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高等敎育上의 敎授 學習密度 提高를 위한 一顧

        崔熔燮 조선대학교 교육연구소 1981 교과교육연구 Vol.4 No.-

        최근 3년간에 우리나라 고등교육 인구는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증가추세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증가추세에 있어서 특히 주목되는 점은 78년에 고등교육 적령인구에 대한 취학률이 11%이었던 것이 금년 80년도는 15%에 이르고 있으며, 명81년도에는 20%에 가까워질 것으로 예견된다. 이러한 고등교육의 취학률을 Martin Trow의 고등교육제도의 단계이행에 따른 변화모형[Elite형(15%까지), Mass형(15-50%), Universal형(50%이상)]에 비추어 보면, 우리나라의 고등교육은 금년80년을 기점으로 하여 Elite형 교육기관에서 대중형 교육기관으로 유입하고 있는 셈이어서 지금은 우리의 Elite교육에서 대중교육으로 대학의 질적 변용이 이루어져 가는 전환점에 놓여있다. 대학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한 대학의 질적 변용기에 직면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우리는 대학의 질적관리를 위한 대학 자체의 전반적인 체제정비와 교육의 밀도 제고를 위한 다각적인 계획이 시급히 요청되는데, 본 소고에서는 교육방법적 측면에 한하여 이에 대한 논고를 한것이다. 1970년대 중반에서부터 실험대학을 중심으로 한 대학교육 개혁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어 그 일환으로서 교육방법 개선에 대한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 왔는데, 개선의 방향은 전통적으로 대학교육 방법상의 종주를 이루어 온 강의중심의 수업과 이의 mannerism화로 인한 학생들의 수동적이며 소극적인 학습태도에서 능동적이며 적극적인 탐구적 태도와 그 능력의 배양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었다. 대부분의 연두는 그 결과가 큰 의의를 갖는 것이었으며, 연구결과의 일반적 적용을 위한 많은 노력이 경주되어 왔으나 교육방법은 교육여건의 제한을 크게 받으며, 특히 우리나라 고등교육기관 대부분의 교육조건의 열악성으로 인하여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학에서의 교육방법의 원천은 대상 학생의 발달적 측면에서나 대학의 교육과정 편제 그리고 그 기능면에서 볼 때에 “Heuristics"을 촉발하기 위한 학습의 단서를 제공하고 학습결과에 대한 강화를 주는 것이 주된 것이다. 다시 말하면, 학생들에게 도전적 학습과제를 개발하여 이를 제공하고 이의 학습을 바탕으로 하여 교실수업을 행하며 또한 교실수업의 결과를 학습자 나름대로 심화 발전시킴으로서 지성적 자기실현을 하도록 하는 과제의 제시와 학습의 평가가 교수자의 주된 역할이다. 이에 대학의 수업은 원천적으로 과제해결중심의 교수학습이어야 한다. 한편 진리 탐구를 이념으로 하는 대학은 그 이념구현을 위해서 “지적대화”를 높이 평가하고 이를 또한 크게 조장하여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진리탐구행위가 곧 화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적대화를 대학문화 곧 대학인의 생활양식으로서 체득시켜 가기 위해서 다양한 수준(전문, 기초, 교양등)의 다각적(학술활동, 교과학습, 과외활동 등)인 Seminar가 강화 되어야 한다.

