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분노 경험시 표현 양식에 따른 신경 상관물

        음영지,손진훈,정재준 한국감성과학회 2022 춘계학술대회 Vol.2022 No.-

        분노 경험하는 동안에는 amygdala, orbito-frontal cortex, 그리고 insula 등의 뇌 영역이 활성화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Lindquist et al., 2012; Vytal & Hamann, 2010). 그러나 분노를 경험하는 개인마다 다른 뇌 활성화를 유발할 수 있다 (Denson et al., 2009). 이는 개인마다 다른 분노의 표출 방식에 의해 뇌 활성화의 차이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즉, 같은 강도의 분노 유발 자극에 대해서도 분노를 외부로 표현하거나 (anger-out), 심리 내적으로는 분노를 경험하지만 표현은 억압하거나 (anger-in), 분노를 통제하기 위해서 조절 전략을 사용(anger-control)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표출되기 때문이다 (Spielberger, 1999). 본 연구에서는 fMRI를 이용하여 분노를 경험하는 동안 분노 표현의 양식에 따라 신경 상관물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35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남자, n=19; 여자, n=16, 연령 23.34 ±3.08). 분노 표현 양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의 하위 척도인 분노 표현 양식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노표현 양식은 분노-표출(anger-out), 분노-억제(anger-in), 그리고 분노-통제(anger-out)로 구분되었다. 분노 유발 과제는 지난 1년간 각 참가자에게 있었던 사건 중에서 화가 난 사건 세 가지를 떠올리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 분노 기억을 회상하는 동안에는 anger-out은 amygdala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nger-control은 orbito-frontal cortex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anger-in과 관련이 있는 신경 상관물을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분노 정서에 대한 뇌 기능 연구에서는 개인의 분노 표현 양식을 고려해야함을 시사한다. 또한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분노 조절 실패에 따른 사건 및 사고의 예방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분노 기억 회상에 따른 뇌 기능과 유효 연결성

        음영지,김주연,정재준,손진훈 한국감성과학회 2021 춘계학술대회 Vol.202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ive connectivity during recall of anger-provoking autobiographical memory. Thirty-eight adults with no psychiatric or neurological histories underwent a fMRI. Before carrying out this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call events that had caused an experience of anger in the past, and events that had not caused the experience of any emotion. The experimental paradigm for brain functional imaging was to recall memories when a cue was presented for each participant's memory to generate the emotion. In the brain function results, the activations of the thalamus, amygdala, insula, ACC, dlPFC and caudate were greater in the anger condition than in the neutral condition. Additionally, in the causal connectivity of the brain, the signal was inputted to the thalamus, which was passed to the amygdala and then the OFC. Only a one-way connectivity was observed for the insula to receive signals from the amygdala; however, there was a two-way connectivity observed between the insula and the OFC.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nger experience was associated with changes of brain function and effective connectivity.

      • 모호한 상황에 대한 우울장애자의 부정적 해석

        음영지,손진훈,엄진섭 한국감성과학회 2015 춘계학술대회 Vol.2015 No.-

        우울장애는 우울과 슬픈 기분이 주된 증상인 장애로 다양한 인지적, 신체적 증상을 일으켜 일상 기능의 저하를 가져온다(Joiner & Metalsky, 1995). Beck (1979)은 우울장애자들이 실패와 같은 부정적인 사건뿐 아니라 사소한 단서에 의해서도 부정적인 생각이 유발되는 경향이 있고, 그 사건들을 실제보다 부정적으로 해석하게 된다고 제안하였다. 그러나 우울장애자들의 부정적인 해석에 관한 연구 결과는 Beck(1979)의 제안과는 일치하지 않았다(Butler & Mathews, 1983; Lawson & MacLeod, 1999; Mogg, Bradbury, & Bradley, 2006). Lawson과 MacLeod (1999)는 우울장애자들에게 의미적으로 모호한 문장을 읽게 한 후 특정 단어를 제시하여 그 단어의 의미가 부정적인지 중립적인지 여부를 묻는 과제를 사용하였지만, 우울장애자들과 정상인 간 단어의 의미를 해석하는 것에 대한 차이를 밝히지 못하였다. Mogg 등 (2006)은 동음이의어 과제와 단어회상과제를 사용하여 우울장애자들의 모호한 정보를 어떻게 해석하는지를 관찰하였다. 동음이의어 과제에서는 단어를 읽어준 후, 그 단어의 의미 (예, die vs. dye)를 말하게 하는 과제였다. 단어회상과제는 긍정적인 의미의 단어(예, cheerful)들과 부정적인 단어(예, gloomy)들 각각 10개를 제시하여 암기하게 한 후에 이를 회상하게 하는 과제였다. 두 과제에서 우울장애자들이 부정적으로 해석하며, 부정적인 의미의 단어를 더 잘 회상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위의 선행연구들은 모호한 자극에 대하여 열린 질문이 아닌 부정 혹은 중립 중 택일하여 응답을 하는 과제들이었다. 우울장애자들은 모호한 자극에 대하여 중립적 의미, 부정적 의미 모두 해석할 가능성이 있는데, 정상인에 비해 부정적 의미를 더 보고하였기 때문에, 반응 편향(response bias)이 나타났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인지 과제를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기 때문에 우울장애자들의 부정적 해석에 대한 의미 있는 논의를 도출하는데 한계가 있다. 우울장애자의 애매모호한 상황에 관한 해석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는 실제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연구의 타당도를 확보하고, 반응 편향을 최소화해야 한다. 본 연구는 타인과 상호작용을 하는 내용의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우울장애자와 정상인간 애매모호한 상황에 대한 해석 특성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 KCI등재

