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2022 개정 인공지능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조영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tandards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Through frequency analysis, it was observed that the achievement standard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ability to solve various problem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entered around frequently used keywords 'problem' and 'solution', across the entir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a. In particular, this emphasis was found in the high school subject <!-- Not Allowed Tag Filtered --><Introduction to Artificial Intelligence>. Additionally, the results of topic modeling could categorize AI education-related topics into learning about AI, the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AI, and the utilization of AI, with the greatest emphasis placed on cultivating the ability to utilize AI. The results- 60 of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primary goal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guidelines for teachers to macroscopically understand the curriculum and design lessons and assessments. Furthermore, it recommends that subsequent research should more broadly analyze the aspects of AI education across the curriculum and expand research related to AI education, including discussions on the curriculum revision process.
선어말어미 '-시-'의 교수 학습 방안 연구 : 담화.맥락 중심으로
조수빈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본 논문은 높임 표현 중에서도 주체 높임의 표지로 쓰이는 선어말어미 ‘-시-’를 대상으로 한다. 선어말 어미 ‘-시-’는 주로 형태론과 통사론의 주된 관심 분야였다. 그러나 국어의 높임 표현은 상당히 맥락의존적인 문법요소로 학교문법에서는 선어말어미 ‘-시-’의 비규범적인 용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탐구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어말 어미 ‘-시-’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교과서에서 선어말어미 ‘-시-’와 관련된 단원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 후 담화 맥락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을 재구성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선어말어미 ‘-시-’의 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선어말어미 ‘-시-’의 이론 문법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을 규범적, 비규범적 용법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현행 학교 문법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교육 내용은 철저히 규범적인 용법에 입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화용론적 입장으로 논의되고 있는 비규범적의 다양한 용법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선어말어미 ‘-시-’의 교육 내용상 위치를 알아본 후 『언어와 매체(2018)』총 5종의 교과서에서 개념 설명을 중심으로 학교 문법에서의 교육 내용을 비교 분석해보았다. 선어말어미 ‘-시-’는 5종의 교과서 중 3종의 교과서에서 문장단원에서 다루고 있었으며 나머지 2종의 교과서는 담화단원에 포함은 되어 있으나 실제 내용은 문장단원에 머무르고 있었다. 선어말어미 ‘-시-’의 개념설명에 대해서는 5종의 교과서 모두 주체 높임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규범적’인 입장에서만 교육 내용을 제시하고 있었다. 4장에서는 『언어와 매체(2018)』 교과서를 대상으로 학습활동에서 다루고 있는 교육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상교육』과 『천재교육』을 제외한 나머지 교과서에서 학습활동은 본문학습의 개념을 확인하는 지식 확인 차원의 활동이 제시되는 점, 담화와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문장의 예문만 제시되고 있는 점,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되는 선어말어미 ‘-시-’의 용례를 오류 표현이라 지적하고 수정하는 활동만 기술되어 있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언급하였다. 『비상교육』과 『천재교육』에서는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되는 선어말어미 ‘-시-’의 용례에 대한 원인을 찾아보고 이와 관련된 실제 사례를 알아보는 등의 탐구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 눈에 띠었다. 『언어와 매체(2018)』의 높임 표현 단원의 성취기준이 ‘문법 요소들의 개념과 표현 효과를 탐구하고 실제 국어 생활에 활용한다.’는 점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교과서 학습활동에서 여전히 단편적인 지식 확인 차원에 머물러 있거나 담화와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채 문장으로 예문을 제시하고 있는 등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학습활동에서 다루는 교육 내용이 확대 되어야 하고, 담화와 맥락을 고려한 탐구활동이 기술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선어말어미 ‘-시-’의 다양한 기능과 원인 탐구에 대해 담화와 맥락에 초점을 둔 학습활동을 고안해보았다. 본 연구에서 고안한 학습활동은 실제 언어생활에서 나타나는 용례를 담화론 층위까지 확대시켜 선어말어미 ‘-시-’가 나타나는 원인 탐구와 다양한 설명을 하고자 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efinal ending ‘si’ used for the honorific expressions for the subject. The prefinal ending ‘si’ is the major issue in both morphemics and syntax. However, the honorific expressions in the Korean language are context-dependent grammar elements, and therefore, a teaching and learning guide should be arranged to encourage the students to learn even about the innormative uses of ‘si’. This study discusses the theoretical aspects of the honorific prefinal ending ‘si’ and thereupon, critically reviews the unit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and thereupon, rearrange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the prefinal ending ‘si’.