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례 : 내분비-대사 ; 뇌하수체줄기 형성 부전으로 발생한 시상하부성 뇌하수체 기능저하증 1예

        이승주 ( Seong Ju Lee ),윤혜진 ( Hye Jin Yoon ),조아름 ( A Reum Cho ),엄유진 ( Yoo Jin Um ),박근용 ( Keun Young Park ),임동미 ( Dong Mee Lim ),김병준 ( Byung Joon Kim )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지 Vol.85 No.4

        본 증례는 9세경 저신장으로 성장호르몬 및 갑상선호르 몬 이상을 진단받고 불규칙하게 치료받았던 과거력이 있는 28세 남자 환자가 성기능 장애에 대한 불안으로 내원하여 뇌하수체 줄기 단절에 의한 시상하부성 뇌하수체 호르몬 이상을 진단받고 사춘기 발현과 생식기능의 유지를 위한 치료를 시행하게 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 하는 바이다. Functional defects of the pituitary gland are a rare cause of pubertal delay. The pituitary stalk is an important structure that connects the hypothalamus and pituitary gland. A defect in fusion of the pituitary stalk and anterior pituitary gland will block the function of the anterior pituitary gland. A 28-year-old man was referred to our clinic with poorly developed secondary sexual characteristics. He had undeveloped facial, axillary, and pubic hair and was Tanner stage I. Laboratory tests gave random serum testosterone < 0.025 ng/mL, luteinizing hormone (LH) < 0.1 mIU/mL, 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0.626 mIU/mL,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6.85 μIU/mL, and fT4 6.96 pmol/L. Sella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howed no pituitary stalk enhancement. The response in the combined pituitary function test revealed multiple hormonal defects, while the TSH response to thyrotropin-releasing hormone (TRH) was exaggerated and delayed. Therefore, we concluded that pituitary stalk dysgenesis had led to hypothalamic-type panhypopituitarism. (Korean J Med 2013;85:420-424)

      • KCI등재

        유아의 인지능력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리기 표상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이승주(Seung Ju Lee),김성현(Seong Hyun Kim)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2 Global Creative Leader Vol.12 No.2

        본 연구는 유아들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알려진 인지능력과 그리기 표상능력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 189명으로 평균 월령은 70.32개월이었다.‘Wechsler 유아지능검사 4판(k-WIPPSI-Ⅳ)’과 ‘Chi(2001)의 그리기 표상능력 측정도구’,‘Torrance(1990)의 창의성 검사(TTCT)’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Hayes(2013)의 PROCESS macro model 4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인지능력, 그리기 표상능력, 창의성 간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창의성을 예측하는데 그리기 표상능력의 하위요인인 세부적 묘사가 가장 강력한 예측 변인으로 기본도형과 선의 병합이 추가적인 예측 변인으로 인지능력의 하위요인인 시공간이 추가적인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세 변인은 모두 정적 예측 변인이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인지능력이 창의성을 예측하는데 있어 그리기 표상능력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cognitive ability of children and their drawing ability on creativity from various ang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9 children enrolled in kindergarten, with an average age of 70.32 month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Korean 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Fourth Edition(K-WIPPSI-IV)’, the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Test’, and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he collected data verified through reliabilit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PROCESS macro model 4 of Hayes(2013).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gnitive ability of children,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creativity. Second, additional predictable variables affecting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detailed description through, a sub-factor of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was the most predictable variable, and merging basic figures and lines, a sub-factor of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visual-spatial ability, and a sub-factor of cognitive ability. Finally, in children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predicted the creativity of cognitive ability.

      • KCI등재

        교사가 지각한 교육기관 이탈 희망 유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김성현(Kim, Seong Hyun),이승주(Lee, Seung Ju)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지각한 교육기관 이탈 희망 유아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고찰 및 유아교사등 과의 면담을 통해 구성요인을 수집하였다. 구성자료를 통하여 구성요인을 추출하고 최종 시안을 구성하였다. 최종시안은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통해 평가 척도로 개발되었다. 연구대상은 유아 468명(문항변별도 분석 50명, 탐색적 요인분석 210명, 확인적 요인분석 208명)이였으며 담임교사 253명이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사가 지각한 교육기관 이탈 희망 유아 척도는 방해 및 책임 소재 행동(8문항), 가정의 연계 부족(3문항), 개선의 어려움(4문항), 교사의 스트레스 유발(6문항) 등 4개 요인의 2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 요인들의 내적 합치도(Cronbach‘α)는 ,83에서 .92까지 나타났으며, 총 Cronbach‘  값은 .95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사가 지각한 교육기관 이탈 희망 유아 척도는 안정되고 신뢰로운 도구로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ers’ Perception Scales for Young children’s Leave Institution(TPS-YLI) and to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o do this, constituent factors were collected through both interviews with kindergarten teachers and related literatures reviews. Based on collected data, the constituent factors were extracted, and the final draft was constructed. The final drafts was developed as evaluation scale through verification proces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468 young children[50 Item discrimination, 210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208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nd 253 teacher made assessment. The TPS-YLI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composed of 21 questionnaires of following 4 factors: Disruption behavior and fear of accountability(8 questionnaires), Teachers’ stress(6 questionnaires), Hopeless of behavior improvement(4 questionnaires), Lack of family participation(3 questionnaires). The internal consistency(Cronbach’ α) of these factors ranged from .83 to .92, and the total value of Cronbach’ a was found to be .95.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TPS-EYE developed in this study is a stable and reliable tool.

