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LC-MS/MS를 이용한 축산물 중 농약 분석법 검증 및 기기분석법 확립

        김병준 ( Byung Joon Kim ),이종화 ( Jonghwa Lee ),신용호,이정학 ( Junghak Lee ),고락도 ( Rockdo Go ),김정한 ( Jeong-ha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8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8 No.-

        2017년 축산물에서의 살충제 사용관련에 대한 보도로 인해 농약사용관리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졌다. 이에 대하여 살충제 사용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축산물 5종(소, 돼지, 닭, 우유, 알)에 대한 nereistoxin, spinosad에 대한 분석법 검증과 농약 18성분에 대한 동시 다성분 기기분석법개발을 LC-MS/MS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Nereistoxin은 축산물 5종에서 3수준 5반복으로 분석법 검증을 수행하였고 spinosad(spinosyn A, spinosyn D)는 소고기, 돼지고기, 우유는 4수준 5반복, 닭지방은 2수준 5반복, 알은 3수준 5반복으로 진행하였다. Nereistoxin, spinosad는 축산물 5종 모든 수준에서 회수율 70-120%, 변이계수 20%이하를 만족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18종 농약에 대해 LC-MS/MS를 사용하여 축산물 5종에 대한 분석법 개발을 진행하였다. 사용한 기기는 Shimadzu UPLC LC-MS/MS 8060이고 컬럼은 Kinetex 2.6u C18, 100 x 2.10 mm을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water+0.1% formic acid+5mM ammonium formate와 MeOH+0.1% formic acid+5mM ammonium formate를 사용하였다. MRM(multiple reaction monitoring) 조건 확립을 하고자 scan을 통해 precursor ion 설정하였다. 확립된 precursor ion을 바탕으로 optimization을 통해 product ion scan을 진행하여 quantifier ion과 qualifier ion을 확립하였다. 확립된 MRM조건으로 기기상의 LOQ(limit of quantitation)과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대다수의 농약성분에서 1 ㎍/L의 LOQ를 나타내었고 0.99 이상의 직선성을 보였다.

      • KCI우수등재

        秦漢帝國의 이민족 지배

        김병준(Kim, Byung-joon) 역사학회 2013 역사학보 Vol.0 No.217

        In Qin-Han Empire, there were two kinds of borders. One was an outer border which distinguished the Qin-Han from other hostile enemy states. The other was an inner border, where the native barbarians had lived without being subjugated into the empire. In this sense, we should not confuse the barbarians already under Han’s control with the others residing beyond the outer and inner borders. Many previous studies have made claims for the loosened control against barbarians along the vithin the empire borders, and the main evidences of their argument rested on the “Section Defender” and “Defender of the Dependent State”. Therefore this paper re-examins these two institutions based on newly discovered wooden slips. “Section Defender” was a just another kind of “Defender”. It was not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all the matters related with the barbarian sections. At the same time, barbarians under the Section Defender were incorporated and registered in the prefecture along with other Han Chinese. “Defender of the Dependent State” was not a civil institution which controlled the surrendered barbarians, but was instead a military institution. While the surrendered barbarians had been sanctioned to keep their nomadic life and constitute their own community with their chiefs(Dependent State), but the prefecture also imposed levies and corvee requirements upon them, by the Defender of the Dependent State for military conscription.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사마천(司馬遷)의 비판적 『論語』 읽기와 그 서사 ― 學而篇 ‘有子曰’의 사례

        金秉駿 ( Kim Byung-joo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2 大東文化硏究 Vol.117 No.-