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tudy in the first chapter, the second chapter reviews the uses of the prefinal ending ‘si’. Specifically, the pre-final ending ‘si’ is divided into normative and innormative uses. 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urrent grammar education at school is grounded thoroughly on the normative uses. Thus, this study simply reviews the diverse innormative uses of ‘si’ from a pragmatic perspective. The third chapter reviews the 2015 Amend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prefinal ending ‘si’ in the curriculum, and thereby, comparatively analyzes the 5 textbooks centering around the unit of ‘Language and Media’ (2018). The prefinal ending ‘si’ is handled as a unit by 3 textbooks out of 5 ones. The other 2 textbooks include it in their unit of talks, but the actual contents remain at the unit of the sentences. All of the 5 textbooks handle the prefinal ending ‘si’ from a normative perspective, suggesting it as subject’s honorfic expression. The fourth chapter comparatively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centering around the textbook ‘Language and Media (2018)’. As a result, this study identifies several problems. First, all the textbooks except for ‘Visang Education’ and ‘Genius Education’ suggest only a knowledge-confirmation activity. Secondly, they suggests only the examples of the sentences not in consideration of the talks and their contexts. Thirdly, they describe only the corrections of the uses of the prefinal ending ‘si’ in the actual linguistic life. In contrast, ‘Visang Education’ and ‘Genius Education’ identify the uses of the prefinal ending ‘si’ in the actual linguistic life and describe the actual cases relevant to it. Particularly, ‘Language and Media“ (2018) suggests some criteria for achievement as ‘exploration of the effects of the grammar elements’ concepts and expressions’ and ‘use of them in the actual language life.’ Nevertheless, the majority of the textbooks remain at the dimension of the fragmental knowledge or the example sentences not in consideration of talks and contexts. Hence,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handled in learning activities should be expanded, while the exploration activities in consideration of talks and context should be enhanced. Based on the results of such reviews, this study has designed a learning activity focused on talks and context to explore diverse functions and causes of the prefinal ending ‘si’. it is deemed significant because it att empted to expand the uses in the actual linguistic life to the level of discourse to explain about the causes and setting of the prefinal ending ‘si’.
중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한 체육수업의 개선방안
박우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국문초록 중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한 체육수업의 개선방안 박 우 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과 본 연구는 해방이후부터 2007년에 발표된 개정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체육교육과정과 관련된 내용들을 분석해보고 이를 통하여 앞으로 중등학교의 체육수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학교에서 체육교육이 제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한 체육수업의 개선방안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렸다. 첫째, 체육교육이 제자리를 찾아가기 위해서는 체육교육에 관한 정체성이 확립되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하여 체육수업은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결과중심의 단조로운 평가방식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평가도구들이 활용될 수 있는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변화하는 수업환경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체육교사의 적극적인 역할모색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체육교육이 스스로 반성하고 변화를 주도할 수 있다면 최근 교육계의 교육과정 개정에 관한 논의와 예체능 교과의 평가방식 전환에 대한 논란은 오히려 우리에게 새로운 도전의 기회가 될 수 있다. 또한 지금의 위기상황이 전화위복이 되어 체육교과의 정상적인 운영과 가치의 극대화를 재고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M. A. Thesis The Method of Improvem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Analyzing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Secondary School Park, Woo-Ho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im, Dong-Kyu) ABSTRAC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ight way that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has to head for by analyzing all of the curriculum since the Liberation and indicating the direction that physical education class in Secondary School is going to proceed.