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상회의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전문가의 수업 참여 사례 연구

        이미미 ( Mimi Miyoung Lee ),커티스벙크 ( Curtis J Bonk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3 언어사실과 관점 Vol.31 No.-

        최근 수십 년간 등장한 여러 형태의 협력테크놀로지(collaborative technology)를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전문가들과 수업시간 실시간 화상으로 교류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그 중에서도 화상회의 테크놀로지는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전문가의 수업시간 참여, 해외강사들과의 질의응답 등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 자주 학습에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디애나대학 (Indiana University) 산하의 International Studies in Schools(ISIS) 프로그램과, 전문가들을 초대하는 대학수업시리즈 라는 두 가지 사례를 살펴보고, 이에 다년간 참여해왔던 두 저자의 경험과 연구에 근거한 다섯 가지 교훈과 실행지침을 제시한다.

      • KCI등재

        초등 『사회』교과서 어휘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이미미(Mimi Lee)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2

        본 연구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사용된 어휘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사회과 학습 향상을 위한 어휘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교과서 어휘 분석은 2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1단계에서는 초등 『사회』 교과서 전체 어휘를 어휘다양도 중심으로 분석하고, 2단계에서는 학습 내용과 밀접한 연관을 지닌 학습 용어를 분석하였다. 어휘다양도 분석에서는 전통적 지표인 TTR과 보정 지표인 RTTR을 함께 사용하여 얼마나 다양한 어휘가 교과서에 사용되었는지를 살폈다.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사회』 교과서, 미국 초등 사회과 교과서 4종,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 『수학』, 『과학』 단원의 어휘다양도와 2009개정 초등 『사회』 교과서의 어휘다양도를 비교하였다. 교과내용과 밀접한 연관을 지니는 용어 분석을 위해서는 3가지 기준에 따라 학습 용어를 선정하고, 단원별 학습 용어 어휘망을 작성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사회』교과서의 어휘다양도는 미국 사회과 교과서 4종보다 높았고, 동일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 『수학』, 『과학』에 비해서도 높게 나타나 학습자에게 인지적 부담을 줄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습 용어 분석 결과, 역사 영역에서 다른 영역의 3.0-4.6배에 달하는 학습 용어가 활용되고 있음과, 학습 용어의 하나인 해설이 되어 있는 어휘의 활용과 제시방식을 체계화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교과서 어휘 개선방안 3가지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grades 3-6) developed under the 2009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e first level analysis focused on the lexical variation which can be calculated using Type-Token Ratio(TTR) and Root Type-Token Ratio(RTTR). The current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were compared to the US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past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current Korean, mathematics, and science textbooks. The second level analysis selected instructional word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social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 The lexical variation analysis revealed current social studies textbooks’ higher values in RTTR compared to the US social studies and other subject matter in Korea. The analysis of instructional words demonstrated the peculiarity of history units in both the number of words used and the level of words. The need for more systematic approach in introducing and explaining vocabulary was noted. The strategies to improve textbook vocabulary use were discuss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 KCI등재

        초·중 사회 디지털교과서의 자료 및 기능 분석

        이미미(Mimi Lee),김혜숙(HyeSook Kim),조경철(KyoungCheol Ch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5 사회과교육 Vol.54 No.4

        2014년부터 연구학교에 시범 적용된 사회 디지털교과서는 서책교과서를 기반으로 자료와 기능을 추가하고 디지털 환경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교과서이다. 이러한 디지털교과서의 특징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서책교과서와 차별화되는, 디지털교과서에 고유한 자료와 기능은 무엇이며, 얼마나 그리고 어디에 추가되었는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필요에서 2014년부터 적용된 4종의 초등학교 및 중학교 사회 디지털교과서에 추가된 자료와 기능의 유형과 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교과서에는 한 쪽당 1개 이상 2개 미만의 추가 자료가 탑재되어 있었으며, 자료 유형 측면에서는 동영상이나 애니메이션 등 멀티미디어 자료가 아닌 텍스트 자료가 전체 자료 대비 64%라는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자료의 분포 양상에서는 학교급별 차이가 뚜렷이 나타났으나, 사회과 고유의 특성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디지털교과서에 추가된 기능은 14가지로 다양하였으나, 보편적으로 사용된 기능은 한정적이었다. 또한 기능 구현이 구성요소 또는 자료에 따라 정형화된 양상을 나타내기도 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차후 디지털교과서에는 지나치게 방대한 자료, 또는 교수학습 목적이 불분명한 자료가 탑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설정의 필요성과, 추가된 자료의 멀티미디어적 특성을 보다 강조할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보다 다양한 기능의 활용과 교수학습에의 흥미 제고 또는 효율성 제고를 위한 기능의 활용을 적극 고려해야 할 필요성 역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learning materials and functions added to the 2014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with a purpose to shed light on future Digital Textbook developmen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two-fold. (1) What kind of learning materials and functions were incorporated into 2014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2) How were they distributed on the textbooks? To answer the questions, a total of four Digital Textbooks were analyzed: Elementary Social Studies 3,4,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1A, 1B. The first level analysis focused on identifying the types of learning materials and functions used in the eight Digital Textbooks. The second level analysis mapped the distribution of learning materials and functions and analyzed where in textbooks learning materials and functions were incorpora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ree implications for future Digital Textbook development were discussed. First, future Digital Textbooks will need to incorporate more diverse types of multimedia data. Second, the concentration of data in a certain section of textbook needs to be avoided. Lastly, there needs a further exploration of different types of functions available in digital environments to overcome the mechanical usage of functions.