        분노유발에 따른 특성불안자의 자율신경계 반응 특성

        음영지,장은혜,손진훈,Eum, Young-Ji,Jang, Eun-Hye,Sohn, Jin-Hun 한국감성과학회 2017 감성과학 Vol.20 No.3

        특성불안이 높은 자들은 분노 표현을 억제하려하기 때문에 주관적인 행동평가로는 특성불안자의 분노 경험을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보다 객관적으로 특성불안자의 분노 경험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분노에 의해 유발된 자율신경계 반응이 특성불안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실험참가자들을 불안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분노자극을 제시하기 전과 후에 심전도(ECG), 호흡(RESP), 피부전기활동(EDA), 그리고 피부온도(SKT)를 측정하였다. ECG에서 심박률(HR), NN 간격의 표준편차(SDNN), 심박주기 제곱의 평균제곱근(RMSSD), 심박변이도의 저주파성분(LF), 심박변이도의 고주파성분(HF), 저주파성분과 고주파성분의 비율(LF/HF ratio), RESP에서 호흡주기(RR)를, EDA에서 피부전도수준(SCL)을, SKT에서 최대피부온도(maxSKT)를 산출하였다. 두 집단 간 분노자극에서 유발된 분노정서 강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였다. 자율신경계 반응 차이를 확인한 결과, 불안집단에서 유의미한 SDNN와 LF의 증가, HF, LF/HF ratio, 그리고 RR의 감소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특성불안이 높은 이들의 분노 경험을 측정하는데 자율신경계 반응이 객관적인 지표로 활용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Individuals with high trait anxiety try to suppress their anger expression, thus there are limits in measuring their anger using subjective behavioral evaluation.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responses induced by anger in individuals with high trait anxiet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xiety and control groups. Electrocardiogram (ECG), respiration (RESP), electrodermal activity (EDA), and skin temperature (SKT) were measured while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an anger-inducing stimulus. Heart rate (HR), standard deviation of NN interval (SDNN), root mean square of successive difference (RMSSD), low frequency (LF), high frequency (HF), LF/HF ratio, respiration rate (RR), skin conductance level (SCL), and maximum skin temperature (maxSKT) were calculated before and after presenting the stimulus. Anxiety group reported greater anger by the anger-inducing stimulu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xiety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SDNN and LF, and decrease in HF, LF/HF ratio, and R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responses may be used as objective indicators of anger experiences in individuals with high trait anxiety.