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identity of physical education has to be established to set it back into place. Second, various kinds of teaching method should be applied to induce students' interest. Third, diverse assessment tools should be used to move away from result-based evaluation. Finall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need positive attitude to search for a role of accepting rapid-changing education environment. Based on this conclusion, current controversial issues on curriculum revision and evaluation method change in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an be an opportunity to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f the physical education can reflect itself and lead the transition.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 및 교육신념의 관계
김정은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본 연구는 향후 유아교사가 될 예비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 및 교육신념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들 변수간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주관적 행복감, 교육신념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육신념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예비 유아교사의 주관적 행복감과 교육신념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D․K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 중 유아교육과가 있는 4곳의 3학년, 4학년 유아교육과 학생들 246명이다. 연구 도구로는 세 가지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먼저 자아존중감 측정을 위해서는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Self-esteem Inventory를 강종구(1986)가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것을 사용하였고, 주관적 행복감의 측정을 위해서는 신지연(2007)의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예비 유아교사의 교육신념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Peters 등(1985)이 제시한 교사신념목록(Teacher Belief Inventory: TBI)을 번안한 후 일부 내용을 수정한 오채선(1991)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검사의 채점 기준에 근거하여 점수화 한 후, 통계적 분석은 SPSSWIN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관계 분석 등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은 보통 수준을 약간 상회하였으며, 주관적 행복감 역시 보통 수준 이상이었고, 교육신념 또한 보통 수준 이상이었다. 둘째,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전체와 주관적 행복감 전체 및 하위 영역별 상관관계에서 자아존중감 전체와 주관적 행복감 전체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육신념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자아존중감 전체와 교육신념 전체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며, 교육신념의 하위 영역 중에서 행동주의를 제외한 성숙주의와 상호작용주의와만 낮지만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넷째, 예비 유아교사의 주관적 행복감과 교육신념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주관적 행복감 전체와 교육신념 전체는 낮지만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교육신념의 하위 영역 중에서 행동주의를 제외한 성숙주의와 상호작용주의와 유의한 낮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선경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학교미술교육에서 청소년들이 직접적으로 느끼고 대처해야 할 그들 자신의 문화적, 개인적 문제들과 심리적 외상의 문제를 미술의 치료적 특성을 통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여 오늘날 미술교육의 미흡한 점을 개선 시키고자 하였다. 미술은 인간의 많은 부분을 반영하는 표현 방법 중 하나로써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도 하고, 자신과 관련 된 시대의 사건이나 사실을 전달하기도 한다. 또한 미술이 가지는 표현성은 언어나 문자로 표현하기에 한계가 있는 감정이나 생각, 느낌을 전달하기에 적절한 방법이기도 하다. 따라서 미술은 자신의 정서를 정화하고 이해하게 하며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기 위한 방법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이 미술의 창조적인 활동이 인간의 정서와 자아성장에 특히 많은 영향을 끼친다고 보고 현대사회에 많은 분야에서 그 영향력이 증대 되고 있으며 사회로부터 요구되는 방향으로 교육이 발전 되었으므로 앞으로의 미술교육도 변화의 시점이 있다고 본다. 청소년들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심리적 갈등이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런 상황에서 학교교육 또한 그들에게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작용하고 자기표현의 배출구와 다양한 정서적 순화방법을 모르고 많은 문제행동을 나타내기도 한다. 그러므로 그들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그들의 인생의 전환기에 있어 학교 교육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학교 교육을 통해 삶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창의적인 미술활동이 청소년으로 하여금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고 단절된 외부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자신 스스로 치유력을 가지고 올바르고 안전한 자기표현의 배출구를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서론에서는 미술활동에 내재된 치료적 특성을 활용한 미술교육이 연구목적을 제시하고 청소년의 미술교육에서 학생의 심리적 정서순화를 위한 미술치료의 적용을 연구내용으로 제시하였다, 본론에서는 청소년기의 개념과 특성 등을 통해 그들의 문제행동의 원인을 이해하고 청소년기에 미술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미술치료의 정의를 바탕으로 미술교육의 치료적 영향과 청소년을 위한 치료적 미술교육의 효과성을 연구하고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결론에서는 치료적 미술교육 방안으로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성과 앞으로의 교육에서 실현 가능하도록 하기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청소년 심리학과 미술교육, 학교에서의 미술치료활용 방안 연구 등의 선행 논문과 관련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본 내용을 연구하고 미술교과 과정 내에 치료적 교육 방안을 통한 학습자의 정서안정과 효과적인 학습방안에 근접하고자 한다.
