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임용고사 준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탐색
조인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탐색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의 삶을 이해하고 진로의 제약 문제들의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대학원 졸업생 중 임용고사를 준비 중인 준비생 2명, 임용고사를 합격한 교사 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 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임용고사 준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실기수업 부재’, ‘교육과정 혼재’, ‘심리적 불안감’으로 범주화 되었다.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에 실기수업이 부족하여 2차 실기시험을 준비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재교육과 교사양성교육의 교육과정 혼재로 인해 교사재교육에 관련된 수업을 듣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인터넷 강의와 사설학원을 통해서 임용고사에 관련된 내용을 보충하고 있었다. 또한 인터넷 강의와 사설학원 등록비와 학부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나이로 인해 심리적인 불안감을 격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참여자들의 어려움은 교육대학원생 개인적인 수준에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데 경험하는 어려움의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의 교육과정에 실기교육과정 추가와 교사양성과정과 교사재교육의 분리하여 운영 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e process to prepare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life of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preparing alternatives career constraint issues through thi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2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and 2 teachers who passed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of the graduate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collected data through an inductive analysis of categorie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e process to prepare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were categorized as 'absence of practice classes', ‘the mixture of curriculums’, and‘psychological anxiety.’Lack of practice classes in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found that the subjects experience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 second practical examination. The mixture of teachers' reeducation and education curriculums h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take classes related to teachers' reeducation and supplement contents related to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through lectures on the internet and private institutes due to this. And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suffer psychological anxiety due to tuition fees of lectures on the internet and private institutes and their older age than undergraduates and have found to experience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due to this. These difficultie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have found to have limits to be solved on an individual level of graduate student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inally, the study suggested the addition of practice classes to curriculums for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separation and operation of teachers' education from their reeducation as plans to solv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le preparing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손영수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The case of technology licensing transfer, such as patents and/or intellectual rights, from universities to industries has recently increased every year, but it hasn't been actively done yet except a few case in some universities. So far, it has been done only recently for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to enforce the policies of technology licensing, and moreover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have enforced many different sorts of policie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officers in charge of technology licensing to facilitate in universities on doing their projects, since there are not enough practical case-oriented analyses data of the universities' technology licensing projects.