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사람의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에서 CD4<sup>+</sup>CD25<sup>+</sup> T세포의 분포와 이식편대숙주병

        이대형,정낙균,정대철,조빈,김학기,Lee, Dae Hyoung,Chung, Nak Gyun,Jeong, Dae Chul,Cho, Bin,Kim, Hack Ki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8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1 No.12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의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에서 공여자의 이식편과 환자의 이식 후 말초혈액에서 $CD4^+CD25^+$ T 세포 분획의 분포를 알아보고 급성 이식편대숙주병(GVHD)과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 받은 17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공여자의 이식편과 이식 받은 환자의 이식 후 말초혈액으로부터 얻은 검체를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y)하였다. 공여자의 이식편과 이식 후 1개월과 3개월에 환자의 말초혈액 내 $CD4^+CD25^+$ T 세포의 분획과 절대 세포수를 알아보았다. 결 과: 공여자의 이식편 내 $CD4^+CD25^+$ T 세포의 분획은 급성 GVHD 발생군과 비발생군에서 각각 0.90%, 1.06%이었으며 차이가 없었다(P=0.62). 이식편 내 $CD4^+CD25^+$ T세포의 절대수는 급성 GVHD 발생군과 비발생군이 각각 $6.18{\times}10^5/kg$와 $25.85{\times}10^5/kg$으로 급성 GVHD 비발생군이 발생군보다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P=0.09). 급성 GVHD 비발생군의 말초혈액 $CD4^+CD25^+$ T 세포는 이식 후 1개월에 2.11%, 3개월에 1.43%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28), 급성 GVHD 발생군의 말초혈액 내 $CD4^+CD25^+$ T 세포는 이식 후 1개월과 3개월에 각각 2.47%와 2.30%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0). 결 론: 본 실험을 통하여 저자들은 공여자의 이식편 내 $CD4^+CD25^+$ T세포의 분포와 이식 후 환자의 급성 GVHD의 관계에 대한 유의성은 검증할 수 없었으며 이식 후 환자의 말초혈액 내 $CD4^+CD25^+$ T 세포에는 조절 T세포보다 GVHD와 연관된 활성화된 T세포의 분획이 더 클 것으로 사료되나 추가적인 조절 T세포의 표지자를 이용한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frequencies of $CD4^+CD25^+$ T cells in donor graft and peripheral blood $CD4^+CD25^+$ T cells in recipients afte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and their association with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Methods : Seventeen children who underwent HSCT were investigated. $CD4^+CD25^+$ T cells in samples from donor grafts and recipient peripheral blood were assessed by flow cytometry at 1 and 3 months after transplantation. Results : $CD4^+CD25^+$ T cell frequencies in the graf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acute GVHD (0.90% vs. 1.06%, P=0.62). Absolute $CD4^+CD25^+$ T cell number in grafts were lower in patients with acute GVHD than in those without acute GVHD ($6.18{\times}10^5/kg$ vs. $25.85{\times}10^5/kg$, P=0.09). Patients without acute GVHD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peripheral blood $CD4^+CD25^+$ T cell percentage at 3 months compared to those at 1 month after HSCT (2.11% vs. 1.43%, P=0.028). However, in patients with acute GVHD, $CD4^+CD25^+$ T cell percentage at 3 months was not different from the corresponding percentage at 1 month after HSCT (2.47% vs. 2.30%, P=0.5). Conclusion : The effect of frequencies of $CD4^+CD25^+$ T cells in donor grafts on acute GVHD after HSCT could not be identified, and the majority of peripheral blood $CD4^+CD25^+$ T cells in patients who underwent HSCT may be activated T cells related to acute GVHD rather than regulatory T cells. Further studies with additional markers for regulatory T cells are needed to validate our results.

      • 국산 머루주의 품질 특성 및 생리기능성

        이대형,유형은,이종수,Lee, Dae-hyoung,Yu, Hyung-Eun,Lee, Jong-soo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5 自然科學論文集 Vol.15 No.1