국악 전공자를 위한 수업지도법 교육 연구 : 국악 강사풀제 실기수업을 중심으로
우덕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본 연구는 국악 강사풀제 국악강사들이 국악교육자로서 갖춰야 할 자질과 능력이 무엇인지, 장차 국악강사로 활동할 국악 전공자들이 실제로 대학에서 그 자질과 능력을 함양하고 있는지, 그리고 국악 강사풀제를 통한 국악교육 내실화를 위하여 대학이 수행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선행논문과 문화체육관광부 및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국악 강사풀제 국악강사들이 구비해야 할 자질과 능력은 다양한 교수법, 곧 수업지도법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북지역 음악대학 국악과의 경우,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고 국악 전공자들에게 수업지도법을 교습하기 위한 교과목을 개설한 곳은 없었다. 국악교육의 내실화를 꾀하는 방안의 하나는 국악교육의 중심에서 그 주역으로 활동하는 국악강사들이 수업지도법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일이다. 국악강사들의 수업지도법 함양을 위해서는 국악강사를 배출하는 대학은 다음의 과제를 담당해야 한다. 첫째, 국악 전공자들이 배워야 할 국악교육론ㆍ국악지도법 등 방법론 과목을 개설 해야한다. 둘째, 국악 전공자들이 이들 과목을 방학을 이용해 배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국악 전공자들이 제2전공이나 복수전공으로 교육학을 수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강구해야 한다. 넷째, 국악과 교수들은 국악교재 개발에 참여해야 한다. This study is about what qualification and ability Korean classical music instructors have to get and also it will see that students earning Korean classical music degree are practically developing their ability well in university and what assigned subjects university should do for getting substance in Korean classical music through a instructor pool system. Qualification and ability that Korean classical musin instructor has to get are, so to speak, diverse teaching methods in accordance with previous theses and document analysis by Korea Art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d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owever any university in Gyeong- buk area has not ever established that sort of subject accordingly to meet the current requirement. A way to get substance in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is to make the music instructors be qualified because they are the leading part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Therefore, university which cultivates the instructors of ability should manage following subjects to develop teaching methods for Korean classical music instructors. First, university should open methods courses or subjects such as Korean classical music teaching,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methods and so forth. Second, university should make students learn those above subjects during the vacation. Third, university should find a system which allows the students learning Korean classical music to take pedagogy as double major or a minor. Fourth, professors in Korean classical music should participate in how to develop the music teaching materials.
George Bernard Shaw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의 자아인식 : Mrs. Warren's Profession, Pygmalion, Saint Joan을 중심으로
김미혜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George Bernard Shaw, a representative dramatist in the history of modern English literature, tries to abolish the contradictions and absurdities in English society. In 1884, he joined the British Fabian Society which was working for the gradual improvement of the harsh conditions for the lower class. As a Fabian socialist, Shaw asserted the equality of every one's rights, especially women's rights. Realizing that women were not treated or given the same rights as men, he was much concerned about the need for the discussion for the improvement of women's circumstances. To emancipate women from Victorian society, first of all, Shaw thought women's typical thinking about their conditions should be changed. Second, he believed that women's education was a precondition to becoming a professional, in which they could gain social and economic independence from men. In his plays, Shaw created realistic and independent women named the New Woman, different from the womanly women in Victorian society who had been the ideal of the period. He propagandized for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and wanted the contemporary people to be aware of the absurdities of the society and to take part in reforming the situation of the underprivileged.