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some useful practical information to policy makers and hands-on staffs in charge of technology licensing projects in universities. So, various data related to technology licensing systems, such a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labor forces in the related office, and their activities for 3 years (2006~2008) of other universities in Korea and those of th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s the major source are reviewed, and some ideas are suggested how to improve their activities effectively. 대학의 지적재산인 신기술이나 특허 등이 산업체로 이전(이하 “기술이전”이라 함)되는 건수는 최근 들어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일부 대학을 제외하고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기술이전에 관한 정부와 대학 자체의 정책이 시행된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그 동안 정부와 대학은 기술이전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으나, 이에 관한 사례 중심의 실증적 분석이 충분치 않아서 업무 담당자들이 기술이전을 촉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학에서 기술이전 업무를 담당하는 정책입안자와 실무자들에게 실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기술이전과 관련된 3년 동안(2006~2008)의 각종 자료들을 재정리하여 경북대학교를 중심으로 기술이전 전담부서의 조직 구조 및 인력, 제도에 대한 실증적 비교 분석을 통하여 기술이전 체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抄錄) 日本語教科書에 대한 分析硏究는 敎育人的資源部에서 정한 “敎育課程”을 準用하고 있는 高等學校 日本語教科書에 集中되고 있다. 본 論文은 이러한 狀況을 直視하면서 日本語와 日本에 관한 一般的인 敎養의 習得을 目標로 하는 大學校 日本語敎養教科書 使用語彙의 バラツキ를 實證하고 語彙選定의 妥當性의 度合い를 明確히 하는 것을 目的으로 하고 있다. 지금 까지, 語彙分析에 있어서 先行硏究의 對象은 私立大學校의 日本語敎養教科書에 限定되어 있었지만, 본 論文는 2007年 現在 日本語 關聯學科가 設置되어 있는 國立 5個 大學校 즉, 慶北大學校(KB), 慶尙大學校(KS), 釜山大學校(PS), 全南大學校(CN), 全北大學校(CB)의 教養科目 『日本語Ⅰ』과 『日本語Ⅱ』를 對象으로 했다. 一般的으로 前者는 1學期, 後者는 2學期에 使用하는 敎科書를 意味한다. 大學校 日本語敎養敎科書는 高等學校 日本語敎科書와 달리 日本語 關聯學科의 敎授의 主觀的인 觀點에서 執筆한 敎材나 特定 出版社가 製作한 敎材를 그대로 敎科書로 使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使用語彙의 選定基準이 없기 때문에, 語彙分析의 基準으로 삼을 만한 根據가 없다. 따라서, 본 論文에서는 2007年3月 敎育人的資源部가 第7次 敎育課程을 修整・補完한 『2007年 改訂敎育課程』의 基本語彙1,023字를 語彙分析의 基準으로 設定하여, 大學校 日本語敎養敎科書의 使用語彙와 함께 名詞, 動詞, 形容詞, 形容動詞, 副詞, 連體詞, 接續詞, 感動詞, 助動詞, 助詞, 連語, 接頭語, 接尾語 등의 13品詞로 分類한 後, 兩者의 語彙를 總語彙一致數와 總語彙一致率, 品詞別一致數와 品詞別一致率, 換算品詞別一致率과 偏差値, 種數別共通語彙數와 種數別共通語彙率 側面에서 各各 比較分析하였다. 以下 본 硏究을 통해서 얻은 結果를 敍述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総語彙一致數에서 얻은 総語彙一致率를 보면, 慶北大學校(KB)ー釜山大學校(PS)ー慶尙大學校(KS)ー全北大學校(CB)ー全南大學校(CN) 順이고, 各各의 數値는 「54.1%」「49.5%」「39%」「35.3%」「26.2%」이며, 平均的으로는「40.8%」程度이다. 이 結果는, 各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総語彙數에 따른 順序, 釜山大學校(PS)ー慶北大學校(KB)ー全北大學校(CB)ー慶尙大學校(KS)ー全南大學校(CN)와는 一致하지 않는다. 이것은 各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総語彙数와 改訂教育課程 基本語彙와의 一致語彙數는 반드시 比例하지 않는다는 것을 意味한다. 즉, 教養教科書의 使用語彙數가 많다고 해서 改訂教育課程의 基本語彙와의 一致語彙數가 많아 진다고는 断定할 수 없는 것이다. 다음으로, 品詞別一致數로 얻은 品詞別一致率을 보면,「名詞」「形容詞」「形容動詞」「副詞」「連体詞」「感動詞」「接頭語」「接尾語」의 8個 品詞에서는慶北大學校(KB),「動詞」「助動詞」「助詞」「連語」의 4個 品詞에서는 釜山大學校(PS)、「接続詞」에서는 慶尙大學校(KS)가 各各 가장 높은 一致率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結果를 基準으로 判斷하면, 総語彙一致數와 品詞別一致數는 대체로 比例한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으로, 品詞別偏差値の合計を基準으로, 가장 偏差値가 작은 것부터 順序대로 敍述하면, 慶北大學校(KB)ー全北大學校(CB)ー慶尙大學校(KS)ー全南大學校(CN)ー釜山大學校(PS)이고, 各各의 數値는「0%」「-0.1%」「0.2%」「-2.1%」「3%」가 된다. 이것은 総語彙一致率에 의한 妥当性에 따른 順序와는 전혀 一致하지 않으며, 특히, 釜山大學校(PS)의 경우, 総語彙一致率에 따른 順序에서는 2位임에도 불구하고 여기서는 最下位에 位置하고 있다. 이와 같은 現象은 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品詞別構成比率에도 バラツキ가 存在하고 있다는 좋은 證據라 말할 수 있다. 또한, 平均偏差値을 보면,「接尾語」ー「動詞」ー「形容動詞」ー「助詞」ー「名詞」ー「感動詞」ー「副詞」ー「接続詞」ー「連体詞」ー「接頭語」ー「連語」ー「形容詞」ー「助動詞」順이며, 各各의 數値는 「-1.3」「+0.8」「-0.8」「+0.7」「-0.7」「-0.4」「+0.3」「+0.2」「-0.2」「+0.1」「-0.1」이 된다. 이것을 合計하면 플러스数値「+2.8%」, 마이너스数値「-2.9%」이고, 兩者의 差를 計算하면, 마이너스「-0.1%」로、基準數値「0%」에서 보면, 教養教科書 使用語彙속의 改訂教育課程 基本語彙의 採用程度가 各 品詞別側面에서도 여전히 마이너스傾向을 띄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으로, 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種数別共通語數에 있어서는, 3種,4種,5種 語彙數는 적고, 2種과 1種 語彙數가 차지하는 比率이 3.5%로 半 以上이나 된다. 이 數値는, 가령, 種數別共通語率87.7%를 100%로 換算할 경우, 61%에 이르고, 3種,4種,5種 語彙數는 극히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結局, 各 大學校 日本語教養教科書 使用語彙에 バラツキ가 그 만큼 크다는 것을 意味한다. 以上과 같은 結果에서 国立 5個 大學校의 教養教科書 使用語彙는, 그 選定基準이 없기 때문에 使用語彙의 種類나 數에 있어서 큰 差가 생긴다는 것을 確認할 수 있었다. 이것은 國立 5個 大學校의 敎養敎科書는 使用語彙에 バラツキ가 큰 教材를 授業에 使用하고 있다는 것을 意味한다. 이와 같은 教材를 使用해서는 教養科目 本来의 目的에 適合한 授業은 期待하기 어렵기 때문에 教材의 改善이 시급히 要求되고 있다. 따라서, 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現況을 直視하고, 이와 같은 諸問題를 解決하기 위해서라도 第7次 改訂教育課程 基本語彙를 大學校 日本語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選定基準으로 삼는 것을 하나의 方案으로 들 수 있을 것이다. 以上과 같이, 大學校 日本語教養教科書의 語彙分析을 中心으로 多樣한 分析方法을 利用하여, 使用語彙의 バラツキ를 實證하고 語彙選定의 妥當性의 度合い를 明確히 하고자 努力하였다. 그러나, 본 論文의 對象을 벗어난 그 밖의 大學校 日本語敎養敎科書에 대한 보다 폭넓고 深度있는 分析硏究가 이루어질 必要가 있다고 思料되지만 이 部分은 今後의 課題로 남기고 싶다.