      • KCI등재

        교사가 파악하는 역사적 중요성과 교수·학습적 중요성

        李美薇(Lee, Mimi) 歷史敎育硏究會 2016 역사교육 Vol.139 No.-

        This study analyzes interviews with 4 preservice teachers and 4 practicing teachers on the issue of significance in world history. With recent studies highlighting the role of teachers in classroom reform, the need to examine and draw from teachers’ expertise is higher than ever. This expert-novice study drew from Harris and Girard(2014) and asked 8 participants to select three significant events out of 22 world history events that they thought to be significant in world history general and significant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learn in school respectively. Participants also explained why they thought each event to be significant. Th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s used different criteria in telling general historical significance and instructional significance. Preservice teachers and practicing teachers also demonstrated differences in their selection of events and in their explanations. Such findings underline the complexity and multi-facetedness of teachers’ pedagogical reasoning and the need to revamp the world history teacher preparation program so that preservice teachers could have more experiences in enhanc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and learning world history and opportunities to grow as successful world history teachers.

      • KCI등재

        미국에서의 자국사 교육 학년별 내용 조직 분석

        李美薇(Lee, Mimi) 역사교육연구회 2013 역사교육 Vol.126 No.-

        The scope and sequence has been one of the most discussed issues in the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History Standards in South Korea. With a purpose to take the discussion one step further, this study analyzes and seeks implication from the scope and sequence of the US history content standards from three states: California, Michigan, and Iowa. The three standards come from different backgrounds and, naturally, demonstrate a wide variations in scope and sequence reflecting the diverse ways of organizing US history content in the States. The analysis focuses on the logics each state used selecting a certain organization. In addition, whether a state treats US history as a single course divided by grade level and/or whether a state employs the Expanding Horizons approach was discussed in detail. The study then discusses implications for the revision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National History Standards.

      • KCI등재

        역사 교사, 교재, 그리고 역사수업

        李美薇(Lee, Mimi) 역사교육연구회 2018 역사교육 Vol.146 No.-

        This study analyzes why the research on history curriculum materials in Korea has been fixated on the content analysis of history textbooks. The study emphasizes the interactive process that takes place between teachers and curriculum materials and argues the need to critically examine the traditional theoretical framework that assume one directional movement from curriculum materials to teachers. This study then presents a case study that demonstrates the interactive process between curriculum materials and teachers. Seve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adapted the textbook materials to a different degree. The results reveal that curriculum materials devoid of teacher use consideration will not be able to bring about effective instructional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 discuss consider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and research on the curriculum materials.

      • KCI등재

        중학교 역사 교사의 사료 활용 양상에 나타난 특징과 문제점 분석

        李美薇(Lee, Mimi) 역사교육연구회 2021 역사교육 Vol.158 No.-

        The use of historical sources has garnered much attention among scholars and teachers. With its emphasis on historical inquiry, the use of historical sources was believed to reform knowledge-driven history teaching practices. However, studies on teachers’ instructional practices using historical sources are still lacking, and it is hard to gather information on which historical sources history teachers choose and how they use sources. This study analyzed 14 middle school history teachers’ use of historical sources when teaching one topic in Korean history. Out of 14 teacher participants in this study, 12 participants used historical sources in their instruction. Their use of historical sources was centered on textbook materials and activities; they also did not focus the discussion on sourcing information or the context in which sources were created. Sources were rather regarded as facts that verify historical events. The gap between the goal of historical inquiry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primary sources and the classroom practice was wide. The study highlighted that teachers’ perceptions on history as subject matter, not their perceptions on history as discipline, affected how they used primary sources in lessons. It discusses ways to diversify and enhance the use of historical sources.