        『논어』의 첫 번째 편인 학이편에는 ‘有子曰’로 시작되는 내용이 세 차례 등장한다. 과거 공자의 제자인 유자 즉 유약의 말로 간단히 간주해 왔지만, 그러기에는 여러 가지 의문이 남는다. 특히 유자라는 인물과 관련해 전해지는 전국시대에서 한대에 이르는 자료를 참조하면 그 의문은 더욱 증폭된다. 필자는 먼저 통가자의 분화 과정에서 ‘有子曰’이 ‘又子曰’로 이해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어법상의 문제가 남기는 하지만, 한대의 名儒들조차 ‘有子曰’을 ‘孔子曰’로 읽었다면 그 가능성은 여전히 유효하다. 그러나 결국 현행본과 같이 ‘有子曰’로 정착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은 당시 적지 않은 자들이 이를 有子의 이야기로 받아들였다는 것도 분명하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사기』 「중니제자열전」에서 사마천이 선택한 서사 방식이 매우 흥미롭다. (1)有子를 공자의 제자 열전 중 맨 뒤편에 배치할 뿐 아니라 字를 누락하는 방식으로 ‘有子曰’에 대한 의심을 드러내었다. (2)하지만 일단 『논어』에 ‘有子曰’이라고 기록되었고 이를 당시 적지 않은 사람이 공자가 아니라 有若의 말로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소개했다. (3)그렇다고 이를 도저히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려웠기 때문에 반증을 제시하며 그 자료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사마천도 ‘有子曰’을 ‘又子曰’로 읽거나 또 한대 유가들과 마찬가지로 ‘有子曰’을 ‘孔子曰’로 읽었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사마천은 ‘有子曰’로 읽는 당시 주류의 독법을 일방적으로 부정하지 않았다. 그 대신 그는 일단 당시 유행했던 독법을 소개한 뒤 그것의 신뢰성에 강한 의문을 던지는 방식을 사용했다. In the first chapter of the Lun yu 論語 (“Analects”), the phrase you zi yue 有子曰 appears three times. The two graphs you zi 有子have traditionally been interpreted as being an honorific moniker (i.e., Youzi or “Master You”) of an individual named You Ruo 有若, who is listed in historical sources as being a disciple of Confucius. However, questions remain. These are amplified by records about the historical figure You Ruo from sources spanning from the Warring States (465-221 B.C.E.) to the Han (206 B.C.E.-25 C.E.) period. In this article, I first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phrase written as you zi yue 有子曰 (trad. read as “Master You stated…”) was understood as being you zi yue 又子曰 (“The Master further stated…”) in Warring States, Qin, and early Han manuscript culture where the use of variant graphs was common. Although I admit this reading is somewhat problematic grammatically, the possibility is nevertheless a likely one, especially considering that Han dynasty scholars read the phrase you zi yue 有子曰 (trad. read as “Master You stated…”) as Kong zi yue 孔子曰 (“Master Kong stated…”). However, it is also clear that many at the time believed that these two graphs referred to the disciple Youzi 有子, and so scholars had no choice but to settle on a reading of them as you zi yue 有子曰 (“Master You stated…”). In analyzing this process of interpretation, Sima Qian’s 司馬遷 (145-86 B.C.E.) narrative method that informs his Shi ji 史記 (“Records of the Historian”) is very relevant. Three crucial points emerge: (1) Sima Qian’s mention of Youzi is placed near the end of the biographies of Confucius’ disciples, and his doubts about the putative figure of Youzi can be inferred from his demurring to identify the historical figure You Ruo 有若with the honorific moniker Youzi 有子. (2) There was certainty that the phrase you zi yue 有子曰 appeared in the Lun yu, and many people at the time understood the two graphs as referring to Youzi rather than Confucius, and so Sima Qian introduced the figure of this disciple as such. (3) Sima Qian presented evidence that was difficult to accept and raised questions about the historical record. It is highly likely that Simaqian read you zi yue 有子曰 (trad. “Master You stated…”) as you zi yue 又子曰 (“The Master further stated…”) or as Kong zi yue 孔子曰 (“The Master further stated…”) like other Han dynasty scholars. Despite his skepticism, Sima Qian did not unilaterally deny the mainstream reading of the phrase at the time (which was to read the phrase as referring to Youzi). Instead, he introduced the reading that was popular at the time and applied his method of historical inquiry to question its credibility.

      • KCI등재

        신생아의 구순열, 구개열의 발생빈도 및 발생요인에 관한 통계적 연구

        김병준(Byung Joon Kim),윤중호(Jung Ho Yoon)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1987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13 No.2

        In terms of frequency, cleft lip and cleft palate rank high on the list of congenital deformities. Unfortunately, little is known regarding the etiology of these malformation, and there is even disagreement as to their frequency of occurrence and relationship to such elements as hered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order to attempt adding the statistical data on the incidence of this malformation and shedding some light on the related factors, we studied 123 cleft babies who were born at the 18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during the past 6 years from 1981 to 1986.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123 babies of cleft lip and/or palate born among 149191 deliveries, and clefts birth rate was 1213:1. 2. The cleft lip birth rate was 4813: 1, cleft palate birth rate was 4263: 1, cleft lip and palate birth rate was 2617: 1. 3. In general, males were affected about 1.5 times more than females. In cleft lip, cleft lip and palate, males were affected 3 and 1.5 times respectively than females but in cleft palate, females were affected 2 times than male. 4. Cleft birth rate by incidence of year of birth, month, parity and maternal a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5. The incidence of prenatal history during the first trimester was reported on the 21 babies (17.7%) and disease was 4 case, medication was 21 case. 6. The number of associated anomalies were found on the 19 babies (15.4%). 7. Presenting positive family history of cleft patient was ony 3 case and 2.4% of total numbers. 8. Full term pregnancy was reported as 79.4% and prematurity was 17%, simultaneous prematurity and associated anomalies were reported 7 case, cleft lip and palate was 5 case, cleft palate was 2 case.

