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젊은 성인의 전위성 대퇴 경부 골절에서 결과에 미치는 영향 비교

        윤형구(Hyung Ku Yoon),조덕연(Duck Yun Cho),한수홍(Soo Hong Han),김재화(Jae Hwa Kim),김정열(Jung Ryul Kim),이승용(Seung Yong Rh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5

        목적: 젊은 성인의 전위성 대퇴 경부 골절에서 무혈성 괴사 및 불유합 같은 잘 알려진 합병증의 발생에 대한 여러 가지 원인들이 주장되고 있어서 저자들은 골절 위치와 분쇄 유무, 수술 시기와 정복정도의 비교에 따른 임상결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3년 1월까지 도수정복 및 경피적 다발성 유관나사 못으로 치료한 젊은 성인의 전위성 대퇴 경부 골절 51예 중 최소 2년 이상 추시되었던 39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골절 위치와 분쇄 유무, 수술시기 및 술 후 정복 정도가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총 39예의 환자 중 무혈성 괴사는 6예(15.4%), 불유합은 3예(7.7%)가 발생하였다. 골절의 위치와 후유증 간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며(p=1 & p=1), 경부 전방 분쇄상보다 후방 분쇄상을 보인 예가 무혈성 괴사(p=0.0066)와 불유합(p=0.0219)이 유의하게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수술시기와 후유증 간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며(p=0.4984 & p=1), 양호한 정복보다 불량한 정복을 보인 예에서 무혈성 괴사가 유의하게 높은 발생률을 보였으나(p=0.0105), 불유합은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p=0.1011). 결론: 젊은 성인의 전위성 대퇴 경부 골절에 있어,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수술 시기보다는 정복의 정확도를 기해야 하며, 골절 위치보다는 분쇄상이 더 중요한 예후 인자로 생각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fracture level and comminution, time to operation and reduction quality on the results of displaced femoral neck fractures in young adul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6 to January 2003, 39 of 51 cases of displaced femoral neck fractures that were treated with closed reduction and percutaneous internal fixation using cannulated screws, were evaluated after at least two years of follow-up with respect to the fracture level, comminution, time to operation, and reduction quality. Results: The incidence of AVN and non-union were 6/39 (15.4%) and 3/39 (7.7%),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in the incidences of complications among subcapital, transcapital, and subcapital fractures was not significant (p=1 & p=1). There was a higher incidence of AVN (p=0.0066) and non-union (p=0.0219) with posterior comminutions than anterior ones. The time to operation was not an important factor in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p=0.4984 & p=1). Between acceptable and poor reductions, the differences in the incidences of AVN was significant (p=0.0105), but not in the incidences of non-unions (p=0.1011).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good quality of reduction is more important than the time to operation for achieving good results, and that comminution is a more important prognostic factor than is the fracture level.

      • KCI등재후보

        80세 이상 기저부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의 압박 고 나사를 이용한 금속 내 고정과 반치환성형술의 기능 회복의 비교

        윤형구(Hyung-Ku Yoon),조덕연(Duck-Yun Cho),신동은(Dong-Eun Shin),강성훈(Sung-Hoon K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2