      • Johann Friedrich Herbart의 敎育學的 生涯와 時代的 背景

        崔熔燮 조선대학교 교육연구소 1986 교과교육연구 Vol.9 No.-

        1. 65年間에 걸친 Herbart의 生涯(1776∼1841)는 硏究와 著述 그리고 大學의 講壇生活로 始終한 典型的인 學者的 生涯이었다. 1802年 25歲의 젊은 나이로 괴팅겐大學에서 부터 이루어진 講壇生活은, 同大學에서 7年間(1802∼1808)의 草創期的 生活에 이어 쾨니스베르크大學에서의 25年間(1809∼1833)의 華麗한 學究的 業績을 쌓고, 晩年에 다시 괴팅大學으로 돌아와 8年間(1834∼1841)의 餘生을 講壇生活으로 마치었다. 2. 그의 私的生活은 比較的 順調로웠고 平坦하였지만, 그의 生存 當時의 歐洲 특히 獨逸은 政治的으로 混亂과 激動期的 時代이었다. 프랑스革命과 그 餘波는 理想的인 激動과 함께 戰爭의 소용돌이에 말려서 命脈만을 이어 오던 神聖 로마 帝國이 나폴레온에 의해서 解體되고(1806)以後 프러씨아를 主軸으로 하는 小獨逸主義的 統一運動의 激浪속에서 近代國家로서의 獨逸國家의 모습이 들추어 지게 되는 무렵이 곧 Herbart의 一生과 軌를 같이 한다. 이러한 政治的 發展은 必然的으로 獨逸의 國民精神을 背景으로 하여 이룩되어진 것이기 때문에 民族主義的 國民敎育의 實現을 위한 敎育改革運動이 當時의 獨逸에서 强力히 提起되었던 때 이기도 한다. 3. 18世紀末葉에서 19世紀初葉에 이르기까지 政治와 經濟的인 面에서는 後進國 이었던 獨逸이었지만, 文藝 및 哲學을 中心으로 한 學界는 獨逸 歷史上 가장 燦爛한 金字塔을 이룩한 時代가 또한 그의 時代이었다. 괴테, 쉴레르, 하이네 등의 뛰어난 文人들이 나와 獨逸 浪漫主義 文學의 絶頂期를 이룩하였는가 하면, 칸트, 리히테, 헤겔 등에 의한 獨逸 觀念哲學의 全盛期가 또한 그의 時代이었다. 敎育界에서는 홈볼트, 헤르데르, 프뢰벨 등이 獨逸 國內에서 活躍하였고, 스위스의 페스탈로치가 敎育思想과 實踐面에 獨逸人들에게 커다란 影響을 끼치고 있었다. Herbart도 이러한 藝術 및 學界의 巨匠들 그리고 敎育家들과 同時代에 呼吸을 함께 하면서 이른바 新人主義 文化的 環境에서 成長하면서 그의 學問을 이룩하였다. 4. 敎育學史에 있어서의 그의 不朽의 貢績은 科學的 敎育學(Wissenschaftlicher Pa¨dagogik)을 創建한 일이다. 그로 하여금 科學的 敎育學의 創建者라는 일컬음을 받도록 한 것은, 1806年에 刊行한 「敎育의 目的으로 부터 演繹된 一般敎育學」이라는 著述에서 倫理學과 心理學에 基礎한 敎育學의 學問的 體系를 定立하였기 때문이다. 5. 예나大學에서 피히테의 首弟子이었던 Herbart가 피히테哲學에 대한 懷疑로 彷徨하던 중 스위스 슈타이겔家의 家庭敎師로 赴任(1797)하여 세 兒童에 대한 敎育體驗에서 부터 Herbart의 敎育學的 思索은 始作되었다. 三年間의 家庭敎師生活을 淸算하고 歸途에 부르크도르프의 레스탈로치를 訪問하여 그의 人格과 敎育精神 및 敎育實踐에 接하게 된 것(1799)이, 敎育學者로서의 그의 生涯를 이룩하는 決定的瞬間이 되었다. 부르크도르프에서 페스탈로치로 부터 큰 感銘을 받은 Herbart는 "獨逸人을 위한 페스탈로치事業의 敍述"을 그의 生涯的 課題로서 決心하고 돌아 왔다. 6. 스위스에서 돌아 온 Herbart는 브레멘의 親友 슈믿트家에서 묵으면서 學位 및 敎授資格取得의 準備를 하였는데, 이 期間(1800∼1802) 中에 페스탈로치의 敎育에 대한 本格的인 硏究를 행하였고, 後日에 이를 土台로 한 敎育學 定立의 基礎를 닦았다. 이 무렵에 그가 페스탈로치 敎育實踐에 대해서 硏究, 發表한 論著는 다음과 같다. 「페스탈로치 直觀의 ABC의 이념」(1802) 「페스탈로치의 最近의 著作 "게프르루트는 어떻게 그의 子女를 가르쳤는가"에 대해서"(1802) 「페스탈로치의 敎授方法 評價上의 立場에 대해서」(1804) 「敎育의 中心任務로서의 世界의 美的表現」(1804) 이러한 論著를 가운데서 「世界의 美的表現」은 「直觀의 ABC의 理念」의 第二版 附錄으로서 出刊된 것이지만, 이는 Herbart 敎育學의 씨앗이 되는 것으로 여기고 있다. 7. Herbart 敎育學이 出刊(1806)이 되기 以前에도 칸트, 페스탈로치 및 코메뉴스 등의 敎育學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들 敎育學은 敎育思想 또는 敎育實踐 등에 관한 部分的인 論著일따름이지 學問的 體系를 갖추지 못하였다. 이에 대해서 Herbart는 칸트의 批判哲學的인 學問論에 立脚한 敎育學의 體系를 定立하고, 敎育學을 大學의 講座로서의 자리에 까지 굳혔다는 데서 그를 科學的 敎育學의 創建者로서의 여김을 받게 한 것이다. 칸트 以後, 學問이 嚴密한 科學으로써 成立하기 위해서는, 批判哲學的인 立場에서의 體系를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 當時 學界 一般에 걸친 共通的인 見解이었다. 곧 칸트에 있어서의 學問이란 다만 어떠한 事實에 대한 反省的 檢討로서 만이 이루어 지는 것이 아니고, 最高의 原理下에서 행하여진 知的 反省의 統一 또는 批判的 體系로서의 表現이어야 한다. 이러한 學問論에 立脚하여, Herbart는 最高의 原理로서 "道德性의 槪念"과 普遍性을 지니기위한 數學的 原理를 適用한 그의 表象心理學을 定立하여, 이들을 基礎로 한 科學的 敎育學을 創建하였다.

