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프로스포츠 선수의 비윤리적 사건과 사회공헌 활동의 효과

        이명우 ( Lee Myungwoo ) 국민대학교 스포츠윤리연구소 2021 스포츠와 윤리 Vol.1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유명 프로스포츠 선수의 비윤리적인 사건 이후 행해지는 사회봉사 활동이 팬들에게 진정한 사회공헌 활동으로 인식되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13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데이터는 유명 프로스포츠 선수의 비윤리적 행위를 제시하기 전과 후로 나누어 수집하였으며, 자료에 대한 분석은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응답자들은 프로스포츠 선수들의 비윤리적 행위를 인지하지 못했을 경우 그들의 사회공헌 활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지만, 선수들의 비윤리적 행위를 알고 있을 경우에는 그들의 사회공헌 활동의 진정성에 의구심을 가지며 오히려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이 연구는 유명 프로스포츠 선수의 사회공헌활동이 비윤리적 행위에 따른 부정적인 이미지를 줄일 수 있는 도구로서의 기능은 미비하며,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과 책임감 있는 행동이 선수의 긍정적인 이미지 관리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sport fans perceive a celebrity athlete’s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fter exposure to immoral behavior as an effective strategy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A total of 135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hrough an online method in the U.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paired t-test. Findings show that a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y after immoral behavior has a less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thlete than before. Thus, this study reveals that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fter immoral behavior are not an effective strategy as much as reducing the negative perceptions from sport fans.

      • KCI등재

        Evaluating the quality of the Differential Police Response Strategy

        Myungwoo Lee(이명우),Jihoon Kim(김지훈),Hanho Park(박한호)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차별적 경찰대응전략의 품질을 평가하는 것이다. 새로운 경찰대응시스템이 도입된 지 약 3년이 지났지만, 이를 실증적으로 평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2가지 종류의 통계적 품질관리 기법을 활용하여, 2012년 한해동안 익산경찰서에 신고된 약 3,000건의 경찰데이터를 분석하였다. “Xbar-R 관리도”의 분석결과, 경찰은 긴급출동신고전화 (Code 1)에 지속적으로 신속히(3분 이내) 대응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P 관리도”의 분석결과, 경찰은 비긴급출동신고전화 (Code 2)에 5분이내로 대응하지 못한 출동건수의 월별 상이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경찰이 추구하는 “신속한” 수준의 대응전략에 있어 코드별 목표대응시간에 대하여 재검토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quality of Differential Police Research strategy. Although it has been approximately three years since these new police response systems were introduced, there is no research to evaluate them empirically. Using two types of statistical quality control techniques, Xbar-R control charts for variables data and P charts for attributes data, this study analyzes approximately 3,000 calls reported throughout the year 2012 to the 112 Integrated Dispatch Center in Ik-san police station. The Xbar-R control charts revealed that the police did not consistently respond to an emergency call for service (i.e., code one case) within 3 minutes. The P control chart also identifi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portion/number of defective calls where police failed to respond to non-emergency calls for service within 5 minut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e police may need to review the target response time for code 1 and code 2 respectively.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숲 공간유형별 특성에 따른 치유효과 분석 - 심리적 회복감과 만족도를 중심으로 -

        박선아,이명우,Park, Sun-A,Lee, Myungwoo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4