      • KCI등재

        공포와 기쁨 정서 간 안면온도 반응의 차이

        음영지 ( Yeong Ji Eum ),엄진섭 ( Jin Sup Eom ),손진훈 ( Jin Hun Sohn ) 한국감성과학회 2012 감성과학 Vol.15 No.1

        많은 연구에서 정서 특정적 생리 반응을 밝히기 위하여 심박률, 혈류량, 피부전도 반응 등의 지표를 사용하였으나, 안면온도를 이용한 정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적외선 열화상을 통해 공포 및 기쁨 자극에 대한 안면온도 변화를 관찰하고자 한다. 98명의 대학생과 중고생을 대상으로 공포 또는 기쁨을 유발하는 자극을 제시하기 전과 후의 안면온도를 측정하였다. 온도값은 이마, 눈앞, 콧등, 코끝, 그리고 뺨에서 추출하였다. 공포자극을 제시한 조건에서는 콧등과 코끝의 온도가 유의하게 낮아졌다. 기쁨 자극을 제시한 조건에서는 이마, 눈앞의 온도 상승이 유의하였으며, 코끝에서 온도가 유의하게 낮아졌다. 두 조건에서 코의 온도가 유의하게 낮아졌는데, 이는 공포 또는 기쁨을 경험할 때 각성수준이 증가하여 코 혈관의 혈류량이 감소함으로써 도가 낮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공포나 기쁨을 경험할 때 나타나는 온도 변화는 정서를 경험할 때 손가락온도를 측정한 선행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이런 연구결과는 정서 측정기법의 개발과, 인간의 정서를 탐지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기초를 확립하는 데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There have been many emotion researches to investigate physiological responses on specific emotions with physiological parameters such as heart rate, blood volume flow, and skin conductance. Very few researches, however, exists by detecting them with facial skin temperature.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observe the differences of facial skin temperature by using thermal camera, when participants stimulated by monitor scenes which could evoke fear or joy. There were totally 98 of participants;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in their adult age and middle,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in their adolescence. We measured their facial temperature, before and after presenting emotional stimulus to see changes between both times. Temperature values were extracted in these regions; forehead, inner corners of the eyes, bridge of the nose, end of the nose, and cheeks. Temperature values in bridge and end of the nos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fear emotion stimulated. There was also significant temperature increase in the area of forehead and the inner corners of the eyes, while the temperature value in end of the nose decreased. It showed decrease in both stimulated fear and joy. These results might be described as follows: When arousal level going up, sympathetic nervous activity increases, and in turn it makes blood flow in peripheral vessels under the nose decrease. Facial temperature changes by fear or joy in this study were the same as the previous studies which measured temperature of finger tip, when participants experiencing emotions. Our results may help to develop emotion-measuring techniques and establish computer system bases which are to detect human emotions.

      • KCI등재

        한국판 농인 문화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음영지(Eum, Youngji),박지은(Park, Jieun),손선주(Sohn, Sunju),엄진섭(Eom, Jinsup),손진훈(Sohn, Jinhu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사회복지학 Vol.6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판 농인 문화적응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Maxwell-McCaw와 Zea(2011)의 농인 문화적응 척도(Deaf Acculturation Scale)를 국내 농인에 적절하게 번안하여 예비문항을 만들었다. 척도는 농문화적응과 청인문화적응, 두 가지 하위척도로 구분하여 농인들의 문화적응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었다. 최종적으로 농문화적응 하위척도 25문항, 청인문화적응 하위척도 25문항으로 구성된 한국판 농인 문화적응 척도가 개발되었다. 농문화적응 하위척도 4개의 요인, 청인문화적응 하위척도 5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척도의 내적 일관성 계수인 Cronbach’s α는 농문화적응 하위척도가 .93이었고, 청인문화적응 하위척도가 .93로 높은 값을 보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농문화적응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 연령, 청각장애 시기와 장애 급수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공존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집단 자아존중감 척도(Collective Self-Esteem Scale)와의 상관분석으로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논의에는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Korean version of Deaf Acculturation Scales(DAS). Pilot items were made a faithful translation of the Acculturation Scales of Maxwell-McCaw and Zea (2011) and were modified for Korean Deaf people. The Scale involves two dimensions, in order to measure the acculturation of Deaf people; Deaf acculturation and hearing acculturation. Using factor analysis, we developed a Korean version of DAS consisted of twenty-five items for Deaf acculturation dimension and twenty-five items for hearing acculturation dimension. These analysis supported the four factors of Deaf acculturation dimension and the five factors of hearing acculturation dimension. Reliability, assessed by Cronbach’s α, was .93 for Deaf acculturation and .93 for hearing acculturation, respectively, which confirm the Koran version of DAS. Construct validity was demonstrated through correlation with Deaf acculturation-related variables: age, age of Deafness, Degree of hearing loss, American Sign Language ability, and lip-reading ability. Criterion validity was supported by correlation with Collective Self-Esteem Scale. Limitation and implication of this study and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