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의 정서에 관한 전통생활도구의 버네큘러 디자인 연구
신동은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1
Korean vernacular design is related to various folk art articles produced by Korean traditional techniques. However, there are numerous kinds of folk formative art works as it is limited to find its reason simply from natural characteristics. Thus this study focused on brown color which could be felt from nature like trees and soil among brown, blue, white, red and black colors. Especially, the vernacular designs of pottery that has the most similar color to soil among Korean ceramics and the brown small portable dining table which is the product of Korean culture(sitting down on the floor) were researched in priority. This study is comprised of four chapters. The first chapter is about the study objective, methods and range. Confirming the colors and sentiment about Korean vernacular design, the second chapter mentioned the definition of vernacular design, endemicity, five main colors and Korean local colors coming out of life and nature. The third chapter described Korean living ceramics and earthenware, changes of pottery shape caused by endemicity and sentiment reflecting colors focusing on brown color. The last chapter is the conclusion. By understanding the image of brown color used for folk formative art works with endemicity in order to know Korean vernacular desig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many designers who are expressing Korean beauty with inspiration, and then they can create designs that can show differentiated Korean beauty, instead of designs without identity from unknown nationality. 한국의 버네큘러 디자인은 우리나라 전통적 기법에 의해 제작된 각종 민예품과 관련되어 있다. 하지만 현존하는 수많은 민속조형예술작품들은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또한 이것을 단순히 풍토에 기인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방색 중 흙과 나무 등 자연에서 느낄 수 있는 기억색인 갈색에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우리나라 도자기 중에서 흙과 가장 가까운 색을 지닌 옹기와 우리나라 가구 중에서 평좌식 문화의 산물인 소반에 대한 갈색의 버네큘러 디자인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네 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는 연구의 목적과 방법 및 범위이고 두 번째는 한국적 버네큘러 디자인에 대한 색채와 정서를 확인하는 장으로 버네큘러 디자인의 정의부터 풍토성과 오방색, 삶과 자연 속에서 우러나는 한국적 고유색을 언급하였다. 세 번째 장에서는 갈색의 기억색을 중심으로 한 우리나라의 토기와 생활자기, 풍토성에 기인한 옹기의 형태 변화와 색채를 반영한 정서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장에서는 결론을 서술하였다. 한국의 버네큘러 디자인을 바로 알기 위해서 민속조형예술작품에 사용된 갈색의 기억색이 가진 이미지를 풍토성과 함께 살펴본 이 연구는, 한국적 미를 수행하는 많은 디자이너들에게 영감을 제공해 줄 것이며 국적불명의 정체성이 없는 디자인 대신 차별화된 그리고 한국의 미를 잘 보여줄 수 있는 디자인으로 거듭나게 될 것이다.
미국 커뮤니티 칼리지의 교육성과 평가를 통한 교육의 질 개선 사례 연구: 전문대학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신동은,강상희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敎育問題硏究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analyse improvement of educational quality of community college through outcomes based assessment in USA in order to obtain implication for college education in Korea. The cases for this study was Camden college(NJ.) and Bronx College(NY), which were accredited by MSCH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both colleges emphasize the core competencies which could be considered common irregardless of disciplines or types of degree. Second, both colleges define student outcomes explicitly. And they are expected to be assessed coherently and adaptively through the courses. Third, educational quality improvement can be implemented on the results of assessments to the pedagogy, curriculum, teaching or learning. The researchers concluded with three points. First, college education should set the student outcomes including core competencies. Second, institution-level outcomes-based education can be shared based on the policy-level and administrative support. Third, members should make efforts in order to realize the original intention of assessment. 본 연구는 미국 커뮤니티 칼리지의 교육성과 평가에 기초한 교육의 질 관리 사례를 통하여 전문대학 교육의 시사점을 얻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대학은 중부고등교육위원회의 인증을 받은 캄덴 카운티 커뮤니티 칼리지와 브롱스 커뮤니티 칼리지로서, 대학이 작성한 자체평가 보고서와 관련 자료를 분석하였다. 두 대학의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대학 모두 학위 종류에 상관없이 모든 학생들이 배워야 할 핵심을 정의하여 교양교육을 통해 교육하고 있다. 교양교육의 성과는 표준화 검사와 주요 교과목들을 통해 평가되고 있다. 둘째, 두 대학 모두 학생 학습성과를 명확히 정의하고 있다. 학습성과는 교과기반 평가를 통해 직접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교과와 연계하여 또는 교과 내에서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적ㆍ행정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세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전문대학은 장기적인 경력개발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교양교육 및 학생 학습 성과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기관 전체 차원에서 성과중심 교육이 운영될 수 있도록 대학의 실효성 있는 정책적ㆍ행정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셋째, 평가의 목적은 교육개선에 있다는 평가의 본래적 취지를 회복하고 교육과정 개선의 논리적 연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교과목 차원의 평가에 의미가 부여될 필요가 있다.