        최근 치유환경으로서 자연경관에 대한 연구는 의료환경과 산림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치유환경에 대한 연구들은 건물 내 자연요소 도입이나 자연경관 조망과 같은 단순한 설정을 통한 긍정적인 치유효과를 나타내는 데에 머무르고 있어, 치유환경설계의 근거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유환경설계시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하는 근거중심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치유환경과 치유효과 사이의 관련성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표적 치유환경인 숲의 공간유형을 자연형 숲길, 조성형 숲길, 자연형 쉼터, 조성형 쉼터로 나누고, 각 공간의 주요이미지, 심리적 회복감과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 18.0 for Windows의 요인분석,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자연형 숲길은 5가지의 회복감 요인 중 벗어남, 적합성과 이해용이성을, 조성형 쉼터는 매혹감과 짜임새를을 통해 심리적 회복감을 주며, 2) 치유환경의 심리적 회복감은 흥미로운, 밝은, 생기있는, 아름다운 이미지가 높을수록, 분산된 이미지가 낮을수록 높아지고, 3) 심리적 회복감 요인은 벗어남, 짜임새 순으로 숲 공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는 숲 공간유형에 따른 치유환경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치유공간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와 지침 설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recent years, natural healing space studies have been done in health care and forestry.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healing effects of natural elements in interior space or natural landscape view. And there is a limit to using the evidence for healing space desig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and effects of healing space for evidence-based design.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mayor images, psychological restorativeness, and satisfaction to identify the effects and differences of natural trail, designed trail, natural shelter, and designed shelter by types of forest space. Collected data is analyzed with a factorial analysis, valianc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mong five factors consisting psychological restorativeness, natural trail can be achieved with 'being away' and 'compatibility' and designed shelter can be achieved with 'fascination' and 'coherence'., 2) Psychological restorativeness values higher in images with higher excitement, brightness, vitality, and beautifulness as well as in images with lower level of disorder., 3) Among five factors consisting psychological restorativeness, higher forest satisfaction can be achieved with a higher level of 'being away' and 'coherence'. In conclus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ding fundamental information for design guidelines of healing spaces through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healing environment by types of forest space.

      • KCI우수등재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통한 주민자치형 유아숲체험장 효용성 평가 - 서울시 금천구를 사례로 -

        강태순,이명우,Kang, Taesun,Lee, Myungwoo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숲유치원교육을 위한 체험형 운영방식으로서 주민자치형 유아숲체험장의 효용성을 조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2개소의 서울시 유아숲체험장 중 2014년 유일하게 주민자치운영을 한 금천구 유아숲체험장에 대하여 중요도 성취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필요한 설문자료는 총 36문항으로 공간 시설영역 20문항, 운영 프로그램영역 16문항(주민자치운영영역 6문항 포함)으로 구성하고, 설문조사는 2015년 1월 12일~19일 동안 실시되었다. 설문대상자는 2014년 본 연구대상지에서 숲교육을 담당했던 숲교육전문가 15명과 숲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19개 보육기관의 당시 인솔교사 50명으로서, 분석자료로 최종 사용된 응답지는 각각 13부, 43부이다. 연구결과, 먼저 공간 시설영역에 대한 중요도, 성취도 평균값은 각각 숲교육전문가가 4.07, 3.78로, 보육기관 교사가 4.16, 3.84로 나타났고, 운영 프로그램영역에 대한 중요도 성취도 평균값은 각각 숲교육전문가가 4.38, 4.16으로, 보육기관 교사가 4.44, 4.00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공간 시설영역을 운영 프로그램영역보다 낮게, 중요도보다 성취도를 낮게 평가하였다. 두 집단 모두 중요도 성취도가 높아 '지속적인 노력 유지'가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 항목들은, 공간 시설영역으로 '접근성', '안전성', '각 공간별 숲길로의 연결성', '개별자연물', '안전시설'의 5개 항목과 운영 프로그램영역으로 주민자치 운영을 통한 '숲교육전문가의 유아행동에 대한 유연성', '숲교육전문가의 진행전문성', 숲프로그램의 '흥미성, 다양성', '유연성', '숲교육전문가의 역할'의 5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숲체험활동의 지원'을 포함한 주민자치운영영역의 항목들은 대부분 '중요하다'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지역활성화 노력'을 포함한 몇 개의 항목들이 성취도측면에서 낮게 평가되었다. 그러나 중요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만큼, 향후 '우선시정'이 된다면 성취도측면에서 높은 평가가 예상된다. 또한 중요도 성취도 모두 높게 평가된 '숲교육전문가의 역할'을 포함한 프로그램영역이 주민자치운영으로 인해 더 실행가능할 수 있었던 항목이었음을 고려해 보았을 때, 주민자치운영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주민자치에 의한 운영은 체험형 숲유치원교육을 위한 유아숲체험장의 운영방식으로서 그 효용성이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운영방식이 '지속적인 노력'과 '우선시정'을 할 수 있는 지속성을 갖출 때, 주민자치형 유아숲체험장은 효율적인 체험형 숲유치원교육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led by the local community as experiential management for forest kindergarten education. For this, an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in Geumcheon-gu, which, of the 12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kids in Seoul, is the only one led by the local community. The questionnaire sheet for the analysis consisted of a total of 36 questions, 20 about place facility areas and 16 about management program areas(including 6 questions about the management led by the local communit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during the period between January 12th and January 19th, 2015. The participants in the survey consisted of 15 forest education specialists and 50 teachers from 19 kindergartens who participated in the forest experience program. The number of questionnaire sheets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was 13 copies and 43 copies, respectively. The mean value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the place facility areas were 4.07 and 3.78 for forest education specialists, and 4.16 and 3.84 for kindergarten teachers, respectively. The mean value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regarding the management program area were 4.38 and 4.16 for forest education specialists, and 4.40 and 4.00 for kindergarten teachers, respectively. Both groups evaluated the place facility areas lower than the management program areas. They also evaluated performance lower than importance. In place facility area, 'accessibility', 'safety' and 'connectivity to forest trail', 'loose parts' and 'safety facilities' were required to 'keep up the good work', because they showed higher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place facility areas. Even though most items of management as led by the local community including 'forest experience activity support' were evaluated as 'important', some, including 'effort for local revitalization', were evaluated as low in performance. However, as they were evaluated as higher in importance, if they pursue 'concentrate here',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be evaluated as higher in performance.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program areas including 'forest education specialist's role' are labeled under the management led by the local community, it reflected a positive evaluation. As a result, management led by the local community is efficient as a management system for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in an experiential forest kindergarten education. Going forward, if this management system is durable in 'keep up the good work' and 'concentrate here',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led by the local community will be an alternative for an effective experiential forest kindergarten education.