      • KCI등재
      • 사마천은 왜 책을 덮었을까?: 『사기』 권74 맹자순경열전의 서사 분석

        김병준(Kim Byung-joon)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2021 東亞文化 Vol.59 No.-

        오래된 사회적 통념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텍스트를 총체적으로 오독하는 경우가 있다. 『사기』 맹자순경열전이 이에 해당한다. 공자, 맹자, 순자로 이어지는 성현의 주장과 행동의 무오류성을 믿었던 전통시대 학인뿐만 아니라 작금의 연구자들도 혼탁한 세상과 어리석은 군주에게 아부하며 억지로 영합하려고 하지 않고 자신의 고귀한 이상을 지켜내는 것을 지식인의 이상이라고 간주해 왔다. 天道를 고민하였던 사마천도 예외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그래서 〈맹자순경열전〉의 내용도 응당 여기에서 벗어나지 않았을 것이라 보았다. 더구나 열전의 앞에 배치된 〈태사공왈 〉에서 맹자의 주장을 적극 동의하고 있기 때문에 오해는 더욱 깊어졌다. 본고는 사마천이 〈태사공왈〉과 본문 사이에 의도적 사고 전환을 요구하는 방법으로 ‘책을 덮는다’는 표현을 사용했다는 것, 이어서 본문에서는 〈태사공왈〉에서와는 달리 공자와 맹자에 대한 강한 문제 제기와 그에 대한 사마천 본인의 생각을 전개해 나갔다는 것을 논증함으로써 종래의 오독을 바로잡고자 했다. 이렇게 이해해야 비로소 본문 속 다기로운 인물과 분절적 설명을 정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사기』 본문 속에 충분한 설명이 많이 생략되었기 때문에 충분히 그 의도가 전달되지 않았던 것이라는 판단 하에, 필자 나름대로 사마천의 목소리를 재구성해서 본문 전체를 번역해 보았다.