기업조직의 특성이 여성관리자의 일-삶(work-life) 균형에 미치는 영향
신동은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15 사회연구 Vol.16 No.1
여성의 관리직․전문직 진출이 확대되고 있지만, 일 중심의 근로관이 지배적인 한국 사회에서 여성이 겪는 일과 삶 사이의 갈등은 심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조직의 어떠한 특성이 여성관리자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2년에 여성관리자 2,04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여성관리자패널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핵심적인 발견은 다섯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직무 자율성은 여성관리자의 일-삶 균형에 큰 영향을 미친다. 직무 자율성이 증가할수록 여성관리자의 일-삶 갈등이 완화되고, 동시에 일-삶 촉진이 강화된다. 둘째, 상사의 지지는 여성관리자의 일-삶 균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사의 지지가 높을수록 여성관리자의 일-삶 갈등이 감소하고, 동시에 일-삶 촉진이 증가한다. 셋째, 공식화 및 성과제 수준이 높을수록 여성관리자가 경험하는 일-삶 촉진이 증가한다. 넷째, 위의 세 가지 효과는 장시간 근로 여부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장시간 근로, 집단적 조직문화, 성차별 경험은 여성관리자의 일-삶 갈등에 큰 영향을 준다. 장시간 근로할수록, 집단적 조직문화가 강조될수록, 그리고 성차별을 경험할수록 여성관리자의 일-삶 갈등이 증가한다.
후방부 단독침범을 동반한 다발성 광범위 척추 결핵 - 1례 보고 -
신동은,이상준,권영우,안태근 대한척추외과학회 2016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3 No.3
Study Design: A case report. Objectives: To report a rare case of atypical spinal tuberculos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In spinal tuberculosis, non-contiguous multifocal involvement and isolated involvement of posterior elements of the spine have been considered atypical features. There have been a few reports of each of these atypical features but no reports have described spinal tuberculosis with both of these atypical features. Materials and Methods: A 39-year-old man presented with back pain and progressive weakness of both lower extremities. He was diagnosed with spinal tuberculosis from the cervical to sacral spine, showing multifocal non-contiguous involvement with multiple abscesse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Notably, in the thoracic spine area, isolated involvement of posterior elements was found with an epidural abscess compressing the spinal cord. He underwent a total laminectomy of the thoracic spine and multiple abscesses were drained with pigtail catheter insertions into the cervical, thoracic, and lumbar spine. Results: At the 8-month follow-up, the patient’s neurologic status had improved to Frankel Grade D, and the patient was able to walk with the support of a walker. At the 3-year follow-up, the patient had recovered completely without any neurologic deficit. Conclusions: Since atypical spinal tuberculosis may show various patterns, examination of the entire spine is important for early diagnosis. Treatment should be provided properly from minimally invasive procedures to open surgery depending on the extent of structural instability and neurologic deficit. 연구 계획: 증례 보고. 목적: 비전형 척추 결핵의 증례 보고선행연구문헌의 요약: 척추결핵에 있어서 비연속성 다발성 침범 이나 후방부 단독 침범은 비전형적 형태이다. 이전 문헌에 있어 이와 같은 두 비전형적형태가 동시에 나타난 경우에 대한 사례에 대한 보고가 없다. 대상 및 방법: 39세 남자가 요통과 점진적인 양측 하지의 근력약화를 보였다. 자기공명영상상 경추에서 천추까지 이르며 농양을 동반한 다발성 비연속성척추 결핵이 확인되었다. 흉추에서는 후방부에서 단독침범하여 척수를 압박하고 있는 경막 외 농양이 확인되었다. 흉추에 대해서 척추궁 전절제술을 통한 감압을 시행하였고 경추에서 요추에 이르는 다발성 농양에 대해서는 pigtail 도관을 이용한 배액을 시행하였다. 결과: 8개월 추시관찰에서 Frankel Grade D의 신경학적 호전을 보였고 보행기 보조 하에 보행이 가능하였다. 3년 추시관찰에서 신경학적으로 완전한 호전을 보였다. 결론: 비전형 척추 결핵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므로 조기 진단을 위해서 전 척추에 대한 검사가 중요하다. 치료는 척추의 구조적 안정성과 신경학적증상을 고려하여 최소침습적인 치료부터 관혈적 수술까지 적절하게 시행되어야 한다.