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circumstances of Victorian women and the ways in which Shaw's New Women realize the contradictions of society and become independent human beings through education and their occupation. Mrs. Warren in Mrs. Warren's profession earns her living by running a brothel and makes a fortune from it, so she becomes the target of social criticism. She refuses to be bound by a Victorian way of life, keeping her unemotional attitude toward life. Vivie in Mrs. Warren's profession is the perfect and ideal New Woman. She awakens to the social contradictions and her ignorance of real life through her mother. She is so well-educated a woman that she can have a job for her autonomous life and reject an ordinary way of life that Victorian society forces upon women. In Mrs. Warren's profession, Shaw implies that women's independence from that Victorian society, which was organized by men, can be achieved through education and their career. Eliza in Pygmalion is a heroine entirely different from the Victorian society type of women rebelling against conventional environment. Like the Greek myth sculptor Pygmalion, Eliza is transfigured by Higgins into a duchess. She has a self-realization about social phenomena and progresses towards self-awareness as a human being. In Pygmalion, Shaw stresse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which was his lifelong interest. In this play, Shaw claims that if women are given equal opportunities, they will be able to display their abilities as well as men. Joan in Saint Joan achieves her own complete existence through her Life Force. Although she is uneducated, Joan is wise and independent enough to rebel against the old establishment of the medieval times with her Life Force. The end of Joan is not a simple death but a sacrifice for more creative evolution. In Saint Joan, Shaw suggests that women have a higher purpose for the society of mankind and therefore can play a key role in establishing an advanced world and can be the heroine in the history. In conclusion, Shaw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women's education and occupation which can lead to the liberation of women from all traditional customs and absurdities. Showing the process by which women become self-aware of their actual situation, he asserts the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through his plays. 극작 활동을 통해 사회에 만연해 있는 부조리와 부패를 개선하고 보다 나은 삶을 제시하고자 했던 쇼는 시대와 사회에 관련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독창적인 사실주의 극을 확립시켰다. 사회구성원 모두가 평등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던 쇼는 그의 작품을 통해 소외되고 힘들게 살아가는 약자들의 상황을 개선하려고 노력했다. 극작활동을 통해 사회에 만연된 부조리와 타락을 개선하고, 인류의 보다 나은 삶을 제시하고자 했던 쇼가 무엇보다 중요하게 다루었던 문제는 인류의 자유와 평등에 관한 것이었다. 이러한 쇼에게 있어서 그 시대의 인습과 사회제도는 인간의 참된 삶과 사회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여겨졌다. 당시 영국 사회는 과학의 발달로 인한 산업 혁명과 이전의 신념과 가치체계를 와해시키는 여러 가지 진보적인 사상들로 인하여 경제적, 사회적, 정신적인 면에서 일대 혼란기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들이 초래하는 다양한 모순들과 부차적인 문제점들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의식으로 새 환경에 적응하도록 촉구하면서 커다란 고통과 억압을 주었다. 특히 여성들에게는 남성들에게 받아온 불평등에서 벗어나야 하는 부담과 새로운 사회에 대한 적응이라는 고통이 가중되었다. 빅토리아 시대의 여성들은 지식에 접근할 기회를 박탈당했으며 법적, 경제적으로 그들을 무력하게 만드는 결혼이라는 제도에 의해 예속의 상태가 더욱 강화되었다. 그들은 육체적으로 뿐만 아니라 문화적으로도 불리한 위치에 처해있었고, 시민으로서의 여성은 기본권의 일부가 법에 의해 보장되어 있지 않았다. 또 경제적, 정치적으로 활동력 있는 사회인으로서 여성은 선택의 자유와 조건의 평등을 누리지 못했다. 그리하여 쇼는 여성의 편에서 그들을 옹호하고 지지하는데 앞장섰으며, 그의 극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여성의 억압된 능력과 우월성을 보여주었고 이에 따른 온갖 비난도 마다하지 않았다. 그는 빅토리아 사회가 여성들에게 강요한 ‘여성다움’이라는 환상과 당시의 열악한 교육환경으로 인한 여성의 무지가 여성들이 그들의 상황을 올바로 인식하지 못하는 걸림돌이 된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그는 여성들이 교육을 통해 스스로의 존재의 가치와 위대성을 인식하고 올바른 자아를 찾아가기를 원했다. 그러나 여성들은 자신의 예속 상태를 인식하고 그것의 부당함을 깨닫기에는 너무 무지하였다. 그리하여 쇼는 다른 페미니스트들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우선 교육을 통해서 여성이 자신들에게 강요된 부당한 현실을 자각하길 원한다. 그리고 현실적으로 여성이 가정이나 사회에서 그들의 당연한 권리와 지위를 주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전문적인 직업을 가져야 한다고 역설한다. 