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교사의 자기수업컨설팅 경험 및 의미: 수업분위기 중심으로

        최고은(Choi Go Eun),이미자(Lee Mi Jar)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수업분위기 중심으로 자기수업컨설팅을 실시하는 과정의 경험과 이러한 자기수업컨설팅 경험이 교사에게 주는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G시 G초등학교 2학년 1개 학급의 국어과 수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연구자는 자신의 수업 속 문제점 및 고민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실의 수업분위기를 살펴보기로 하였다. 2회의 수업을 촬영하고, 수업동영상을 보며 수업분위기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학급의 수업분위를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생각하여 이를 3, 4차 수업에 적용하였다. 3, 4차 수업 또한 같은 방식으로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5차 수업에 적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교사의 성찰 일지와 학생 설문을 활용하여 더욱 심층적인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 수업컨설팅 단계별로 다음과 같은 경험을 하였다. 되돌아보기 단계에서 교사는 자신의 수업분위기 상황을 직면하고 무엇이 개선되어야 하는지 방향을 탐색할 수 있었다. 들여다보기 단계에서는 교사가 수업분위기 관련 수업행동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개선 위한 구체적 방안들을 계획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새로운 경험하기 단계를 통해 개선안을 적용하며 수업분위기를 실제로 개선해나갈 수 있었다. 이러한 자기수업컨설팅 과정을 통해 실제적인 수업분위기 개선을 이끌어냄으로써 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고 또한 객관적으로 자신의 수업 행동을 파악하고 그 변화를 관찰함으로 교사의 수업에 대한 자기효능감 또한 높아지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process of self-study consulting using the class-atmosphere analysis tool and the meaning of self-study consulting experience to teachers.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Korean language class in one class of 2nd grade in G elementary school. First, the researcher identified problems and concerns in her class. Based on this, the school decided to examine the classroom atmosphere. The class division was analyzed using tools for analyzing class crisis while filming two classes and watching a video clip.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mprovement measures were considered and applied to the third and fourth classes. The third and fourth classes were also analyzed in the same way and improvements were applied to the fifth class. Further analysis was made using the teacher s reflection log and the student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experiences were experienced for each phase of self-class consulting. During the review phase, the teacher was able to face his class-crisis situation and navigate in the direction of what needs to be improved. In the step of looking into the classroom crisis, teachers were able to objectively identify classroom behavior and plan specific measures to improve it. And through the new experience phase, we were able to actually improve the class atmosphere by applying improvements. Through this process of self-class consulting, it helped improve the teacher s teaching expertise by lead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actual class divide, and by objectively understanding his or her classroom behavior and observing the changes, the teacher s self-efficacy in his or her classes was also enhanced.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ICT 활용교육'과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연계성 및 개선방안 연구 : 초등교사 인식중심으로

        이미자,송지은 한국초등교육학회 2002 초등교육연구 Vol.15 No.1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은 최근까지 5, 6 학년 대상으로 컴퓨터 소양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7차 교육과정에서는, 지금까지의 컴퓨터 소양교육 중심에서 벗어나 교수 학습 과정에 컴퓨터 활용교육을 더욱 강조한다. 이러한 교육방침에 따라 7차 교육과정은 2001년부터 초등학교 모든 국민기본공통과목 교수 학습 과정에 10% 이상 'ICT활용교육'을 필수화하였다. 따라서 초등교사를 양성하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은 이러한 초등교육과정 변화와 이에 따른 초등학교 현장의 요구를 분석하고 이를 충실히 반영한 교육과정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ICT활용교육 필수화에 따른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실제 초등학교 현장 교사들 중심으로 ICT활용교육 실태를 조사하고, 또한 이러한 초등 ICT활용교육 변화와 교육대학교 교육과점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 경기도 지역에서 무선표집된 초등교사 316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SAS 프로그램으로 각 문항별 빈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선 초등교사들이 ICT활용교육의 필요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ICT활용교육 방법에 대한 이해가 매우 부족하였고 이에 따른 교사들의 ICT 활용 능력 함양이 중요한 과제로 지적되었다. 또한 ICT활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현장과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연계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교육대학교 ICT 관련교육은 ICT소양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교수 학습과정에서의 ICT활용교육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초등학교 ICT활용교육과 교육대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ICT활용교육에 대한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개선을 위해 무엇보다 다양한 ICT활용 교수 학습방법에 관한 교육내용을 강화 또는 이러한 과목을 신설하여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Until recently, elementary school computer education had been implemented as computer literacy education for 5th - 6th children. According to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computer education is extended from computer literacy education to computer application education in classroom.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mposes that it is mandatory for teachers to implemen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for at least 10% of instructional process for all of the fundamental curriculum subj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to make change the curriculum in order to prepare students to have appropriate ability adapting the computer education policy change in elementary school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been implementing the ICT application education, to evaluate the relevancy of the curriculum of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for ICT application education, and to provide curriculum improvement strategies for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316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34 different schools located in Seoul, Gwangju, and Kyunggi province. The participants have less than 5 years teaching experiences after graduating from one of the 11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earch tool was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for the study. This study used SAS program to analyze the data. The frequency of each questionnaire items was analyzed and the variance among subjects groups was analyzed using for x^2 for a few selective survey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think the ICT Application Education is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for elementary education in 21st century information age. However, they have lack of ability to implement ICT Application Education in classroom instructional process. Second,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relevancy between elementary school ICT application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of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is relatively low. The curriculum of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emphasizes mainly ICT literacy education, but rarely ICT application education yet. Third, most teachers suggested that the curriculum in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should include th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ICT Application Education.