고용가능성과 고등교육과정: 영국의 파운데이션 +1 학위과정 사례 연구를 통해 고찰한 고등직업교육과정의 발전 방향
신동은,이로미 한국직업교육학회 2012 職業 敎育 硏究 Vol.31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wo cases of Foundation Degree +1 programs in England to find what should be done to accommodate the elements of employability in higher education system - its degree structure and curriculum. Research questions were threefold: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employability that need to be emphasized throughout higher education period?; second, how employability is reflected in the learning outcomes of these two cases of successive programs?; third, what implications can be drawn from the cases of higher education in England?This study conceptualizes understanding, skills, self-efficacy, and metacognition as the main elements of employability that needs be achieved through higher education and draw an analytic framework to investigate higher education program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wo actual Foundation Degree +1 programs in England show that the elements of employability are closely related to learning outcomes in each curriculum, which are differently defined and applied to the curricula. Also, teaching in both cases of the Foundation +1 programs commonly emphasizes constructive teaching methods and low-stake assessments. These methodological approaches enhance the elements of employability such as self-efficacy and metacognition, which develop the lifelong learning abilities of the learners. This investigation implies that Korea's higher education should be more based on the concept of employability and its elements when curricula are developed to meet the societal needs of work-based higher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society. Junior colleges, particularly, need to reorganize their system and curricula to provide quality vocational education 본 연구는 고등교육의 고용가능성 신장이라는 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고 있는 영국의 파운데이션 +1 학위과정의 구체적인 사례들을 선정하고 각 교육과정이 제시하는 학습성과가 학습자의 어떤 고용가능성 요소의 신장에 도움을 주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첫째, 고등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하는 고용가능성의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고용가능성은 파운데이션 +1 학위과정이 제시한 학습성과 속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으며, 두 과정의 학습성과의 수준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영국의 사례가 우리나라 직업고등교육과정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의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고용가능성의 요소를 이해력, 기술, 자기효능감 및 상위인지력의 네 가지 요소로 정리하고, 그 구체적인 내용을 교육과정이 의도하고 있는 학습성과의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고용가능성 요소를 바탕으로 파운데이션 +1 학위과정의 학습성과 기술을 비교한 결과, 고용가능성 요소들이 학위 수준에 따라 차등적으로 두 학위과정에 적용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졸업자에게 필요한 고용가능성 요소를 정의하고, 이를 구체적인 학습성과로 정의하여 학위과정에 차별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영국의 사례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전문대학의 전공심화과정 뿐 아니라 우리나라 고등교육 전반의 발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신동은 한국직업교육학회 2011 직업교육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미국의 공학윤리 분야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학윤리 교과 운영에 관련된 연구 성과를 검토함으로써 한국의 공학윤리 교과 운영에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공학윤리 교육의 범위는 규칙을 가르치는 것을 넘어서 기술의 사회 역사적 의미, 자연에 대한 존중, 공공선에의 헌신과 같은 요소를 포괄하고 있다. 둘째, 다양한 형식과 내용의 사례가 개발되어 보급되었고, 이를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에 대한 경험적 이론적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셋째, 윤리강령에 대한 교육이 중요하게 여겨지면서 동시에 윤리강령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의 증진 또한 강조된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공학윤리 교육에 대한 몇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학윤리 관련 교과를 학년별로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학 및 공학 수행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적으로 합의할만한 윤리적 기준을 마련하고, 공학적 수행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사례들이 폭넓게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사례를 통해 윤리적 상상력 배양, 도덕적 가치의 동기화, 갈등하고 있는 가치에 대한 반추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 방법들에 대해 경험적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져야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공학윤리의 발전을 위해서는 공학, 사회학, 윤리학, 교육학 등의 학문 분과가 보다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개발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through reviewing american literatures concerning engineering ethics focused on the pedagogical asp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scope of engineering ethics includes the understanding of socio-historical context of engineering beyond specific regulations. Second, various cases have been produced, and the pedagogical methods about using these cases have been discussed. Third, the critical thinking is also valued as well as learning codes of conduct.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three points on the based of the research. First, we need to systematize the engineering ethics curricular, from the understanding the role of engineering practice in the social context to micro-insertion (by Michael Davis). Second, we need to make produce a plenty of appropriate cases on the based of the agreed ethical standard. Third, more experienti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make good use of the cases in the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