      • KCI등재

        ‘시각 문서’에서 ‘시각 석비’로

        김병준(Kim, Byung-joon) 한국목간학회 2017 목간과 문자 Vol.0 No.18

        석비는 후한시기에 기본적 외관을 갖추게 되는데, 이때 석비는 서사매체로서 당시 가장 중요한 서사매체인 목간의 형태를 본따 외관이 갖추어지게 되었다. 가장 대표적 ‘視覺 文書’인 표찰 목간의 형태를 본따게 되었는데, 문서의 제목 및 간략한 내용이 적혔던 표찰 목간과 석비의 비문이 동일한 기능을 가졌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표찰 목간은 윗부분에 둥그런 모양을 하고 그 둥그런 부분에 그물망과 같은 사선 격자문양을 칠하며 끈을 묶는 구멍이 뚫려 있는데, 석비는 이를 따라 윗부분에 비수를 만들고 그 비수에 暈紋이나 龍虎 등의 장식을 하고 둥그런 비천을 題額 아래에 뚫게 되었다. 한편 맹서문에 신령이 강림할 수 있도록 규형이 사용되었던 서사 전통을 이어, 석비의 비수도 비문의 내용을 다짐하고 약속하는 맹서의 의식을 위해 신령의 강림을 뜻하는 규형이 유행하게 되었다. 또한 중대한 일을 대중에게 공개적으로 게시함으로써 권위를 높이려는 석주형 사면비도 건립되었다. 이처럼 석비는 서사재료로서의 기능이 먼저 고려되어 ‘시각 목간’의 형태를 계승하며 석비의 기본적 외관이 결정되었다. 그런데 석비 중에서도 묘주의 升仙을 희구하는 묘비가 특히 유행하면서 그에 적합한 장식적 요소가 다시 추가되었다. 사후에 龍舟를 타고 천상의 세계로 승선하는 관념을 묘비에 표현하였다. 비수는 하늘의 세계로, 비좌는 지하의 세계, 그리고 비천은 생명의 상징인 옥벽으로 비정되었던 것이다. 석비의 외관은 목간이 갖고 있는 시각적 효과를 그대로 계승하였을 뿐 아니라, 승선이라는 관념까지를 담기까지 이르렀다. 이 점에서 ‘시각 목간’을 이은 ‘시각 석비’가 탄생했다고 할 수 있겠다. 집안고구려비와 광개토왕비는 이러한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시각 석각’ 문화 위에서 선택되었다. 왕릉 옆에 세울 석비였기에 더욱 더 석비의 목적에 적합한 석비의 형태를 고려하고 신중히 선택했을 것이다. 집안고구려비는 석비에 신령이 강림할 수 있도록 圭形 비수가 선택되었으며, 광개토왕비는 중요한 敎令을 많은 사람에게 게시함으로써 왕의 권위를 높이고 시행 효과도 증진시키기 위해 석주형 사면비가 선택되었다. 즉 후한 이래 석비문화를 숙지하고 있었던 고구려가 자신의 필요에 의해 碑形을 선택적으로 수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Stele had developed its shape since the first part of Later Han period. Its shape modeled the wooden slips as a medium to be written. More specifically, the tally wooden slips known for ‘visual wooden slips’ were taken as the model, because both share same features in terms of contents and function, such as writing the title or summary on the surface. The tally wooden slips had a round top, in which reticular pattern was filled and a hole was perforated for the sake of binding with other wooden slips or the basket. Accordingly, the stele made its top round, decorated with dragons and tigers or mysterious mountains, hole-perforated under the stele title. Triangular-shaped top was also taken into the stele, which modeled after the triangular-shaped wooden slip. This shape was thought to mean the descent of the holy spirit for the purpose of oath. In addition to these, four-sided rectangular stone pillar was followed after the four-sided or many-folded wooden slips, both of which were used to post in front of many people for the strengthening the prestige of the emperor. At the same time, more decorations were added in the memory of the deceased. The decorations of the top part meant the heaven, the low part meant the underground world, while the perforated hole was taken as the symbol of life. All these visual decorations could be named as ‘visual stele’, which succeeded to the ‘visual wooden slips’. Jian Goguryo stele and King Gwanggaeto stele were selected to maximize these visual effects. These were very carefully reviewed by the Goguryo people because it would be erected by the king’s mausoleum. Jian Goguryo stele took triangular-shaped top for the purpose of the descent of holy spirit. King Gwanggaeto stele was taken to highlight the prestige of the king and increase the effect of the edict, In sum, Goguryo had fully understood the stele culture prevailing in East Asia and selected the shapes of the stelae which fit its political purpose, which developed to be its own culture.

      • KCI등재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 거리를 고려한 클러스터 헤드 선택 알고리즘

        김병준(Byung-Joon Kim),유상신(Sang-Shin Yoo)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8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3 No.4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적용이 가능하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그 특성상 한 번 배포되면 배터리의 교환이 어렵기 때문에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에너지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소비는 전송거리와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에 비례한다. LEACH-C와 같은 클러스터 기반 라우팅 기법들은 센서 노드들의 클러스터링을 통하여 데이터 전달 거리를 최소화시킴으로서 에너지의 효율성을 얻는다. 하지만 LEACH-C에서는 클러스터링을 구성할 때 클러스터 구성 노드들의 거리 총합만을 고려한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사용에 큰 영향을 미치는 기지국과 클러스터 헤드간의 거리를 고려한 클러스터 헤드 선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LEACH-C에 비해 기지국의 위치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을 경우 평균 4~7%의 성능 향상 결과를 제공하였다. 이 결과는 클러스터 기반 라우팅 알고리즘에서 클러스터 헤드와 기지국간의 거리를 고려하는 것이 라이프타임 성능 측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Wireless sensor network technologies applicable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are rapidly growing. Because it is difficult to change a battery for the once distributed wireless sensor network, energy efficient design is very critical.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in network design,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examining the energy efficient routing protocol. The sensor network consumes energy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of data transmission and the data to send. Cluster-based routing protocols such as LEACH-C achieve energy efficiency through minimizing the distance of data transmission. In LEACH-C, however, the total distance between the nodes consisting the clusters are considered important in constructing clustering. This paper examines the cluster-head-selection-algorithm that reflect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cluster-head having a big influence on energy consumption. The proposed method in this paper brought the result that the performance improved average 4~7% when LEACH-C and the base station are located beyond a certain distance. This result showed that the distance between cluster-head and the base station had a substantial influence on lifetime performance in the cluster-based routing protoc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