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전주이씨 덕천군파 이경직 가문의 내력과 지역적 전개

        이남옥(李南沃) 한국양명학회 2020 陽明學 Vol.0 No.57

        이광명이 강화로 이거 한 이후 정제두의 문하에 출입하고 뒤이어 이광사와 이광신이 정제두의 문인이 됨에 따라 전주이씨 덕천군파 이경직 가문은 하곡학파의 주요 가문의 하나로 성장하게 되었다. 이광명 등의 고조인 이경직은 서인으로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때 비정상적 현실을 인정하고 권도를 행하여 강화를 주장하였으며, 조부인 이대성은 소론으로 임금이 중정(中正)의 도리를 펼쳐 당습을 혁파하는 탕평을 주장하였다. 이는 서인으로 활동하다 노소분당 이후 점차 소론화 되어가는 정제두의 정치적 성향과 유사하며, 비상 상황에서의 권도와 양란에서의 강화를 긍정하고 국왕 중심의 황극탕평론을 주장했던 정제두의 학문 지향과 궤를 같이 한다. 이러한 정치적·학문적 유사성과 함께 이경직-이정영-이대성이 강화 지역과 인연이 깊었기 때문에 이광명·이광사·이광신 등은 정제두의 문인이 되고 그 후손들은 하곡학파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특히 이광명의 가계(이광명-이충익-이면백-이시원-이상학-이건창)는 강화 지역에 대를 이어 묘역을 조성하고 세거지를 형성하였으며, 계속해서 과거에 급제하고 관직에 진출했다. 또한 하곡학파 주요 가계와의 세교를 유지했는데, 이는 학문적·경제적 토대의 안정을 불러와 하곡학 계승의 배경이 될 수 있었다. 그 결과 이광명 가계는 이광사 가계나 이광신 가계와는 달리 계속해서 하곡학파의 주요 가계로 위치를 점하게 되었다. After Yi Gwangmyeong moved to Ganghwa, he entered the school of Jeong Jedu. Subsequently, Yi Gwangsa and Yi Gwangsin became disciples of Jeong Jedu. As a result, JeonjuYissi Deokcheongunpa Yi Gyeongjik family grew into one of the main families of the Hagok school. Yi Gyeongjik was Seoin(西人), and insisted on reconciliation as a temporary measure during Jeongmyohoran(丁卯胡亂, Manchurian troops’ invasion of Joseon in 1627), and Byeongjahoran(丙子胡亂, Manchurian troops’ invasion of Joseon in 1636). Yi Daeseong was Soron(少論), and he insisted on the political harmony emphasizing the role of the king. This was similar to Jeong Jedu’s political and academic disposition. He also had Seoin-Soron political stance, affirming reconciliation and insisted on the king-centered political harmony. Along with these political and academic similarities, Yi Gyeongjik, Yi Jeongyeong, and Yi Daeseong had a strong relationship with Ganghwa, so Yi Gwangmyeong, Yi Gwangsa, and Yi Gwangsin became disciples of Jeong Jedu and their descendants could become Hagok school. However, it was for the following reason that only Yi Gwangmyeong’s household continued to occupy the position as the main family of the Hagok school. Yi Gwangmyeong’s household succeeded the generation of graveyards and formed residences in Ganghwa. In addition, they continued to pass the exam and advance into the office. Moreover, he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major families of the Hagok school. These brought about the academic and economic stability of Yi Gwangmyeong’s household, and could serve as the background for the succession of Hagokhak.

      • KCI등재

        지방교육재정의 확충 및 효율적 운용 방안 - 부산광역시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이남국(李南國) 한국지방정부학회 2008 지방정부연구 Vol.12 No.3

          개방적이며 무한경쟁적인 지식기반사회를 선도할 우수한 인적자원의 육성을 위해서는 각 지역과 학교에 적합한 교육모델의 구축과 함께, 자율성과 다양성에 기반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육자치단체의 정책 수행능력 강화와 더불어, 재정력의 확보와 재정운용의 자율성 및 효율성 제고가 뒷받침되어야 한다.<BR>  이러한 인식하에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교육청의 사례분석을 통해 지방교육재정의 안정적 확충과 효율적 운용에 기여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지방재정규모의 확대와 안정적 확보를 위한 지방재정교부금제도의 개선,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는 교육자치단체 지원제도의 강화와 재정지원의 확대, 그리고 교육자치단체 차원에서는 민간과의 협력 강화를 통한 재정지원의 확보와 체계적 재정관리시스템의 구축 등이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제시하였다.   In order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s for public education, this study argues that, first, the more efficient local educational finance system is needed, second, the amount of educational grants should be increased, and finally, the local autonomy on education should be ensured. The case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s local educational finance system was selected, and based on this analysis four suggestions are proposed.<BR>  First, the amount of local educational grants should be increased. And in relation, the grant allocat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Second, the local government"s responsibility for local education should be extended. Third, cooperation betwee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and the private sector (firms, local community, etc.) should be strengthened. And finally, systematic fiscal management systems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지방정부의 재정능력과 복지지출 - 부산ㆍ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이남국(李南國),양기용(梁基鏞) 한국지방정부학회 2006 지방정부연구 Vol.10 No.3