      • KCI등재

        역사적 사고 그리고 역사 역량 : 우리는 무엇을, 왜 추구할 것인가?

        이미미(Mimi Lee)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4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역사과 역량이 등장한 이후 역사과의 특성을 충실히 반영한 교과 역량 개발에 대한 요구는 잇달아 전개되었다. 새로 개발된 역사과 역량과 기존의 역사적 사고와의 차이점이 명확하지 않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본고에서는 역사과 역량 개발과 적용에 시사점을 얻고자 7개국 9편의 역사 교육과정에 반영된 역사적 사고와 역량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영국(잉글랜드), 영국(웨일스), 스위스(IB 디플로마 과정), 미국(미시간 주), 네덜란드(HAVO/VWO 과정), 싱가포르, 호주(뉴사우스웨일스 주), 캐나다(브리티시 콜럼비아 주), 독일(헤센 주)의 역사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역량 기반 교육과정 담론 속에서도 역사 교육과정은 역사학에 고유한 영역인 역사적 사고 개념을 강조하고 있었다. 역사적 사고 개념의 명칭은 교육과정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역사적 사고 개념을 교과 역량이라 표현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명칭상의 다양성에 비해 내용에 있어서는 상당한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변화하는 사회, 나아가 미래 사회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역량을 함양해야 한다는 전제 속에서 나타난 역사교육의 나아갈 방향은 학생의 삶·현재·미래와 연계되는 역사적 사고 개념의 교수·학습이었다. 물론 이전에 비해 교육과정에서 범교과적 기능이나 융합적 접근이 강조되고 있었으나 교과 내용 및 교과 역량 교육을 통해 일반적인 역량을 향상한다는 접근을 분명히 하고 있었으며, 이와 같은 맥락에서 역사 교육과정에서는 개념 또는 역량으로서의 역사적 사고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본고의 분석 결과는 역사 교과 특수 역량 개발에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introduced a new construct, historical competencies, and this new construct brought criticisms from teachers and scholars. One of the most widely discussed criticisms was that it is hard to differentiate historical competencies from historical thinking. This study analyzed nine standards documents from seven countries with a purpose to shed light on the development and use of curricular competencies. The standards documents analyzed were: United Kingdom(England and Wales), IB diploma program, United States(Michigan), Netherlands(HAVO/VWO), Singapore, Australia(New South Wales), Canada(British Columbia), and Germany(Hessen).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history standards emphasized historical thinking concepts and though not identical, the categories for historical thinking concepts shared similarities. Even in the country that empathized cross-curricular competencies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history curriculum documents highlighted these historical thinking concepts and the focus on historical thinking concepts related to students’ life, present, and future was clear. Historical thinking as concepts and its connection to students’ present and future lives provide concret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competencies.

      • KCI등재

        문·이과 통합형 고등학교 교육과정 시대의 대학 교양교육 방향 탐색:

        이미미(Lee, Mi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1

        본 연구는 고등학교 문·이과 통합이라는 추세와 대학에서의 학과제 부활이라는 흐름 속에서 미국 3개 대학과 한국 1개 대학의 교양교육을 비교·분석하고 새로운 흐름 속에서 대학의 교양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탐색하였다. 연구에서는 각 대학의 교 양교육 현황을 정리하는 동시에, 문과에 속하는 사학 전공 학생과 이과에 속하는 기계공학 전공 학생이 이수해야하는 교양교육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공에 상관없이 동일한 교양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대학과 전공에 따라 차별화된 교양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대학이라는 두 가지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자의 경우 자유교육으로서의 교양교육이, 후자의 경우 전공의 기초소양교육으로서의 교양교육이 상대적으로 보다 강조되고 있었다. 이러한 교양교육의 두 가지 개념을 해석하면서 분석결과가 주는 시사점을 논하였다. The Korean Department of Education has recently announced that 2015 National Curriculum will focus on eliminating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between those concentrating on arts and those on sciences at the high school level. If implemented as planned, 2015 National Curriculum would be a first one with no differentiation for those pursuing arts majors and those sciences. This, however, counters the movement at the university level, where universities are tightening major requirements. This study analyzed the general education requirements for three U.S. universities and one Korean university with a purpose to shed light on the university curricular reform in this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re are two types of general education program. The first type applies the same general education requirements regardless of majors while the second type uses differentiated general education requirements per major. This study then further analyzed the reasonss why there are such differences and argues that the difference lies in how each university conceptualizes general education. General education in pursuit of liber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as basic courses a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are sought.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