      • KCI우수등재

        유아숲체험장의 환경특성에 따른 유아놀이 행태분석

        강태순,이명우,정문선,Kang, Taesun,Lee, Myungwoo,Jeong, Moonsun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6

        숲공간에서의 경험과 놀이가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최근 숲활동공간에 대한 연구와 관련 조성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이 숲활동의 효과를 중심으로 하고 있어, 숲활동을 위한 공간설계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숲활동공간의 물리적 환경특성이 유아놀이행태와 유아발달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숲활동공간 설계 시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유아발달과정의 지표인 인지 사회놀이를 유아의 놀이행태유형으로 선정하고, 숲활동공간은 놀이시설공간과 숲속공간으로 구분하였다. 각 공간의 환경특성으로는 놀이시설공간의 경우, 놀이영역과 포장재, 숲속공간의 교목 및 관목밀도, 경사, 포장재, 자연낱개재료로 선정하였다. 환경조사와 행태관찰조사를 바탕으로 만 4, 5세 유아들이 각 공간에서 보이는 놀이행태의 유형과 발생빈도를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놀이시설공간에서는 시설과 모래장이 함께 있는 시설물놀이터에서 놀이행태가 높게 발생했으며, 인지 사회놀이는 기능-혼자와 기능-병행놀이가 우세하게 발현되었다. 2) 숲속공간에서는 낮은 밀도의 식재공간과 자연낱개재료가 있는 환경에서 다양한 유아놀이행태가 나타났고, 기능-집단놀이와 발달단계의 최상위인 상징-집단놀이가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3) 상징-집단놀이는 소밀도 이하의 교목, 10~20도 경사, 땅에 고정된 대형 그루터기의 환경특성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들의 놀이행태를 직접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유아들의 숲활동을 위한 공간조성시 적용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특성의 기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experience and play activities in forest spaces have played an effective role in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therefore, many studies and projects related to forest activity space have progressed actively. However, the focus of previous research has been merely on the effectiveness of forest activity but little on providing the basis for the spatial design of these types of forest activity spaces. Thu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evelopmental play activity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forest activity spaces for evidence-based design. First of all, indicators for Cognitive-Social play(CSP) was selected and forest spaces were categorize into play facility spaces and forest spaces. More detaile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were 'play area' and 'paving materials' for play facilities and 'density of tree and shrub', 'slope', 'paving materials' and 'fixing and type of natural loose parts' for forest space. Through environmental inventory and behavior observation, the types of play behaviors and the occurrence frequency of children aged four to fiv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play facility spaces, play behaviors occurred at a high frequency at the facility playground with play facilities and sand area. In terms of CSP, functional-solitary and functional-parallel plays occurred predominantly. 2) In forest spaces, various play behaviors occurred at high frequency in the environment with low density planting and various natural loose parts. For CSP, functional-group and symbolic-group plays occurred at a high frequency. 3) Symbolic-group play appeared to be highly affected by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like tree area of scatter density or less, 10~20 degree slope, and the presence of fixed large stump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standards of physi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for forest activity space design through direct observation and analysis of children's play behaviors.