초등학교 미술 현장학습과 연계한 경북대학교 박물관 셀프가이드 연구
김아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A museum can be said to be a treasure house of educational resources and a field of history and culture class to awaken a viewer's intelligence and emotion and enhance the level of culture and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exhibition, a collection of art works and relics. Recently, the educational role of the museum tends to get bigger and the museum gets its function emphasized as a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and cultural institution for all walks of people, and especially becomes a place of field study connected to school education. The strongest merit of museum field study lies in that students can see the works directly instead of seeing them only through subject illustrations, and the museum presents the environment of appreciation to understand the arts in a big context through ‥exhibition…. Therefore, the museum needs to grope for positive and diverse methods to reflect students' tastes and dispositions and induce their interest in developing the appreciation program and educational materials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 What is most important for the activation of the educational function of the museum is to prepare and use the educational materials to induce an active participation in appreciating and understanding the exhibitions and collections of the museum. Hence the museum requires 'a Self-guide' fitted for the students' eye level as an educational means placed in the museum for the service. The Self-guide plays the role to help the students themselves to become the study subjects, learn to be fitted for their own level and necessity and make a meaningful view in their field trips. The field trips using a Self-guide will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museum themselves and also make out the exhibitions and collections of the museum in the social cultural context. This student's problem awareness starts from here. Usually schools make field trips of the museum to get over the limitation of the appreciation activities in the school classrooms, but the museum and the schools have neglected the efforts for the systematic appreciative education. This student hereby intended to personally develop a Self-guide as an educational means for the students to express and criticize the reason of their favorite works through a field study and approach them closely. The Self-guid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the students learn the museum and understand the appreciation widely and draw students' originative and creative ideas, and focus on their diverse activities with an active attitude to express ?E appreciate the works fully and evaluate themselves together with aesthetic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elf-guide aimed at analyzing the self-guide previously developed by the art gallery and the museum at diverse angles, complementing and differentiating insufficient parts in the museum appreciation activities, first of all, developing an integrating class to induce a creative idea and thinking as well as history study based on objective facts.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argue the necessity of a Self-guide as an educational means to heighten the importance of the museum field trips and the appreciation effects thereon, design ?E develop the Self-guide of the museum of Kungpook National University with a high educational value as a district museum and find out a method of the use of the Self-guide. In addition, it intended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self-guide of the existing art gallery and museum and seek for the progressive direction of the self-guide to be developed in future. It also attempted to contribute to arousing viewers' interest and lifting the efficiency of the appreciative education of the museum through a fresh self-guide development needed in inducing a variety of activities in the museum field trips.
