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실내 공간으로의 식물 도입 기법 연구 - 해외 성공 사례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Techniques for the Introduction of Indoor Plants -Focused on successful foreign case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928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외부 자연환경이 아닌 구축 공간 내부에서 90%이상의 시간을 소비하고 있는 현대인들은 인위적인 환경이 인간 삶의 기본 환경으로 완전히 대체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다...

      (연구배경 및 목적) 외부 자연환경이 아닌 구축 공간 내부에서 90%이상의 시간을 소비하고 있는 현대인들은 인위적인 환경이 인간 삶의 기본 환경으로 완전히 대체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다양한 분야에서 실내 공간의 질적 향상에 대한 문제가 언급되는 가운데 특히 공간디자이너의 입장에서는 질 높은 공간 구성을 위한 한 단계 다른 차원의 공간디자인 요소에 대한 고민이 불가피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국내보다 국외에서 더욱 활발하게 실천되고 있다 판단되는 실내 식물 도입의 다양한 기법들에 주목하였다. 본고는 실내 식물 도입의 대표적 성공 사례들을 중심으로 그 기법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여 실내조경 차원에 머물러 있는 한국의 실내 식물 도입을 디자이너가 주도하는 공간디자인의 방법적 요소로 접근하기 위한 준거점 생성을 그 목표로 한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다양한 실내 식물 도입 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열어 지속 가능한 도심 속 실내 공간 디자인을 유도한다. (연구방법) 먼저 국내외 건축, 실내디자인, 조경, 원예 분야 등의 학위 및 학술 논문과 단행본 서적 등의 문헌연구를 통해 실내 식물 도입에 대한 개념, 역사, 기능, 효과 등을 고찰하여 공간디자이너가 실내로 식물을 적극 도입해야 하는 이유를 명확히 했다. 그리고 식물의 실내 도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유럽, 미국, 동남아시아 등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를 통한 기법 분류와 분석을 연구의 중점적인 내용으로 다루었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헌을 통해 실내 식물 도입의 기능을 4가지, 즉 장식적 기능, 심리적 기능, 환경적 기능, 구조적 기능으로 도출하였고 환경적 효과와 심리적 효과를 중점적으로 언급하여 그 필요성을 입증하였다. 공간디자인의 한 요소로 적극 사용되고 있는 식물 도입 기법에 관한 국외 사례는 먼저 두 가지 기준을 가지고 분류할 수 있었다. 하나는 도입 위치에 따른 분류이며 다른 하나는 유지 방법에 따른 분류다. 먼저 위치를 기준으로 한 분류는 전이공간을 활용한 실내 공간으로의 간접 도입 유형과 내부 공간으로의 직접 도입 유형으로 나뉘었으며 직접 도입 유형은 그 상세 기법을 다시 a. Vertical garden(수직정원), b. Hanging Planter(매다는 화분), c. With Furniture(가구 일체형)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유지 방법을 기준으로 한 유형 분류는 식물 안정화 처리 유무에 따라 식물 안정화 (plants stabilization)와 비안정화 (non-stabilization of plants)로 나누어 분류하였고 비안정화시 필요한 뿌리 기반 재료인 흙, 수태, 펠트 각각의 독립사용과 혼합사용에 대해서도 정리하였다. (결론) 실내에 식물 들이기가 국내보다는 국외에서 더욱 다양하게 진행될 수 있었던 이유는 기법의 차이 때문이다. 특히 프랑스와 미국에서는 흙을 대체해 수태와 펠트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는 미생물 번식, 무게로 인한 디자인적 제한 등 흙이 가진 한계점을 극복하게 한 주요 변수였다. 또한 프랑스의 경우 빛, 물, 유지 관리 없이도 7-10년을 유지할 수 있는 식물 안정화 기법의 활용으로 식물을 실내로 들이는 기법 구현에서 한층 더 자유로운 조형적 변화가 가능했고 이는 그에 따른 새로운 공간 디자인 가능성으로 이어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People in modern society (spending more than 90% of their time in indoor/building spaces, rather than outdoor/natural environments) live in an era when an artificial environment is their basic environment. While various discip...