        To develop a new functional fruit win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wild grape wine (WGW)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at of foreign grape wine (FGW). Ethanol contents of WGW was 11.0%, similar to that of FGW(10.6%), but total acidity(0.67%)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A_{520}$: 0.32) of WGW were higher than those of FGW(0.4%, 0.22). Antioxydant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of WGW which is related in anti-aging functionality were 93.6% and 53.0%, respectively, higher than those of FGW(85.9%, 42.5%). from this results, we concluded domestic wild grape wine is very excellent functional fruit win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배 첨가가 막걸리의 품질과 생리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이대형 ( Dae Hyoung Lee ),김재호 ( Jae Ho Kim ),이종수 ( Jong Soo Lee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9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2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high value pear Makgeoly that possessed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ears and rice. To accomplish this,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pears on the alcohol fermentation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y were investigated. The total acidity contents were unchanged for 9 days of fermentation after the addition of pear to the mash, however, it decreased by approximately 0.13% after 9 days. Additionally, the ethanol contents increased to 16.0% after 5 days of fermentation, after which they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The residual reducing sugar and free sugar content were decreased after 7 days and 5 days of fermentation, respectively. The total acceptability was the best in the Makgeoly that contained grated pear after 10 days of fermentation. Additionally,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80% in all pear Makgeoly, but the fibrinolytic activity, SOD-like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weakened. Based on these results, Makgeoly that was brewed by the addition of 20% grated pear into the fermented broth from fermentation at 20℃ for 10 days has the potential to become a new functional Korean traditional Makgeoly with high acceptability and antihypertensive properties.

      • SCOPUSKCI등재

        혼합잡곡 증류주 제조를 위한 발효 특성

        이대형(Dae Hyoung Lee),정재운(Jae Woon Jung),이용선(Yong Sun Lee),서재순(Jae Soon Seo),박인태(In Tae Park) 한국식품과학회 201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6 No.4

        본 연구에서는 쌀과 다양한 잡곡 원료를 이용한 증류식 소주의 발효조건 및 증류 품질을 검토하였다. 잡곡 발효주를 제조 후 증류하여 최적 발효조건 및 증류조건 검토 결과 보리 100% 만으로 발효시킨 경우 알코올이 5.6%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쌀을 이용한 경우 15.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수 첨가량을 달리한 실험에서는 대조구로 설정한 수수 무첨가 시료의 경우 알코올이 19.0%로 나타났으며, 수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알코올이 조금씩 감소하였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평가결과에서는 수수 5% 첨가 증류주에서 높은 관능결과를 나타내었다. 입국첨가량에 따른 증류주의 관능평가 결과 입국 7% 첨가시에 향과 종합적 기호도가 가장 좋았으며 입국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총 유기산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5분도 쌀 첨가량(40, 50, 60, 70%)에 따른 증류주의 발효특성을 살펴본 결과 알코올과 산도는 첨가량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며 주요 유기산은 초기 발효에서는 malic acid와 lactic acid였으나 발효 후기에는 citric acid와 lactic acid로 바뀌었다. 최종적으로 발효방식은 동일하게 하면서 원료에 있어 쌀과 혼합잡곡을 이용한 증류주의 관능평가 결과와 종합적인 기호도에서는 혼합잡곡 증류주가 약간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향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향기 성분 분석 결과에서는 부드러운 향을 내는 ethyl palmitate의 %area가 잡곡 증류주에서 높게 검출되었다.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mixed grain-derived hard liquor with enhanced favor and taste. First,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according to the grain used showed that rice and adlay produced high alcohol outputs of 15.2% and 13.3%, respectively, while that of barley was low at 5.6%. In an experiment in which different amounts sorghum flour were added, the sample without sorghum flour showed an alcohol content of 19.0%. The effect of adding up to 7% ipkuk (koji) was examined in a sensory test. Comprehensive preference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added ipkuk.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alyses of distilled liquor into which milled rice (5% degrees of milling of unpolished waxy rice) was added showed that alcohol content and acidity were not greatly affected by its addition. Finally, an analysis of aromatic ingredients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ethyl palmitate, which produces a smooth aroma, was the highest in distilled liquor made of mixed grains.

      • 소아 심부 경부 농양에 대한 임상적 고찰

        이대형 ( Dae Hyoung Lee ),김선미 ( Sun Mi Kim ),이정현 ( Jung Hyun Lee ),김종현 ( Jong Hyun Kim ),허재균 ( Jae Kyun Hur ),강진한 ( Jin Han Kang ) 대한소아감염학회 2004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1 No.1