      • KCI등재

        게임놀이와 연계한 유아 실외 동작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김성현(Kim Seong Hyun),이승주(Lee Seung 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는 게임 놀이와 연계한 유아 실외 동작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의 유아의 운동능력, 주의력, 그리기 표상능력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처치 효과를 위해 선정된 연구 대상은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 56명이였으며 평균 월령 64.74개월 이였다. 실험처치는 8주간 16차시 진행되었다. 실험집단에는 게임놀이와 연계한 유아 실외 동작 교육 프로그램이 처치되었으며, 비교집단에는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 실외 동작 교육 프로그램이 처치되었다. ‘유아 운동능력 척도’, ‘유아 주의력 결핍 검사도구’, ‘그리기 표상능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공분산분석(ANCOVA)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은 비교집단과 비교하여 운동능력, 주의력의 하위 요인인 충동조절, 그리기 표상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프로그램의 효과가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outdoor movement education program using game play for young children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young children’s motor proficiency ability, attention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56 young children whose mean age is 64.74 months from two classes in a Kindergarte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sixteen times for eight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outdoor movement education program using game play for young children, while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the outdoor movem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Nuri-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It used ‘motor proficiency ability sclae’, ‘Korean version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Scale’,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Scale’ in collection of data. The collection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Results show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motor proficiency ability, impulsiveness control which sub scale of attention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 그룹에서 Nebulized Budesonide 와 Dexamethasone 근주의 치료효과

        이수진(Su Jin Lee),이현주(Hyun Ju Lee),황수자(Su Ja Hwang),박은애(Eun Ae Park),김호성(Ho Seong Kim),이승주(Seung Joo Lee)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8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8 No.2

        목 적 : 크룹환아의 급성기에 투여한 budesonide 분무홉입과 dexamethasone 근주의 상기도 폐색 완화 효과를 관찰하고자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및 대상 : 1994년 3월부터 1997년 2월까지 이화의대 부속 목동병원에 중등도의 크룹으로 입원한 환아 4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budesonide 흡입군 [budesonide 2ml(1 ㎎) 분무 흡입, 15명), dexamethasone 근주군 (dexamethasone 0.5 ㎎/㎏ 근주, 10명), 대조군(saline 2 ml 분무 홉입, 15명)으로 나누어 치료하였다. 치료효과로 크룹점수, 심박수, 호흡수 및 동맥혈 산소 포화도를 치료전과 치료후 12, 24, 36, 48시간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치료후 12, 24, 36, 48시간에서 크룹점수 1점이하로 호전된 환아의 비율 및 입원기간을 비교하였다. 결 과: 1) 치료후 12, 24, 36 시간에서의 크룹점수는 budesonide 흥입군에서는 각각 1.7±0.8점, 1.1±0.7점, 0.8±0.7점, dexamethasone 근주군에서는 각각 2.2±0.7점, 1.2±0.8점, 1.0±0.5점으로 대조군의 3.4±0.9점, 2.8±0.9점, 1.7±0.8점보다 유의하게 낮았고(P<0.05), budesonide 흡입군과 dexamethasone 근주군 간에는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 2) 심박수 호흡수 동맥혈 산소포화도는 치료후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3) 치료후 크룹점수 1점 이하로 호전된 환아의 비음은 치료후 12, 24, 36시간에 budesonide 흡입군에서 53%(8/15), 73%(8/15), 87%(13/15)로 대조군의 0%(0/15), 13%(2/15), 47%(7/15)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 dexamethasone 근주군에서는 치료후 24시간에만 60%(6/10)로 대조군의 13%(2/15)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4) 입원기간과 48시간이전에 퇴원한 환아의 비율은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중등도 크룹의 급성기에 budesonide 흡입과 dexamethasone 근주의 치료는 상기도 폐색을 신속하게 완화시켰으며 특히 budesonide 흡입치료의 보다 신속한 효과는 임상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effect of nebulized budesonide and intramuscular dexamethasone in relieving laryngeal obstruction of croup. Methods : Forty patients with moderate croup (croup scores of 3 to 7 out of 17) were randomly assigned to budesonide group [1 ㎎(2 ml) of nebulized budesonide, N=15], dexamethasone group [intramuscular dexamethasone(0.5 ㎎/㎏) and nebulized saline, N=10] and control group(2 ml of nebulized saline, N=15). The changes of croup scores, heart rate, respiratory rate, and arterial oxygen saturation(SaO_2) were observed at post-treatment of 12, 24, 36 and 48 hours. The duration of admission and the rates of improvement to the croup score of ≤1 at the post-treatments were compared. Results :Croup scores at 12, 24 and 36 hours post treatments were 1.7±0.8, 1.1±0.7 and 0.8±0.7 in budesonide group and 2.2±0.7, 1.2±0.8 and 1.0±0.5 in dexamethasone group,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3.4±0.9, 2.8±0.9 and 1.7±0.8, the scores for group (P<0.05). Heart rate, respiratory rate, and SaO_2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Improved rates to croup score of ≤1 in budesonide group at post-treatments of 12, 24, and 36 hours were 53%, 73% and 87%,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0%, 13% and 47% in control group(P<0.05). Improved rate to croup score of ≤1 in dexamethasone group was 60%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13% in control group only at posttreatment of 24 hours(P<0.05). Conclusion : Nebulized budesonide and intramuscular dexamethasone are both effective in reducing obstruct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moderate croup. The effect of nebulized budesonide was more rapid than that of intramuscular dexamethas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