거점국립대학 캠퍼스 도서관 휴식공간 유형 분류 및 사용특성 분석
오늘날 대학 캠퍼스들은 학습과 지역사회와의 교류 등 많은 기능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캠퍼스 내 도서관은 다른 시설물 보다 학생들 및 지역 주민이 공통적으로 이용하는 시설에 속하고 이용자들 간에 의사소통의 장이 될 수 있으며 상호접촉의 기회가 보다 많은 시설물 이다. 대학 캠퍼스 도서관의 휴식공간은 보행, 휴식, 만남 등의 다양한 활동이 일어나는 장소이며 휴식의 효율을 증가시키게 되는 휴식공간을 계획 하게 되면 학습효과도 높아지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는 휴식공간과 이용자들을 분석하여 이용하기 쉽고 쾌적한 공간을 계획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a university campus, the library's rest room, and an analysis was performed as follows to: First, the resting place of the University Library to study and relaxation were classified into the four major types. And the rest of the space elements include floors, walls, ceilings, pillars, air, color, sound and lighting was limited. Second, each university libraries around the campus of the University that examined the practice of relaxation. Third, as a survey among users of the behavior and preferences were identified. Fourth, a survey of the elements of relaxation with a preference for a comfortable and easy to use comprehensive analysis to plan the space to give reasons.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정상인에 비해 심혈관 질환의 발생률과 사망률이 증가됨이 이미 보고된 바 있으며 염증이 동맥경화의 중요한 기전임을 고려하여,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서의 류마티스 관절염과 동맥경화증 발생 위험도 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본 연구 역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코호트를 구축하고, 향후 추적조사를 통해 류마티스 관절염과 동맥경화증 발생 위험 인자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를 구성하였다. 경북대학교병원 류마티스 클리닉에서 진료중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367명을 대상으로 동맥경화증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고전적인 위험인자, 신체 계측치 및 질병활성도 평가 지수 등을 측정하여 심혈관 질환의 측정 지표로서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및 죽상경화성 판 유무와의 관계를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죽상경화성 판 은 고령, 여성, 피브리노겐, 압통관절수, 종창관절수, 질병활성도점수 (DAS), C-반응성 단백 및 적혈구 침강속도와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경동맥 내중막 두께는 고령, 여성, 피브리노겐, 호모시스테인, 수축기 혈압, 평균 동맥압, 신체적 기능 측정지수 (mKHAQ), C-반응성 단백 및 적혈구 침강속도와 통계적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동맥경화증 위험성에의 독립 위험인자 규명을 위해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고령, 여성, 압통관절수, 적혈구 침강속도가 죽상경화성 판 발생과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가졌다. 본 연구를 통해 동맥경화증 발생 예측의 독립된 위험인자로서 류마티스 관절염 질병활성도 (적혈구 침강속도와 압통관절수)의 중요성을 규명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박희영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식습관과 간식섭취실태를 파악하고 식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지리적 요인에 따라 식습관 및 생활습관, 간식섭취빈도, 영양지식 등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합리적인 식습관 형성 및 효율적인 영양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대상자는 대구지역 초등학생 200명(남학생:104,여학생:96명) 경북지역 초등학생 200명(남학생:95명, 여학생:105명)을 대상으로 남학생 199명, 여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특성과 신체계측 결과는 대구지역과 경북지역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가족형태에서는 핵가족의 비율이 대구지역(40.5%)이 경북지역(38.5%)보다 높았으며, 어머니 직업유무에서는 경북지역(51.7%)이 대구지역(48.3%)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학생들이 받는 한 달 용돈은 1만원 미만이 두 지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아침식사 횟수에서는 매일 아침을 먹는 비율은 대구지역이 높게 나타났으며, 아침식사를 먹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대구지역은 입맛이 없어서(48.5%)가 가장 높았고, 경북지역에서는 늦잠을 자서(55.0%)로 두 지역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편식의 정도는 두 지역 공통으로 조금 하는 편이 가장 높았으며, 편식을 전혀 하지 않는 비율은 대구지역이 경북지역에 비해 높았다. 편식하는 음식으로는 전체적으로 채소류와 생선 및 해물류로 나타났다. 3. 여가 활용 방법으로는 두 지역 모두 TV시청을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운동을 통해 여가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가장 낮았다. 