그는 여성에게 삶에 대한 강한 의지가 잠재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에게 그것을 살릴 수 있는 동등한 기회가 주어진다면 여성은 남성보다 더 우수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강조할 뿐만 아니라, 타고난 재능을 전문적인 직업에서 발휘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의 이러한 사상을 바탕으로 창조해낸 여성인물들은 인습적이고 전제적인 빅토리아 사회와 남성들을 거부하고 이에 저항하는 이성적, 현실적, 반낭만적인 신여성이다. 그의 신여성은 교육을 통해 현실을 직시하는 통찰력과 경제적인 자립능력을 지녔으며, 이를 통해 남성에게 의존하지 않는 독자적인 삶을 추구한다. 여성의 삶에의 강한 의지는 개인적인 차원에서 자신의 삶을 개척할 뿐만 아니라 우주적인 방향으로 나아가 사회 발전과 인류 사회의 진보의 주역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남성이 아닌 여성이 ‘생명력’ 그 자체가 되어 역사적 영웅이 될 수 있으며, 나아가 신의 경지인 초인도 될 수 있게 한다. 본고에서는 쇼의 이러한 창조적인 인식에서 구현된 여러 작품 가운데서 『워렌 부인의 직업』,『피그말리온』,『성녀 조운』을 살펴보았다. 『워렌 부인의 직업』에서는 워렌 부인이라는 파격적인 여성인물이 경제적인 성공으로 독자적인 삶을 살아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그녀의 딸 비비가 고등 교육으로 베일에 가려진 어머니의 직업의 폭로를 통해 사회의 모순을 깨닫고 내적 성장을 하며 독립을 성취해 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비비의 자아인식은 곧 정신적, 경제적 독립을 의미하며 이로 인하여 그녀는 기존사회의 인습과 부조리에 반항하여 독신을 선언하고 스스로의 삶을 개척해 나간다. 『피그말리온』에서는 일라이자가 언어 교육을 통하여 잠재된 자아를 인식하고 부당한 현실을 깨달아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빈민가의 무지한 여성이 교육으로 계몽되어 자신의 독립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교육까지 실천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가진 진보된 모습으로 표출된다. 『피그말리온』에서 쇼는 빈민가의 꽃 파는 소녀가 교육을 통해 상류사회로 편입되는 과정을 의식의 변화와 함께 보여줌으로써 여성교육의 필요성을 직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들이 여성의 교육, 전문적인 직업, 그리고 경제적 자립이라는 개인적 차원에서의 빅토리아 시대의 인습과 부조리에 저항한 ‘여성답지 않은 여성’의 모습을 구현한 것이라면, 『성녀 조운』의 조운을 통해서는 사회적, 국가적 차원에서 역사적 영웅인 완전한 신여성의 모습을 확인하였다. 마지막 작품인 『성녀 조운』에서 사회개혁가로 쇼는 여성의 능력에 대한 신념을 더욱 더 심화시켰고, 활력과 지력을 모두 갖춘 완전한 존재인 조운을 통해 개인적 측면에 국한되지 않고 국가와 인류구원의 측면으로 확장하였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쇼가 창조해 낸 주인공들은 자신이 직면한 현실적인 문제들에 대하여 좀 더 나은 해결책을 찾는 과정에서 점차적으로 완전한 자아의 모습을 가지게 된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이러한 모습들을 살피면서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는 무한한 생명력과 의지를 우리가 현재 처해있는 시대상에 맞추어 수정해 나가야 할 것이다. 더불어 우리에게 이러한 발전된 미래상을 제시해 준 쇼의 통찰력과 예지력은 그가 위대한 극작가임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게 한다.
조승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MA Thesis The localization of folk musical education by means of the traditional Ulsan methods Cho Seung Hee Major of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Choi Moon Ji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Ulsan’s folk songs; related to Korea’s traditional music education can be used as class contents in the 2007 revised regulations and also to localize these songs by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This study is further aimed at finding methods of localizing Ulsan’s folk songs by developing text books and lesson plans which would restructure the curriculum based on third grade students. Ulsan can use this music course to teach its traditional nursery rhymes and folk ballads. These were chosen based their practical melodious pieces. The musical pieces were selected to teach third grade music. The materials are aimed at further developing the field of musical education. The study included in this compellation conclu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given the sanctions of this course, it can not only be applied to the Traditional Music 2007 music and curriculum, but it can also be integrated with the everyday life of an Ulsan resident. The versatile areas include the instrumental realm, the creative areas and listening. It further exclaims the importance of spreading its content. Secondly, Ulsan folk songs and nursery rhymes were examined and research proved that there is great support for the traditional music and it can therefore be preserved. It can also be practiced and performed locally with ease. Lastly, there is easy access to the learning materials and songs. These can be downloaded at www.ulsangugak.org. In this reference folder, you can find most of Ulsan’s traditional folk songs, so students and teachers are able to enjoy and learn them by themselves. 