      (Background and Purpose) People in modern society (spending more than 90% of their time in indoor/building spaces, rather than outdoor/natural environments) live in an era when an artificial environment is their basic environment. While various disciplines tackle how to improve the quality of indoor space, spatial designers should think about another dimension of how spatial design elements can offer high-quality space. This paper investigates various techniques to introduce indoor plants, by classifying and analyzing different techniques from representative success cases. It aims to provide a reference for spatial designers to actively consider indoor plants as a methodological element of space design, because indoor plants have been considered as a means for indoor landscape in a passive manner. We hope that this paper will create a new opportunity for using indoor plants for sustainable indoor urban areas. (Metho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oncept, history, function, and effects of introducing of indoor plants. Sources ranging from academic papers and dissertations, to journal papers, to books in the disciplines of architecture, interior design, landscaping, and horticulture, will be utilized to specify why spatial designers should consider the adoption of indoor plants. Then, different indoor planting techniques are analyzed and classified from a few successful cases in Europe, USA, and Southeast Asia, where indoor planting is active. (Results) This study derives four functions of the introduction of indoor plants: decorative, psychological, environmental, and structural functions, from an in-depth literature review, and proves its necessity with two effects,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Also, it classifies a set of foreign cases for introducing indoor plants (utilizing indoor plants as a spatial design element) by two criteria: where to introduce and how to maintain. In detail, the classification by location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an indirect introduction using transition space and a direct introduction into interior space. The direct introduction type is classified by vertical gardens, hanging planters, and furniture-integration. The classification by maintenance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plants stabilization and non-stabilization. This paper further provides a summary on individual and mixed usages of soil, conception, and felt, which are the root-based materials required for non-stabilization. (Conclusions) The main reason foreign countries implemented indoor plants more frequently is related to the technologies they use. Particularly, the active use of sphagnum moss and felt in France and USA is major success point in overcoming key limitations of soil, e.g., microbial propagation and design-related challenges due to its weight. Also, in France, the active use of plant stabilization techniques (sustaining plants for 7-10 years without light and water) has allowed freer formative changes in planting indoor plants, which eventually allowed a possibility of new spatial desig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항섭, "현대건축의 전이공간에 관한 연구 - 공간과 공간의 사이영역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1 (11): 29-41, 2012

      2 최은미, "치유환경 요소로써의 실내조경 디자인 표현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대형종합병원 중앙대기홀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12

      3 김지현, "우리나라 실내조경의 경향과 공간적용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3

      4 권계정, "실내녹화 방법이 온․습도 및 미세먼지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 45 (45): 1-10, 2017

      5 이해일, "서울시 아파트내 실내식물과 시민의 행복지수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0

      6 Ministry of Environment, "Study o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plan" Ministry of Environment 1999

      7 Hideo, Imanishi,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Ornamental Plants" 22 (22): 23-24, 2004

      8 Seo, Jeongnam, "Living & horticulture" Buminmunhwa Publishing 2007

      9 Lee, Jongseok, "Interior landscape" Jogyeong 1993

      10 Esther M. Sternberg, "Healing spaces : the science of place and well-being/Sternberg" The Quest Publishing 2013

      1 박항섭, "현대건축의 전이공간에 관한 연구 - 공간과 공간의 사이영역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1 (11): 29-41, 2012

      2 최은미, "치유환경 요소로써의 실내조경 디자인 표현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대형종합병원 중앙대기홀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12

      3 김지현, "우리나라 실내조경의 경향과 공간적용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3

      4 권계정, "실내녹화 방법이 온․습도 및 미세먼지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 45 (45): 1-10, 2017

      5 이해일, "서울시 아파트내 실내식물과 시민의 행복지수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0

      6 Ministry of Environment, "Study o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plan" Ministry of Environment 1999

      7 Hideo, Imanishi,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Ornamental Plants" 22 (22): 23-24, 2004

      8 Seo, Jeongnam, "Living & horticulture" Buminmunhwa Publishing 2007

      9 Lee, Jongseok, "Interior landscape" Jogyeong 1993

      10 Esther M. Sternberg, "Healing spaces : the science of place and well-being/Sternberg" The Quest Publishing 2013

      11 Lee, Yoen Sook, "Future space and Design" Yonsei University Press 2005

      12 Wolverton, B.C., "Eco-friendly house plants" Joongang Life Publishing Co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69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