        목 적 : 소아 경부 농양은 항생제의 발달과 더불어 감소하는 질병으로 생각되었으나, 최근 발생 사례들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10년간 경험한 소아 경부 농양 사례들의 발생양상, 임상경과, 항생제 감수성과 치료법을 분석하여 향후 이 질환에 대한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3년 1월부터 2003년 8월까지 가톨릭의대 성모자애병원, 성빈센트병원, 성가병원, 의정부 성모병원에서 세균배양검사, 경부 CT, 경부 초음파 검사를 통해 경부 농양으로 진단받은 16세 이하 94례의 소아를 대상으로 임상양상, 검사결과, 치료와 예후에 대한 후향적 자료 분석을 하였다. 결 과 : 1) 2000년부터 경부농양의 연간발생이 증가하였다. 2) 연령 분포는 생후 26일에서 15세(중간값 4세), 남녀비는 1 : 1.04이었다. 3) 임상양상은 발열 73.4%(n=69), 인후통 37.2%(n=35), 경구 섭취량 감소 34%(n=32), 목 주위 통증 27.7%(n=26), 연하통 20.2%(n=19)의 순이었다. 이외 에도 경부 운동 거부 6.4%(n=6), 두통 6.4%(n=6), 사경 4.3%(n=4), 천음 2.1%(n=2), 호흡곤란 2.1%(n=2)이 있었다. 4) 이학적 진찰 소견으로는 경부 종괴 67%(n=63), 인두염 46.8%(n=44), 편도염 36.2%(n=34), 경부 림프선종대 28.7%(n=27), 후인두벽 융기 24.5%(n=23)의 순이었으며 경부강직은 4.3%(n=4)에서 있었다. 5) 경부농양의 위치는 하악하 34%(n=32), 편도주위부 29.7%(n=28), 인두 후부 11.7%(n=11), 이하선내 7.4%(n=7), 인두 주위부 6.4%(n=6), 이외 두 곳 이상에서 발생한 경우가 10.8%(n=10)에서 있었다. 6) 33명의 환자 중 농양과 혈액 세균배양검사에서 총 35례의 균주가 동정되었다. S. aureus 34%(n=12), group A beta hemolytic streptococcus 28.64%(n=10), Viridans Streptococci 14.3%(n=5)의 순이었다. 대부분 그람 양성균으로 항생제 감수성 검사결과에서, vancomycin 96.4%, 3세대 cephalosporin에 88.9%, cephalothin에 86.4%, penicillin에 51.7%에서 감수성을 보였으며, 그람 음성군에서는 amikacin에 66.7%, 3세대 cephalosporin에 100% 감수성을 보였다. 7) 총 입원일은 9.2±4.4일이었으며, 총 항생제 투여기간은 15.5±5.1일, 이중 정맥 항생제 투여기간은 8.8±4.3일이었다. 8) 일차적으로 선택한 항생제로는 대부분 penicillin이나 1, 2세대 cephalosporin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이 중 일부에서는 증상의 호전이 없어 metronidazol이나 clindamycin을 대체 내지 추가하였다. 9) 치료는 항생제만을 사용한 경우 18.1%(n=17), 항생제와 함께 외과적 처치를 병용한 경우 81.9%(n=77)이었으며, 이 두 군간에 입원기간, 총 항생제 투여기간, 정맥 항생제 투여 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결 론 : 소아 경부 농양은 최근 들어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그 임상양상도 과거와 다른 경향을 보인다. 조기진단이 가능해 짐에 따라 호흡곤란이나 천명과 같은 기도폐쇄 소견이 감소한데 반해 두통, 경부강직, 경부 운동 거부, 사경과 같은 두경부증상, 증후에서 이상 소견이 증가하고 있다. 원인균은 주로 그람양성균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으로 이번 조사 결과 1세대 cephalosporin에 대해 높은 감수성을 보였으며, 임상적으로 안정화 되 있고 기도 폐쇄가 보이지 않는 환아에서 외과적 처치를 병용하는 것이 항생제 치료 기간 및 입원 기간 단축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Retropharyngeal and parapharyngeal abscesses are often distinguishable from other head and neck abscesses on clinical grounds, but these infections can combine and the presentations are similar to one another. Because of the advances of antibiotic therapy, the frequency of the diseases decreased considerably, but recently the incidence of neck abscesses has increased. We sought to describe the clinical presentation of patients with deep neck abscess, and implications on management. Methods : For 10 year periods, 94 cases of char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who were diagnosed as neck abscesses aged below 16 years old(between January 1993 to August 2003) in 4 hospitals. Deep neck abscesses were diagnosed by surgical pus drainage, neck CT (homogenous, hypodense area with ring enhancement) and neck sono findings. Results : The annual incidence of deep neck abscess has been increased since 2000.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4 years(range, 26 days∼15 years); 63% of the patients were younger than 5 years. Abscesses in the submandibular space(34%) were most common, followed by peritonsillar space(29.7%), retropharyngeal space(11.7%), combined(10.8%), parotid space(7.4%) and parapharyngeal space(6.4%). Fever(73.4%), sore throat(37.2%), decreased oral intake(34%) and neck pain(27.7%) were the most common symptoms. In 6 children(6.4%), there was refusal to move neck, in 6(6.4%) headache, and in 4(4.3%) torticollis. Respiratory distress was observed in only 1 patient(2.1%) and stridor in 1 other(2.1%). The most common physical examinations were neck swelling/mass(67%), pharyngitis(46.8%), tonsillitis(36.2 %), and cervical lymphadenopathy(28.7%). Neck stiffness was observed in 4 patients(4.3%). Total 35 organisms were isolated in 33 patients. The most common organisms cultured by patients` blood or pus were S. aureus(34%) and S. pyogenes(28.6%). Most organisms were gram positive, and had sensitivities in vancomycin(96.4%), cefotaxime(88.9%), cephalothin (86.4%), trimethoprime-sulfamethoxazole(83.3%), and clindamycin(77.8%). 77 patients(81.9%) underwent surgery plus antibiotics; 17 patients(18.1%) were treated with antibiotics onl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duration of admission, fever after admission, and antibiotic treatment. Conclusion : The incidence of deep neck abscess has increased recently and the major symptoms have been changed. The incidence of respiratory distress or stridor is decreasing, while the incidence of abnormal head and neck symptoms and signs like headache, neck stiffness, refusal to move neck, or torticollis are increasing. Gram positive organisms are predominant, S. aureus i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S. pyogenes. 1st generation cephalosporin has high sensitivity on gram positive organisms. Treatment with surgery plus antibiotics dose not significantly decrease total duration of antibiotic treatment or admission compared to treatment with antibiotics alone.

