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동아시아 경제 공동체와 지속 가능한 개방 전략: FTA 논의를 중심으로
이남주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05 동향과 전망 Vol.- No.64
A region that had been notable for its lack of economic internal rink over previous fifty years is talking actively about regional cooperation. Especially, the East Asian Nations put new energy into forming free trade agreements with narrower geographic reach. Some criticize FTAs as the spread of new liberalism.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or trade liberalization cannot be said to be equal to new liberalism. In east Asia, trade liberalization stimulated economic growth and improved a level of life. Besides,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will provide those country additional leverages to cope with the uncertainty of glottalization. Therefore, we need to support the process of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and employ more active open policy. But, this article emphasize that to make open policy sustainable, the active open policy should be accompanied by proper social policy which negative effect of open policy, for example, unemployment, income differential. 과거 수십 년 동안 지역주의가 특별한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했던 동아시아 지역에서 지역 경제 통합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동아시아 국가들은 동아시아 범위 내에서 FTA(자유무역협정)를 체결하는데 매우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일부는 FTA를 신자유주의의 확산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판을 하고 있다. 그러나 동아시아에서 무역 자유화와 지역 경제 통합은 경제 성장을 촉진하였으며 동시에 생활수준을 개선하였다. 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 통합은 지구화의 불확실성에 대처할 수 있는 추가적인 수단을 이들 국가들에게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지역 경제 통합의 과정을 지지하고 더욱 능동적인 개방 전략을 채택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고는 능동적 개방 전략이 지속 가능한 것이 되기 위해서는 개방의 부작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사회 정책과 함께 추진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시장주의적 접근만으로는 개방 정략이 사회적 부작용의 증가시키고 개방화를 역진시킬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과학영재학생들의 삶에서 나타나는 정서와 몰입에 대한 질적 탐구
이남주,백성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敎員敎育 Vol.30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sentiment and flow shown on life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To do this, 10 students with especially many flow frequency among the gifted students were selected an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about sentiment and flow of the past and present with them.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it appeared that present sentiment of the students was far negative than the past. The main elements that made them recognize negatively were burden from schoolwork, agony about the future etc. But they showed many flow frequency for overall life. especially, flow frequency of production activity domain was many. They thought that flow provides fun and pleasure, and it also makes their dream come true and save time. Actually, when they did creative thinking, most of them were in the state of flow. This study would give implications on how to do appropriate educational treatment to fully understand sentiment of the gifted students, and for them to show their capability well and find meaning of life through flow.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영재들의 삶에서 나타나는 정서와 몰입에 대한 특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영재학생들 중 몰입빈도가 특히 많은 학생 10명을 선발하여 과거와 현재의 정서와 몰입에 대해 심층 면담을 하였다. 면담결과 학생들의 정서는 과거에 비해 현재가 훨씬 부정적으로 나타났는데 학업에 대한 부담, 책임감, 미래에 대한 고민 등이 현재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한 주요 요소였다. 하지만 삶 전반에 많은 몰입 빈도를 보였으며, 특히 생산활동 영역의 몰입빈도가 많았다. 그들은 몰입이 재미와 즐거움을 주며 꿈을 성취하고 시간을 절약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실제로 창의적인 생각을 할 때는 대부분 몰입으로 연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영재학생들의 정서를 충분히 이해하고 그들이 몰입을 통해 능력을 잘 발현하고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해 어떻게 적절한 교육적 처치를 해야 할 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