대구지역이 경북지역보다 스마트폰으로 여가를 활용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TV 시청시간은 두 지역 모두 1시간~2시간 이내가 가장 높았으며, 운동 빈도는 두 지역 모두 주 1~2회 운동을 하는 경우가 가장 높았다. 컴퓨터 사용시간 역시 두 지역 공통으로 1시간 이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이어트 경험에 있어서는 경북지역(42.5%)이 대구지역(29.5%)에 비해 높았으며, 두 지역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4. 간식 섭취 빈도는 하루 2~3회 간식을 섭취한다는 의견이 두 지역에서 공통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간식 구입 방법은 두 지역 모두 직접 구입한다가 가장 높았다. 부모님이 구입해 주시는 경우는 대구지역(31.0%)이 경북지역(19.5%)보다 높게 나타났다. 간식 구입 장소로는 대구지역 슈퍼마켓, 분식점, 문구점, 패스트푸드점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경북지역은 슈퍼마켓, 분식점, 문구점, 포장마차, 패스트푸드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간식 섭취 이유로는 배가고파서라는 의견이 두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습관적으로 간식을 섭취하는 경우는 대구지역이 경북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식품별 간식 섭취 빈도를 살펴보면 두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과일, 우유 및 유제품, 과자가 높은 섭취 빈도를 보였으며 그 중 우유, 과일주스, 햄버거, 떡에서는 지역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5. 영양지식 정도를 비교한 결과 대구지역 학생들의 평균점수는 8.64±1.56이고, 경북지역 학생들의 평균점수는 7.94±1.58으로 대구지역이 경북지역보다 영양지식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1). 그 중 탄산음료를 많이 먹으면 충치가 생기기 쉽고 뼈가 약해진다의 정답률은 96.3%로 두 지역에서 가장 높았고 과일은 많이 먹어도 살이 찌지 않는다의 문항에서는 61.5%로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구·경북의 지역적 요인에 의한 식습관과 간식섭취 실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부분들이 있어서 지역별 차별화된 영양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번 형성된 식습관은 성인이 되어서도 지속되기 때문에 다양한 식품을 균형 있게 섭취하도록 학령기 아동의 식습관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편중된 식습관을 교정시켜 바람직한 식생활과 간식선택 기준을 가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actice of snack intake and eating hab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investigated whether geographical factors have a different impact on eating and living habits, frequency of snack intake, nutritional knowledge. 1. Two hundred of students in Daegu(boys:104, girls:96) and 200 in Gyeongbuk(boys:95, girls:105) were selected as samples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2. The result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nthropometry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3. It was shown that more students in Daegu have breakfast and more in Gyeongbuk skip a meal. Most of both cases said that they sometimes eat only what they want and more samples in Daegu said that they eat everything. Students were generally particular about vegetables, fishes and seafoods. 4. Both cases answered that they often watch TV during free times and students in Daegu spend more times with their smart phones. Furthermore, more samples in Gyeongbuk said they were on a diet and two sampl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5. In both cases, most students stated that they personally buy snacks and parents are more involved in buying snacks in Daegu. The primary reason why students ate snacks was to appease their hunger and more students in Daegu eat snacks habitually. Considering the frequency of having snacks, fruits, milk, dairy products and snacks were usually eate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gions for milk, fruit juice, hamburgers and rice cakes. 6. Students in Daegu had more knowledge on nutrition, compared to those in Gyeongbuk. As the result showed,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act of the geographical factor on the practice of eating habits and snack intake between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So, differentiated nutrition education is needed for each region. Additionally, it is really important for school-aged children to form a balanced eating habits, take a systematic nutrition education and establish a criterion of decision on which to eat.