          우리나라의 고령화 현상은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압축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정부는 뒤늦게나마 정책적 대응의 시급함을 인식하고 여러 가지 노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적 대응이 목표를 달성되기 위해서는 복지분야 재정투자의 확대와 함께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합리적 재정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복지재정 규모의 확대가 쉽지 않은 점과 중앙 집중적인 현행 복지재정체계의 경직적인 운영 등으로 인해 직접 복지수요에 대응해야 하는 일선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BR>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기초로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의 기초자치단체가 저출산ㆍ고령화 등 급증하는 복지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재정능력을 보유하고 있는가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복지수요에 대한 대응이 주로 국고보조금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지방정부가 주어진 재원의 한계 속에서 지역 실정에 적합한 복지정책의 수행을 위해서는 현행 복지재정운영체계 특히 국고보조금제도의 개편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Korea has experienced an unprecedented rapid and condensed aging society. At the center of the aging process in Korea, there are trapped local governments. Inparticular, rural communities, which have already entered into the super-aging society are urged to pay heavy expenditures for their elderly local residents, but their fiscal capacity is far below the national average. This paper attempts to quantify statistically the paradoxical circle of negative correlations among the degree of fiscal capacity, the level of social service expenditures and the rate of aged people of 36 local governments in Busan and KyeongNam areas. As we expected, the findings show that the poorer the local communities are in terms of fiscal capacity, the more aged people there are to be cared for and the more expenditures for social services are requested by local governments. To fix these situations, we suggest the reform of the grant system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ncluding the introduction of the performance contracts and block grants system for regional governments, the fiscal discretionary increase of local governments in the usage of grants, and the expansion of social service investments beyond each locality.

      • KCI등재

        부산시 성과관리시스템의 운영 실태 및 성과 분석

        이남국(李南國) 한국국정관리학회 2014 현대사회와 행정 Vol.24 No.3

        본 연구는 참여정부 이후 자치단체에 적극 도입된 BSC에 기반한 성과관리시스템의 운영 실태 및 성과에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 동 시스템이 우리나라 자치단체 관리의 주요 수단으로 자리매김 하는데 기여함을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05년 본격 도입 이후 비교적 성공적 사례로 평가되고 있는 부산시를 선정 분석하였으며, 정확한 실태 파악과 대안의 적합성 제고를 위해 부산시 공무원 대상 설문조사 및 인터뷰, 관련 전문가 대상 인터뷰, 그리고 미국 Charlotte시와 일본 姬路시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부산시도 여타 자치단체와 유사하게 전략체계 및 균형성과표의 부정합성, 성과 중심 관리체계구축 및 운영 미흡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서는 첫째, BSC 전략체계도의경우 조직의 비전에 따라 네 가지 관점의 핵심전략목표를 재배열하고 체계를 명확히 하며, 둘째, BSC 균형성과표의 경우 부서별 지표를 축소하고 관점별 균형을 확보하며 목표 수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고,셋째, 성과관리시스템 운영의 경우 성과관리 전담조직 주도하에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운영을 도모하고 성과관리시스템에 대한 인식 제고 및 평가 부작용 최소화를 위해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하곡학파의 지역적 전개와 사상사적 의미