      • KCI우수등재

        숲치유와 원예치료의 치유효과 분석

        박선아,정문선,이명우,Park, Sun-A,Jeong, Moon-Sun,Lee, Myungwoo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3

        삭막한 도시환경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는 도시민들에게 다양한 질병을 발생시키거나 건강을 악화시키는 반면, 자연은 인간에게 긍정적인 치유효과를 준다. 자연을 통한 치유프로그램은 활동공간의 특성에 따라 숲치유와 원예치료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치유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프로그램의 적용과 연계에 따른 효과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숲치유와 원예치료의 생리적 심리적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각 프로그램의 효과와 차이점을 밝혀 향후 치유프로그램 개발과 치유공간 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험은 숲치유 5명, 원예치료 5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5일간의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생리적 반응은 혈압, 맥박, 코티솔 변화량으로 측정하였고, 심리적 반응은 기분상태검사로 측정하였다. 분석방법은 통계프로그램 SPSS 18.0 for windows의 분산분석(ANOVA)과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숲치유와 원예치료는 생리적, 심리적으로 모두 긍정적 효과를 보이며, 2) 숲치유는 원예치료보다 생리적 이완과 스트레스 감소에 더 효과적이고, 3) 원예치료는 숲치유보다 우울감 감소에 더 효과적인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는 각 치유프로그램의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치유프로그램 개발과 치유공간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와 지침 설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Stresses from desolate urban environments cause illnesses and worsen health conditions of urban residents, while natural environment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human. Natural healing programs such as forest therapy and horticultural therapy can be differentiated by the characteristic of activity space. However, previous studies of healing programs have focused on either forest therapy or horticulture therapy and there is a limit to comprehending the effects of adopting and connecting various healing program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forest therapy and horticultural therapy to identify the effects and differences by types of healing programs. The before and after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forest therapy are measured by experiment and survey for 5 days with 5 subjects in each program. For physiological reaction, blood pressure, pulse, and cortisol levels are measured and the profile of moods states(POMS) is used to measure psychological reaction. Collected data are analyzed with the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Paired-Sample T-test in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orest therapy and horticultural therapy show positive effects in physiological and physiological aspects, 2) forest therapy is more effective than horticultural therapy in physiological relaxation and stress mitigation, 3) horticultural therapy has a tendency to alleviate depression more effectively than forest therapy. In conclus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ding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ealing programs and design guidelines for healing spaces through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ealing program.

      • KCI등재

        전주천 생태하천복원사업 후 이용자 평가 -환경특성 및 중요도, 만족도 분석을 중심으로-

        임현정 ( Hyunjeong Lim ),이명우 ( Myungwoo Lee ),정문선 ( Moonsun Jeo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5 환경영향평가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전주천의 환경특성과 이용자 모니터링을 통한 구간별 하천관리방안 모색에 있다. 전주천 생태하천 복원구간의 환경특성으로 상류는 전주한옥마을과 인접하고 매우 좋은 수질과 자연하천경관을 갖고 있으며, 중, 하류는 수질상태가 양호하고 시설물이 집중되어 하천의 이용이 높은 구간이다. 설문을 통해 이용자특성, 이용행태, 시민참여, 중요도 우선순위, 중요도-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설문응답 총 454부 중 무응답 완전제거 후 383부에 대한 인구 통계적 분석과 중요도-만족도 분석(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ISA)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상, 중류는 60대 이상, 하류는 30~50 대의 이용률이 높고, 10분 이내, 도보권 이용자들이 운동을 목적으로 ‘혼자’, ‘계절과 관계없이’, ‘매일’ 혹은 ‘주 2~3회’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체험 활동’과 ‘하천지킴이 참여’는 ‘경우에 따라 참여’가 세구간 평균 78%로 나타났다. 중요도 우선순위에서 상, 하류는 ‘수질’ > ‘녹지연결’ > ‘산책로’, 중류는 ‘수질’ > ‘식물관리’ > ‘산책로’로 나타나 ‘수질’이 가장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ISA 결과, 전 구간 10개 항목의 만족도(3.00)가 중요도(4.02)보다 낮아 개선이 필요하며, ‘우선시정’ 관리로 상류는 ‘식물 및 시설물관리’, 중, 하류는 ‘식물관리’, 전체 구간은 ‘식물관리’(I-S: 4.13, 2.89)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ction-based stream management with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user monitoring. In Jeonjucheon, upstream section located near to Jeonju Hanok village has very good water quality and natural stream landscape. In case of mid/down streams, water quality is good and heavy concentration of facility leads to high use rates of these section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5 parts: user characteristics, use behavior, citizen participation, importance rank, and Importance-Satisfaction(IS). 383 out of 454 responses with listwise deletion are used for demographic analysis and IS Analysis. In terms of citizen participation through ‘ecological experience activity’ and ‘stream stewardship activity’, ‘occasional participation’ shows the average of 78% in all three sections. For importance rank, the results arranged in order of priority show ‘water quality’ > ‘green corridor’ > ‘trail’ in up/down streams and ‘water quality’ > ‘vegetation management’ > ‘trail’ in midstream. Therefore, ‘water quality’ appears to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among 13 variables. At last, the results of ISA indicate that all 10 variables need to be improved as satisfaction is lower than importance. In addition, ‘plant management’ variable falls into ‘concentrate here’ quadrant where importance is high and satisfaction is low.