      • KCI등재SCOPUS
      • KCI등재

        기획 특집 : 모성 담론의 문화적 형성과 재현 ; 고대에서 근대전환기까지 모성 담론의 문화적 조명 : 『삼국유사』에 나타난 모성의 형상화

        이대형 ( Dae Hyoung Lee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4

        삼국시대의 문화를 담고 있는 『삼국유사』에는 세 가지 유형의 모성이 등장한다. 먼저, 신화적 흔적을 보이는 모성 형상이 있다. 아도화상의 모친 고도령이 해당한다. 고도령은 자식에게 한 나라의 세계관을 변화시켜 새로운 인식지평을 확립시키는 역할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母性神의 흔적을 엿볼 수 있다. 이는 조선시대 모성과 비교할 때 아들을 품에서 떼어 엄하게 훈육했던 모습은 유사하지만 이미 규범화 된 가치관을 따랐던 모습이 아니라는 점에서 차원이 다르다. 일상세계에서 보이는 모성의 모습은 자신보다 자식을 걱정하는 마음이다. 이러한 면모는 <貧女養母>와 <盲兒得眼>·<敏藏寺> 등에서 볼 수 있다. 자기보다 자식을 더 걱정하기 때문에 자식에게 어려움이 닥쳤을 때 말하지 않더라도 그것을 알 수 있고, 자식이 곤란에 처했을 때는 안타까운 마음을 기도에 담아 정성을 다하는 전통적인 어머니상이다. 그리고 진정법사의 모친은 자신을 희생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손순의 아내는 불교적 해석으로 아이를 구해내는 모습을 보여준다. 삼국시대에 중요한 흐름을 형성했던 관세음신앙에서도 모성을 발견할 수 있다. <백월산양성성도기>의 여자에 대해 일연은 모성으로 해석하는 관점을 보여주었다. <백월산양성성도기>는 『法華靈驗傳』의 <羽族慣聞, 而便脫業軀>와 대비된다. Samguk yusa holds three types of motherhood. The first type shows vestiges of maternal myths. Go Do-neong(高道寧) who is mother of Ado(阿道) bonze comes under the type. Go Do-neong endowed his son the role of differentiating a view of the world nationally. It is different from mothers who followed traditional values in Joseon. The second type is traditional, showed in everyday life. The type`s mother concerns her son than herself. This figure is showed in <Poor girl supports mother(貧女養母)>·<A blind child restore sight(盲兒得眼)>·<Minjang sa(敏藏寺)> etc. <Minjang sa(敏藏寺)> is recorded even in Beophwa youngheom jeon The third type is found in the stories about Bodhisattva Avalokitesvara. The faith of Bodhisattva Avalokitesvara is important in Samguk(三國) period. Bodhisattva Avalokitesvara takes care of living things by various characters corresponding to living things, make an appearance of motherhood occasion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