        이남옥(李南沃) 한국양명학회 2021 陽明學 Vol.- No.60

        이 글은 18~19세기 하곡학의 계승과 지역적 확산에 대해서 검토하여 조선후기 사상 지형에서 하곡학파의 위상을 제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곡학파는 하곡 정제두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한 일군의 학자를 말한다. 영일정씨 정제두 가계, 전주이씨 이경직 가문의 이광명 가계ㆍ이광사 가계ㆍ이광신 가계, 평산신씨 신대우 가계 등 하곡학파 주요 가계의 족보ㆍ가승ㆍ묘도문자ㆍ행장 등을 분석한 결과 18~19세기 하곡학파는 대체로 강화에서 경기와 충청 지역으로 전개되어 간 것으로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영일정씨 정제두 가계는 강화와 통진을 주요 거점으로 하면서 천안 등지로 확산되어 갔고, 전주이씨 덕천군파 이경직 가문의 이광신 가계도 충주ㆍ은진ㆍ노성 등 충청 지역으로 확산되어 가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전주이씨 덕천군파 이경직 가문의 이광명 가계는 강화에 세거하였고, 평산신씨 신대우 가계는 광주 이거 후 세거하였다. 이 과정에서 강화ㆍ광주ㆍ진천은 하곡학파의 주요 거점으로 활용되었다. 정제두의 묘와 거처를 비롯해 하곡학파 관련 유적이 있는 강화는 하곡학을 계승하는 공간이 되었고, 신작과 정약용의 학술교류가 이루어졌던 광주는 하곡학과 다산학이 접하는 공간이 되었다. 그리고 19세기 말 소론계 인물 다수가 교류한 진천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하곡학이 새롭게 부상하는 공간이 되었다. This article aimed to enhanc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Hagok school in the thought topography of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is end, the present study reviewed the succession and regional spread of Hagokhak in Joseo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Hagok School refers to scholars who succeeded Hagok Jeong Jedu’s scholarship and though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genealogy, family tree, inscriptions, and biography of major Hagok school families are as follow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some of the Hagok School, represented by the Yi Gwangmyeong family, gathered around Ganghwa, and most of the families except for this spread to Gyeonggi and Chungcheong areas. In this process, Ganghwa, Gwangju, and Jincheon were used as major bases for the Hagok school. Ganghwa, where Hagok school-related ruins, including Jeong Jedu’s tomb and residence, were located, became a place to inherit Hagokhak; and Gwangju, where academic exchanges between Sin Jak and Jeong Yakyong were held, became a place where Hagokhak and Dasanhak met.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Jincheon, where the Soron(小論) exchanged, became a place where Hagokhak newly emer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times.

      • KCI등재

        지방공기업 재무건전성 검토

        이남국(李南國) 한국지방자치학회 2015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7 No.1

        Local public enterprises are a business that requires the harmony with regionality as well as with publicness and profitability,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local residents with essential services continuously. Nevertheless, much concern has been raised over the financial solvency of local governments and local public enterprises. Under this recognition,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basic and structural trends and relations on their financial solvency by applying the financial statement analyses of Busan Transportation Corporation and Busan Metropolitan Development Corporation. Based on those analysis results, it suggests that local public enterprises’ continuous efforts to attain the rationalization of management, especially systematic measures proper for the situations of each organization, are required in order to enhance their financial solvency. Besides, it also points out that such unreasonable operation activities as the shifting of businesses and their business costs of local governments should be eradicated immediately, and restructuring of insolvent and similar public enterprises, enhancement of reviewing the validity of newly established local public enterprises, and issuance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local bonds and debentures of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re required.

      • KCI등재

        한·중 일상 인사말의 언어문화적 연구

        이남,한용수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1 철학·사상·문화 Vol.- No.37

        Greetings are a long-term social agreement, which exists in the language of any nation. This study takes the greetings when meeting and breaking up in Korean and Chinese daily greetings as the object, grasps their expression contents and ways, and then analyzes the cultural factors contained in these greetings. As countries in the same Confucian cultural circle, South Korea and China have many common elements in greetings. Show concern by asking about the behavior or current situation of the other party you know when you meet, and show respect or admiration to the other party you meet for the first time, so as to establish an intimate relationship. In addition, when breaking up, you can show concern, express your behavior and express your mind by instructing the other party. However, greetings, as a cultural factor rooted in language life very early, each language has its own unique things. The most representative is the Korean greeting to eat together. Compared with Chinese, the empty talk character of expressing the mood of deepening the relationship through diet is stronger. In addition, Chinese only uses address forms as greetings, but Korean is not. 인사말은 오랜 세월 동안 굳어져 내려온 사회적 약속의 일종으로 어느 민족의 언어에나 존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 일상의 인사말 중 만날 때와 헤어질 때의 인사말을 대상으로 이들의 표현 내용과 표현 방식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 이러한 인사말에 담겨있는 문화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한국과 중국은 동일한 유교문화권에 속해 있는 나라로서 인사말에 공통적인 요소가 많다. 만날 때 알고 지내는 상대에게 수행하는 행위나 근황 등을 물음으로써 관심을 보이며, 초면인 상대에게 경의 등 예의를 표함으로써 친교 관계를 엮는 것이다. 또한 헤어질 때 상대에게 당부함으로써 관심을 보이며 자신의 행위를 표현함으로써 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그러나 인사말은 언어생활에 일찍부터 뿌리박힌 문화적 요소로서 각 언어마다 특유한 것이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식사를 같이 하자는 한국어 인사말은 중국어에 비해 음식을 통해 관계를 돈독히 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말의 성격이 강하다. 이 외에 중국어는 호칭어만을 사용함으로써 만남의 인사로 하는데 한국어는 그렇지 않다는 점이다.