      • KCI등재

        주거단지 내 빗물순환을 위한 수공간의 유형화와 저류지공원 경관설계 - 전주 효자택지 내 용호근린공원을 대상으로

        조주원(Jo, Juwon),이명우(Lee, Myungwoo) 한국도시설계학회 2020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는 자연형 물순환체계의 회복을 위해 도시의 택지 내에 적용될 수 있는 수공간을 유형화 하였으며, 이를 저류지공원의 리모델링 설계에 적용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빗물과 저류지, 수량ㆍ수질관련 이론과 법규를 검토하였고, 리모델링 설계에서는 SSB(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e)system, SSS (SLOW-SPREAD-SOAK)model, 경관생태학의 Patch-Corridor-Matrix model, Dramstad’s Principles, Ecotone(주연부효과)을 도입하였다. 유역분석(watershed analysis)으로 대상지의 특성을 검토하였고, 유역에서 나타날 수 있는 수공간을 자연형과 도시형으로 분류하여 사례연구를 하고 시사점을 파악하여 유형화와 저류지공원 설계에 반영하였다. 도시형 수공간은 토지이용과 이용주체, 녹지규모에 따라 단독주택과 공동주택, 학교와 공공건물, 어린이공원과 저류지공원의 6 type으로 유형화하였고, 용호저류지공원의 경관설계에는 학교형과 어린이공원형, 저류지공원형이 적용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유형의 적용은 공원의 입지여건이나 설계자의 디자인 의도에 따라 선택적용이 가능하다. 연구결과는 도시 내 저류지공원 설계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연형 빗물순환 구조의 적용은 홍수 시 첨두유량 조절과 미기후 조절, 하천의 건천화와 오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용자의 생태의식 전환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classified the water space that can be applied within the residential area of the city to restore the natural water circulation system, applying the result to the remodeling design of the reservoir park. For the study, the theories and laws related to rainwater, reservoirs, quantity and quality of water were reviewed. In the remodeling design, the SSB(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e)system, SSS(SLOW-SPREAD-SOAK)model, Patch-Corridor-Matrix model of landscape ecology, Dramstad’s Principles, and Ecotone(edge effect) were introduced.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were reviewed through watershed hierarchy. After the water space that could happen in the watershed was divided into groups- natural and urban types, case studies were made, which were reflected in the classification and reservoir park design. The urban water space was classified into 6 types : houses, apartments, schools, public buildings, children’s parks and reservoir parks according to the land use, the subject of use, and the scale of green space. It was found that the school type, children’s park type, and reservoir type can be applied to the landscape design of Yongho Reservoir Park. The application of each type can be selectively used,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park or the designer’s intention. The results of study can be made use of designing a reservoir park in the city. The application of this natural rainwater circulation structure can solve the problems of peak flow control during flooding, microclimate control, river aridification and pollution, which can contribute to the conversion of users’ ecological awar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