      • 대학 수업개선을 위한 강의매체 선택기준과 활용방법

        이미자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1 初等敎育硏究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basic principles for selecting and applying instructional media in university classroom environment. According to 「21st Century Information Education Policy」of Ministry of Education, various advanced instructional media, including VTR, opaque projection, computer with internet connected, are available in most of college classroom now in nationwide. However, there have been two major problems in terms of utilization of the media arose by the wide supply of high technology-based media in university classroom. One of the problems is the tendency to use only high technology-based media over the other general media without considering the effectiveness of each media for instruction. The other problem is that most of professors do not use the advanced media even though the media are available in the classroom. The author believe that the two problems are arose because of the lack of understanding principles how to select and apply instructional media effectively for lectures. Therefore, this paper provides basic principles to select and apply instructional media for university classroom. The paper also includes two checklists can assist the media selecting procedure.

      • KCI등재

        초등학교 조기 컴퓨터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인지발달에 대한 영향 중심으로 In the Aspect of Intellectual Developmental Risks

        이미자 한국초등교육학회 2001 초등교육연구 Vol.14 No.2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은 지금까지 5, 6학년 실과교과와 특별활동 시간을 통하여 고학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실시되었다. 그러나 7차 교육과정에 따르면, 컴퓨터교육을 2001년부터 초등학교 1, 2학년부터 주당 1시간씩 의무화하고 연차적으로 2002, 2003년에는 3∼6학년에게도 의무화하였다. 또한 주당 1시간의 컴퓨터 의무교육과 별도로, 모든 학년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10개 교과를 중심으로 교수 학습과정에 10%이상 컴퓨터 활용 수업을 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초등학교 1, 2학년 학생들까지도 적어도 주당 3∼4시간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컴퓨터교육을 받게되었다. 이러한 급진적인 컴퓨터교육 정책,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 대한 컴퓨터교육 의무화 정책은 이 시기 아동들의 발달단계를 고려할 때 많은 무리를 가져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기 컴퓨터교육 의무화는 이 단계 아동들에게 절실하게 필요한 교육내용을 교육할 기회와 시간을 감소시키고 더욱 심각하게는 장기적으로 아동의 인지발달에 오히려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초등 컴퓨터교육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컴퓨터의 교육적 가능성과 효과를 강조하였고 위험성과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비판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 컴퓨터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균형 있는 정책입안을 위하여 조기 컴퓨터교육이 인지발달에 미치는 위험 중심으로 비판해보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make a critical analysis on the mandatory computer education policy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aspect of intellectual development risks. According to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computer education will be mandatory even for elementary school 1st and 2nd grade children from 2001 and it will be extended year by year for 3rd∼6th grade children from 2002 to 2003. Elementary schools should provide at least one hour computer education per a week and 34 hours a year. Besides, teachers should implement computers for at least 10% of each individual subject's lessen for all the subjects' curriculum. Therefore, elementary school 1st and 2nd grade children will have at least 3-4 hours of computer education directly or indirectly in a week. This rather radical computer education policy, especially the mandatory computer education policy for elementary school 1st and 2nd grade children raises many questions if it is developmentally appropriate for young children. Eventually, the mandatory computer education policy leads to reduce the opportunities and times for other educational needs which are much crucial for young children development than computer education. Even worse, current research indicates that early compu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could lead fatal intellectual development risks. The paper analyzes 6 aspects of intellectual development risks of early computer education and criticizes the mandatory comput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1st and 2nd grade children.

      • KCI등재

        웹 코스웨어 개발 , 보급 , 활용 실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중심으로

        김인숙,이미자,박승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4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과교육용 웹코스웨어 개발·보급·활용 실태를 분석하고 실태분석을 기초로 웹코스웨어 개발·보급·활용에 관한 문제점 및 발전 방안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웹코스웨어 개발·보급 실태 분석을 위해 시·도 교육청 담당 장학사와 민간업체 개발자 등 52명을 선정하였고 활용 실태 분석을 위해 초등학교 교사 529명과 학생 527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우선 현재까지 개발된 웹코스웨어는 수량적으로 매우 부족하였다. 웹코스웨어 연구·개발을 위한 적극적인 예산 지원이 필요하며, 특히 민간업체에 대한 제도적 지원을 하여 공공기관과 민간업체간의 균형 있는 개발을 유도해야 한다. 둘째, 개발된 웹코스웨어는 교육과정 및 현장여건과의 연계성이 매우 적었다. 웹코스웨어의 연구·개발과정에 교사의 참여를 더욱 더욱 높여야 한다고 지적되었다. 셋째, 웹코스웨어 활용정도는 미흡했으며 주된 이유는 개발된 자료 홍보 미흡과 교사의 활용 능력 부족이었다. 정보화관련 연수를 하드웨어와 컴퓨터소양 중심에서 교수-학습에 웹코스웨어를 포함한 정보통신기술활용 수업 중심으로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