울산민요의 국악교육 지역화 방안 모색 曺 承 希 嶺南大學校 敎育大學院 音 樂 敎 育 專 攻 (指導敎授 최 문 진) 요 약 본 연구는 울산민요를 현행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제재 곡으로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음악과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통하여 울산민요의 국악교육 지역화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일반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을 대상으로 음악과 교육과정을 재구성 할 수 있는 교재와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여 울산민요의 국악교육 지역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울산민요는 3학년 음악과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육내용을 듬뿍 담고 있는 울산 전래동요와 토속민요를 중심으로 제재 곡으로 선택하였으며 선택된 제재 곡으로 가르칠 수 있는 3학년 음악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을 담아 교재를 개발하고 그 교재로 지도할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여 교육현장에 학습 자료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음악교육과정에서 주어진 제재 곡을 대신하여 울산민요로 적용 가능한 2007년 음악과 교육과정 국악영역 분석을 해 본 결과 생활화 영역, 가창영역, 기악영역, 창작영역, 감상영역, 이해영역에 있어 지도해야 할 내용이 울산민요로 적용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울산민요와 전래동요 관련 자료의 수집 및 채보를 통해 초등학교 3학년 음악과 교육과정 국악영역의 지도 내용 재구성을 할 수 있는 울산 전래동요와 민요의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 둘째. 울산민요와 전래동요를 제재 곡으로 하는 초등학교 3학년 음악과 교육과정 교재와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로 울산민요의 국악교육 지역화에 터전을 마련할 수 있었고 울산민요의 국악교육 지역화가 용이하게 되었다. 셋째. 울산국악사랑 (울산사랑노래연구회 홈페이지-http://www.ulsangugak.org) 공개 자료실에 울산 전래동요 및 민요 제재 곡의 실음을 탑재하여 학생들과 교사들이 자유롭게 다운 받아 울산민요의 국악교육 지역화 자기 주도 학습이 가능하게 되었다.
상업계 고등학교 전산회계 교육과정 개선안에 따른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현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요약 21세기는 우리에게 다양하고 방대한 정보와 문화 속에서 창의력과 경쟁력을 지닌 인재양성을 요구한다. 필자는 현재 우리사회전반에 걸친 청년실업률 원인을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찾아보았다. 계열 및 전공과 무관한 일괄적인 대량취업과 취업 후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전문교과 내용ㆍ과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취업진로정보 및 상담 또한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실업계 고등학교의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상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연구를 위하여 상업계 고등학교의 전공과목인 전산회계 교육과정 개선안에 따른 선행연구논문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관련 사례연구 경력단절여성 대상 취업지원프로그램의 참가자 및 고용주 평가 만족도 설문 실증분석을 통하여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논문의 개선안과 관련 사례연구 성공요인을 바탕으로 상업계 고등학교 전산회계 교육과정 개선안에 따른 학생들의 취업지원 프로그램(FJAP : Finding Job Assist Program about Accountant)을 개발하였다. FJAP을 학교현장 적용 시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 회계 교과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으로 전문교과활동의 활성화 - 취업에 필요한 전문교육을 통하여 취업의 극대화 - 학생들에게 취업진로탐색의 양적ㆍ질적 정보제공 - 직업윤리의식 교육으로 능동적인 인재양성 FJAP은 침체되어있는 상업계 고등학교의 본질을 되찾고, 취업진로에 대한 활성화를 목표로 개발되었다. FJAP을 시작으로 다양한 교과목 적용과 여러 취업취약계층에 필요한 취업지원프로그램 개발 연구에 시발점이 되도록 한다. Abstract Our world requires creative and competitive people to deal with massive information and diverse cultures in 21st century. This research was motivated from the hypothesis that problems of the Professional-Technical High School might cause the high unemployment rate in our society. The problems might be from limited job options regardless of student's majors and the curriculum was not applicable to the actual fields. In addition, there might be an identity crisis of the school due to limited information about jobs and the proper counselling. In this study, we first analyzed previously published studies about improving computerized finance education system in the Professional-Technical High School to develope Job Assist Program. we also considered and main factors of the previous successful program through interviewed and surveyed both employees and employers. From the results, we developed a new program, called FJAP(Finding Job Assist Program about Accountant). The expected effects when FJAP is applied to the school are as follows - Activating specialized curriculums for the finance majored students with positive perception - Increasing successful employment rate by proper educations - Providing the best information to search jobs - Producing active human resources by teaching professional ethics FJAP was developed to regain the original identity of the Professional-Technical High School and to stimulate on getting jobs. We expect that FJAP will rise interest to develop more advanced job assist program for different majored students and other social groups which have handicaps to be employed.