대학생 취업준비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분석 : 경북대학교 행정학부를 중심으로
현달호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이 연구는 경북대학교 행정학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취업준비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여 진로개발 활동과 취업준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학교와 지도교수, 학생 모두에게 취업준비에 대한 고민과 걱정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첫째, 대학 생활 시작부터 학생 스스로가 취업을 준비하고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교육체계가 현실적으로 되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이로 인해 취업준비가 제대로 되지 않아 졸업시즌이 되어서야 취업을 준비하는 상황이다. 둘째, 대학생들이 취업을 준비하는데 있어 정확한 목표 의식을 가지고 있다면 취업의 어려움은 쉽게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학교 또한 취업준비를 위한 시스템을 강화하고 대학교 입학 때부터 비전을 제시하고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보다 더 효율적이 취업진로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교수도 또한 학생과의 네트웍을 강화하고 학습뿐만 아니라 학생의 진로상담 등을 강화하여 취업에 대한 부담감을 해소해주고 학생들 개인에 맞는 진로 상담이 된다면 취업준비에 도움이 될 것이다. 다섯째, 학생, 학교, 교수가 삼위일체가 되어 네트웍을 강화한다면 취업준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며, 취업준비에 많은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취업을 준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가 학생뿐만 아니라 학교, 교수 모두에게 취업준비에 대한 고민을 해소할 수는 없겠지만 일정부분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김원식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본 연구 논문은 지역 섬유업계의 우량기업군 정의를 내리고, 섬유기업의 경영전략과 시사점을 도출하여, “3단계 밀라노프로젝트”사업의 주요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우량기업군의 표준화 형태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대구광역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스타기업 100 육성계획 및 섬유스타기업 추진현황」에 대해 연구 분석하였다. 본 연구 내용은 대구·경북지역 섬유업체를 대상으로 잠재적인 우량기업군을 발굴하고 이들 기업군들이 스타기업으로 발돋움 하도록 표준화된 기업 경영형태를 조사하였으며, 지역에 산재해 있는 섬유산업의 제직, 염색, 비의류 분야의 3개 업종 80업체를 표본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지역 우량섬유기업이 성장·발전하여 잠재적 스타기업 또는 글로벌 스타기업으로 발전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스타기업 육성체계에 관한 배경, 필요성, 육성목표, 추진전략, 추진체계 그리고 지원내용 등을 주 연구내용으로 다루고 있다. 우량기업군의 정의는 한국섬유개발연구원(KTDI)과 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Daegu Gyeongbuk Textile Industries Association)간의 정의가 조금씩은 차이가 있으나, 이는 연구자의 관점에서 어느 요소를 우위에 두느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 한국섬유개발연구원의 정의를 바탕으로 우량기업을 선정하기 위해 「티몬스 모형(Timmonse Model)」에 의한 “기업가의 특성(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과 “업무수행에 필요한 요건(Role Demands and Requirements)”을 기준으로 지역(Daegu Gyeongbuk Region) 표본 섬유업체(Sample) 80개 업체를 대상으로 우량기업군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섬유산업에서 3개 업체가 스타기업으로 선정되기 위한 과정 및 육성전담기관 및 PM의 역할 등에 관하여 활성화 방안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1. 우량기업군 정의(한국섬유개발연구원 기준)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권 차입(Borrowings)이 적고 건실한 재무구조(Financial Structures)를 유지하고 있는 기업 둘째, 기업 전체 연구개발(R&D)비 대비 매출액(Research and Development Costs to Sales)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기업 셋째, 시장지배력(Market Share)이 높은 기업, 해외마케팅(Overseas Market) 활 동을 전개하는 기업 넷째, 제직(Weaving)·염색(Dyeing)·무역 등 일관된 공정을 보유한 기업 다섯째, 모기업에 의존하지 않은 구조의 기업 여섯째, CEO의 경영이념과 기업 활동이 여타기업에 영향을 확산시키는 기업 일곱째, 혁신적 기업조직 및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실천하고 있는 기업으로 정의내리고 있다. 2. 대구·경북지역 표본(Sample) 80개 섬유업체를 분석한 결과 우량기업군의 표준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설립 역사가 일천하기보다는 창업한지 오래된 기업, 종업원에게도 재 무제표(Financial Statements)의 공개를 통한 투명성, 건실한 기업경영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둘째, 상시종업원 규모가 51~100명, 연간 매출액(Sales) 규모가 100~500억원이다. 셋째, 수출시장 지배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11~30개사의 협력업체 보유하고 있다. 넷째, 제직·염색·무역 등 일관된 공정을 갖춘 기업군 분포도가 높다. 다섯째, 연구개발(R&D) 능력을 보유, 4~6명의 연구전담 인력을 확보하고 있다. 여섯째, 연구개발부서는 타 부서와 차별화된 성과보상 실시하고 있다. 일곱째, 지적재산권(특허, 실용신안, 의장등록, 상표권) 등을 다양하게 보유하고 있다. 여덟째, 직수출의 무역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3. 섬유산업에서 선정된 3개 스타기업은 다음과 같다. 