록관리 환경이 정착되기 힘든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지적하고, 총학생회 기록관리 모형 제시를 통해 차후 학생기록관리 분야에서 보다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질 때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교 사(史) 정리와 보전 차원에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 결과가 의의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