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문학과 정치의 상보적 대립 ― 전통소설문학을 중심으로 ―

        윤채근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6 고전과 해석 Vol.20 No.-

        이 논문은 전통시대 문학관을 ‘정치와의 상보성’이라는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했다. 동양의 전통적인 예술관은 문학과 정치 어느 한 차원에 강조점을 두지 않는 원환적 관계를 지향했다. 하지만 기를 중심으로 한 형이상학적 우주론에 기반을 둔 이 관점은 당대를 태평성대로 인식하는 정치적 관점에 의해 훼손되어 재도론으로 정립되기에 이른다. 교화론에 입각한 이 문학관은 문학의 자율성을 근본적으로 훼손한다. 그런데 문학과 정치는 반영적 관계만 맺지는 않으며 서로를 보완하면서 견제하는 평행 관계를 유지해야만 한다. 우리는 특히 소설의 존재 의미가 정치라는 공식 현실에 대응하는 ‘다른 현실’을 창조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문학이 정치에 대해 갖는 독특한 초월적 지위를 확인하는 데에 이르렀다. This treatise deals with the viewpoint of literature in the traditional ages newly on the dimension of the complementarity with politics. The traditional opinion of the art in the east Asia had pointed to the circular relation between the literature and the politics without any biased emphasis. But this opinion based on the metaphysical cosmology and focused on Ki(氣) had been damaged by various political opinions that prescribed the present age as a peaceful reign and at last the political opinion had established into the theory that literature have to describe Tao. This viewpoint of literature based on enlightenment theory had damaged fundamentally literary autonomy. But the relation between the literature and the politics could not be only representative. They must maintain the parallel relationship in which both of them complement and check each other. We, especially,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meaning of existence of novels is the creation of another reality standing against the formal reality called politics. Through these arguments we conclude that the position of the literature to the politics is transcendental.

      • KCI등재

        한문소설 속 성의 윤리와 정의 개념의 모순

        윤채근 한국한문학회 2019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3

        This essay tries to analyse two Korean classic novels in the premise that there is ethical contradiction in the origin of the discourses about justice. The coincidence between the judical justice made from society and the ethical judgement originated from subject, of course, would be one of the ultimate goals of humankind. But it is not possible yet, and because of the impossibility various ethical, literal discourses on the topic could have been produced till now. The representative literal appearance generated from this gap of the contradiction is the narrative of love & desire. The narrative of love & desire had begun from the attempt to humanized the savage desire attributed to nature and to establish it as new ethics. Kimhyunkamho(「金現感虎」) was the representative work of that humanizing process. This ethical process was designed to violate the principle of justice symbolized as 'effort for another's benefit(‘利物’) and 'tiger girl's sacrifice' is the symbolic accident in the Korean traditional narratives. This sacrifice narrative formed from the viewpoint that regarded women as the residue of savageness in later days, at the stage of Pouikyojip(「布衣交集」), could develop into the love narrative contains the issue of female identity. If the love could symbolize the beginning of human ethics, trying to modify it in the view of justice means the reconstructing the concept of humanity. Therefore the legislation of justice as the realization of humanity is not the case could be performed at the angle of judical modification on 'the effort for another's benefit(‘利物’). It have to be rejustified through the fundamental retrospection of our ethical attitude toward sexuality and love. 이글은 정의 담론의 기원에 윤리적 모순이 있다는 전제하에 한문소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회가 만든 사법적 정의와 주체의 윤리적 선택이 일치하는 것은 인류문명의 궁극적 목표지만 아직 불가능하며, 그것이 불가능하기에 다양한 윤리적, 문학적 담론들이 여전히 생성되고 있다 할 것이다. 이 모순의 빈틈에서 산출된 대표적인 문학 현상이 사랑과 욕망의 서사다. 사랑과 욕망의 서사는 자연에 속한 야생의 욕망을 인간화시켜 윤리로 정립하려는 노력에서 출발하는데 이를 대표하는 작품이 「金現感虎」다. 그런데 이 윤리화 과정은 ‘利物’로 상징될 정의의 원리를 위반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바, 그것을 상징하는 사건이 ‘호녀의 희생’이다. 여성을 야만의 잔여로 간주하려는 태도로부터 유래한 이 희생의 서사는 훗날 「布衣交集」 단계에 이르러서는 여성의 정체성 주장을 담은 사랑의 서사로 발전하게 된다. 사랑이 인륜의 시발점을 상징한다고 할 때, 이를 정의의 관점에서 재조정한다는 것은 결국 인간에 대한 재구성을 의미한다 할 것이다. 따라서 인륜의 구현으로서 정의를 다시 입법화하는 것은 단지 ‘利物’에 대한 사법적 조정의 수준에서 이뤄질 사안이 아니다. 그것은 성과 사랑에 대한 인류의 윤리적 태도를 근본적으로 반성하는 차원에서 재정립되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절화기담(折花奇談)』에 나타나는 환유적 사랑