장현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본 연구는 경상북도 포항시 일반계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국악교육의 실태조사를 통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포항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10개교의 음악교사 10명, 학생 2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설문 문항에 대한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교육의 관심도 조사에서 교사는 80%, 학생은 12.9%로 국악교육에 관한 관심도가 교사는 높으나 학생은 저조하여, 국악교육에 대한 학생의 관심도 증대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알았다. 둘째, 음악교사들의 국악 연수 실태 현황의 조사 결과로 최근 5년간 국악 연수를 2회 이하로 받은 음악교사는 80%로 나타났고, 그 중 20%의 교사는 국악 연수 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국악 연수에 참가한 교사들은 국악 연수가 국악교육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이유를 ‘연수의 지속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음악교사들이 국악 연수에서 희망하는 교육내용으로는 ‘실기 및 이론 영역’이 90%였다. 셋째, 국악수업 실태의 조사결과로 30%의 교사들이 음악수업 중 국악수업의 비중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악수업 중 교과서의 내용을 토대로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들은 90%였으며, 60%의 교사들은 국악교육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는 현황이 확인되었다. 그 이유로는 50%의 교사들이 ‘교육환경의 미비’, 20%의 교사들이 ‘학교 현장 상황을 고려하지 못한 교육과정’때문인 것으로 응답하였다. 국악지도에 어려움이 있는 영역으로는 ‘기악 영역’이 44.4%, ‘가창 영역’ 및 ‘창작 영역’이 각각 22.2%로, 이러한 영역을 지도하기 어려운 이유로는 70%의 교사들이 ‘실기능력 및 이론적 지식 부족’으로 답변하였고, 30%의 교사들은 ‘교재 및 교구, 교육환경 미비’로 인한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학생들의 국악교육 만족도로는 긍정적인 응답이 30.3%로 저조하였다. 넷째, 국악교육 환경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로 90%의 학교에서는 별도의 국악실이 부재한 점과 국악교육을 위한 자료 및 국악기가 부족한 점으로 열악한 교육환경을 지적하였다. 학교에서 보유하고 있는 국악기로는 타악기를 가장 많이 구비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관악기인 단소였다. 이외에 가야금 및 대금이 극소수의 학교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포항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의 국악교육 실태조사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 결여, 학생들의 무관심, 교육시설의 부재로 인한 열악한 교육화경 등을 쟁점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교사들의 국악 연수 활성화, 학생들의 국악에 대한 흥미유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학교의 교육시설 구비 등이 제안점이 된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argeting general high schools in Pohang, Gyeongsangbukdo. For this,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10 music teachers and 287 students of 10 general schools in Pohang,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on each question of the survey using SPSS Statistics program on the collected data.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respect of research on the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80% of teachers displayed interest while 12.9% of students displayed interest, accordingly, teachers displayed high interest and students displayed low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determined a plan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 required. Secon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e of music teachers’ participating in Korean traditional music training, 80% of music teachers received Korean traditional music training less than twice within the recent 5 years, and 20% of them responded no experience in Korean traditional music training.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training responded the reason of no efficienc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raining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lack of continuity of training’. 90% of the cont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at the music teachers required was ‘practice and theory’. Thir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30%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 propor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among the music class was low. 90% of teachers progresses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based on the textbook, and 60%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felt difficult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the reason, 50% of teachers responded ‘insufficient educational environment’, and 20% of teachers responded ‘due to the curriculum that does not consider the situation of school’. In respect of the area where teachers felt difficulty in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instrumental music’ appeared 44.4%, ‘singing area’ and ‘creative area’ appeared respectively 22.2%, and 70% of teachers responded the reason of difficulty in teaching such areas as ‘insufficient practical ability and theoretical knowledge’, and 30% of teachers responded, ‘insufficient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tudents’ response satisfaction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displayed 30.3% in positive response, relatively low. Fourth,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was pointed out, such as absence of separate Korean traditional music room in school and insufficient materials and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90% of schools. Among the instruments owned by schools, percussion appeared most frequently, next, danso, wind instrument. Besides, only a few schools owned Gayageum and Daegeum. In conclusion,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current st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of general high schools in Pohang, the issues such as teachers’ insufficient professionalism, indifference of students, and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absence of educational facility were determined, and this research suggested activ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raining for teachers,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to cause students’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prepar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school to settle such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