      • 敎育大學院 敎育現況과 그 運營改善에 關한 硏究

        崔熔燮,金宅柱,趙命膣,金順愛,高永喜 조선대학교 교육연구소 1980 교과교육연구 Vol.3 No.-

        교육대학원은 교직적 전문인을 양성하기 위해 설립된 전문대학원이다. 그러나 교육대학원 교육의 현황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실정에 있다. 대학원 교육의 가장 기본적인 요건으로 우수한 학생의 유치, 무능한 교수진의 확보, 그리고 충분한 연구설비 등을 들고 있지만 어느 하나 만족할만한 조건을 갖추고 있는 대학원이 없다. 이렇게 부비된 교육대학원 교육 조건하에서 교육대학원이 안고 있는 제문제점을 개선하고 국가발전의 촉진을 위한 교육대학의 기능을 정상화시키는 방안으로 교육대학원 현황에 비추어 본 개선방안, 학위과정 강화를 위한 방안, 교육과정 운영의 합리화 방안, 그리고 교육연구환경 개선방안에 관해서 연구진들은 매우 활발하게 논의하였다. 이와 같이 본연구는 교육대학원 교육의 현황 속에서 실현가능한 개선방안을 시사함으로써 교육대학원 교육의 강화를 실현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대학원 교육의 몇가지 개선방안들은 21세기를 내다보는 우리나라의 올바른 교육대학원상을 정립해 나가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고, 전문대학원으로서의 교육대학원의 기능과 역할을 재인식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밝힌 교육대학원 교육이 지향해야 할 기본방향을 들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 교육의 질접 향상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질향상책으로 우수한 전임교원의 확보, 우수한 대학원생의 유인체제의 쇄신, 충분한 연구설비의 확보, 그리고 종합시험 외국어시험 및 학위논문의 수준향상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교육과정을 합리적으로 운영해야 하겠다. 교육과정의 합리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학부와 대학원간의 연계관계의 유지, 대학원간의 협동 체제 개선, 교과과정의 정선과 심화, 교수방법의 다양화 등이 있을 수 있다. 셋째, 교육대학원 교육의 역할 수행과 교육의 극대화를 위해서 문교부의 지원책이 연구되어야 하겠다. 지원책으로는 대학원생 장학금 증액 확대, 적정수의 학생정원 조정, 대학원 졸업장 대한 경력가산제 확장과 법적보장, 그리고 교육대학원 내에 박사과정을 신설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 생태소양 관점에 따른 2022 개정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생태전환교육 관련 내용 분석

        서정아(Jung-Ah Suh) 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4 敎科敎育硏究 Vol.44 No.2

        기후 변화에 따른 위기를 대비하여 개정 교육과정은 생태전환교육을 2022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2 개정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생태전환교육 요소를 생태소양의 관점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은 2022 개정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부연 내용이며, 이를 생태소양의 인지적, 정서적, 실천적, 과정적 영역으로 구분하고, 교육과정별, 영역별, 학문분야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2022 개정은 2015 개정에 비해 성취기준이나 부연내용에서 생태소양 관련 내용이 증가하였으며, 각 영역별로도 그 수가 증가했다. 그러나 영역별 빈도 분포는 유사하여, 두 교육과정 모두 인지적, 과정적, 실천적 영역 순서로 많았으며 정서적 영역의 수가 가장 적었다. 세부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두 교육과정 모두 지속가 능발전 지식이 가장 많았고 생태감수성 영역이 가장 적었다. 학문 분야별로 분석한 결과 공통, 생명과학, 지구과학 분야가 많았고 물리학, 화학 분야의 수는 적었다. 자연에 대한 경이로움을 느끼는 정서적 영역의 경험이 생태소양의 함양을 위해 중요하다는 선행 연구들을 고려해볼 때 정서적인 영역의 성취기준에 대한 체계화와 세분화가 필요하다. 또한 과학의 학문 분야별로 고르게 생태소양 관련 내용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생태소양 내용이 교육과정에 체계적으로 명시되어진다면 현장에서 생태전환교육을 구현하는 것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In preparation for the crisis caused by climate change, the 2022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elements of ecological tranformation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literacy.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supplements of the science curriculum in 2022 and 2015. They were divided into cognitive, affective, practical, and process areas of ecological literacy, and compared and analyzed by curriculum, area, and academic field. In the 2022 the content related to ecological literacy increased compared to the 2015 in all areas. However, the frequency distribution were similar in both curricula, which is in the order of cognitive, process, and practical areas, and the number of emotional areas was the smallest. As a result of analyzing by detailed area, both curricula had the most knowledge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least area of ecological sensitiv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academic field, there were many common, life science, and earth science fields, and the number of physics and chemistry fields was small. Considering that the experience of affective areas, such as feeling the wonder of nature, is important for the cultivation of ecological literacy, more standards of emotional areas are needed. It also proposes to introduce ecological literacy-related content evenly for each academic field of science. If the contents of ecological literacy are systematically specified in the curriculum, it will be of practical help in implementing ecological conversion education in the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