        목적: 80세 이상의 기저부 대퇴 전자간 골절에 시행한 압박 고 나사를 이용한 금속 내 고정 및 반치환성형술 후 수술 전후의 기능 회복 및 임상결과를 비교 관찰하여 수술 방법의 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8월부터 2001년 5월까지 본원에서 80세 이상 기저부 대퇴 전자간 골절 62예 중 1년 이상 생존하여 추시된 환자 42예(압박 고 나사를 이용한 금속 내 고정 군-가군 22예, 반치환성형술 군-나군 2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수술 전후의 보행 능력, 생활 수행 능력, 정신 상태, 수술 후 섬망, 만성 질환 척도, 후유증을 통계학상 paired T-test와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가군과 나군의 수술 후 부분 체중 부하는 14.5일, 9.5일, 전 체중부하는 10주, 3주였고, 보행 능력은 각각 3.5에서 2.2, 3.0에서 2.5로 줄었고 생활수행 능력은 가군은 4.8에서 7.9, 나군은 4.6에서 6.2로 의존도가 높아졌고 정신 상태는 가군은 22.8에서 18.2, 나군은 22.8에서 19.7로 줄었고, 수술 후 섬망은 각각 6예, 5예가 발생하였다. 만성 질환 척도는 가군은 2.09에서 2.27로, 나군은 2.05에서 2.25로 증가하였으며 수술 후유증은 양 군에 큰 차이가 없었다. 결론: 두가지 수술방법 중 보행 능력, 생활수행 능력, 정신상태의 변화는 압박 고 나사를 이용한 금속내 고정 군에서 기능 회복이 불량하였으며, 만성 질환척도, 수술 후 섬망, 후유증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부분 및 전 체중 부하가 조기에 가능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되어 80세 이상의 고령의 경우 반치환성형술도 일차 치료방법의 하나로 선택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compare functional recovery and clinical outcome for internal fixation and hemiarthroplasty groups over eighty years old for basal intertrochanteric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Forty-two cases among 62 treated from Aug. 1997 to May 2001 (22 internal fixation-group A and 20 hemiarthroplasty-group B)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to assess walking level, activity of daily living, mental status, dementia, chronic illness and complications after at least a one year follow up. Results: Partial weight bearing was started at a postoperative 14.5 and 9.5 days and full weight bearing at 10 and 3 weeks in group A and B, respectively. Walking level changed from 3.5 to 2.2 in group A, from 3.0 to 2.5 in group B, and the daily living activity scale from 4.8 to 7.9, and from 4.6 to 6.2. Mental status reduced from 22.8 to 18.2, and from 22.8 to 19.7 in each group. Newly developed dementia occurred in 6 and 5, and the index of chronic illness increased from 2.09 to 2.27, and from 2.05 to 2.25 in each group. Oth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The authors suggest bipolar hemiarthroplasty shows better functional recovery in terms of walking level,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mental status, but same recovery for dementia, postoperative dilirium and chronic illness compared to the internal fixation group. Therefore, the authors suggest that bipolar hemiarthroplasty in an effective surgical method in the over eighties.

      • KCI등재후보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환자에서의 대퇴골 골두 및 경부 골절 -4례 보고-

        윤형구 ( Hyung Ku Yoon ),조덕연 ( Duck Yun Cho ),한수홍 ( Soo Hong Han ),한용섭 ( Yong Sub Han ),남기식 ( Ki Sik Nam ) 대한고관절학회 2006 Hip and Pelvis Vol.18 No.1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환자에서 속발되는 대퇴골두 및 경부의 골절발생은 매우 드물며 이에 대한 골절의 양상에 대한 분석과 연관된 보고는 별로 이루어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대한 국내 문헌 상 보고도 거의 없는 실정이어서, 저자들은 무혈성 괴사로 진단 받아 추시 관찰 중인 환자들중에서 초생달 형태의 골절과는 전혀 다른, 작은 외상에 의해 발생한 스트레스성 골절로 기인된 것으로 사료되는 비교적 수직 형태의 대퇴골두 및 경부 골절을 동반한 환자 4례를 경험하였기에 골절의 발생원인, 무혈성 괴사에 대하여 그 원인, 골절의 위치, 형태, 방향 및 수상기전등에 관한 것을 분석하여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증례 보고하고자 한다. Femoral head and neck fractures during the course of avascular necrosis are rare with only few reports in the English literature. Moreover, there are very few reports on an analysis of the patterns of these fractures. Four cases of femoral head fracture caused by minor trauma, which were quite different from the crescent fractures during the course of avascular necrosis were analyzed in regard to the underlying disease, causes, sites, types, directions, pattern of fractures and the injury mechanism of the fractures. The results are reported with special regard to the pattern of the stress fracture of the femoral head and neck during the course of avascular necrosis.