섬유산업의 2007년도(1차년도 선정) 선정된 기업들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전문기업인 서광무역(주)(Seokwang Trading Co., Ltd), 고기능성 스포츠의류 소재기업인 신풍섬유(주)(Shinpung Textiles Co., Ltd), 섬유가공소재 기업인 미광다이텍(주)(Mikwang Dyetech Co., Ltd) 등 3개 기업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스타기업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육성전담기관의 지원책 이외에도 수주량(Order) 확보 및 자금의 원활한 운용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PM(Project Manager)과 스타기업간의 네트워킹 강화” 및 “신뢰를 구축”해가는 일이 더욱더 중요하다고 본다. 대구광역시(Daegu Metropolitan City)에서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최초로 시장 공약사항으로 추진하고 있는 「2007 스타기업 100 육성 계획」이 1차년도 24개 스타기업을 탄생시켰으며, 육성전담기관과 스타기업간 MOU 체결을 완료한 상태에서 육성전담기관의 PM과 스타기업간 활발한 네트워킹과 수요조사를 진행 중에 있다. 가장 중요한 구체적인 지원계획은 대외비적인 성격으로 말미암아 밝힐 수 없음을 아쉽게 생각한다. 이상으로 본 논문의 연구자는 상기의 연구경험을 토대로 향후 섬유산업의 우량기업군 분석을 격년도 마다 표본업체를 확대하여 조사·분석함으로써 신규 우량섬유업체가 증가 될 것을 기대해본다. 따라서 이들 섬유 우량기업이 대구광역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잠재적 스타기업에 속하고 더 나아가 글로벌 스타기업으로 성장 발전하는데 본 연구가 첨병역할을 하리라 확신한다.
As the damage on nature and the ecosystem is getting more severe and as the rate of extinction of the species increases, there has been an increased emphasis on the importance and phase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 along with the increased debate on its construction among those of the government and the civilians. As there has been an increase of interest towards the respect and the protection of nature, the civilians have come to desire first hand experiences of educational programs and learn essential information of the Natural Science in a virtual space. The natural history museum must not only collect and preserve samples of the Natural Science, but also be able to provide vast amou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students and scholars and satisfy the diverse cultural desires of the citizens. As the need for the natural history museum to be available to the society has become more desperate and as the government and the citizens increase their efforts to magnify the base, a desirable way to modify the homepage of the museum in order to modernize it will be suggested through this research. In the research, the layout, color, navigation, typography and interaction have been chosen as the five most important aspects of web design and there have been investigations on theoretical studies and real cases. Ten internet homepage of natural history museums, national and foreign, that best fit the criteria above were chosen in order to compare the designs and find similarities in order to have a proposed direction for the future natural history museum web design. Having analyzed ten websites of national and foreign natural history museums, the results all showed similar tendencies. The colors are not only calm, elegant, clear and graceful but also give out a natural atmosphere. The general layout has nothing outstanding while they use many of the interaction aspects that focus on the users which have become the major trend today. In case of the foreign sites, there was a larger ratio on the interaction aspects and on the texts. Each site is increasing the ratio of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are interacting activities for the citizens and the students, while also working on separate programs for children. Also, there have been major adaptations to visual graphs, flash, animation and other aspects of navigation that might gain more interest, along with other additions of links and other pages that might arouse more interest and facilitate users' tours. Focusing on the comfort of the user rather than the aesthetic aspec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comfort use and easy access to the information to achieve the main goal of visiting the site as fast as possible by categorizing the menu and grouping as many contents as possible. The suggested direction that the future nature history