      • KCI등재

        한․중 ‘눈/眼’의 의미 확장과 개념화 연구

        이남,한용수 한중인문학회 2018 한중인문학연구 Vol.60 No.-

        This paper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discusses the path of its semantic extension with the Body- Part Terms ‘Eye’, between Korean and Chinese. Its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semantic extension based on conceptual metaphors.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eye’ in Korean language are projected into other fields to generate metaphorical meaning, but the scope of this kind of projection is limited. On the contrary,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Chinese ‘eye’ is projected in a wider range and is more abundantly expressed. In addition, in Chinese, the importance of the eye in the body organs is projected to other fields. The ‘eye’ is metaphorically referred to as the ‘key of the thing’, but in Korean, ‘eye’ does not have this projection. Second, semantic extension based on conceptual metonymy. In its metaphorical meaning, the function of the eye plays a leading role, and the ‘eye’ extension formed on the basis of metonymy has much in common between Chinese and Korean. The biggest difference is that in the Chinese language, the overall features of the ‘eye’ can be used to quantify objects and refer to the units that measure ‘wells’ and ‘caves’, resulting in ‘grammatical metonymy’. In Korean, ‘eye’ does not have such semantic extension. Third, the interaction between metaphor and metonymy in the process of conceptualization of the eye. Based on the metonymic meaning of the body word ‘eye’, the conceptualization of entity metaphor, container metaphor and time metaphor is embodied in both Korean and Chinese. These conceptualization comes from the body experience that the eye can recognize. In other words, the basis of these conceptualization is the sense organ refers to the sensory experience. The eye is conceptualized as ‘entity’, ‘container’, ‘time’, reflecting the common physical experience of the Korean and Chinese peoples through metonymy embodied in the basic level of language and cognition, and due to metaphor and The interaction of metonymy forms a more complex and abstract concepts. 이 논문은 개념적 은유와 개념적 환유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중 ‘눈/眼’의 의미 확장과개념화 양상에 대해 논의를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념적 환유에 의한 ‘눈/眼’의 의미 확장이다. 환유에 의한 ‘눈/眼’의 의미 확장에서눈의 기능이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눈/眼’의 환유 의미에서 공통성이 많은 것으로본다. 비교적 큰 차이가 나는 것은 중국어 ‘眼’은 눈의 현저한 형태적 특징에 의해 ‘우물, 동굴을 세는 단위’를 나타내며 ‘문법 환유’가 이루어지는데 한국어 ‘눈’은 이와 같은 의미 확장 양상이 없다. 둘째, 개념적 은유에 의한 ‘눈/眼’의 의미 확장이다. 한국어 ‘눈’은 형태적 특징에 의해 의미확장하는데 투사하는 영역이 제한적이다. 반면에 중국어 ‘眼’은 다양한 영역에 투사하여 유연성이 보인다. 또 중국어 ‘眼’은 기능적 특징에 의해 ‘사물의 관건’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는데 한국어 ‘눈’은 ‘눈의 중요성’에 의해 의미 확장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셋째, ‘눈/眼’의 개념에 나타난 은유와 환유의 상호 작용이다. ‘눈/眼’의 환유적 의미 확장을토대로 ‘눈/眼’은 공통적으로 실체은유, 용기은유, 시간은유로 개념화되는데 이는 인간이 눈을통해 물체를 보고 식별하는 신체경험에서 나온 것이다. 말하자면 이들 은유는 모두 감각 기관‘눈/眼’으로 ‘감각체험’을 대신하는 환유를 토대로 이루어진 것이라 본다. ‘눈/眼’이 보편적으로‘실체’, ‘용기’, ‘시간’으로 개념화된 것은 언어와 인지에서 더 기본적인 환유에 두 나라 사람의어떤 공통적인 신체 경험이 반영되고, 은유와 환유의 상호 작용이 더 복잡하고 추상적인 인지개념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