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위상 기반 사차원전산화단층촬영과 진폭 기반 사차원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의 위상차 평가

        이소향,박수연,김종식,최병기,박희철,정상훈,Lee, So Hyang,Park, Soo Yeon,Kim, Jong Sik,Choi, Byung Ki,Park, Hee Chul,Jung, Sang Hoon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5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7 No.1

        목 적 : 본 연구는 위상 기반 방식으로 배열 된 사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4DCT, 4-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를 이용하여 진폭 기반 방식으로의 재구성 하였을 때의 위상 차이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5년 02월부터 03월 까지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를 받은 간암 환자 10명의 사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을 대상으로 분석 하였다. RPM respiratory gating (RPM 1.7.5, Varian, USA)장치를 이용하여 위상 기반 배열 방식의 호흡주기별 영상을 획득 하였으며, 획득된 호흡 주기별 영상은 치료계획시스템(Pinnacle 9.2, Philips, USA)을 이용하여 호흡주기별 복부의 움직임 값을 측정하였다. 최대 호기(50%)와 최대 흡기(0%)에서의 복부 움직임을 진폭으로 하여 10개 위상의 진폭 기반 호흡위상을 재구성하고, 이를 위상 기반 사차원영상촬영영상의 호흡 위상과 비교하였다. 결 과 : 위상 기반 및 진폭 기반 사차원단층촬영영상으로 재구성한 영상에서의 위상 차이는 최대 30% 호흡위상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30% 호흡 위상에서 평균 0.13 cm (최대 0.24 cm)의 위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고, 동일 측정 점 위치가 가지는 위상차는 30% 위상에서 평균 8.7%(최대 16.5%)의 위상차를 확인하였다. 전체 호흡 구간에서 평균 위치 차이는 0.4 cm, 평균 위상 차이는 13.0% 임을 확인하였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는 위상 기반 방식으로 배열된 4DCT 영상을 진폭 기반 방식으로의 변환하였을 때 계산 값과 실측값을 분석한 결과 최대 16.5% 의 위상차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Purpose : Under the assumption of change to the amplitude based sorting, the study will use four 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imaging (4DCT) arrayed using the phase based sorting to analyze the respiratory phase difference. Materials and Methods : The study analyzed the 4DCT (4-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images of 10 liver cancer patients that were treated with respiratory gated radiotherapy from 2015 February to March. Using RPM respiratory gating (RPM 1.7.5, Varian, USA) equipment, imaging according to respiratory cycle of phase based sorting was acquired and using a treatment planning system (Pinnacle 9.2, Philips, USA) the acquired imaging according to respiratory cycle was used to measure the abdominal movement value by respiratory cycle. The measuring point was the point where the center point of the Marker Block and the body surface met in the 50% phase image and here the coordinate values Lateral, Vertical, Longitudinal (X, Y, Z) were set as reference points, and on the X, Z plane identical to the reference point, using the identical method the Y axis coordinate value of each 0%, 30%, 40%, 50%, 60%, 80% phase images were acquired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variation of distance to the Y axis. The abdominal movement value according to respiration was applied to the theoretical model that the value decreases linearly from maximum inhalation to maximum exhalation to divide the variation of my value to predict as amplitude value by respiratory cycle and conversely the variation in amplitude was recalculated with the phase variation deviation value to analyze. Results : The deviation value between expected value and actual location was the largest in the 30% phase with 0.24 cm, and standard deviation was also the largest in 30% phase with 0.13 cm. The effective value of the deviation value derived from the average of the deviation squared value of each patient appeared as minimum 0.7 cm, maximum 0.18 cm, average 0.12 cm, and standard deviation 0.4 cm. Also by dividing the actual movement distance value with the peak expiration value then converting it into %Phase, the deviation value with actual phase 16.5% in 30% phase, 10.0% and 40% phase, 10.0% and 60% phase, 15.4% and 80% phase, and overall average about 13%, and arraying based on amplitude, phase shift occurred and further it was from peak expiration the chance of deviation occurrence was increasingly measured.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value acquired based on theoretical model and actual value. Therefore in respiratory gated radiotherapy using external surrogates, there needs to be establishment of respiration gated radiation system that avoids the combination of two Sorting methods considering that there will be occurrence of treatment and corresponding clinical differences due to the phase difference that occur due to the Amplitude based Phase Sorting.

      • KCI등재

        악관절의 관절원판 천공시 악관절조영사진과 자기공명영상소견의 비교

        김준배(Joon Bae Kim),이소향(So Hyang Lee),배정수(Jung Soo Bae)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1996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2 No.3

        Disc perforation is an advanced form of the internal derangement of the TMJ. Perforation may results from the extensive deformation or deterioration caused by the macrotrauma and microtrauma. We used both methods, arthrogram and MRI, and combined the imaginary data for the correct diagnosis of the disc perforation. Sometimes these findings were helpful to decide the surgical procedures and to find out the site of perforation. We experienced some cases of TMJ disc perforation, and tried to find out the specific signs on arthrogram and MRI supporting the nature or site of perforation. 1. Arthrogram was superior in the diagnosis of the TMJ disc perforation itself. 2. Morphologic changes, disc displacements and suspectable signs of disc perforation were more clearly observed in MRI. 3. MR findings such as severe disc displacement, disc deformation(shortened, folded, or separated disc), retrodiscal thinning, joint space narrowing and bony erosion on the eminence and condyle head may be the signs of disc perforation. 4. In the clinical point of view, long history of trauma, crepitus and long-standing joint pain may suggest TMJ disc perforation. 5. For the accurate diagnosis and proper treatment planning, the use of both arthrogram and MRI is needed.

      • 측두하악관절원판변위 환자에서 나타나는 측방횡두개방사선사진상의 과두위치에 대한 평가

        이소향 慶北大學校 齒科大學 1997 慶北齒大論文集 Vol.14 No.-

        저자는 1996년 4월 1997년 9월 사이에 경북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측두하악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20대 여자 환자들중 자기공명 영상사진상의 소견에 의해 관절원판변위로 진단되 74관절과 관절원판변위가 없이 정상적인 관절원판-과두 복합체의 관계를 나타내는 16관절을 대상으로 촬영된 측방횡두개방사선사진을 대상으로 관절와에 대한 하악과두의 위치를 분석하였으며,그 결과를 각 진단아군별로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1.페구위에서 전관절강폭과 상관절강폭은 정상군과 정복성 및 비정복성 관절원판전방변위 환자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후관절강폭은 정복성 환자군에서 비정복성 환자군보다 상당히 감소되어 있었다.2.폐구위에서 후관절강폭에 대한 전관절강폭의 비도 정복성 환자군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이에 비해 정산군에서는 약 1로 나타나 하악과두가 거의 관절와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반면 비정복성 환자군에서는 정산군에 비해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폐구위 상태에서 관절와내에서 하악과두의 전후방 위치관계에 대한 분포를 보면 정상군에서는 중립위가 가장 많았고,정복성 환자군에서는 후방위가 가장 많았다.4.측방횡두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관절와와 하악과두의 동심성을 평가한 결과 정상군과 정복성 환자군 및 비정복성 환자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