museum's homepage should take is the design that focuses on the user's interface. The design needs to reflect on graphic experience that combines the user's movements of searching the contents, contents' readability, and the site's image. Because the range of those who visit the website is from adults to kindergarteners, a carefully thought out layout of construction is needed. Also, the site needs to become one full of knowledge and interest that not only helps feel the beauty of the nature but also educates the respect and protection of nature for the brighter future of mankind. With this, the research has proposed the development of the website of the Kyungbook University Natural History Museum based on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he design of the website and the analysis of the ten websites of national and foreign natural history museums. While the visual identity of the design development is correlated with the love to the planet and protection for the nature, the development processor is accurately delineated by contents, design, and development planning. It was intended to help the research of the design and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nature history museum's website by delineating the theory research, case analysis and the five major aspects of design presented at the beginning of the research, to be correlated. 자연과 생태계의 훼손이 심각해지고 생물종의 멸종이 빠르게 진행되자 자연사박물관의 위상과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정부와 민간부문에서도 자연사박물관의 설립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자연존중과 자연보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면서 시민들은 자연과학에 대한 유익한 정보와 교육적인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가상공간에서 자유롭게 경험하기를 원하고 있다. 자연사박물관은 자연과학에 대한 표본들을 수집하여 전시하고 보존하는 것에만 머물러서는 안 되며 시민들의 다양한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학자들과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방대한 지식과 유용한 정보들을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자연사박물관의 사회대중화의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저변확대를 위한 정부와 민간의 노력이 활발해지는 현 상황에서 본 연구를 통해 자연사박물관의 활성화를 위한 박물관 웹사이트 개발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웹디자인의 중요 요소를 레이아웃, 컬러, 내비게이션, 타이포그라피, 인터랙션의 5가지로 규정하고 이론적인 연구와 실제 적용 사례들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기반을 토대로 국내․외 자연사박물관 상위 10개 사이트를 선정하여 디자인 요소별로 비교 분석하여 공통적인 경향을 추출하고 향후 자연사박물관 웹디자인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국내․외 자연사박물관 10개의 웹사이트를 분석해 본 결과, 대체로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전체적인 칼라는 점잖고 고상하며 맑고 부드러우면서 내추럴한 분위기가 대부분이었다. 보편적인 레이아웃으로 튀는 구도는 없었으며, 최근의 트렌드인 사용자 중심의 인터랙션 요소들을 많이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외국 사이트의 경우 인터랙션 요소와 텍스트의 비중이 훨씬 높은 편이었다. 각 사이트들은 시민과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교육 프로그램들과 체험행사의 비중을 늘리고 어린이들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에도 많은 할애를 하고 있었다. 또한 비주얼 그래픽과 플래시, 애니메이션 기법 등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의 요소를 대폭 적용하고 있고 사용자들이 즐겁게 투어할 수 있도록 페이지 연결과 관련 사이트의 링크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었다. 심미적인 요소보다 사용자 편의성에 비중을 두고 가능한 한 많은 콘텐츠를 그룹핑으로 분류하고 메뉴의 카테고리화로 빠른 시간 내에 방문 목적에 도달할 수 있도록 사이트 이용의 편리성과 정보 접근의 용이성 확보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자연사박물관의 웹디자인의 방향성은 사용자 위주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이다. 사이트 이미지, 콘텐츠를 검색하는 사용자의 움직임, 콘텐츠 가독성 을 통합하는 시각적인 경험을 반영하는 디자인이 되어야 할 것이다. 자연사박물관 웹사이트를 방문하는 사용자층이 유치원에서 어른까지 다양하기 때문에 신중한 레이아웃 설계가 요구된다. 또한 자연의 경이로움을 느끼고 인류의 밝은 미래를 위한 자연존중과 생태보호의 산 교육장이 되고 지식과 흥미가 공존하는 유익한 사이트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사이트 디자인의 이론적인 고찰과 국내․외 자연사박물관 10개의 웹사이트 분석결과를 토대로 경북대학교자연사박물관 웹사이트의 개발 시안을 제시하였다. 디자인 개발의 비주얼 Identity는 지구사랑과 자연보호로 일관되게 적용하였으며, 개발 기획안과 콘텐츠, 디자인으로 구분하여 개발 프로세서를 분명하게 기술하였다. 이론연구와 사례분석, 사이트개발에서 연구초기 설정한 5가지 중요한 디자인 요소별로 공통되게 기술함으로서 향후 자연사박물관 웹사이트 개발과 디자인 연구에 기여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