      • KCI등재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의 살모넬라균에 의한 화농성 근염

        윤형구(Hyung Ku Yoon),조덕연(Duck Yun Cho),한수홍(Soo Hong Han),김재화(Jae Hwa Kim),김정열(Jung Ryul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1

        화농성 근염은 횡문 골격근의 세균 감염을 말하며 원인균의 대부분은 포도상 구균이다. 살모넬라균에 의한 화농성 근염은 전체 화농성 근염의 1% 미만으로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다른 원인균에 의한 회농성 근염에 비해 기존 질환 동반이 있는 경우, 면역력이 결핍된 경우, 소아 및 고령에서 발병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그 예후는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살모넬라균에 의한 서혜부의 화농성 근염을 경험하였기에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Pyomyositis is a bacterial infection of the skeletal muscle with Staphylococcus aureus being the most common pathogen. Pyomyositis by salmonella is quite rare accounting for less than 1% of the total pyomyositis, and has some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a poor prognosis compared with those of the typical pyomyositis caused by other bacteria. Among these differences, an older age, other combined diseases, and an immune deficient condition are factors predisposing a patient to pyomyositis by salmonella. We experienced a very rare case of pyomyositis by salmonella at the inguinal area in a multiple myeloma patient. This is the first case reported in South Korea.

      • KCI등재후보
      • SLAP 병변에서 회전근 개 부분층 파열의 빈도와 양상

        조덕연,윤형구,김형준,이승용,김재화,Cho, Duck-Yun,Yoon, Hyung-Ku,Kim, Hyoung-Jun,Rhee, Seung-Young,Kim, Jae-Hwa 대한관절경학회 2004 대한관절경학회지 Vol.8 No.2

        목적: 견관절의 미세 불안정성의 한 원인이 되는 상부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과 회전 근 개의 병소를 관절경적으로 관찰하고 견관절의 운동 범위와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 그리고 이와 동반 된 회전근 개의 관절면 측 부분층 파열의 빈도와 그 형태를 확인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경술을 시행한 113예 중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으로 진단 받은 환자 45명, 46례를 대상으로하였다. interscalene마취하에서 견갑골을 고정한 후의 견관절의 전방 거상 및 견관절을 90도 외전한 위치에서의 내회전 및 외회전 운동 범위를 측정하고,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의 형태와 회전근 개 부분 손상의 형태 및 빈도를 수술 기록지 및 녹화한 기록을 통해 분류하였다. 결과: 관절 운동 범위는 견관절 전방 굴곡이 평균 150$^{\circ}$, 견갑골 고정 및 견관절 90도 외전하에서 견관절 외회전은 평균 65.5$^{\circ}$, 견관절 내회전은 평균 61.7$^{\circ}$로 측정되었다. Snyder의 분류에 의한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의 형태는, 제 2형이 40례로 가장 많았고, 회전근 개 관절면 측 부분층 파열을 동반한 경우는 전체 환자에서 24례l(52%)를 관찰 할 수 있었다.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 제1형 손상에서 관절면 측 부분층 파열은 5례 중 l례, 제2형에서 41례 중 22례, 제4형에서 1례 중 1례에서 발생하였고, 전 예에서 관절면 측 분분층 파열은 극상건의 전방부, 즉 이두박 건 바로 뒤쪽에 위치 하였다. 결론: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이 있는 환자에 있어서 회전근 개의 부분층 파열, 특히 관절면 측 손상이 흔히 동반되었고, 또, 2형 이상의 상대적으로 불안정성이 높은 경우에, 손상의 빈도가 높게 관찰 되었다 그러므로 미세 불안정성의 한 원인인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은 회전근 개 관절면 측 부분층 파열의 한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겠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range of motion of shoulder and inverstigate the frequencies and patterns of partial thickness rotator cuff tear in SLAP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Forty-six patients, forty-seven cases who had SLAP lesions at shoulder arthroscopy were analyzed spectively using the medical records, intra-operative arthroscopic photo & video for SLAP lesions and rotator cuff articular side partial tear. Under the interscalene anesthesia, the range of notion of foreward elevation, internal rotation and external rotation was measured on fixed scapula and 90 degree abduction of the shoulder. Results: The rang of Motion are 150 degree on foreward elevation, 65.5 degree on external rotation, 61.7 degree on internal rotation. By Snyder's classification, type ll SLAP lesion is noted in 24 cases (five cases in type 1, one case in type IV). Rotator cuff articular side partial tear is noted in 24 cases ( one case in type I, 22 cases in type II, one case in type IV SLAP). All the rotator cuff articular side partial thickness tear were located in the anterior part of the supraspinatus. Conclusion: The rotator cuff partial thickness tear is mostly noted on the articular side and frequently found in the relatively more unstable type of SLAP lesions. So we consider that SLAP lesion may be a one of the causes for partial tear of the rotator cuff articular side.