        윤채근 한국고전연구학회 2002 한국고전연구 Vol.8 No.-

        본고는『절화기담』이 드러내는 사랑의 방식이 환유적임을 증명하고 이것이 전대 전기소설의 문법을 근본적으로 이탈하며 성취한 사랑에 대한 새로운 인식에 기반해 있음을 도출하였다. 그 근저에는 욕망의 순수한 육체성과 육체가 소유한 환유적 직접성과 운동성이 자리잡고 있다. 이는 추상화를 통해 모종의 상징적 의미로 은유 시킬 도리 없는 여성의 존재 위치를 통해 전개된다. 즉, 여주인공 순매가 손쉽게 쟁취될 수 없는 유뷰녀 신분이고, 끝없이 타자들에 의해 만남을 간섭받는 존재라는 현실이 소설의 지평을 환유적 운명에 몰아 넣는다. 환유적 사랑은 마침내 지연되고 미끄러지는 의미의 모호함. 혹은 은유적 의미화에 대한 저항을 유발하게 된다. 이 저항들에 의해『절화기담』은 욕망의 복잡한 실현절차를 거치며 현실적이 된다. 이 현실성은 사랑이 더 이상 허구적 숭고함에 유폐될 수 없는 생생한 현전성으로 변모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소설의 글쓰기는 매끈한 통합과 유추를 정초하지 못하고 인접 사건들로 산포되며 비화되기만 하는 이완 형식을 소유한다. 이는 소설의 장회화, 또는 장편화에로의 제삼의 통로일 수 있다. 『절화기담』은 궁극적으로 여성의 존재 위상을 수정하고 재편함으로써 문명이 욕망을 전유하는 방식 자체에 의문을 제기한다. 그것은 일부일처제에 기반한 문명의 통합 방식에 대한 재반성의 출발점이 될 것이며, 결국 혼인이라는 은유적 통제 장치에 대한 환유적 위반이 될 것이다. 이 문제의 해결에 따라 소설의 근대적 반성 양상을 탐구하는 연구 절차가 개편될 수도 있게 된다. 이는 본연구가 미해결로 남겨두는 여분의 과제이기도 하다. This treatise proved that the way of love Julwhagidam(折花奇談) shows is metonymic and it is based on new recognition of love accomplished by the separation from the grammar of east-asian Romance. On the basis of it, there are pure "body" of desire, metonymic directness and mutation which the body have essentially. This is unfolded through topological place of feminine which can not be metaphor as some symbolic meaning by abstraction. As it were, the fact that heroin Sunmae is a married waman can't be possessed easily by other men, and is the one interfered by others put the horizon of novel into metonymic destiny. Metonymic love, at last, incur sliding and delayed ambiguity of meaning or the resistance to the signification of metaphor. By these resistances, Julwhagidam(折花奇談) can be something real passing through complex realizing stages of desire. This reality means also that love is changed into vivid pre´sence can not be confined in fictional sublime any more. By these facts, the writing of novel possesses relaxing form unfolded and leaped into scenes beside not accomplishing clean organization and analogy. This can means the 3rd way that novels were articulated into many sects or made longer in story. Julwhagidam(折花奇談) questions about the way how the civilization controls desire by revising and reforming the topological post of feminine ultimately. It could be the departure of re-reflection on the way of organization of culture based on the monogamy, at last be metonymic violation to metaphor-organizing system of marriage.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this problems, processes of studying reflective modes in modern novels could be refo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