      • KCI등재

        종골에 발생한 원발성 골육종 - 1예 보고 -

        조덕연,윤형구,김재화,신동은,박형근,Cho, Duck-Yun,Yoon, Hyung-Ku,Kim, Jae-Hwa,Shin, Dong-Eun,Park, Hyung-Ku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2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6 No.2

        Osteogenic sarcoma is the most common primary malignant tumor of bone in which tumor cells form neoplastic osteoid or bone or both. Classic osteogenic sarcoma usually involves the metaphysis of the more rapidly growing long bones (distal femur, proximal tibia). Osteogenic sarcoma of the foot is rarely noted and only a few well documented cases have been reported. Osteogenic sarcoma of foot can clinically, radiographically, and histologically mimic several benign lesions and tumor-like lesions, so it sometimes leads to late diagnosis and delayed treatment. We experienced a case of primary osteogenic sarcoma on left calcaneus in 66-years-old female and report it with a review of references.

      • 슬개대퇴관절 불안정성에서의 관절경적 All-inside 관절막 중첩술 및 외측 지대 유리술 (수술 술기)

        김재화,조덕연,윤형구,김정열,Kim, Jae-Hwa,Cho, Duck-Yun,Yoon, Hyung-Ku,Kim, Jung-Ryul 대한관절경학회 2006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0 No.1

        목적: 슬개대퇴관절 불안정성에 대한 치료 방법 중 하나인 관절경적 all inside 관절막 중첩술 및 외측 지대 유리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방법: 슬관절의 관절경적 기본 검사 후, 관절경을 전내측 도달법을 개설하여 위치한 후, 외측 지대의 근위부에서 원위부까지 유리술을 시행하기 위하여 상외측 도달법을 개설하여 관절경 scissor를 위치한다. 슬개골의 가장자리부터 5 mm에서 1 cm정도에서 외측 지대 유리술을 시행한다. 외측 지대 유리술 후, 관절경을 전외측 도달법을 개설하여 위치한 후, 상외측 도달법을 개설하여 5 mm 배관을 삽입하고, 조작용 상내측 삽입구를 개설한다. 경피적으로 만곡 침을 상내측 삽입구를 통해 통과시킨 후 봉합사를 상외측 삽입구를 통해 회수하는, all inside 수기로 시행된다. 결론: 근위부 재정렬을 위한 여러 가지 관절경적 방법이 제시되었지만, 대부분이 내측 절개를 이용한 관절경 보조수기 방법들이었다. 관절경적 all inside 관절막 중첩술 및 외측 지대 유리술은 기존의 관절경 보조 수기 방법들에 비해 내측 절개를 피함으로써 내측 광사근에 손상을 주지 않는 점에서 장점을 가진다. 이 수기는 최소 침습적이면서 직접 관찰하면서 내측 슬개대퇴 인대의 긴장의 정도를 조절하기가 쉬운 수술 수기로 사료된다. Purpose: We introduce a technique of all inside arthroscopic capsular imbrication and lateral release used to treat patellofemoral instability. Methods: With the arthroscope in the anteromedial portal for best viewing, the arthroscopic scissor is placed through superolateral portal for proximal to distal release. The release performed 5mm to 1cm from the edge of the patella. After completion of the procedure, with the arthroscope in anterolateral portal, we inserted 5mm cannula in superolateral portal and made working portal from superomedial portal. Medial reefing was performed with all inside technique by using curved needle of the spectrum suturing system and No. 1 monofilament PDS suture is passed through the superomedial portal percutaneously and retrieved through a superolateral portal. Conclusion: Several methods for arthroscopic patella realignment have been proposed, but they have consisted primarily of arthroscopically assisted techniques using a medial incision. We believe that our procedure is preferable to arthroscopically assisted methods commonly used, in that an incision is avoided and the vastus medialis obliqqus is not violated. Our technique is minimally invasive and is easy to control the tightness of the medial patellofemoral ligament (MPFL) under direct v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